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955A -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955A
KR20230140955A KR1020220039875A KR20220039875A KR20230140955A KR 20230140955 A KR20230140955 A KR 20230140955A KR 1020220039875 A KR1020220039875 A KR 1020220039875A KR 20220039875 A KR20220039875 A KR 20220039875A KR 20230140955 A KR20230140955 A KR 20230140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electronic device
signal
guidance signal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두
황재연
이상호
박창현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955A/ko
Priority to PCT/KR2023/001471 priority patent/WO2023191290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8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이 수행됨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고,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음성 안내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ELECTRONIC APPARATUS HAVING VOICE GUIDANCE FUNCTION AND VOICE GUIDANCE METHOD BY ELECTRONIC APPARATUS}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상태(state)에 대한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가 스마트해지면서, 단순한 음(sound) 대신 사용자 친화적인 음성 안내 신호(voice guidance signal)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를 알리는 전자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문이 정해진 시간 이상 열려 있을 때, 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알리는 알림 음 대신 "문이 열려 있습니다"라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음성 안내 기능(voice guidance function)을 전자 장치에 추가하기 위하여, 각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와 메모리를 변경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문이 열려 있습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 신호를 냉장고와 전기 밥솥과 같은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냉장고와 전기 밥솥 각각의 메인 보드와 메모리를 변경하여야 한다.
따라서 간단한 음성 안내 기능을 추가할 경우에도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와 메모리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각 전자 장치에 음성 안내 기능을 추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전자 장치의 음성 안내 기능이 고장 난 경우에,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와 메모리를 교체해야 하므로, 고가의 수리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cover)에 의한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distorted sound)을 줄이기 위하여, 전자 장치는 커버에 스피커 전용 홀(hole)을 배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전자 장치에 배치된 스피커 전용 홀에 먼지 및 습기가 유입되어 스피커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한 음성 안내 기능 추가가 용이하면서 전자 장치의 커버에 기초한 왜곡 없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고,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상기 커버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커버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전자 장치의 외부로 상기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 출력부의 구성 예이다.
도 5a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5b는 음 손실이 발생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의 예이다.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을 수행한 결과로서 획득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음성 안내 타입의 테이블 예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의 테이블의 예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에서 음성 안내 출력부에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표현은 a만, b만, c만, a와 b 모두, a와 c 모두, b와 c 모두, a,b, 및 c 모두, 또는 그들의 변형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개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101)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도 1의 그림 10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서 기본 음성 안내 신호(정상음)를 출력하는 경우,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서 출력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되어, 사용자(110)에게는 왜곡 음성 안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와 왜곡 음성 안내 신호의 차이를 왜곡 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는 시스템에서 사용자(110)에게 전달되기 원하는 정상적인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도 1의 그림 2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하여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고려하여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정한 신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사용자(110)에게는 왜곡이 없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s),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휴대용 기기(portable device), 또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전 제품은 냉난방 기기, 영상 또는/및 음향 기기, 주방용 기기, 청소 기기, 케어 기기, 또는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난방 기기는 에어컨, 선풍기, 전기 난로, 또는 전기 담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또는/및 음향 기기는 텔레비전, 오디오 기기, 또는 홈시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방용 기기는 전기 밥솥, 전기 오븐, 토스터, 전기 주전자, 전기 그릴, 믹서, 전자 레인지, 냉장고, 김치 냉장고, 또는 식기 세척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소 기기는 진공 청소기, 청소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어 기기는 손 마사지 기기, 발 마사지 기기, 등 마사지 기기, 목 마사지 기기, 눈 마사지 기기, 및 전신 마사지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패드(Smart pad),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전자북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자동차(vehicle)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포함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모듈 형태로 전자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에 음성 안내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state)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state information)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voice guidance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는 전자 장치(100)가 동작(operation)을 수행함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기초한 동작 내용 정보(operation content information), 동작 상황 정보(operation situation information) 또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110)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전자 장치(100)의 현재 동작 내용 정보(current operation content information), 현재 동작 상황 정보(current operation situation information), 또는 현재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user input) 수신 여부와 관계 없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공기 청정기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필터 교체 시기임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필터 교체 시기를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필터 교체 시기임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공기 청정기를 가동중이거나 가동을 일시 정지한 상태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필터 교체 시기임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 입력과 관계 없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디지털 티브이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채널 전환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채널 전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채널 전환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채널 전환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채널 전환 동작은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요청 신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에어컨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에어컨 전원 온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전원 온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전원 온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에어컨의 전원 온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 온 동작은 에어컨의 전원 온 요청 신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전기 담요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동작 온도 설정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동작 온도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동작 온도 설정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전기 담요의 동작 온도를 설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 온도 설정 동작은 사용자 입력 없이 사용자(110)가 전기 담요에 앉거나 누은 것이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전기 오븐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동작 온도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동작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동작 온도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설정된 동작 온도로 동작 온도를 상승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설정된 동작 온도로 동작 온도를 상승시키는 동작은 동작 온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인 경우에, 상태 정보는 일시 정지 정보이고, 음성 안내 신호는 일시 정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일시 정지 정보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주행을 일시 정지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주행을 일시 정지하는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 또는 사용자의 입력과 관계 없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 정지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는 일시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해물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는 일시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세탁기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세탁 동작 시작 정보, 세탁 동작 종료 정보, 선택된 세탁 코스 정보, 세탁 총 소요 시간 정보, 또는 남은 세탁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에어컨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전원 온 정보, 전원 오프 정보, 설정된 동작 모드 정보, 또는 설정된 바람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냉장고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문 열림 정보, 또는 문 닫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자율주행 자동차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시동 켜짐 정보, 주행 속도 정보, 또는 일시 주행 정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홈 오토메이션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현관 문 열림 정보, 창문 열림 정보, 또는 타겟 제어 정보(target control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조명 제어 정보, 또는 난방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가 동작을 수행할 때, 전자 장치(100)는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고, 사용자(110)에게 왜곡이 없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동작을 수행할 때, 전자 장치(100)는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관계없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음성 안내 신호 출력 요청 신호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 가능한 음성 안내 신호가 하나인 경우에,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음성 안내 신호 출력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가 음성 안내 신호를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parametric equalizer tuning)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제어 신호와 함께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왜곡 음(distorted sound)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을 줄이기 위하여, 스피커 전용 홀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103)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왜곡 음은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sound loss)에 의해 발생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은 커버(101)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음 손실의 변경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왜곡 음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왜곡 음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되는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 및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에 기초한 음 손실은 커버(101)의 재질 및 두께와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응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로부터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는 기능, 및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한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 또는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하는(또는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전자 장치(100)에 음성 안내 출력부(102)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초기화 과정 또는 전자 장치(100)의 제작 과정에서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 또는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동작 초기화 과정에서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사전에 설정된 계수(coefficient)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계수는 하기 도 5c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로 조정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마이크로폰과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가 포함되는 경우에,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저장된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하고,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기반으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 때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1회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 및 커버(101)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된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음 손실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 및 커버(101)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된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면,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은 제공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음성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 타입은 여자 음성(female voice), 남자 음성(man voice), 로봇 음성(robot voice), 아이 음성(child voice), 할머니 음성(grandma voice), 또는 할아버지 음성(grandfather voice)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타입 설정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고, 음성 안내 타입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음성 입력 타입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는 것과 관계 없이, 음성 안내 타입 설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입력 타입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simple voice guidance mode)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detailed voice guidance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간단 음성 안내 모드는 전자 장치(100)의 기본 상태(basic state)를 안내하는 모드이고, 상세 음성 안내 모드는 전자 장치(100)의 기본 상태를 포함한 더 많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안내하는 모드이다. 전자 장치(100)의 기본 상태는 전원 온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상태를 포함한 더 많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 온 상태, 전원 오프 상태, 및 전자 장치(100)의 추가 상태(additional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추가 상태는, 전자 장치(100)가 디지털 티브이인 경우에, 채널 전환 상태, 인터넷 검색 상태, 또는 프로그램 검색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간단 음성 안내 모드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가 제공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모드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10)의 취향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 또는 상세 음성 안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210) 및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전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이다. 프로세서(210)는 MCU(MICOM, MIcroprocessor COMomputer)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단일 칩에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6가닥의 선(MOSI(Master Out Slave In), MISO(Master In Slave Out), SCK(Serial ClocK), CS(Chip Select), Vcc, GND)이 필요한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4가닥의 선(Rx, Tx, Vcc, GND)이 필요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관계 없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을 참고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은 프로세서(21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은 프로세서(210)와 독립된 메모리(예를 들어, 도 8의 메모리(85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 정보 1인 경우에, 상태 정보 1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존재(present, 1)로서 식별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 정보 2인 경우에, 상태 정보 2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존재(present, 1)로서 식별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 정보 3인 경우에, 상태 정보 3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부존재(absence, 0)로서 식별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 정보 4인 경우에, 상태 정보 4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존재(present, 1)로서 식별한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 정보 5인 경우에, 상태 정보 5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부존재(absence, 0)로서 식별한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경우에,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하면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query)를 함께 전송하고,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된 질의에 대한 답변(answer)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은, 하기 도 6의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에 저장되거나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은, 하기 도 7의 음성 안내 프로세서(710)에 저장되거나 메모리(72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출력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스피커 통합 모듈(speaker integrated 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스피커(103)와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하나로 통합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메인 보드인 프로세서(210)와 관계없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 PCB는 음성 안내 IC(Integrated Circuit)와 음성 안내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 PCB는 프로세서(21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프로세서(210)와 음성 안내 PCB간에 6가닥의 선(MOSI(Master Out Slave In), MISO(Master In Slave Out), SCK(Serial ClocK), CS(Chip Select), Vcc, GND)이 필요한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프로세서(210)와 PCB 보드 간에 4가닥의 선(Rx, Tx, Vcc, GND)이 필요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안내 IC는 하기 도 6의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 또는 하기 도 7의 음성 안내 프로세서(710)에 대응될 수 있다. 음성 안내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는 하기 도 6의 메모리(620) 또는 하기 도 7의 메모리(720)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안내 파일은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 또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하나의 박스(box)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의 구성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인클루저 박스(enclosure box)(401) 내에 스피커(103)와 음성 안내 PCB(402)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저음 보강 및 스피커(103)와 음성 안내 PCB(402)의 발열을 줄이기 위하여, 덕트 구조(4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연결부(404)는 프로세서(210)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404)는 상술한 6가닥의 선이 필요한 SPI 통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404)는 상술한 4가닥의 선이 필요한 I2C 또는 UART 통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연결부(404)는 음성 안내 PCB(402)와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부(404)는 음성 안내 PCB(40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 및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스피커 홀이 없는 밀폐된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될 수 있다. 도 5b는 음 손실이 발생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음성 안내 신호는 500Hz와 20kHz사이에서 음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서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사용자(110)는 정확한 음성 안내 신호를 듣기 어렵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 손실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 손실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된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사전에 저장하고, 저장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제공되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기초하여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로부터 제공되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사전에 설정된 것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의 예이다. 도 5c에서 T는 주파수 대역이고, f는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 Q는 밴드의 넓이, G는 이득이다.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15 포인트의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의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대한 포인트는 1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으로 이용될 포인트는 10개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을 위한 포인트 수가 작을수록,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결과 값은 음 손실이 발생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율이 감소할 수 있다.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을 위한 포인트 수가 클수록,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결과 값은 음 손실이 발생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할 가능성이 높다. 15 포인트에 설정된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시 사용되는 사전에 설정된 계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c에서, B1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고주파 대역(HP1)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200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0.707로 설정하고, 이득 G는 0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2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고주파 대역(HP2)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250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0.707로 설정하고, 이득 G는 0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3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319.1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6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8로 설정한 경우이다. B4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446,7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11로 설정하고, 이득 G는 -6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5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600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12로 설정하고, 이득 G는 -5로 설정한 경우이다. B6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732.8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3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7로 설정한 경우이다. B7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955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5로 설정하고, 이득 G는 -3로 설정한 경우이다. B8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1148.2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7로 설정하고, 이득 G는 5로 설정한 경우이다. B9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812.8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5로 설정하고, 이득 G는 3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10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1603.2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3.5로 설정하고, 이득 G는 3.2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11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518.8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6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3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12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7673.6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3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4로 설정한 경우이다. B13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10549.9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3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4로 설정한 경우이다. B14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13489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3으로 설정하고, 이득 G는 6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B15 포인트는 주파수 대역을 피크 대역(PK)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주고 싶은 주파수는 1920Hz이고, 밴드의 넓이인 Q는 5로 설정하고, 이득 G는 -5로 설정한 경우이다.
도 5c에 도시된 B1 포인트부터 B15 포인트에 설정된 T, F, Q, G에 설정된 값들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B1 포인트부터 B15 포인트에 설정된 T, F, Q, G에 설정된 값들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의해 획득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예이다. 도 5d에 도시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에 기초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안내 신호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갖게 된다.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 특성 예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10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및 스피커(103)를 포함한다.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62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읽는다(read). 메모리(620)로부터 읽은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수정 음성 안내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메모리(620)로부터 읽은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이다.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는 읽은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스피커(103)로 전송된다. 스피커(103)는 수신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에 의해 왜곡이 상쇄되어 왜곡 음이 발생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110)는 전자 장치(100)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지 않아도 명확한 기본 안내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메모리(620)는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620)에 저장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에서 외부 장치(120)에서 획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620)에 저장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에서 후술할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음성 안내 프로세서(610)를 통해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외부 장치(120)에 의해 획득되어 메모리(620)에 직접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출력부(10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음성 안내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튜너블 앰프(tunable AMP), 및 스피커(103)를 포함한다.
음성 안내 프로세서(710)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72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읽고, 읽은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기본 음성 안내 신호로 변환하여 튜너블 앰프(730)로 전송한다. 메모리(720)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한다.
튜너블 앰프(730)는 튜너블 앰프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튜너블 앰프(73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전송되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프로세서(710)에 의해 읽혀진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된 값이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될 때마다 튜너블 앰프(730)로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03)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커버(101)에 의해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 프로세서(810), 입력 수신부(820), 센싱부(830), 통신부(840), 메모리(850), 마이크로폰(860),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 및 디스플레이(880)를 포함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도 2, 도 7, 도 8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10)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기 또는 MCU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적어도 2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입력 수신부(8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함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획득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되어 전자 장치(100)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110)에게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획득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상술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할 수 있다. 식별한 결과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프로세서(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에 의해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식별한 결과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프로세서(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입력 수신부(8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수신부(820)는 터치 기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서(81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기반 입력은 디스플레이(88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신부(820)는 버튼 기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서(81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수신부(820)는 리모트 제어기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IR(Infrared)) 신호를 수신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프로세서(81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수신부(820)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언급될 수 있다.
센싱부(830)는 움직임 센서, 온습도 센서, 공지질 센서, 또는 방해물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830) 전자 장치(100)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830)는 센싱된 신호 또는 센싱된 데이터를 프로세서(8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810)는 센싱부(830)로부터 수신된 센싱된 신호 또는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센싱된 신호 또는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를 디스플레이(88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센싱부(830)로부터 수신된 센싱된 신호 또는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1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전자 장치(100)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또는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cloud)와 같은 서버 장치(server apparatus)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외부 장치(120)에 의해 획득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수신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대응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620, 720)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40)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언급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외부 장치(120) 또는/및 서버 장치(미 도시됨)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4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840)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4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50)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의 메모리,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들은, 디스플레이(88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다양한 UI를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860)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60)은 음성 센서로 언급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60)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제어되어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860)을 통해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810)는 수신되는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로 전송한다.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는 사전에 설정된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에 의해 마이크로폰(860)을 통해 수신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한다.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는 획득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수신된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620, 720)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80)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제어되어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80)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80)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80)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8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설정될 수 있는 음성 안내 타입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에 대한 테이블 예이다.
전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음성 안내 타입 1 내지 음성 안내 타입 8 중 하나의 타입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서 음성 안내 타입 1은 성인 여자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2는 성인 남자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3은 여자 아이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4는 남자 아이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5는 할머니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6은 할아버지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7은 로봇 음성이고, 음성 안내 타입 8은 사용자 지정 음성이다, 로봇 음성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음성으로 언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음성 안내 타입에 대한 테이블은 메모리(850)에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안내 타입에 대한 테이블이 메모리(850)에 저장된 경우에,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음성 안내 타입별 음성 안내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음성 안내 타입의 음성 안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음성 안내 타입에 대한 테이블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포함된 메모리(620, 720)에 저장된 경우에,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음성 안내 타입 설정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전송하고, 질의에 대한 대답이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수신되면, 수신된 대답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타입의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으면, 프로세서(210, 810)는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된 후, 입력 수신부(820)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의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이 변경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면, 설정된 음성 안내 모드가 간단 음성 안내 모드인지 상세 음성 안내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간단 음성 안내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 설정을 사용자(110)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세 음성 안내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상세 음성 안내 모드 설정을 사용자(110)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의 테이블의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는 음성 안내 신호 1과 음성 안내 신호 2를 포함하고, 상세 음성 안내 모드는 음성 안내 신호 1, 음성 안내 신호 2, 음성 안내 신호 3, 음성 안내 신호 4, 및 음성 안내 신호 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세 음성 안내 모드는 간단 음성 안내 모드에서 제공되는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10)는 취향에 따라 간단 음성 안내 모드와 상세 음성 안내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수신부(820)를 통해 음성 안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설정된 음성 안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음성 안내 모드가 변경된 후, 프로세서(210, 810)에 의해 제어되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변경된 음성 안내 모드에 대한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가 저장된 예이다.
단계 S111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111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는 커버(101)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신호이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의해 왜곡 음이 상쇄되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110)에게 커버(101)에 의해 밀폐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기본 음성 안내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왜곡 음을 반영한 음성 안내 데이터가 저장된 예이다.
단계 S121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121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21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관계없이 프로세서(210, 8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210, 8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로 커버(101)에 기초하여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커버(101)에 기초한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1220에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왜곡 음을 반영하지 않은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가 저장되고, 프로세서(210, 810)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로 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예이다.
단계 S1310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면, 단계 S132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한다.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사전에 설정된다.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기초한 음 손실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포인트의 계수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33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133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330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 S134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관계없이 프로세서(210, 8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음성 안내 출력부(102)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210, 8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35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1340에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장치(120)에 의해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에 대응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예이다.
단계 S141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단계 S142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에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모든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3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외부 장치(120)로부터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210, 810)는 통신부(840)를 통해 외부 장치(120)로부터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4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수신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810)는 수신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가 수신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메모리(620, 720)에 수신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수신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수신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메모리(620, 720)에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 S145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입력 수신부(82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 S146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147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된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된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도 14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S1460과 단계 S1470 사이에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에 대응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예이다.
단계 S151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단계 S152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초기화 과정에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저장된 모든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53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마이크로폰(860)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154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마이크로폰(860)을 통해 수신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로 전송한다.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870)는 사전에 설정된 계수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을 수행하여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S155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획득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810)는 획득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가 수신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메모리(620, 720)에 수신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수신되면,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수신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메모리(620, 720)에 저장된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 S156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입력 수신부(82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 S157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입력 수신에 응답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1580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로 음성 안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성 안내 출력부(102)는 왜곡 음을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로 커버(101)를 통과하면서 왜곡 음이 상쇄된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로 커버(101)와 스피커(103) 간의 거리(d1)와 커버(101)에 기초한 왜곡 음이 발생하지 않는 명확한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커버(101)에 스피커 홀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명확한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도 15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S1570과 단계 S1580 사이에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에서 음성 안내 출력부(102)에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610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면, 단계 S162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은 제공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음성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 타입은 여자 음성(femal voice), 남자 음성(man voice), 로봇 음성(robot voice), 아이 음성(child voice), 할머니 음성(grandma voice), 또는 할아버지 음성(grandfather voice)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안내 타입 설정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S1630에서, 프로세서(210, 810)는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출력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고, 단계 S1640에서, 음성 안내 타입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설정된 음성 입력 타입을 변경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는 것과 관계 없이, 음성 안내 타입 설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210, 810)는 음성 안내 출력부(102)의 음성 입력 타입이 설정하도록 음성 안내 출력부(10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의 동작 흐름도는 상술한 도 11 내지 도 15의 동작 흐름도에 추가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의 동작 흐름도는 도 16에 추가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상기 커버를 통과하면서 상기 왜곡 음이 상쇄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상기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는,
    상기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읽고,
    상기 읽은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안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간의 거리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음 손실(sound loss)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신호인,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가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parametric equalizer) 튜닝하여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사전에 설정된 계수(coefficient)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초기화 과정에서 수행되는,
    전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초기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대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상기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사전에 설정된 계수(coefficient)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음성 안내 신호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안내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상기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업데이트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로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튜너블 앰프(tunable amplifier); 및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읽고, 상기 읽은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상기 튜너블 앰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음성 안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간의 거리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음 손실을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된 값인,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한 동작,
    인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 안내 타입의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이 변경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voice guidance signal)의 존재 유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안내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을 기본 음성 안내 신호에 반영한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 음성 안내 신호가 상기 커버를 통과하면서 상기 왜곡 음이 상쇄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상기 기본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에 포함된 스피커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간의 거리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음 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 음이 반영된 신호인,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을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 값은,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에 포함된 스피커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간의 거리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에 기초한 음성 안내 신호의 음 손실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기본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수정 음성 안내 신호의 주파수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초기화 과정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에 저장된 왜곡 음이 반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로부터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에 대응하는 왜곡 음을 반영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획득하고,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사전에 설정된 계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초기화 과정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신호를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하여 상기 왜곡 음이 반영된 수정 음성 안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튜닝은 사전에 설정된 계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정 음성 안내 데이터로 음성 안내 출력부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음성 안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입력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한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음성 안내 타입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해 음성 안내 타입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설정된 음성 안내 타입이 변경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신호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안내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성 안내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제어 방법.
KR1020220039875A 2022-03-30 2022-03-30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KR20230140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875A KR20230140955A (ko) 2022-03-30 2022-03-30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PCT/KR2023/001471 WO2023191290A1 (ko) 2022-03-30 2023-02-01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875A KR20230140955A (ko) 2022-03-30 2022-03-30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955A true KR20230140955A (ko) 2023-10-10

Family

ID=8820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875A KR20230140955A (ko) 2022-03-30 2022-03-30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955A (ko)
WO (1) WO20231912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360A (ja) * 2004-11-30 2006-06-15 Fuji Xerox Co Ltd 音声ガイド装置
US8327209B2 (en) * 2006-07-27 2012-12-04 Nec Corporation Sound data decoding apparatus
JP4953767B2 (ja) * 2006-11-02 2012-06-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生成装置
JP5424997B2 (ja) * 2010-06-30 2014-02-2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騒音補正装置
KR20190061824A (ko) * 2017-11-28 2019-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290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ppliance control via a smart device
JP5968364B2 (ja) コントローラ、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61681A (ko)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701555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ype of electronic device on smart socket, and storage medium
KR102533443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2004096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hearing device and an appliance
US10791000B2 (e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106772A (ko)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5023306A (ja) カメラ装置、室内撮像システム、室内情報取得装置
JP201613677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80068192A (ko)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140955A (ko)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음성 안내 방법
US2017013291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24027B1 (ko) 발열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041803A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0697664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20180063990A (ko)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리모컨
JP2020162126A (ja) カメラ装置、冷蔵庫
CN112462637A (zh) 家电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50078364A (ko) 분실방지 알람장치 및 원격제어장치
EP2342704A1 (en) Control device
TWI590206B (zh) 萬用遙控系統
CN116325813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50089086A1 (en) A/v information updating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60047148A (ko) 오디오 출력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체지방 측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