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310A - 쿠션 거울 - Google Patents

쿠션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310A
KR20230143310A KR1020220042035A KR20220042035A KR20230143310A KR 20230143310 A KR20230143310 A KR 20230143310A KR 1020220042035 A KR1020220042035 A KR 1020220042035A KR 20220042035 A KR20220042035 A KR 20220042035A KR 20230143310 A KR20230143310 A KR 2023014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irror
cover
edge
mirr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미라 마히굽 아부가마
Original Assignee
아미라 마히굽 아부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라 마히굽 아부가마 filed Critical 아미라 마히굽 아부가마
Priority to KR102022004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310A/ko
Publication of KR2023014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 발생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됨과 아울러 장식용 소품으로도 이용이 가능한 쿠션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쿠션 거울은 거울본체(100)와, 상기 거울본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200)와, 상기 거울본체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테두리 쿠션커버(300)와, 상기 거울본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션 거울{Cushoin Mirror}
본 발명은 외부 충격 발생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됨과 아울러 장식용 소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쿠션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외부의 충격에 약해 쉽게 깨어지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거울 표면에 비산방지용 코팅필름을 부착하거나 유리 대신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여 안전 거울을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전 거울은 코팅필름의 투과성이 불량하여 선명도가 크게 떨어지고, 금속의 경우에는 반사율이 거울보다 낮아 선명도가 떨어지고 반사되는 상이 왜곡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울은 모서리 부위가 단단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거울의 후면과 가장자리에는 별도의 테두리 부재가 결합되는데, 상기 테두리 부재로 인하여 거울의 외관이 액자 형태로 한정되면서 디자인적 측면에서 미려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170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 발생시 쉽게 파손되지 않아 취급과 사용이 안전하면서 외관이 미려한 쿠션 거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쿠션 거울은 거울본체와, 상기 거울본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와, 상기 거울본체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테두리 쿠션커버와, 상기 거울본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내부에 쿠션부재가 충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는 유연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과 테두리커버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연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재봉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의 내측에는 거울본체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를 거울본체에 밀착시켜 주는 조임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에는 상기 조임부재의 양단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쿠션 거울은 거울 본체의 테두리를 쿠션 테두리 커버가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거울본체가 쉽게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날카로운 거울 본체의 테두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용이한 취급 및 사용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 본체를 후면과 테두리의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를 교체해 가면서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어 장식용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결합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의 결합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울본체(100)와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거울 본체(100)는 통상의 거울로서, 원형, 타원, 다각형, 아치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울 본체(100)는 평면거울은 물론 오목거울 또는 볼록거울 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울 본체(100)가 탁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후면커버(200)는 거울 본체(100)의 후면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 경우, 상기 후면커버(200)는 거울 본체(100)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나 거울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후면커버(200)는 쿠션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이나 천과 같이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커버(200)는 세탁이 용이하고 촉감이 우수하여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커버(200)가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쿠션성을 보완해 주기 위하여 내부에 별도의 쿠션부재(210)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210)의 소재를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상기 후면커버(200)가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거울 본체(100)의 사이즈에 따라 쿠션부재(210)의 충전양을 조절함으로써 거울 본체(100) 후면의 쿠션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200)의 후면에는 벽걸이용 고리(220)가 부착될 수도 있다. 후면커버(200)가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소재의 통일감을 주도록 상기 벽걸이용 고리(220)는 고리 형태로 재봉된 가죽이나 천과 같은 유연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테두리 쿠션커버(300)는 상기 거울본체(100)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거울 본체(100)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울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우수한 쿠션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는 후면커버(200)와 마찬가지로 쿠션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이나 천과 같이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의 외피에 쿠션부재(310)가 충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310)의 소재를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외피는 후면커버(200)와 마찬가지로 세탁이 용이하고 촉감이 우수하여 침구류에 주로 사용되는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외피가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거울 본체(100)의 사이즈에 따라 쿠션부재(310)의 충전양을 조절함으로써 거울 본체(100) 테두리의 쿠션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가 모두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후면커버(200)의 후방과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연결부(230,3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30,320)는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봉재부로서, 상기 연결부(230,320)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재봉을 통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230,320)는 후면커버(2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재봉된 연결부(230,320)는 전구간을 감싸는 별도의 마감부재(400)를 재봉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재(400)는 재봉이 용이하고 상기 연결부(230,32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가죽이나 천과 같은 유연소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지저분한 외피 단부가 노출되지 않아 연결부(230,320)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사이에는 상기 거울본체(10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끼움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500)는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 사이의 빈 공간으로서, 상기 거울 본체(100)가 끼움부(500)에 결합되면, 거울 본체(100)의 테두리가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거울 본체(100)의 이탈됨이 방지된다.
이때,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테두리 쿠션커버(300)가 거울본체(100)의 테두리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거울 본체(100)의 이탈됨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끼움부(500)는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가 모두 가죽이나 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연결부(230,320)를 재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의 내측에는 거울본체(100)의 이탈됨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를 거울본체(100)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주는 조임부재(6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임부재(600)는 자체 탄성을 가진 고무줄이나 스프링일 수도 있고, 탄성력을 갖고 있지 않은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임부재(600)가 탄성력을 갖고 있지 않은 끈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300)에 조임부재(600)의 양단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절개부(3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울본체(100)가 끼움부(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절개부(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조임부재(600)의 양단을 잡고 조여서 묶어 주면 테두리 쿠션커버(300)가 거울본체(100)의 테두리에 단단히 밀착되면서 거울본체(100)의 이탈됨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상기 조임부재(600)가 탄성력을 갖고 있지 않은 끈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무줄이나 스프링에 비하여 거울본체(100)를 끼움부(500)에 결합시키기가 수월하며, 리본 방식으로 묶어서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거울은 거울 본체(100)의 후면과 테두리를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 커버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거울본체(100)의 파손됨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날카로운 거울 본체(100)의 테두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취급과 사용이 보장되며 매우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 커버가 가죽이나 천과 같은 유연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 등 그 취급과 사용이 매우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면에 구비된 벽걸이용 고리(220)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두거나 화장대나 책상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 본체(100)를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후면커버(200)와 테두리 쿠션커버(300)를 교체해 가면서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소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거울본체 200...후면커버
210,310...쿠션부재 230,320...연결부
300...테두리 쿠션커버 350...절개부
500...끼움부 600...조임부재

Claims (4)

  1. 거울본체;
    상기 거울본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
    상기 거울본체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테두리 쿠션커버;
    상기 거울본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쿠션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내부에 쿠션부재가 충전된 쿠션 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와 테두리 쿠션커버는 유연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과 테두리 쿠션커버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연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재봉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쿠션 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의 내측에는 거울본체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를 거울본체에 밀착시켜 주는 조임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테두리 쿠션커버에는 상기 조임부재의 양단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쿠션 거울.
KR1020220042035A 2022-04-05 2022-04-05 쿠션 거울 KR20230143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35A KR20230143310A (ko) 2022-04-05 2022-04-05 쿠션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35A KR20230143310A (ko) 2022-04-05 2022-04-05 쿠션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310A true KR20230143310A (ko) 2023-10-12

Family

ID=882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035A KR20230143310A (ko) 2022-04-05 2022-04-05 쿠션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3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51B1 (ko) 2013-10-30 2015-05-04 김종현 안전거울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51B1 (ko) 2013-10-30 2015-05-04 김종현 안전거울 및 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263A (en) Head supported pillow
US8418295B2 (en) Nursing pillow with bolster around the circumference thereof and privacy shroud
USRE35245E (en) Novelty upper torso garment
US2342840A (en) Eye pad holder and sleeping shield
JP2022144931A (ja) マスクフレームおよびマスク
KR20230143310A (ko) 쿠션 거울
KR20100080650A (ko) 수면안대를 포함한 목 베개
KR100819426B1 (ko) 팔 햇빛가리개
CN206423602U (zh) 耳挂及面罩
KR20150129373A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보조패드
US3754810A (en) Convertible sunshade and non-glare visor
US20190335906A1 (en) Releaseably Engaged Armrest Cushion
JP5079308B2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へのカバーの取付構造
CN108743307B (zh) 便携式按摩披肩
JP7116876B2 (ja) ランドセル
JP2003000383A (ja) シートカバー
JP3216951U (ja) クッションセット
CN219206168U (zh) 一种带有软壳支撑防护结构的背包
KR20150057830A (ko) 목쿠션
KR200260926Y1 (ko) 통기성 등판
CN111820582A (zh) 一种护脊背包
KR200396705Y1 (ko) 손목보호대
JP5503690B2 (ja) 椅子
KR20170100373A (ko) 목받침대
KR101916383B1 (ko) 각형 페이스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