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860A -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860A
KR20230142860A KR1020220041437A KR20220041437A KR20230142860A KR 20230142860 A KR20230142860 A KR 20230142860A KR 1020220041437 A KR1020220041437 A KR 1020220041437A KR 20220041437 A KR20220041437 A KR 20220041437A KR 20230142860 A KR20230142860 A KR 20230142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n
sculpture
horizontal wall
ceramic
upp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532B1 (ko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노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강열 filed Critical 노강열
Priority to KR102022004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532B1/ko
Publication of KR2023014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로 특정된 형상을 갖는 조형물이 구비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 유골함은, 유골분을 보관하는 안치공간을 갖는 안치몸체를 형성하고, 연통부재와 조형물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공간 내부에 조형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함몰방지기둥,으로 구성된 유골함본체; 및 안치몸체의 상부수평벽체의 연통부재를 밀폐시키는 유골함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은, 액상의 흙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유골함본체 형상이 성형된 성형틀에 상기 흙물을 주입하여 유골함본체를 성형하는 단계(S20); 기 제조된 원통형의 연통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유골함본체를 48시간 자연건조시키고, 850℃~950℃로 8시간 1차소성하는 단계(S30); 유골함본체에 유약을 도포한 후 1250℃~1290℃로 12시간 이상 2차소성하는 단계(S40); 유골함본체와 연통부재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전사하고, 800℃~820℃로 5시간 3차소성하는 단계(S50); 및 유골함뚜껑으로 연통부재를 폐쇄하여 도자기 유골함을 완성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Porcelain ashesbax equipped with a sculp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도자기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로 특정된 형상을 갖는 조형물이 구비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상례는 조선시대 이전의 경우 불교적 색채가 강했지만 조선시대 이후 유학의 영향을 받은 주자가례가 기본이 되었다.
그리고, 장묘제도는 시대에 따라 그 양식을 달리하여 변화와 발전을 해왔는데, 근대까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매장방식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사상과 풍수지리설이 결합되면서 관습처럼 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 국토에 산재되어 있는 묘지는 국토의 1%인 982㎢ 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의 16배에 달하며, 매년 여의도의 3배가 묘지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와 같은 상태로 장묘문화가 매장방식에서 바뀌지 않을 경우에는 전 국토가 묘지로 잠식될 수 있으며, 더욱이 개인묘지가 전체 묘지의 70%나 되고, 매년 20만기가 늘어나고 있지만 국가에서 이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나, 다행히도 근래에는 화장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크게 개선되고 장묘에 관련된 법률 또한 전향적으로 개정됨에 따라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던 매장방식 위주의 장묘문화에 많은 변화가 뒤따르고 있다.
통계적으로는 우리나라의 화장률이 지난 1971년에 7%에서 80년에는 139%, 93년에는 191%, 96년에는 23% 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장에 대한 인식의 개선으로 인하여 본인 사후 화장을 원하는 사람의 비율이 767% 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중국의 경우 화장률이 100%이고, 일본의 경우 화장률이 97%인 것에 비하면 아직 부족함이 많은 현실이다.
또한, 대한주부클럽연합회가 전국의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장묘문화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화장의 찬성률이 본인일 경우 767%, 가족 또는 친지는 602%, 타인은 707%로 나타났으며, 찬성의 이유로는 무연고 묘의 방치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어서가 313%로 가장 많았고, 묘지관리의 부담을 덜 수 있어서가 377%, 묘지확보가 어려워서가 266%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인이 화장된 후에는 그 유골은 유골함에 봉인되어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납골당이나, 공원묘지의 납골시설에 개인 또는 가족단위로 안치되거나, 개인묘에 설치한 납골묘 또는 납골시설에 안치된다.
그러나, 통상의 유골함들은 유골분이 담겨지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를 폐쇄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률적인 항아리 형태를 벗어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유골함이 도자기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특정된 형상을 갖는 조형물을 형성하더라도 조형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유골함이 특정된 형상을 갖는 구조를 가질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자기가 아닌 목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조형물의 하중을 견딜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골함이 갖는 종교적사상 또는 유교적사상과 같은 엄숙함을 느낄수 없는 캐릭터적인 심미감이 부각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838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골함이 도자가 재질로 제작하면서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로 상징성과 특정된 형상을 갖는 조형물이 구비될 수 있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은,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수평벽체 및 하부수평벽체와 상기 상부수평벽체와 하부수평벽체를 연결하는 수직벽체로 이루어져 내부로 유골분을 보관하는 안치공간을 갖는 안치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벽체에는 돌출된 상태로 상기 안치공간과 연통하는 연통부재와 특정 형상의 조형물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수평벽체를 지지하며, 상기 도자기 유골함 제조 공정에서 상기 조형물의 하중에 의해 상부수평벽체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몰방지기둥,으로 구성된 유골함본체; 및 상기 상부수평벽체의 연통부재를 밀폐시키는 유골함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방지기둥은 상기 조형물이 성형되지 않은 상기 상부수평벽체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함몰방지기둥은 상기 하부수평벽체로부터 복수개로 융기(隆起)되어 상기 상부수평벽체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방지기둥은 상기 조형물이 성형되지 않은 상기 상부수평벽체의 수평면을 따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수평벽체로부터 단일의 곡선형태로 융기(隆起)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조형물은 상기 상부수평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재를 둘러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통부재에는 제습용품, 방습용품 및 고인의 유품 등이 담겨지는 서브함체가 삽입 거치되되, 상기 서브함체의 상단 외측둘레에는 상기 연통부재에 걸쳐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함체의 상부는 서브뚜껑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자기 유골함의 표면에는 장식을 위한 문양이 전사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은, 백토흙과 해교재를 교반하여 점성을 갖는 액상의 흙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유골함본체 형상이 성형된 성형틀에 상기 흙물을 주입하여 안치공간을 갖는 안치몸체와, 상기 안치몸체에 형성된 연통구 및 특정 형상의 조형물과, 상기 안치공간 내부에 상부수평벽체를 지지하는 함몰방지기둥이 형성된 유골함본체를 성형하는 단계(S20); 상기 상부수평벽체의 연통구에 기 제조된 원통형의 연통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유골함본체를 48시간 자연건조시키고, 850℃~950℃로 8시간 1차소성하는 단계(S30); 1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에 유약을 도포한 후 1250℃~1290℃로 12시간 이상 2차소성하는 단계(S40); 2차소성된 상기 유골함본체와 연통부재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전사하고, 800℃~820℃로 5시간 3차소성하는 단계(S50); 및 3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의 연통부재에 기 제작된 서브뚜껑을 갖는 서브함체를 삽입하고, 유골함뚜껑으로 연통부재를 폐쇄하여 도자기 유골함을 완성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단계 S20에서는, 상기 조형물은 상부수평벽체와 일체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 S50에는, 기 제작된 상기 유골함뚜껑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이 전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은, 상부수평벽체, 하부수평벽체 및 수직벽체를 통해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수평벽체에 조형물을 돌출되게 구비함으로써 도자기 재질의 유골함에 원하는 특정 형상의 조형물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은 일률적인 항아리 형상을 탈피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자기 재질을 이용한 유골함본체 성형시 조형물이 형성된 상부수평벽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방지기둥을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조형물이 형성된 상부수평벽체가 도자기 유골함 제조 공정상에서 함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을 나타낸 실제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에서 위패가 구비되고, 수직벽체의 표면에 고인의 사진이 프린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의 구성중 함몰방지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을 나타낸 실제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에서 위패가 구비되고, 수직벽체의 표면에 고인의 사진이 프린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의 구성중 함몰방지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자기 유골함(100)은,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수평벽체(121) 및 하부수평벽체(122)와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를 연결하는 수직벽체(123)로 이루어져 내부로 유골분을 보관하는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에는 돌출된 상태로 상기 안치공간(124)과 연통하는 연통부재(130)와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공간(1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며, 상기 도자기 유골함(100) 제조 공정에서 상기 조형물(140)의 하중에 의해 상부수평벽체(121)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몰방지기둥(150),으로 구성된 유골함본체(110); 및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연통부재(130)를 밀폐시키는 유골함뚜껑(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도자기 유골함(100)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형상이 도자기(陶瓷器)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골분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24)을 별도로 구비하고, 종래의 도자기 유골함에서는 구비할 수 없었던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을 구비하며, 조형물(140)이 안치공간(124)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함몰방지기둥(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도자기 유골함(100)은 망자(亡者)의 유골분이 보관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도자기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도 1에는 본 발명 도자기 유골함의 실제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 유골함(100)은 도면상 하측으로 유골함이 안치되는 안치몸체(120)가 형성되고, 안치몸체(120)의 상측으로는 연통부재(130)와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통부재(130)는 유골함 뚜껑에 폐쇄되고, 각 구성의 외면에는 다양한 문양이 전사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자기 유골함(100)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자기 유골함(100)은 크게 도자기를 재질을 통해 성형되는 유골함본체(110) 및 유골함뚜껑(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자기는, 도기류(陶器類)와 자기류(磁器類)의 총칭으로 도토(陶土)나 양질의 점토를 주된 원료로 하여 장석(長石)이나 석영(石英)을 혼합하여 소성(燒成)한 것을 의미한다.
유골함본체(110)는 안치몸체(120), 조형물(140) 및 함몰방지기둥(150)을 포함한다.
안치몸체(120)는 망자의 유골분이 안치되어 보관되는 곳으로,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안치몸체(120)는 상부수평벽체(121), 하부수평벽체(122) 및 수직벽체(123)를 포함한다.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는 수평한 판상형으로 사각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면상 상측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수직벽체(123)는 이격된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의 둘레를 따라 연결됨으로써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어 보관될 수 있는 안치공간(124)을 형성한다.
즉, 수직벽체(123)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에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상부수평벽체(121) 하부수평벽체(122) 및 수직벽체(123)가 일체화된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유골분이 안치되는 안치공간(124)의 깊이는 수직벽체(123)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수직벽체(123)의 수직방향 길이를 달리 함으로써 안치몸체(120)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골분 만을 안치공간(124)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안치공간(124)의 깊이가 깊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직벽체(123)의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정도의 적절한 길이면 충분하다.
반면, 수직벽체(123)의 길이를 도 4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안치공간(124)의 깊이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별도의 유골보관함(미도시)에 유골분을 담아 유골보관함 자체를 안치공간(124)에 안치시킬 수도 있으며, 더욱이 외면의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수직벽체(123)의 표면으로 망자의 사진 등을 인쇄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안치몸체(120)의 일측으로는 도 4와 같이 망자의 태어난 날짜, 운명한 날짜 또는 종교의 세례명과 같은 문구를 기재할 수 있는 위패(126)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치몸체(120)를 사각의 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통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이룰수도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안치몸체(120)의 상부수평벽체(121)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연통부재(130)와 조형물(140)이 형성된다.
연통부재(130)는 도자기 재질로 성형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부수평벽체(121)에 안치공간(124)과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구(125)의 상면으로 배치되며, 상부수평벽체(121)로부터 도면상 상측방향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접착된다.
즉, 연통부재(130)는 안치공간(124)과의 연통 상태를 외부로 연장시킨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부재(130)가 원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통의 외면은 사진 또는 이미지가 새겨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연통부재(130)의 내측으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유골분이 안치된 안치공간(124)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숯 또는 활성탄 등과 같은 제습용품 및 방습용품이 담겨지거나, 또는 고인의 유품 등이 담겨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도자기 재질로 성형된 서브함체(160)가 삽입되어 거치된다.
서브함체(160)는 연통부재(1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단 외측둘레에는 연통부재(130)의 단턱에 걸쳐지도록 하는 림 형태의 플랜지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함체(160)의 바닥면에는 안치몸체(120)의 안치공간(124)과 연통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풍공(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풍공(162)은 서브함체(160)로 담겨지는 제습용품 또는 방습용품이 원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서브함체(160)의 상부로는 개방된 서브함체(160)를 폐쇄하기 위한 도자기 재질의 서브뚜껑(163)이 구비된다.
조형물(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부수평벽체(121)에 도면상 상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풍수지리 상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명당의 의미로 청룡과 백호 등으로 산소(묘지)를 둘러싼 것과 같이 특정의 활개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즉, 조형물(140)을 활개의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망자는 물론 후손의 번영까지 기원하는 것을 의미토록 한 것이다.
이때, 조형물(140)은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로 도면상 상측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수평벽체(121)에 배치된 연통부재(130)를 중심으로 연통부재(130)를 둘러싸게 배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형물(140)이 활개의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연통부재(130)의 둘러싸면서 망자의 사진 또는 십이지신 등과 같은 의미를 갖는 이미지가 프린팅 될 수 있는 병풍 또는 사진을 직접 끼울수 있는 액자 형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형물(14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조형물(140)이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형물(140)은 별도의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어 상부수평벽체(121)에 접착될 수도 있다.
함몰방지기둥(150)은 활개 형상을 갖는 조형물(140)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는 것으로, 안치몸체(120)의 안치공간(124) 내부에서 상부수평벽체(121)와 접촉되게 형성되어 도자기 유골함(100) 제조 공정에서 조형물(140)이 형성된 상부수평벽체(121)가 하부수평벽체(122)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함몰방지기둥(150)은 도자기 유골함(100) 제조 공정에서 최초 성형틀을 통해 유골함본체(110)와 함께 성형되고, 후 공정에서 상부수평벽체(121)에 부착되는 연통부재(130)와 함께 유골함본체(110)가 수 많은 후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조형물(140)과 연통부재(130)의 하중을 받고 있는 수평상태의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속적으로 지지토록 함으로써, 상부수평벽체(121)가 하부수평벽체(122)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렇게 되면, 상부수평벽체(121)의 함몰이 차단됨에 따라 상부수평벽체(121)와 함께 조형물(140) 및 연통부재(1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함몰방지기둥(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공간(124) 내부에서 상부수평벽체(121)의 하면과 인접되게 형성되며, 조형물(140)이 돌출되게 성형되지 않은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 만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함몰방지기둥(150)은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 여러 구간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며, 하부수평벽체(122)로부터 융기(隆起)되어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들을 지지한다.
즉, 복수개의 함몰방지기둥(150)이 연통부재(130)와 조형물(140) 사이의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 구간을 지지하는 것이며, 함몰방지기둥(150)의 위치는 수평면이 있는 곳이라면 상부수평벽체(121)의 어디라도 무방하다.
더하여, 상기 함몰방지기둥(150)은 하부수평벽체(122)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부수평벽체(121)의 하중이 함몰방지기둥(150)으로 전달되면서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복수개 함몰방지기둥(150)은 도자기 유골함(100) 제조 과정에서 성형틀을 통한 유골함본체(110)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유골함(100)의 구성중 함몰방지기둥(1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함몰방지기둥(150)은 도 5와 같이 연통부재(130)와 조형물(140) 사이의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 구간을 따라 상부수평벽체(121)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수평벽체(122)로부터 수평면 구간을 따라 단일의 곡선형태로 융기(隆起)되어 수평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함몰방지기둥(150)이 안치공간(124) 내부에 단일 형상을 이루면서 수평면 구간을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조형물(140)의 형상에 따른 하중이 어느 일측으로 치우지더라도 상부수평벽체(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함몰방지기둥(150)의 단면 역시 상부수평벽체(121)의 하중이 함몰방지기둥(150)으로 전달되면서 분산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골함뚜껑(170)은 도자기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서브함체(160)가 삽입된 연통부재(130)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킴으로써 안치공간(124)이 외부환경과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유골함뚜껑(170)과 연통부재(130) 사이에는 수분 또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안치몸체(120)의 안치공간(124)에 보관된 유골분의 변색 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패킹부재(P)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유골함뚜껑(170)의 상면은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유골함뚜껑(170)이 연통부재(130)에 결합됨으로써 망자가 묻힌 산소의 형상을 모티브하는 형상적 특징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자기 유골함(100)의 안치몸체(120), 연통부재(130), 유골함뚜껑(170) 및 조형물(140)의 표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교적 문구, 꽃, 금장 등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문양이 전사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이 제조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자기 유골함(100)은, 백토흙과 해교재를 교반하여 점성을 갖는 액상의 흙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유골함본체(110) 형상이 성형된 성형틀에 상기 흙물을 주입하여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와, 상기 안치몸체(120)에 형성된 연통구(125) 및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과, 상기 안치공간(124) 내부에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는 함몰방지기둥(150)이 형성된 유골함본체(110)를 성형하는 단계(S20);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연통구(125)에 기 제조된 원통형의 연통부재(130)를 부착하여 상기 유골함본체(110)를 48시간 자연건조시키고, 850℃~950℃로 8시간 1차소성하는 단계(S30); 1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에 유약을 도포한 후 1250℃~1290℃로 12시간 이상 2차소성하는 단계(S40); 2차소성된 상기 유골함본체(110)와 연통부재(130)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전사하고, 800℃~820℃로 5시간 3차소성하는 단계(S50); 및 3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의 연통부재(130)에 기 제작된 서브뚜껑(163)을 갖는 서브함체(160)를 삽입하고, 유골함뚜껑(170)으로 연통부재(130)를 폐쇄하여 도자기 유골함(100)을 완성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백토흙과 해교재를 교반하여 점성을 갖는 액상의 흙물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먼저, 백토흙과 해교재(가성소다)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시킨다.
이때, 백토흙과 해교재의 교반시간은 5시간 이상인데, 이는 백토흙과 해교재가 교반에 의해 소정의 점성을 가지면서 성형틀에 주입 가능한 액상의 흙물이 될때까지 교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골함본체(110) 형상이 성형된 성형틀에 상기 흙물을 주입하여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와, 상기 안치몸체(120)에 형성된 연통구(125) 및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과, 상기 안치공간(124) 내부에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는 함몰방지기둥(150)이 형성된 유골함본체(110)를 성형하는 단계(S20);
위의 교반을 통해 흙물이 완성되면, 유골함본체(110)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석고재질의 성형틀에 흙물을 주입한다.
이때, 성형틀 내부에는 유골함본체(110)의 형상과 대응하는 상부수평벽체(121), 하부수평벽체(122) 및 수직벽체(123)로 구성되어 내부로 안치공간(124)이 형성되는 안치몸체(120)와, 안치공간(124)과 연통하도록 상부수평벽체(121)에 형성된 연통구(125)과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활개 형상의 조형물(140), 그리고 안치공간(124) 내부에는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함몰방지기둥(150) 형상이 가공된 상태이다.
이후, 성형틀에 주입된 흙물의 수분은 소정시간을 경과하면서 성형틀로 흡수되고, 흡수되지 못한 잔존수는 성형틀에 구비된 마개를 통해 성형틀 외부로 배수시킨다.
그리고, 잔존수가 배수된 성형틀의 흙물은 20분 이상의 경화단계를 거치게되며, 경화단계를 거친 후 성형틀을 개방하여 안치몸체(120), 연통부재(130), 조형물(140) 및 함몰지지기둥이 형성된 유골함본체(110)를 얻는다.
이에 더하여, 성형틀은 성형이 완료된 유골함본체(11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단계 S20에서 조형물(140)은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를 이루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성형틀이 상부수평벽체(121)와 조형물(140)이 일체를 이루도록 가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형물(140)이 활개 형상으로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조형물(140) 만 별도로 제조되어 상부수평벽체(121)에 부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조형물(140)의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연통구(125)에 기 제조된 원통형의 연통부재(130)를 부착하여 상기 유골함본체(110)를 48시간 자연건조시키고, 850~950℃로 8시간 1차소성하는 단계(S30)는,
먼저, 자연건조된 유골함본체(110)의 상부수평벽체(121)에 안치공간(124)과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구(125)의 상면으로 위 단계 S10~S20을 통해 기 제조된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연통부재(130)를 부착한다.
이때, 연통부재(130)의 하단에는 부착을 위한 액상의 흙물이 도포되고, 흙물이 도포된 연통부재(130)는 안착되는 연통구(125)의 상면 즉 상부수평벽체(12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부수평벽체(121)에 부착된다.
이후, 연통부재(130)가 안착된 유골함본체(110)는 48시간 이상으로 자연건조 된다.
이 경우, 유골함본체(110)의 자연건조는 성형틀에서 분리된 즉시 수분이 포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치몸체(120)의 수평한 상부수평벽체(121)는 조형물(140)과 연통부재(130)의 무게로 인해 중력방향으로 향하는 하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유골함본체(110)와 함께 성형된 복수개의 함몰방지기둥(150)이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부수평벽체(121)가 자연건조되는 시간동안 중력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위와 같은 함몰방지기둥(150)의 역할 즉 상부수평벽체(121)의 지지는 유골함본체(110)가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후 후술하는 유골함본체(110)의 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는 소성단계까지 이어진다.
이후, 자연건조가 완료된 유골함본체(110)는 가마에 투입되고, 850℃~950℃의 조건으로 8시간 1차소성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가마의 온도가 850℃ 이하로 설정되면, 소성된 유골함본체(110)의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유약을 입히거나 재 소성이 이루어지는 후 공정 과정에서 크랙 또는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 가마의 온도가 950℃ 이상으로 설정되면 유골함본체(110)의 경도는 강해질 수 있지만 유약을 입힐 때 유약의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유약이 원활하게 입혀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1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에 유약을 도포한 후 1250℃~1290℃로 12시간 이상 2차소성하는 단계(S40)는,
1차소성을 거친 유골함본체(110)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입힌다.
이후, 유약이 도포된 유골함본체(110)는 가마에 투입되고, 1250℃~1290℃의 조건으로 12시간 이상 최대 20시간 범위 내로 2차소성된다.
여기서, 가마의 온도가 1250℃ 이하로 설정되면 유골함본체(110)에 도포된 유약이 녹지 않아 소성이 완료된 유골함본체(110)의 표면에 광이 살지 않아 제품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반대로 가마의 온도가 1290℃ 이상으로 설정되면 고온에 의해 유골함본체(110)의 온도와 유약의 온도 차이에 의해 소성이 완료된 유골함본체(110)에 도포된 유약에 크랙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2차소성된 상기 유골함본체(110)와 연통부재(130)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전사하고, 800℃~820℃로 5시간 3차소성하는 단계(S50)는,
2차소성이 완료된 유골함본체(110)의 표면에 장식을 위한 다양한 문양을 전사하는 것이다.
먼저, 유골함본체(110)의 각 위치(예를 들어: 안치몸체(120), 연통부재(130) 및 유골함뚜껑(170) 등)에 맞는 문양을 선택하여 해당 전사지를 입힌다.
이후, 전사지가 입혀진 유골함본체(110)는 가마에 투입되고, 800℃~820℃의 조건으로 5시간 이상으로 3차소성된다.
여기서, 가마의 온도가 800℃ 이하로 설정되면 유골함본체(110)의 표면에 입혀진 전사지가 제대로 녹질 않아 표면에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으로 완성된 이후 문양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반대로, 820℃ 이상으로 설정되면 고온의 온도로 인해 오히려 전사지가 소실되어 유골함본체(110)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50에는, 기 제작된 상기 유골함뚜껑(170)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이 전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3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의 연통부재(130)에 기 제작된 서브뚜껑(163)을 갖는 서브함체(160)를 삽입하고, 유골함뚜껑(170)으로 연통부재(130)를 폐쇄하여 도자기 유골함(100)을 완성하는 단계(S60)는,
최종적인 도자기 유골함(100)이 완성되는 단계로써, 먼저 문양이 전사된 유골함본체(110)를 준비한다.
이후, 앞서 서술된 단계를 거치면서 기 제작된 연통부재(130), 유골함뚜껑(170), 서브함체(160) 및 서브뚜껑(163) 중 연통부재(130)에 서브함체(160)를 삽입하여 거치시키고, 서브함체(160)의 상부를 서브뚜껑(163)으로 밀폐시킨다.
그리고, 서브함체(160)와 서브뚜껑(163)이 삽입된 연통부재(130)의 개방된 상부를 유골함뚜껑(170)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최종적인 도자기 유골함(100)을 완성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은, 상부수평벽체, 하부수평벽체 및 수직벽체를 통해 내부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수평벽체에 조형물을 돌출되게 구비함으로써 도자기 재질의 유골함에 원하는 특정 형상의 조형물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은 일률적인 항아리 형상을 탈피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자기 재질을 이용한 유골함본체 성형시 조형물이 형성된 상부수평벽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방지기둥을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조형물이 형성된 상부수평벽체가 도자기 유골함 제조 공정상에서 함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도자기 유골함 110 : 유골함본체
120 : 안치몸체 121 : 상부수평벽체
122 : 하부수평벽체 123 : 수직벽체
124 : 안치공간 125 : 연통구
130 : 연통부재 140 : 조형물
150 : 함몰방지기둥 160 : 서브함체
161 : 플랜지부 162 : 통풍구
163 : 서브뚜껑 170 : 유골함뚜껑

Claims (10)

  1. 유골분이 보관되는 조형물(140)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100)에 있어서,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수평벽체(121) 및 하부수평벽체(122)와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와 하부수평벽체(122)를 연결하는 수직벽체(123)로 이루어져 내부로 유골분을 보관하는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에는 돌출된 상태로 상기 안치공간(124)과 연통하는 연통부재(130)와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공간(1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며, 상기 도자기 유골함(100) 제조 공정에서 상기 조형물(140)의 하중에 의해 상부수평벽체(121)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몰방지기둥(150),으로 구성된 유골함본체(110); 및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연통부재(130)를 밀폐시키는 유골함뚜껑(1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140)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방지기둥(150)은 상기 조형물(140)이 성형되지 않은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방지기둥(150)은 상기 하부수평벽체(122)로부터 복수개로 융기(隆起)되어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방지기둥(150")은 상기 조형물(140)이 성형되지 않은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수평면을 따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수평벽체(122)로부터 단일의 곡선형태로 융기(隆起)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140)은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재(130)를 둘러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130)에는 제습용품, 방습용품 및 고인의 유품 등이 담겨지는 서브함체(160)가 삽입 거치되되,
    상기 서브함체(160)의 상단 외측둘레에는 상기 연통부재(130)에 걸쳐지는 플랜지부(16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개의 통풍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함체(160)의 상부는 서브뚜껑(163)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유골함(100)의 표면에는 장식을 위한 문양이 전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140)이 구비된 도자기 유골함.
  8.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백토흙과 해교재를 교반하여 점성을 갖는 액상의 흙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유골함본체(110) 형상이 성형된 성형틀에 상기 흙물을 주입하여 안치공간(124)을 갖는 안치몸체(120)와, 상기 안치몸체(120)에 형성된 연통구(125) 및 특정 형상의 조형물(140)과, 상기 안치공간(124) 내부에 상부수평벽체(121)를 지지하는 함몰방지기둥(150)이 형성된 유골함본체(110)를 성형하는 단계(S20);
    상기 상부수평벽체(121)의 연통구(125)에 기 제조된 원통형의 연통부재(130)를 부착하여 상기 유골함본체(110)를 48시간 자연건조시키고, 850℃~950℃로 8시간 1차소성하는 단계(S30);
    1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에 유약을 도포한 후 1250℃~1290℃로 12시간 이상 2차소성하는 단계(S40);
    2차소성된 상기 유골함본체(110)와 연통부재(130)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을 전사하고, 800℃~820℃로 5시간 3차소성하는 단계(S50); 및
    3차소성을 거친 상기 유골함본체(110)의 연통부재(130)에 기 제작된 서브뚜껑(163)을 갖는 서브함체(160)를 삽입하고, 유골함뚜껑(170)으로 연통부재(130)를 폐쇄하여 도자기 유골함(100)을 완성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0에서는,
    상기 조형물(140)은 상부수평벽체(121)와 일체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0에는,
    기 제작된 상기 유골함뚜껑(170) 표면에 장식을 위한 문양이 전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유골함의 제조방법.
KR1020220041437A 2022-04-04 2022-04-04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266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37A KR102660532B1 (ko) 2022-04-04 2022-04-04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37A KR102660532B1 (ko) 2022-04-04 2022-04-04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860A true KR20230142860A (ko) 2023-10-11
KR102660532B1 KR102660532B1 (ko) 2024-04-23

Family

ID=8829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437A KR102660532B1 (ko) 2022-04-04 2022-04-04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5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474A (ja) * 1996-09-24 1998-04-14 Minoru Taniguchi 簡易墓標
KR200247396Y1 (ko) * 2001-06-23 2001-10-17 이성윤 자체 정화기능을 갖는 접힘구조 납골함
JP2005137820A (ja) * 2003-11-10 2005-06-02 在烈 ▲ばい▼ 故人の実物形像が具備された納骨箱
KR20090007651U (ko) * 2008-01-24 2009-07-29 김찬성 유골함
KR101083849B1 (ko) 2009-08-17 2011-11-15 문호경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1259A (ko) * 2016-03-25 2017-10-12 황규수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474A (ja) * 1996-09-24 1998-04-14 Minoru Taniguchi 簡易墓標
KR200247396Y1 (ko) * 2001-06-23 2001-10-17 이성윤 자체 정화기능을 갖는 접힘구조 납골함
JP2005137820A (ja) * 2003-11-10 2005-06-02 在烈 ▲ばい▼ 故人の実物形像が具備された納骨箱
KR20090007651U (ko) * 2008-01-24 2009-07-29 김찬성 유골함
KR101083849B1 (ko) 2009-08-17 2011-11-15 문호경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1259A (ko) * 2016-03-25 2017-10-12 황규수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532B1 (ko)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049B1 (ko)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102660532B1 (ko)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25973A1 (en) Vault for containing cremation urn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200471264Y1 (ko) 가족형 봉안묘
KR101383329B1 (ko)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200450308Y1 (ko) 유골함
KR20060022220A (ko) 영구보존형 크리스탈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200395225Y1 (ko) 이중 납골함의 통풍구조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CN115554087A (zh) 有土骨灰盒
CN2420379Y (zh) 墓穴防水防潮衬
JP3146640U (ja) 先祖供養墓
KR970075155A (ko) 봉분형 납골묘지
KR200408634Y1 (ko) 이중 도자기유골함의 용기 및 뚜껑
KR101030801B1 (ko) 유골함 겸 향로 및 그 제조방법
CN201445309U (zh) 宗教信仰物结构
KR200193183Y1 (ko) 가족납골묘
CN200984299Y (zh) 碑型宝棺
CN106836951A (zh) 一种隐藏式山水园林陵园
KR200277150Y1 (ko) 꽃상여 지관
KR200234818Y1 (ko) 납골묘 벽체 구조
CN2634023Y (zh) 瓷质墓墙
JP3061218U (ja) 御形見塔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