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996A - 브러쉬 - Google Patents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996A
KR20230142996A KR1020220041740A KR20220041740A KR20230142996A KR 20230142996 A KR20230142996 A KR 20230142996A KR 1020220041740 A KR1020220041740 A KR 1020220041740A KR 20220041740 A KR20220041740 A KR 20220041740A KR 20230142996 A KR20230142996 A KR 2023014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applicator
protrusions
brush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현창환
최윤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2004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996A/ko
Priority to CN202320574498.7U priority patent/CN219781826U/zh
Publication of KR2023014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복수 개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면에 골과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구조가 마련되는 요철돌기이고, 상기 요철구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Description

브러쉬{Brush}
본 발명은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쉬는 머리빗, 옷솔, 화장솔, 칫솔 등 예로부터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생필품으로써, 그 종류 및 디자인은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다. 머리를 손질하거나 빗거나 또는 세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빗 또는 헤어 브러쉬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헤어 브러쉬를 기능성 도구로 이용하기 위하여, 기능성 물질인 앰플을 수용하여 모발이나 두피로 성분을 전이하기 위한 형태의 헤어 브러쉬가 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헤어 브러쉬의 손잡이의 일부분 또는 용기에 앰플을 넣고, 앰플이 브러쉬 내부의 관을 지나 브러쉬 선단으로 유출되는 구조를 갖는 브러쉬로 구현하거나, 앰플을 수용하는 용기를 손으로 눌러 용기와 연결된 브러쉬를 통해 액체가 유출되는 동시에, 두피 마사지를 기능하게 하는 헤어 브러쉬로 발전되어 왔다.
한편, 두피 및 모발 케어 용품의 유효한 성분을 두피 속 깊이 침투시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두피에 도포된 앰플을 손으로 두드리거나 문지르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액체 상태인 앰플이 두피를 타고 흘러 내릴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앰플의 유효한 성분을 두피에 충분히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고, 머리카락의 구획을 일일히 나누어 앰플을 도포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제형의 기능성 물질을 두피에 효과적으로 도포하여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머리가락 구획을 나눌 필요 없이 기능성 물질의 전달이 용이한 브러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러쉬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복수 개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면에 골과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구조가 마련되는 요철돌기이고, 상기 요철구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도포부의 면과 경사지게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단 대비 끝단의 단면이 작은 형태를 갖고, 기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이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도록 편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 대비 상기 도포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요철돌기의 기단이 마련되는 면 상에서 상기 요철돌기의 주변에 상기 요철구조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로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이 마련되는 면 상에서 상기 돌기부의 주변에 함몰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는, 끝단에 기단 대비 발열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쿨링단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는, 100 내지 400μA의 갈바닉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부를 통해 신체에 전달되는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는, 두피에 액체 제형을 갖는 기능성 물질의 도포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머리카락의 구획을 나누지 않고도 기능성 물질의 흡수를 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포부위를 헤어가 마련되어 있는 두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부당하게 제한되진 않음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에서 기능성 물질은 화장용 또는 의료용 앰플일 수 있고, 탈모 예방을 위한 물질 등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는, 본체부(10), 도포부(20), 작동부(30) 등을 포함한다.
본체부(10)는, 후술할 작동부(30)를 내장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일례로 본체부(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도록 하는 고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부분은 파지부(11)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본체부(10)는 고리를 대신하여 또는 고리와 함께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체부(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파지부(11)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본체부(10)는 별도의 돌출 또는 관통 부분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1)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본체부(10)는 파지를 위한 부분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10)의 형상 자체가 파지에 용이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본체부(10) 전체가 파지부(11)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움켜쥐어 휴대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10)에는 센싱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센싱부(12)는 본체부(10)의 파지부(11) 등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본체부(10)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고 후술할 전극부(2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센싱부(12)는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으며, 파지부(11)의 고리 내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센싱부(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전류 신호를 센싱하고 작동부(30)에 적절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센싱부(12)는 파지부(11)의 형태, 배치 등에 따라 본체부(10) 상에서 다양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센싱부(12)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 외에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작동부(30)로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부(12)는 사용자의 외력이 일정 이상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면 작동부(30)를 통해 전극부(22)가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싱/센서라는 용어는 공지된 센서 타입 외에도 외부 자극을 토대로 작동부(30)를 제어하는 모든 구성을 포괄한다. 더욱이 외부 자극은 신체의 터치뿐만 아니라 조명, 소리 등일 수 있다.
도포부(2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마련된다. 도포부(20)는 사용자가 손 등으로 본체부(10)를 휴대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기능성 물질을 두피에 전달한다.
도포부(20)가 기능성 물질을 사용자의 두피에 전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별도로 마련되는 앰플 용기를 준비할 수 있고, 앰플 용기를 개방하여 기능성 물질을 도포부(20)로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는 본체부(10)를 파지한 채 기능성 물질이 묻어있는 도포부(20)를 두피에 적용하여 기능성 물질이 두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음)가 본체부(10)나 도포부(20) 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는 도포부(20)에 마련될 수 있는 배출구 등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도포부(20)에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본체부(10)를 파지하면, 센싱부(12)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성 물질이 자동적으로 도포부(20)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펌프 등과 같은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저장부의 배출을 수동적으로 구현하도록 하는 구조도 사용 가능하다.
저장부로부터 도포부(20)로 기능성 물질이 전달된 후의 사용 방법은, 앞서 앰플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는 본체부(10)를 잡고 도포부(20)를 통해 신체의 두피에 기능성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도포부(20)는 돌기부(21), 전극부(22), 함몰부(23)를 포함한다. 돌기부(21)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도포부(20)의 표면 상에 적절한 배열에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돌기부(21)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돌기부(21)가 두피에 눌려 휘어지더라도 돌기부(21)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돌기부(21)는 기능성 물질이 묻어있는 상태로 두피에 접촉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21)는 기당 대비 끝단의 단면이 작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돌기부(21)는 원뿔 또는 사각뿔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돌기부(21)의 끝단은 첨단 형상을 갖는다. 다만 돌기부(21)의 끝단 형상은, 기능성 물질의 도포 시 필요한 자극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21)가 비교적 뿔과 같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두피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부(20)로 적용할 경우, 도포부(20)가 두피를 쓸어내리는 과정에서 머리카락의 구획을 자동적으로 나눠주고, 두피에 앰플이 골고루 도포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돌기부(21)는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두피에 돌기부(21)가 접촉할 때 과하지 않은 자극을 두피에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부(21)를 이용하여 두피를 보호함과 동시에 두피의 마사지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이 두피에 적절한 자극감으로 부드럽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돌기부(21)는, 도포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포부(20)의 좌측에 배치된 돌기부(21)의 길이(L1) 대비 도포부(20)의 우측에 배치된 돌기부(21)의 길이(L2)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돌기부(21) 중 적어도 셋 이상의 돌기부(21)의 끝단을 이용하여 가상의 면을 형성한다면, 가상의 면은 도포부(20)의 표면 대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상의 면은 평면 또는 곡면 등일 수 있고, 가상의 면과 도포부(20)의 표면은 도 8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또는 가상의 면은 도포부(20)의 표면에 대해 적어도 두 축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21)는 기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도포부(2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도록 점진적으로 편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돌기부(21)는 좌측면이 도포부(20)의 표면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경사지고, 우측면이 도포부(20)의 표면에 대해 90도 또는 좌측면 대비 90도에 더 가까운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21)는 기울어진 원뿔 또는 기울어진 다각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포부(20)의 일측에 배치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돌기부(21) 대비, 도포부(20)의 타측에 배치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돌기부(21)는, 단면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포부(20)의 일측에서 도포부(20)의 타측으로 갈수록 돌기부(21)의 크기 자체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21)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돌기(211)로 마련될 수 있다. 요철돌기(211)는 표면에 골과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구조(211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골과 산은 요철돌기(211)의 기단과 끝단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이 요철돌기(211)의 끝단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돌기부(21)는 매끄러운 면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돌기와, 요철 면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요철돌기(2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돌기부(21) 전체가 요철돌기(211)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요철돌기(211)의 요철구조(211a)는 생체모방(Biomimic) 표면 홈 구조일 수 있다. 일례로 요철구조(211a)는 도면에서와 같이 골과 산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조개 표면의 홈이나 파도 모양 등과 같이 곡면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요철돌기(211)는 기능성 물질을 두피에 원활하게 전달하면서도 낭비를 억제한다.
요철돌기(211)는 기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뿔 형태를 가지므로, 요철구조(211a) 역시 기단에서 끝단으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진다. 이 경우 요철돌기(211)는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을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이 요철돌기(211)의 끝단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요철돌기(211)를 도포부(20) 내에서 중앙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부(20)의 도포면적 중 중앙 부분에 기능성 물질이 모이도록 하여 두피 안쪽으로 기능성 물질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요철돌기(211)는 다른 돌기와 대비할 때 요철구조(211a)를 구비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담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서, 기능성 물질을 끝단으로 모이게 하여 두피에 대한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 등을 참조하면, 요철돌기(211)의 요철구조(211a)로 기능성 물질을 안내하기 위해, 도포부(20)의 표면에는 유로구조(24)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의 기단이 마련되는 도포부(20)의 표면에서 요철돌기(211)의 주변에 형성되며, 요철구조(211a)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을 수 있다.
요철구조(211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철돌기(211)의 표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요철구조(211a)는 요철돌기(211)의 기단에서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요철구조(211a)의 개방된 부분은 요철돌기(211)의 기단에 연결되는 유로구조(24)와 연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포부(20)의 표면 등에 전달된 기능성 물질은 더욱 효과적으로 요철돌기(211)의 끝단을 향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요철돌기(211)가 도포부(20)의 일측 대비 타측을 향해 편향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유로구조(24)는 방사상이 아닌, 나선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의 기단 둘레에 대한 접선 방향과 요철돌기(211)의 중심 방향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에 마련되는 요철구조(211a)의 방향, 형태, 크기, 개수 등에 종속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로구조(24)는 후술할 함몰부(23)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의 기단 둘레 중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요철돌기(211) 등을 포함하는 돌기부(21)의 표면에는, 일정한 점도를 갖는 기능성 물질을 머금을 수 있고, 특히 기능성 물질은 표면장력에 의해 돌기부(21)의 표면에 담지될 수 있다(앰플 캡쳐링).
이때 돌기부(21)가 두피에 닿아 눌리게 되면, 표면장력으로 돌기부(21) 표면에 담지되어 있던 기능성 물질이 물리적 힘(N)에 의해 두피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돌기부(21)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카락의 구획이 나눠질 수 있으면서, 두피에 기능성 물질이 골고루 도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돌기부(21) 등을 구비하는 도포부(20)를 두피에 사용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포부(20)에는 앞서 언급한 방법을 통해 기능성 물질이 전달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부(10)의 파지부(11)는 도포부(20)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은 도포부(20)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하고, 도포부(20)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포부(20)의 일측에는 돌기부(21)의 길이(L1)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끝이 두피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끝이 두피에 닿음으로써 실제로 기능성 물질이 두피에 제대로 도포되고 있는지, 도포되는 양이 적당한지를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의 양을 조절하면서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실시예는, 두피보다 더 촉각이 발달된 손가락의 촉각을 통해 기능성 물질의 도포양의 미세한 정도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도포부(20)의 타측에서 돌기부(21)의 길이(L2)는, 사용자의 표준 두상의 높이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카락의 평균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의 일측 방향의 돌기부(21)와 도포부(20)의 타측 방향의 돌기부(21)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두피와 모근을 돌기부(21)로 빗질할 때 손가락과 돌기부(21)가 동시에 모근에 닿을 수 있게 하여, 헤어 빠짐이나 헤어 엉킴을 방지하면서 기능성 물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도 9를 참조하면, 돌기부(21)는 도포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볼록한 뒤통수를 따라 빗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의 두상에 맞게 본체부(10)를 반대로 잡고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마사지 자극(물리적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바, 두피의 혈류량 개선, 탄력 증가, 기능성 물질의 유효성분 흡수 촉진 등의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후술하는 전극부(22)의 갈바닉 자극(전기적 자극)에 의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전극부(22)는, 도포부(20)의 표면에 마련되며 돌기부(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극부(22)는 전극봉 형태를 가지며, 돌기부(21)와 유사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21)가 두피에 접촉할 때 전극부(22)도 두피에 접촉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전극부(22)는 돌기부(21)와 달리 도포부(2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어 두피와 도포부(20) 사이에서 전기의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전극부(22)는 갈바닉(Galvanic) 기능을 구현하는 소재로 채택될 수 있으며, 열 전도율이 빠르고 내구성이 강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도 알레르기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소재(일례로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전극부(22)는 후술할 작동부(30)와 연결되어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100 내지 400μA의 갈바닉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부(22)는 사용자의 두피에 전류를 흘려 보내서 갈바닉 전기적 반발력을 통해 기능성 물질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부(22)는 원적외선, 음이온 등을 방사할 수 있도록 맥반석 분말, 게르마늄 분말, 음이온 분말 등을 첨가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극부(22)는 기능성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하여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부가적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함몰부(23)는, 도포부(20)의 표면에 마련된다. 함몰부(23)는 도포부(20)의 표면에 움푹 패인 형태로 마련되어, 기능성 물질을 저장해둘 수 있다. 함몰부(23)는 특히 돌기부(21)의 기단이 마련되는 도포부(20)의 표면에서 돌기부(21)의 주변에 마련되어, 기능성 물질을 도포부(20)의 표면에 임시 저장했다가 돌기부(21)를 향해 전달할 수 있다.
함몰부(23)는 복수 개의 홈이 도포부(20)의 표면 상에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홈은 기능성 물질의 임시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원형 또는 다각형(바람직하게는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홈들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서와 같이 함몰부(23)는 벌집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23)는 적어도 일부분이 돌기부(21)와 겹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돌기부(21)의 배치와 함몰부(23)의 형태(홈의 배치)를 연계시킬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몰부(23)의 홈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21)의 기단이 위치하여 홈과 돌기부(21)가 겹친 형태도 가능하다.
돌기부(21)의 기단 중 일부만이 홈 내에 배치될 경우, 홈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은 돌기부(21)의 기단 둘레 중 일부분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돌기부(21)는 기단 대비 끝단의 단면이 작은 뿔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홈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돌기부(21)의 끝단에는 기능성 물질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작동부(30)는, 전극부(22)를 작동시킨다. 작동부(30)는 본체부(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동부(30)는 전극부(22)에 갈바닉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부품들(예를 들어 컨버터 및 제어기 등)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작동부(30)는 외부 충전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30)의 배터리는 외부의 충전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본체부(10)와 도포부(20)가 분리되어 작동부(30)가 외부로 노출 가능한 형태이고 건전지 등이 교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고하면 작동부(30)는 진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진동모터는 돌기부(21)의 마사지 자극에 더하여 추가적인 물리적 자극을 두피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2가지 타입의 물리적 자극과 1가지 타입의 전기적 자극을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무게에 따른 휴대/사용 편의성, 작동부(30)의 작동 시간, 파지에 최적화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작동부(30)는 도 7에서와 같이 진동모터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에 마련되는 돌기부(21)를 통해 적절한 물리적 자극으로 마사지가 가능하게 하여, 두피 모낭 및 진피층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면서 기능성 물질의 유효성분에 대한 흡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돌기부(21)의 독특한 형태 및 배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두피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의 제형이 적당한지 손가락의 촉감으로 인지하게 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에 대한 적정 사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에 부여된 기능성 물질이 효율적으로 돌기부(21)를 통해 두피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에 대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한의 공급을 도울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는 갈바닉 전극을 활용해 기능성 물질의 유효성분에 대하여 효과적인 흡수를 촉진시키고 두피 탄력의 효능을 구현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는 돌기부(21)에 쿨링단(212)을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부(21)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데, 여기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돌기부(21)는 끝단에 기단 대비 발열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쿨링단(212)을 갖는다.
일례로 쿨링단(212)은 금속 소재(일례로 ZAMA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에 대하여 쿨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에는 수분이 포함될 수 있는데, 쿨링단(212)은 수분 제형과 만나면서 기능성 물질에 대한 쿨링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쿨링단(212)은 도면에서와 같이, 물방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의 돌기부(21)는 뿔 형태를 이루는데, 본 실시예는 쿨링단(212)이 돌기부(21)에 적용됨에 따라 마치 뿔에 물방울이 달린 형태로 돌기부(21)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기능성 물질이 돌기부(21)의 표면을 따라 기단에서 끝단으로 이동하였을 때, 비교적 확장된 쿨링단(212)의 표면과 만나면서 충분히 쿨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쿨링단(212)은 작은 숟가락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패인 부분에 기능성 물질을 충분히 담지하면서 기능성 물질에 대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 역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기부(21) 중 적어도 일부가 요철돌기(211)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돌기부(21) 끝단에 쿨링단(212)을 적용하여 쿨링감 자극 마사지를 가능케 함으로써, 수분 제형의 기능성 물질을 사용할 경우 수분감 및 쿨링감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절한 물리적 자극으로 마사지를 하여 두피 모낭 및 진피층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면서 기능성 물질의 유효성분 흡수를 돕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동시에 기능성 물질의 수분(및 멘톨 성분)과 쿨링단(212)이 함께 작용하여 두피 표피층에 쿨링감을 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는, 앞선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함몰부(23)가 도포부(20)의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23)는 특히 요철돌기(211)가 마련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을 머금었다가 돌기부(21)를 통해 두피에 전달하는 것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의 표면에서 함몰부(23)의 크기를 줄여서, 도포부(20)가 기능성 물질을 머금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도포부(20)에 기능성 물질을 제공할 경우, 함몰부(23) 외에 부여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전달력이 제1 실시예 대비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기능성 물질의 사용량이 제1 실시예 대비 적고, 및/또는 기능성 물질의 표면장력이나 점도가 제1 실시예 대비 높은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저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는, 도포부(20)에 함몰부(23)를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함몰부(23)를 둠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반면 함몰부(23)에 기능성 물질이 잔여할 우려가 있는 고점도의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본 실시예는 함몰부(23)를 최소화 또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에 마련되는 돌기부(21) 대부분이 요철돌기(211)로 마련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도포부(20)에 대해 중앙 부분에 중점적으로 요철돌기(211)를 적용하여 도포부(20)의 중앙 부분을 통해 기능성 물질을 전달하였는데, 본 실시예는 도포부(20) 전반을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요철돌기(211)의 분포 부위를 확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포부(20)에 마련되는 돌기부(21)는 주로 요철돌기(211)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기부(21) 중 주변 일부만 요철돌기(211)가 아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돌기부(21) 모두 요철돌기(211)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포부(20)의 표면에는 앞서 설명한 유로구조(24)가 마련될 수 있는데, 유로구조(24)는 요철돌기(211)마다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한 요철돌기(211)들에 대해 할당되는 유로구조(24)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마련됨으로써, 기능성 물질이 각 요철돌기(211)마다 충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측면을 나타낸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 돌기부(21)가 도포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요철돌기(211)들의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이 도포부(20)의 표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의 도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면과 달리, 복수 개의 돌기부(21) 중 일부(적어도 둘 이상)가 위와 같은 형태를 가져서, 둘 이상의 돌기부(21)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도포부(20)의 표면과 경사지게 마련할 수 있고, 그 외 돌기부(21)는 높이가 비교적 일정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21) 중 일부만 부분적으로 단면이 편향된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의 전달을 주로 담당하며 도포부(20)의 표면에서 중앙 부분 등에 배치되는 요철돌기(211)에 대해, 도포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변화하고 또한 단면이 편향되도록 하며, 요철돌기(211)의 주변에는 배치되는 돌기부(21)는 일반 원뿔 형태로 높이가 비교적 일정하고 편향되지 않은 단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의 조합 및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브러쉬 10: 본체부
11: 파지부 12: 센싱부
20: 도포부 21: 돌기부
211: 요철돌기 211a: 요철구조
212: 쿨링단 22: 전극부
23: 함몰부 24: 유로구조
30: 작동부

Claims (9)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복수 개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면에 골과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구조가 마련되는 요철돌기이고,
    상기 요철구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도포부의 면과 경사지게 마련되도록 하는, 브러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단 대비 끝단의 단면이 작은 형태를 갖고, 기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이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도록 편향되는 형태를 갖는, 브러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 대비 상기 도포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갖는, 브러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요철돌기의 기단이 마련되는 면 상에서 상기 요철돌기의 주변에 상기 요철구조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로구조를 갖는, 브러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이 마련되는 면 상에서 상기 돌기부의 주변에 함몰부가 배치되는, 브러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끝단에 기단 대비 발열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쿨링단이 마련되는, 브러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100 내지 400μA의 갈바닉 전류를 제공하는, 브러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를 통해 신체에 전달되는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브러쉬.
KR1020220041740A 2022-04-04 2022-04-04 브러쉬 KR20230142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40A KR20230142996A (ko) 2022-04-04 2022-04-04 브러쉬
CN202320574498.7U CN219781826U (zh) 2022-04-04 2023-03-22 刷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40A KR20230142996A (ko) 2022-04-04 2022-04-04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96A true KR20230142996A (ko) 2023-10-11

Family

ID=8817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40A KR20230142996A (ko) 2022-04-04 2022-04-04 브러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2996A (ko)
CN (1) CN219781826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781826U (zh)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4170B (zh) 皮肤护理设备
US4461285A (en) Manual massager
CN112956934B (zh) 皮肤清洁器
CA2142813A1 (en) Hand held, multipurpose portable steamer having modular components and attachents
US20090275870A1 (en) Gum massager device
KR20160072194A (ko) 패들 롤러 및 평활 롤러를 갖춘 마사지 헤드를 갖는 마사지 장치
JP2012075543A (ja) 頭皮用施療装置
JP4416239B2 (ja) マッサージ用ブラシ
JP4916211B2 (ja) 頭皮マッサージ用ブラシ
JP2016500523A (ja) マッサージおよび化粧品組成物の塗布のためのデバイス
KR102242828B1 (ko) 전류의 도움으로 사람의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80084110A (ko) 특히 전류의 도움으로, 인간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30142996A (ko) 브러쉬
KR20140024161A (ko) 안면 마사지 장치
CN214547881U (zh) 毛发护理装置
JPH0871119A (ja) マッサージ器
KR200375693Y1 (ko) 두피경락 맛사지용 헤어브러쉬
JP5345197B2 (ja) 頭皮マッサージ用ブラシ
CN112702935B (zh) 针对个人护理用具的皮肤护理附件
KR102391654B1 (ko) 듀얼 헤드 및 이를 구비한 피부 미용 기기
KR20210060271A (ko) 피지 제거 마사지 에센스 브러쉬
CN112425881A (zh) 毛发护理装置
JP3069604U (ja) ヘア―ブラシ
KR101084607B1 (ko) 미용 마사지 장치
JP2024051597A (ja) 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