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772A -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772A
KR20150106772A KR1020140029261A KR20140029261A KR20150106772A KR 20150106772 A KR20150106772 A KR 20150106772A KR 1020140029261 A KR1020140029261 A KR 1020140029261A KR 20140029261 A KR20140029261 A KR 20140029261A KR 20150106772 A KR20150106772 A KR 20150106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mage
hmd
hmd device
display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659B1 (ko
Inventor
주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가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ERTUAL IMAGE VIA HEAD MOUNTED DEVICE}
본 개시는 실제 공간의 객체에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여 현실과 유사한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이다. 증강 현실 기술은, 현실 공간(Reality)과 가상 공간을 결합함으로써, 가상의 물체가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은 현실 공간 위에 가상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보여주므로, 현실 공간의 물체에 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증강 현실 기술은, 현실 공간 내의 객체에 관한 정보를 단순히 제공할 뿐, 현실 공간 내의 객체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다양하게 동작시킴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현실 공간 내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실시예는, 객체 및 객체 주변의 위치에 대응되는 동작으로 움직이는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가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HMD 장치의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관한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이미지 및 상기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가 표시될 상기 위치의 좌표 값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가상 이미지의 표시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음향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음향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음향 데이터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제스쳐 정보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며,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HMD 장치의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관한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이미지 및 상기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가 표시될 상기 위치의 좌표 값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가상 이미지의 표시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음향 장치를 식별하고상기 식별된 음향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전송된 음향 데이터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제스쳐 정보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5 측면은, 제 3 측면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Head Mounted Device)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에 기초하여, 객체 이미지에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가 HMD 장치를 통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 또는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에,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가 플레이 모드인 경우에,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 및 HMD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변 기기의 상태에 따라,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장치를 통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장치를 통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장치를 통하여 오븐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HMD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장치를 통하여 오븐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디바이스와 연동하지 않고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가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고,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HMD 장치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디바이스의 도움없이, 주변 기기와 연동함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주변 기기의 상태에 따라, HMD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가 디바이스 및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의 계정 및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Head Mounted Device)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 주변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하고, HMD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고,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으며,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가 소정 동작에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의 종류,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동작의 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제 공간 내의 객체는,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되는 물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거실에 진열된 소파, 테이블, 의자 등의 물건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객체를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안경, 헤어 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와 HMD 장치(20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에 기초하여, 객체 이미지에 관련된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에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HMD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의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는, 예를 들어,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 동물의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 이미지는,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되고 소정 상황에서 특정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의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을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가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객체의 종류에 따라 가상 이미지가 어떻게 움직이도록 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며,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객체가 소파이고,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 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위치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 이미지’,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엎드림’을 나타내는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소파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바이스(10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에서 HMD 장치(20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한다.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HMD 장치(2000)는, 예를 들어,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안경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2000)는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 이미지는, 동영상 이미지이거나, 연속적인 정지 영상 이미지들일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한다.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는, 예를 들어,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 동물의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상 이미지는,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되고 소정 상황에서 특정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을,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버튼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은, ‘소파의 위’, ‘소파의 옆’과 같이 객체 주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위치 및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의 종류 및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객체 주변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고, 객체가 ‘소파’이며, 디스플레이 위치가 ‘소파의 위’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엎드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고, 객체가 ‘소파’이며, 디스플레이 위치가 ‘소파의 아래’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앉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의 종류 및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HMD 장치(2000)는 사용자를 향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는, HMD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가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보이는 객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에 관한 크기 정보를 HMD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촬영된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좌표 값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가 소정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HMD 장치(20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한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2000)는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한다.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420에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한다.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객체가 어디에 놓여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객체가 놓여진 방향 및 HMD 장치(2000)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 및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는, 예를 들어, 객체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가 HMD 장치(2000)의 어느 부분에 장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카메라의 촬영 방향,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관한 정보, HMD 장치(2000)에서의 화면의 위치, HMD 장치(2000)의 화면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430에서 HMD 장치(20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한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2000)는 사용자를 향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HMD 장치(2000)는 촬영된 눈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한다. HMD 장치(2000)는 촬영된 눈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HMD 장치(2000)는 촬영된 눈 이미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450에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결정한다.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눈이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눈이 있는 방향 및 HMD 장치(2000)로부터 눈까지의 거리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 및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는, 예를 들어, 눈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가 HMD 장치(2000)의 어느 부분에 장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카메라의 촬영 방향,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관한 정보, HMD 장치(2000)에서의 화면의 위치, HMD 장치(2000)의 화면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46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객체에 관련된,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을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버튼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은, ‘소파의 위’, ‘소파의 옆’과 같이 객체 주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 및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48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관한 정보, 및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단계 S490에서 HMD 장치(200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HMD 장치(20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수신된 디스플레이 크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의 특정 위치에 특정 크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HMD 장치(2000)를 착용하고, 소파(50)을 바라보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HMD 장치(2000)의 카메라는 소파(50)을 촬영하고, 촬영된 소파(50)의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강아지 이미지(52)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결정하고, 강아지 이미지(52)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b)는 HMD 장치(2000)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객체 및 가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객체에 크기에 따라, 가상 이미지가 적절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 또는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60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모드는, 가상 이미지가 소정의 상황에서 소정의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된 모드이며, 예를 들어, 일반 모드, 플레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610에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가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객체의 종류 및 이름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객체에 대한 위치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을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은, ‘소파의 위’, ‘소파의 옆’과 같이 객체 주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HMD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 버튼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촬영함으로써, HMD 장치(2000)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디바이스(1000)는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고,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고, 객체가 ‘밥그릇’이고,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위치가 ‘옆’이며, 사용자 입력이 ‘상하로 흔드는 손짓’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객체의 동작을 ‘으르렁거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설정 값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설정 테이블은, 도 7 및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에,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 모드에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은, 가상 이미지 종류 필드(70), 객체 종류 필드(72), 객체에 대한 위치 필드(74), 사용자 입력 필드(76) 및 객체의 동작 필드(7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 종류 필드(70)에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의 종류 값이 기록되며, 객체 종류 필드(72)에는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객체에 대한 위치 필드(74)에는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 ‘아래’, ‘옆’, ‘뒤’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필드(76)에는 사용자 입력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동작 필드(78)에는 가상 이미지,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일반 모드에서의 객체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가 플레이 모드인 경우에,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레이 모드에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테이블은, 가상 이미지 종류 필드(80), 객체 종류 필드(82), 객체에 대한 위치 필드(84), 사용자 입력 필드(86) 및 객체의 동작 필드(8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 종류 필드(80)에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의 종류 값이 기록되며, 객체 종류 필드(82)에는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객체에 대한 위치 필드(84)에는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 ‘아래’, ‘옆’, ‘뒤’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필드(86)에는 사용자 입력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동작 필드(88)에는 가상 이미지,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플레이 모드에서의 객체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주변 기기(3000) 및 HMD 장치(2000)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하고, 주변 기기(3000) 및 HMD 장치(2000)와 연동하여, 가상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따라, HMD 장치(20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0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댁 내에 위치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연결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 오븐, TV, 오디오 컴포넌트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0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3000)의 동작에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 중인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 및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된 동작이 종료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0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가 냉장고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로부터 냉장고의 문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열려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 문이 열려있음을 알리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변경에 관한 동작 변경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디바이스(1000)는 단계 S1020에서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변경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HMD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 중인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냉장고(302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댁 내에서 HMD 장치(2000), 냉장고(302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냉장고(3020)로부터 수신하고,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냉장고(302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의 강아지 이미지가 점프를 할 수 있으며, “냉장고 문이 열려 있어요.”라는 말풍선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냉장고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강아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음향 장치(3050)는 “냉장고 문이 열려 있어요.”라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냉장고(302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200에서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의 상태를 판단한다.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 내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 내부의 온도, 및 냉장고(3020)의 문이 열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음식물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냉장고(302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식별할 수도 있다.
단계 S1210에서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한다. 냉장고(302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에 해당되면, 냉장고(3020)는 냉장고(302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3020)의 문이 특정 시간 이상동안 열려 있거나, 냉장고(3020)의 온도가 특정 수치 이상인 경우에, 냉장고(3020)가 냉장고(302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알리도록, 냉장고(3020)의 알림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냉장고(3020)는 기 설정된 주기로 냉장고(302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3020)가 디바이스(1000)와 통신 연결됨에 따라, 냉장고(3020)가 디바이스(1000)에게 냉장고(302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1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3020)의 문이 소정 시간 이상 열어져 있는 상태라면,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 이미지의 동작을 ‘점프’로 결정함으로써,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가 점프하면서 사용자에게 냉장고가 열어져 있음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문이 소정 시간 이상 열어져 있는 상태에 대응하여, 강아지가 점프하는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문이 열어져 있음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및 사운드 데이터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한다.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엎드려 있는 도중에,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점프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5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가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문이 소정 시간 이상 열어져 있는 상태에 대응하여, 강아지가 점프하는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 및 강아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문이 열어져 있음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및 사운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26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및 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소정 동작의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강아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점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강아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와 동기화할 수 있다.
단계 S1270에서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상태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장치(305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3020)의 문이 열어져 있음을 알리기 위한 사운드 데이터를 음향 장치(30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280에서 음향 장치(305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장치(3050)는 사운드 데이터와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장치(305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와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오븐(30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댁 내에서 HMD 장치(2000), 냉장고(302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의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냉장고(3020)로부터 수신하고,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오븐(30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오븐(3010)의 상태는, 오븐(301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었는지에 관한 상태, 및 오븐(3010)에 의해 조리되는 음식의 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의 강아지 이미지가 점프를 할 수 있으며, “피자가 완성되었어요.”라는 말풍선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피자가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강아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음향 장치(3050)는 “피자가 완성되었어요.”라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HMD 장치(2000), 디스플레이 장치(3040) 및 음향 장치(3050)를 통하여 오븐(30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400에서 오븐(3010)은 오븐(3010)의 상태를 판단한다. 오븐(3010)은 오븐(3010) 내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오븐(301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3010)은 오븐(3010)의 전원이 켜졌는지 여부, 오븐(3010) 내부의 온도, 및 오븐(3010)의 문이 열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븐(3010)는 오븐(3010)에 의해 조리되는 음식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븐(3010)는 음식을 조리 하기 위한 레시피 및 현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야 되는 조리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410에서 오븐(3010)은 오븐(301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한다. 오븐(30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에 해당되면, 오븐(3010)는 오븐(301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3010)에 의해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조리의 세부 단계들 중 하나가 종료된 경우에, 오븐(3010)이 오븐(301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알리도록, 오븐(3010)의 알림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오븐(3010)은 기 설정된 주기로 오븐(301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븐(3010)이 디바이스(1000)와 통신 연결됨에 따라, 오븐(3010)이 디바이스(1000)에게 오븐(3010)의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14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상태라면, 디바이스(1000)는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 이미지의 동작을 ‘점프’로 결정함으로써,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가 점프하면서 사용자에게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4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됨에 대응하여, 강아지가 점프하는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됨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및 사운드 데이터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440에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한다.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엎드려 있는 도중에,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점프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45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가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됨에 대응하여, 강아지가 점프하는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 및 강아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됨을 알리기 위한 텍스트 및 사운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46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및 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소정 동작의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강아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강아지가 점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40)는 강아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4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를,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와 동기화할 수 있다.
단계 S1470에서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의 상태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장치(305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오븐(3010)에 의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사운드 데이터를 음향 장치(30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480에서 음향 장치(305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장치(3050)는 사운드 데이터와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장치(305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HMD 장치(20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와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디바이스(1000)와 연동하지 않고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와 연동하지 않고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서의 HMD 장치(2000) 및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 주변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객체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고,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를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가 소정 동작에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가상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고,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600에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한다.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1610에서 HMD 장치(2000)는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의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620에서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가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객체의 종류에 따라 가상 이미지가 어떻게 움직이도록 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며,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HMD 장치(2000)는 객체가 소파이고,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 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위치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가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한 경우에,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 이미지’,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의 좌표 값은,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소파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HMD 장치(20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단계 S1630에서 HMD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한다. HMD 장치(200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가 결정된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HMD 장치(2000)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700에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결정한다. HMD 장치(2000)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촬영된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눈이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눈이 있는 방향 및 HMD 장치(2000)로부터 눈까지의 거리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 및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는, 예를 들어, 눈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가 HMD 장치(2000)의 어느 부분에 장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카메라의 촬영 방향,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관한 정보, HMD 장치(2000)에서의 화면의 위치, HMD 장치(2000)의 화면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710에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한다.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객체가 어디에 놓여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는, HMD 장치(2000)의 화면으로부터 객체가 놓여진 방향 및 HMD 장치(2000)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제품 정보 및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은, ‘소파의 위’, ‘소파의 옆’과 같이 객체 주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눈의 위치 및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의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1730에서 HMD 장치(2000)는 생성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HMD 장치(2000)는 생성된 위치 정보 및 결정된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특정 크기의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디바이스(1000)의 도움없이, 주변 기기(3000)와 연동함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하고, 주변 기기(3000)와 연동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2000)는 도 9 내지 도 14에서의 HMD 장치(2000) 및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따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900에서 HMD 장치(2000)는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한다.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가 댁 내에 위치한 경우에,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910에서 HMD 장치(20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3000)의 동작에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 중인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 및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된 동작이 종료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920에서 HMD 장치(2000)는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HMD 장치(20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가 냉장고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로부터 냉장고의 문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열려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냉장고 문이 열려있음을 알리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930에서 HMD 장치(200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인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서버(4000)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HMD 장치(2000)는 서버(4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 주변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서버(4000)는 도 1 내지 도 14의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가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와 연동함으로써,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HMD 장치(2000)는 실제 공간의 객체 주변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는, 도 1 내지 도 14의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가 사용자의 계정 및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200에서 서버(4000)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다. 서버(4000)는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210에서 서버(4000)는 HMD 장치(2000)와 생성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한다. 서버(4000)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의 HMD 장치(2000)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설정 정보가 HMD 장치(2000)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400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HMD 장치(2000)를 통하여 소정 동작의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2220에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생성한다.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목록을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0)는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캐릭터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서버(400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는, 예를 들어, 동물 캐릭터, 애니메이션 영화의 등장 인물 캐릭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230에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한다. 서버(4000)는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240에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가상 이미지의 이름 및 동작 등에 관한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편집되고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이력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을 서버(4000)로부터 구매할 수 있으며, 서버(40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아이템을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2에서는 서버(4000)가 사용자의 계정 및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 계정 및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가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300에서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련된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서버(4000)는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 및 캐릭터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0)는 선호도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 및 캐릭터의 동작을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2310에서 서버(4000)는 캐릭터에 관련된 아이템을 등록한다. 사용자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서버(40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아이템을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아이템은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3에서는 서버(4000)가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가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제어부(1300), 및 통신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바이스(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제어부(1300), 및 통신부(1500) 이외에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가상 이미지에 관련된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는,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디바이스(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0)는, 통신부(1500)를 제어함으로써, HMD 장치(2000)에 의해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하고,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0)는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의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HMD 장치(2000)에서 선택된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가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객체의 종류에 따라 가상 이미지가 어떻게 움직이도록 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며,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제어부(1300)는 객체가 소파이고,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 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0)는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위치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가 엎드려 있는 모양의 강아지 이미지가 소파의 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한 경우에,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인 ‘강아지 이미지’,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엎드림’을 나타내는 동작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소파 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소파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제어부(13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모드는, 가상 이미지가 소정의 상황에서 소정의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된 모드이며, 예를 들어, 일반 모드, 플레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MD 장치(2000)가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0)는 HMD 장치(200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한다. 제어부(1300)는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가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객체의 종류 및 이름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객체에 대한 위치를 결정한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0)는 HMD 장치(2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고, 가상 이미지가 ‘강아지 이미지’이고, 객체가 ‘밥그릇’이고,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의 위치가 ‘옆’이며, 사용자 입력이 ‘상하로 흔드는 손짓’인 경우에, 제어부(1300)는 객체의 동작을 ‘으르렁거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0)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따라, HMD 장치(20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0)는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한다. 제어부(1300)는 디바이스(10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30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댁 내에 위치한 경우에, 제어부(1300)는 디바이스(1000)와 연결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냉장고, 오븐, TV, 오디오 컴포넌트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3000)의 동작에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의 상태 정보는,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 중인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 및 주변 기기(3000)에서 실행된 동작이 종료되었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0)는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제어부(1300)는 주변 기기(30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3000)의 상태에 매칭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0)가 냉장고인 경우에, 제어부(1300)는 냉장고로부터 냉장고의 문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열려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냉장고 문이 열려있음을 알리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변경에 관한 동작 변경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한다. 제어부(1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변경에 관한 동작 변경 정보를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HMD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 중인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디바이스(10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디바이스(1000)와 HMD 장치() 또는 디바이스(1000)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0)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HMD 장치(2000), 서버(4000) 및 주변 기기(30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0)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바이스(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의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20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0), 사용자 입력부(2200), 디스플레이부(2300), 통신부(2400), 메모리(2500) 및 제어부(2600)를 포함한다.
카메라(21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한다. HMD 장치(2000)는, 예를 들어,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안경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2000)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21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00)에 의해 촬영된 객체 이미지는, 동영상 이미지이거나, 연속적인 정지 영상 이미지들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00)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200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0)는 HMD 장치(20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HMD 장치(2000)에 대한 터치 입력, 및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0)는 카메라(2100)로부터 촬영되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300)는 HMD 장치(2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2300)는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0)는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2400)는 HMD 장치(2000)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디바이스(1000), 주변 기기(3000) 및 서버(4000)와 송수신한다.
메모리(2500)는 HMD 장치(2000)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600)는 통상적으로 HMD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0)는, 메모리(2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카메라(2100), 사용자 입력부(2200), 디스플레이부(2300) 및 통신부(2400)를 제어할 수 있다.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상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6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상 이미지,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촬영된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촬영된 눈 이미지를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HMD 장치의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HMD 장치(2000)는 디바이스(1000) 및 서버(4000)와 연결되지 않고,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600)는 카메라(2100)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한다. 제어부(2600)는 실제 공간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제어부(2600)는 사용자 입력부(22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6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의 가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제어부(2600)는 가상 이미지가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객체의 종류에 따라 가상 이미지가 어떻게 움직이도록 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사용자의 눈, HMD 장치(2000)의 화면, 및 실제 공간 내의 객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위치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0)는 디스플레이된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한다. 제어부(260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가 결정된 동작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의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DB(4500), 통신부(4600) 및 제어부(4700)를 포함한다.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는 HMD 장치(20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한다.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는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에 기초하여, 촬영된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는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 이미지의 식별 값을 서버(4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가 소정의 설정 값 및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객체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에서 디스플레이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값을 수신함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객체 주변의 어느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미지, 눈 이미지 및 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값에 기초하여, HMD 장치(2000)의 화면 상에서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눈의 위치 및 HMD 장치(2000)의 화면에 대한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4200)는 는, 사용자가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가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결정부(4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동작 결정부(4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결정부(4300)는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300)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한다. 디바이스(1000)는 객체 이미지로부터 객체가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객체의 종류 및 이름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동작 결정부(43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값을 식별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값을 서버(4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2000)는 HMD 장치(20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촬영함으로써, HMD 장치(2000)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스처 입력을 서버(4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300)는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가상 이미지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한다.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사용자 계정 및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관리한다.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HMD 장치(2000) 또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HMD 장치(2000)와 생성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한다.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의 HMD 장치(2000)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 및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설정 정보가 HMD 장치(2000)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생성한다. 서버(40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목록을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캐릭터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한다.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 객체,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가상 이미지의 이름 및 동작 등에 관한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 또는 HMD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편집되고 갱신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이력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아이템을 가상 이미지의 캐릭터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DB(4500)는, 서버(4000)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4600)는 서버(4000)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HMD 장치(2000) 및 디바이스(100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4700)는 서버(4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700)는, 서버(4000)가 HMD 장치(2000)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DB(4500), 및 통신부(460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통신부(4600) 및 제어부(470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통신부(4600) 및 제어부(4700) 중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및, 통신부(4600)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부(47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가상 이미지 결정부(4100), 위치 정보 생성부(4200), 동작 결정부(4300), 가상 이미지 관리부(4400), 통신부(4600) 및 제어부(4700)는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디바이스가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HMD 장치의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관한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이미지 및 상기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가 표시될 상기 위치의 좌표 값이 산출되는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가상 이미지의 표시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음향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음향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음향 데이터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제스쳐 정보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며,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상기 HMD 장치의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의 상기 위치에 관한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이미지 및 상기 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가 표시될 상기 위치의 좌표 값이 산출되는 것인,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디바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은, 상기 가상 이미지의 표시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인, 디바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인, 디바이스.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된 가상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디바이스.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음향 장치를 식별하고상기 식별된 음향 장치에게 상기 가상 이미지에 관한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전송된 음향 데이터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인, 디바이스.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제스쳐 정보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것인, 디바이스.
  21.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디바이스가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실제 공간의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객체 및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결정된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상기 HMD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가상 이미지는 상기 HMD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3.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가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의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객체 주변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이미지 및 상기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HMD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40029261A 2014-03-12 2014-03-12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61A KR102227659B1 (ko) 2014-03-12 2014-03-12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61A KR102227659B1 (ko) 2014-03-12 2014-03-12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72A true KR20150106772A (ko) 2015-09-22
KR102227659B1 KR102227659B1 (ko) 2021-03-15

Family

ID=5424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61A KR102227659B1 (ko) 2014-03-12 2014-03-12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696A1 (ko) * 2016-04-25 2017-11-02 장부다 Vr 공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90026264A (ko) 2017-09-04 2019-03-13 정두환 마커 등록이 자유로운 혼합현실 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190082612A (ko) * 2018-01-02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모델하우스 제공 시스템
KR102200196B1 (ko) * 2019-09-11 2021-01-08 백종엽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캐릭터 제공 시스템
US11017486B2 (en) 2017-02-22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517821B2 (en) 2017-12-26 2022-12-06 Skonec Entertainment Co., Ltd.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KR20220162566A (ko) * 2021-06-01 2022-12-0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상호작용하는 가상동물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03464A (ko) * 2016-01-19 2023-01-05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눈 이미지 수집, 선택 및 결합
WO2024063302A1 (ko) * 2022-09-22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체에 다른 개체와의 인터랙션을 적용하는 가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US20130050432A1 (en) * 2011-08-30 2013-02-28 Kathryn Stone Perez Enhancing an object of interest in a see-through, mixed reality display device
US20130127980A1 (en) * 2010-02-28 2013-05-23 Osterhout Group, Inc.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JP2013161267A (ja) * 2012-02-06 2013-08-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05920A (ja) * 2012-03-27 2013-10-07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20130130740A (ko) * 2010-12-16 2013-12-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해 및 의도-기반 컨텐트
US20140049559A1 (en) * 2012-08-17 2014-02-20 Rod G. Fleck Mixed reality holographic object develop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US20130127980A1 (en) * 2010-02-28 2013-05-23 Osterhout Group, Inc.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KR20130130740A (ko) * 2010-12-16 2013-12-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해 및 의도-기반 컨텐트
US20130050432A1 (en) * 2011-08-30 2013-02-28 Kathryn Stone Perez Enhancing an object of interest in a see-through, mixed reality display device
JP2013161267A (ja) * 2012-02-06 2013-08-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05920A (ja) * 2012-03-27 2013-10-07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40049559A1 (en) * 2012-08-17 2014-02-20 Rod G. Fleck Mixed reality holographic object developmen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464A (ko) * 2016-01-19 2023-01-05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눈 이미지 수집, 선택 및 결합
WO2017188696A1 (ko) * 2016-04-25 2017-11-02 장부다 Vr 공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11017486B2 (en) 2017-02-22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26264A (ko) 2017-09-04 2019-03-13 정두환 마커 등록이 자유로운 혼합현실 콘텐츠 제공시스템
US11517821B2 (en) 2017-12-26 2022-12-06 Skonec Entertainment Co., Ltd.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US11648478B2 (en) 2017-12-26 2023-05-16 Skonec Entertainment Co., Ltd.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KR20190082612A (ko) * 2018-01-02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모델하우스 제공 시스템
KR102200196B1 (ko) * 2019-09-11 2021-01-08 백종엽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캐릭터 제공 시스템
KR20220162566A (ko) * 2021-06-01 2022-12-0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상호작용하는 가상동물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4063302A1 (ko) * 2022-09-22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체에 다른 개체와의 인터랙션을 적용하는 가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659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2488B (zh) 用于通过hmd设备显示虚拟图像的系统和方法
KR102227659B1 (ko) Hmd 장치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75174A1 (en) Beacons for localization and content delivery to wearable devices
EP2759922B1 (en)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device based on motion of the devic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985593A1 (en) Method for processing live stream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EP3352438B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recommending response message and method therefor
WO2022121358A1 (zh) 信息显示方法及其装置
US1022395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tance measurement sensor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distance measurement sensor
CN108182021A (zh) 多媒体信息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US11061533B2 (en)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5344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785243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90082612A (ko) 가상 모델하우스 제공 시스템
KR20170092200A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63198B2 (en) Portable image device for simulating interaction with electronic device
EP3506082B1 (en) Audio rendering for augmented reality
CN107861613A (zh) 显示与内容相关联的导航器的方法和实现其的电子装置
KR102413074B1 (ko)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N10654734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60065670A (ko)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8885348B (zh) 用于生成应用图像的便携式图像设备的装置和方法
US11302046B2 (en) Low power virtual reality presence monitoring and notification
CN105930071A (zh) 用于管理项目的方法和装置
KR20160071783A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1257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