KR20230143526A -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26A
KR20230143526A KR1020220042557A KR20220042557A KR20230143526A KR 20230143526 A KR20230143526 A KR 20230143526A KR 1020220042557 A KR1020220042557 A KR 1020220042557A KR 20220042557 A KR20220042557 A KR 20220042557A KR 20230143526 A KR20230143526 A KR 2023014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housing
pressure ring
peripheral surf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해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526A/ko
Publication of KR2023014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스프링클러 헤드가 체결되는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배관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된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로서 전방에 신축배관이 삽입 가능하고 후방에 가지배관이 삽입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관통되고 그 내주면에 일방향으로 함몰된 제1 슬릿과 제1 슬릿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슬릿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삽입되고 일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링형상을 가지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링, 일방향으로 그 중심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제1 슬릿 및 제2 슬릿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며 슬리브링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 및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고 가압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가지배관과 가압링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제1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하우징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체결돌기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제1 슬릿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압링의 둘레를 따라 이격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체결되는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 사이에 체결되어 신축배관과 가지배관을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수(예컨데, 방화수)는 화재시, 불길에 분사하는 액체로서 물과 화학분말재가 혼합된 혼압액일 수 있다. 소방수는 저장탱크로부터 배관을 통해 분사기에 연결된며, 분사기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배관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배관(예컨데,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들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복수의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는 복수의 배관을 통과하는 방화수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복수의 배관의 연결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복수의 배관이 고압으로 이동하는 방화수에 의해 복수의 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고압의 방화수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방화수가 연결부위의 외부로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개선된 배관 연결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JP 2013-504379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체결되는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배관의 둘레의 틈새와 가지배관의 둘레의 틈새를 수밀시켜 방화수를 밀폐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된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로서, 전방에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 가능하고, 후방에 상기 가지배관이 삽입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관통되고, 그 내주면에 일방향으로 함몰된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슬릿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일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신축배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링; 일방향으로 그 중심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며, 상기 슬리브링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지배관과 상기 가압링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슬릿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링의 둘레를 따라 이격된다.
상기 제1 슬릿은, 후방측 단부가 테이퍼 혹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각각이 복수의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링이 자전하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 슬릿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 사이에 위치한 상기 체결돌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가압링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인터널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갖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신축배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몸체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되고,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접촉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상기 접촉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홈의 양측단부에 지지되는 가압체; 상기 제1 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가압체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가지는 고정체; 및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체의 타측에 접촉되며 신장 수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홈 및 상기 탄성체는, N극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가압체는, 그 일측이 S극의 극성을 갖고, 그 타측이 N극의 극성을 가진다.
상기 가압링은, 상기 가지배관에서 상기 신축배관으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링 내부의 관통된 부분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방화수 조절부;을 구비하고, 상기 방화수 조절부는, 상기 가압링 내부의 관통된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링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며, 상기 가압링의 중심부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가압링의 관통된 부분을 통과하는 방화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 연결장치가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과 각각 견고하게 결합되며, 신측배관과 가지배관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견고하게 유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방화수가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압링의 체결돌기가 제2 슬릿을 따라 소방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압의 소방수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지배관에서 신축배관으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공급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분사되는 방화수의 분사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신축배관과 가지배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우징의 전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하우징의 후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가압부의 제1 몸체에 대해 제2 몸체가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가압부의 가압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h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100)는 복수의 배관(예컨데,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신축배관과 가지배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의 전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의 후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가압부의 제1 몸체에 대해 제2 몸체가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가압부의 가압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10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100)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된 신축배관(10)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20)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100)로서, 전방에 신축배관(10)이 삽입 가능하고 후방에 가지배관(20)이 삽입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관통되며 그 내주면에 일방향으로 함몰된 제1 슬릿(111)과 제1 슬릿(111)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슬릿(112)을 가지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일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링형상을 가지며 신축배관(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링(120), 중심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고 외주면에 제1 슬릿(111) 및 제2 슬릿(112)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131)를 구비하고 하우징(110)의 후방에 삽입되며 슬리브링(12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링(130) 및 하우징(110)의 후방에 삽입되고 가압링(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가지배관(20)과 가압링(1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릿(111)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체결돌기(131)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1 슬릿(1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압링(13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방향(이하, 길이방향이라 함)으로 연장되며, 중심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신축배관(10)이 삽입 장착되고, 후방측에 가지배관(2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방측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은 전방측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10)에는 후술되는 슬리브링(120)이 끼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후술되는 가압링(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후,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제1 슬릿(111), 제2 슬릿(112), 지지부(113) 및 가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11)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11)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릿(111)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슬릿(111)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방향은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일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가압링(130)의 복수의 체결돌기(1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릿(111)은 후방측 단부가 테이퍼 혹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슬릿(111)은 후방측 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체결돌기(131)가 제1 슬릿(111)에 삽입될 때, 결합되는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제1 슬릿(111)의 테이퍼진 부분을 타고 이동하며 제1 슬릿(11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테이퍼진 부분을 따라 이동하며 하우징(110)의 중심과 가압링(13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제2 슬릿(112)은 제1 슬릿(111)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내주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112)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1 슬릿(111)의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가압링(130)의 복수의 체결돌기(1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후, 제1 슬릿(111)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슬릿(112)에 의해 복수의 체결돌기(131)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2 슬릿(1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10)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화수에 의해 가압링(13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슬릿(112)은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돌기(131)가 제2 슬릿(112)을 따라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더 이동하며 결합되고, 이때 하우징(110)의 전방에 체결된 슬리브링(120)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슬리브링(120)이 가압링(130)에 의해 가압되며, 슬리브링(120)과 결합된 신축배관(10)을 더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슬릿(112)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가압링(130)이 슬리브링(120)을 더 가압하게 되고, 슬리브링(120)과 신축배관(10)이 더 밀착되며 수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지지부(113)는 하우징(110)의 전방측을 이루며, 신축배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13a)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113)는 관통홀(113a)을 통해 신축배관(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3)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14)는 길이방향으로 슬리브링(120)을 통해 신축배관(10)을 가압하는 가압링(130)을 반경방향에서 가압하여 가압링(130)을 하우징(110)에 더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가압부(114)는 지지부(113)에 고정되는 제1 몸체(114a), 제1 몸체(114a)와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고 지지부(11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2 몸체(114b),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를 힌지 연결시키기 위한 힌지부재(114c),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와 이격되며 가압링(130)과 접촉된되는 접촉부재(114d), 접촉부재(114d)를 통해 가압링(13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114e) 및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114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4a)는 하우징(110)의 중앙측 및 후방측의 외주면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몸체(114a)는 전방측에 지지부(113)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몸체(114a)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몸체(114b)는 하우징(110)의 중앙측 및 후방측의 외주면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몸체(114b)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는 각각 하우징의 원주방향 길이의 1/2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3)와 제1 몸체(114a) 및 제2 몸체(114b)는 서로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공유할 수 있다.
힌지부재(114c)는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를 힌지 연결(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힌지부재(114c)를 통해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접촉부재(114d)는 그 내주면이 가압링(130)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재(114d)는 그 외주면이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재(114d)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114d)는 서로 상대 회전하는 제1 몸체(114a) 및 제2 몸체(114b)에 대응하여, 그 연장되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상대 회전할 경우, 서로 이격되는 제1 몸체(114a)의 내주면과 제2 몸체(114b)의 내주면에 의해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이루는 내경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접촉부재(114d)가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상대 회전하더라고, 증가하는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이루는 내경에 대응하여 접촉부재(114d)가 찢어지거나 끊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114d)가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되는 가압부재(114e)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내주면에 접촉된 가압링(130)과 밀착되며, 가압링(130)을 더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114d)는 그 외주면에 함몰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홈에는 후술되는 가압체(114ea)의 일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접촉부재(114d)의 둘레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홈을 이루는 접촉부재(114d)의 외주면은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을 이루는 접촉부재(114d)의 외주면은 N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재(114e)는 가압링(130)의 외주면에 접촉한 접촉부재(114d)를 반경방향을 따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114e)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 몸체(114a)와 접촉부재(114d)의 사이 및 제2 몸체(114b)와 접촉부재(114d)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가압부재(114e)는 접촉부재(114d)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114e)는 가압체(114ea), 고정체(114eb) 및 탄성체(114e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체(114ea)는 일측이 접촉부재(114d)의 홈에 삽입되고, 양측단부가 홈의 양측단부(즉 홈을 이루는 접촉부재(114d)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체는 열십(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체(114ea)는 홈에 삽입되는 일측이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체(114ea)의 일측은 S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가압체(114ea)의 일측이 N극의 자성을 띄는 홈을 이루는 접촉부재(114d)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인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압체(114ea)는 그 타측이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체(114ea)의 타측은 N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체(114eb)는 제1 몸체(114a)의 내주면 및 제2 몸체(114b)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가압체(114ea)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114ec)는 고정체(114eb)의 삽입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압체(114ea)의 타측에 접촉되며,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114ec)는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체(114ea)의 타측은 N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14e)는 접촉부재(114d)를 제1 몸체(114a) 및 제2 몸체(114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접촉부재(114d)를 하우징(110)의 중심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부재(114e)는 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 예컨대 2 내지 6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가 체결될 경우, 가압부재(114e)의 탄성체는 수축되며, 접촉부재(114d)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접촉부재(114d)의 내주면과 가압링(130)의 체결돌기(131)가 반경방향을 따라 가압되며, 접촉부재(114d)와 가압링(130)이 더 견고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탄성체(114ec)가 수축될 경우, N극을 갖는 접촉부재(114d)의 타측과 N극을 갖는 탄성체(114ec)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발생된 척력에 의해, 가압체(114ea)가 접촉부재(114d)를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114d)의 내주면과 가압링(130)의 체결돌기(131)가 더 견고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114f)는 돌기와 걸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가 걸쇠에 걸리면서, 제1 몸체(114a)와 제2 몸체(114b)를 서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슬리브링(120)은 그 외주면이 하우징(110)의 지지부(113)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그 내주면이 신축배관(1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링(120)은 후방측이 신축배관(10)의 후방에 접촉 지지되며, 후술되는 가압링(130)에 의해 가압되며 신축배관(10)을 수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링(120)은 신축배관(10)과 하우징(110) 사이를 패킹시킬 수 있다. 즉, 슬리브링(120)은 신축배관(10)과 하우징(11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링(120)은 하우징(110)의 전방측 내주면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링(120)은 그 후방측에 링 형상의 패킹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다. 패킹부재(121)는 슬리브링(120)과 후술되는 가압링(130) 사이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슬리브링(120)은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링(130)은 중심이 일방향으로 관통되고, 외주면에 제1 슬릿(111) 제2 슬릿(112)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131)를 구비하고, 하우징(110)의 후방에 삽입되며 슬리브링(120)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체결돌기(131)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체결돌기(131)는 제1 슬릿(111)을 따라 길이방향을 이동하며 하우징(110)(즉, 접촉부재(114d))에 삽입되고, 제2 슬릿(112)을 따라 원주방향(혹은,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우징(110)(즉, 접촉부재(114d))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가압링(13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슬리브링(120)과 신축배관(10) 사이가 밀폐되며, 방화수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링(130)은 가지배관(20)에서 신축배관(10)으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링(130) 내부의 관통된 부분(이하, 내부통로라 함)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화수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화수 조절부는 복수의 조절부재, 구동부재 및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절부재는 방화수 조절부(미도시)는 가압링(130) 내부의 관통된 부분(즉, 내부통로)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조절부재는 가압링(130) 내주면(즉, 내부통로)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며, 가압링(130)의 중심부(즉, 내부통로의 중심부)로 이동 가능하게 가압링(13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조절부재의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조절부재들은 내부통로에서 방화수의 이동방향(즉,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며, 방화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조절부재는 일측이 가압링(130)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하며 방화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전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조절부재들의 타측은 일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부재들이 포개지는 부분은,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방화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즉, 각각의 조절부재들은 내부통로를 이동하는 방화수의 유량 조절시, 조절부재들이 포개지는 부분이 균일한 비율로 증감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조절부재는 내부통로의 방화수의 유량 조절을 위해, 내부통로의 개구율을 균일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재의 유량 조절 방식은 보통 카메라의 광의 노출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방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써, 내부통로의 개구율을 일정한 비율로 증감할 수 있다.
구동부재는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조절부재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는, 회전체, 모터, 제1 톱니, 제2 톱니, 및 제3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가압링(130)의 내주면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의 중심은 방화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되며, 개방된 중심 영역은 내부통로에 방화수 이동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체는 모터로부터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2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 기어가 회전되면,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톱니는 모터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톱니와 제2 톱니 및 회전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3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한다. 즉,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한다.
제3 톱니는 회전체의 내측벽을 따라 조절부재들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각각의 제3 톱니들은 내부통로의 방화수 이동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설치된다. 제3 톱니는 가압링(130)의 내주면에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들은 제3 톱니의 회전 중심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들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조절부재들은 내부통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가 조절부재들을 구동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가압링(130)의 관통된 부분(즉, 내부통로)을 통과하는 방화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구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재는 기 설정된 유량값을 저장하며,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방화수의 유량값이 상술한 기 설정된 유량값을 초과할 경우, 구동부재를 작동시켜 방화수가 이동하는 내부통로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를 통해 신축배관(10)으로 방화수가 과도하게 유입되어 그 압력에 의해 신축배관(10)과 슬리브링(12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유닛(140)은 하우징(110)의 후방에 삽입되고, 가압링(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가지배관(20)과 가압링(1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유닛(140)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40)는 가지배관(20)과 볼팅 방식 등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잇다.
구동유닛(미도시)은 복수의 체결돌기(131)가 제1 슬릿(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링(130)을 자전하며 체결돌기(131)가 제2 슬릿(112)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링(13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유닛은 감지센서, 구동모터, 피니언기어 및 인터널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제1 슬릿(111)과 제2 슬릿(112) 사이에 위치한 체결돌기(131)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센서는 제1 슬릿(111)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한 체결돌기(131)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제1 슬릿(111)과 제2 슬릿(112) 사이의 체결돌기(131)를 감지할 경우,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는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피니언기어는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인터널 기어는 가압링(130) 내주면에 결합되고, 가압링(13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피니언기어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인터널 기어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널 기어와 결합된 가압링(130)이 자전하고, 제1 슬릿(111)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한 체결돌기(131)가 자전하는 가압링(130)에 의해 제2 슬릿(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배관 연결장치가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과 각각 견고하게 결합되며, 신측배관과 가지배관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견고하게 유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방화수가 신축배관 및 가지배관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압링의 체결돌기가 제2 슬릿을 따라 소방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압의 소방수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지배관에서 신축배관으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공급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분사되는 방화수의 분사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관 연결장치 110: 하우징
111: 제1 슬릿 112: 제2 슬릿
113: 지지부 114: 가압부
120: 슬리브링 130: 가압링
140: 고정유닛

Claims (3)

  1.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된 신축배관과, 방화수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로서,
    전방에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 가능하고, 후방에 상기 가지배관이 삽입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관통되고, 그 내주면에 일방향으로 함몰된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슬릿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일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신축배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링;
    일방향으로 그 중심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며, 상기 슬리브링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지배관과 상기 가압링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슬릿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링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배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후방측 단부가 테이퍼 혹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각각이 복수의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링이 자전하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 슬릿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 사이에 위치한 상기 체결돌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가압링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인터널 기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갖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신축배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체결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몸체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되고,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접촉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KR1020220042557A 2022-04-05 2022-04-05 배관 연결장치 KR20230143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57A KR20230143526A (ko) 2022-04-05 2022-04-05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57A KR20230143526A (ko) 2022-04-05 2022-04-05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26A true KR20230143526A (ko) 2023-10-12

Family

ID=8829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557A KR20230143526A (ko) 2022-04-05 2022-04-05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5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379A (ja) 2009-09-11 2013-02-07 ビクターリック カンパニー スプリンクラのための可撓性の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379A (ja) 2009-09-11 2013-02-07 ビクターリック カンパニー スプリンクラのための可撓性のアセンブ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5868B1 (ja) 吐水装置
RU2536412C2 (ru) Стопорное обжимное кольцо
JP3458232B2 (ja) 温水タンク構造体及びそのための部品及び製造方法
WO2014132384A1 (ja) ノズル装置
RU2563792C2 (ru) Узел уплотнения шарового клапана и шаровой клапан, содержащий его
EP1717495B1 (en) Body part of a slide ring seal, slide ring seal, flow machine with said slide ring seal, and method of fastening said slide ring seal
TW201323761A (zh) 管接頭
KR100998940B1 (ko) 스팀용 로터리 조인트
KR20230143526A (ko) 배관 연결장치
JP2009022830A (ja) ブーム多頭噴管におけるノズル切り替えバルブ装置
JP6353778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の支持装置
KR101622047B1 (ko) 회전식 분무기
KR101880402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용 일체형 소켓 조립체
JP2020195739A (ja) 接続用コネクタ及び分岐コネクタ
CN216382968U (zh) 一种便于拆卸的给水管道结构
AU2013201161A1 (en) Turb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4219674B2 (ja) 配管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US11105423B2 (en) Mechanical sealing device
CN2713274Y (zh) 可旋转使用的壁式淋浴接头
JP4194026B2 (ja) 弁装置
JP4862071B2 (ja) 管継手
KR20220035781A (ko) 파이프 커플러
JP2000352470A (ja) 逆止機能を備えた弁体及びこれを内蔵するバルブ
JP3824630B2 (ja) 物品の取付方法
JP2010078148A (ja) 開閉バル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