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948A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0948A KR20230140948A KR1020220039857A KR20220039857A KR20230140948A KR 20230140948 A KR20230140948 A KR 20230140948A KR 1020220039857 A KR1020220039857 A KR 1020220039857A KR 20220039857 A KR20220039857 A KR 20220039857A KR 20230140948 A KR20230140948 A KR 20230140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sku
- item
- date
- 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풀필먼트 센터에 진열된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 상거래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고객은 직접 쇼핑몰이나 시장에 가지 않고도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 접근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의 다양한 주문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전자 상거래 서비스는 다양한 상품을 갖추고 풀필먼트 센터와 같은 창고에서 재고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상품의 경우 판매가 가능한 기한이 임박하여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였다.
종래의 판매 기한 임박 상품은 일괄적으로 폐기되거나 할인 판매되는 방식으로 처리되었으나, 특히 할인 판매 방식은 단지 동일한 상품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데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동일한 관리 식별자를 가지기 때문에 판매 이력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재고 관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인바운드 되는 상품들은 판매자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가 일괄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전산에 저장된 판매 기한과 작업자가 실제로 확인하는 실물 판매 기한이 상이한 경우가 더러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의 처리 방식에 대해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SKU이고 -,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해 상기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상기 피킹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에 대한 SKU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판매 기한이 임박한 아이템들을 별도의 SKU 식별 정보로 할당함으로서 독립적인 아이템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판매 실적 파악과 재고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판매 기한이 임박한 아이템들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에게만 제공할 수 있어, 기존 회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폐기 대상인 아이템들을 다시 한번 판매할 수 있으므로, 비용 이득적인 측면이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SKU를 서브 SKU로 변경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할당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수량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종료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전자 장치를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사용자 단말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SKU를 서브 SKU로 변경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할당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수량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종료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전자 장치를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사용자 단말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물품은 단일 물품을 의미하거나, 동일 종류의 물품들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템 관리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아이템 관리 시스템(1)은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의 블록도를 기초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 S201에서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SKU에 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소스 SKU는 판매 기한이 임박함에 따라 복수의 서브 SKU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스 SKU에 대한 정보는 소스 SKU로부터 파생된 서브 SKU에 대한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소스 SKU와 서브 SKU는 SKU ID가 다르지만 상품 바코드는 동일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은 유통 기한 유형 및 제조 일자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SKU의 관리 유형은 대응하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소스 SKU의 판매 기한은 서브 SKU의 판매 기한과 동일하나, 서브 SKU로의 전환 시점에서 판매 가능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즉, 소스 SKU는 서브 SKU 보다 빠른 시일 내에 판매되어야 하나, 판매 기한이 임박한 소스 SKU가 조건 판단 하에 서브 SKU로 전환된다면 아이템의 판매 가능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판매 가능 기간은 현 시점을 기준으로 판매 기한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소스 SKU가 서브 SKU로 전환되는 순간 판매 가능 기간은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식별 정보는 소스 SKU에 대한 아이템 이름 및 SKU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소스 SKU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작업 요청 정보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 작업 로케이션 정보 및 작업 요청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 정보는 제1 식별 정보보다 소스 SKU가 진열된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요청은 풀필먼트 센터 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 요청은 판매 기한 정보가 누락된 아이템에 대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소스 SKU는 서브 SKU로의 변경 요청이 생성되지 않고 바로 제거 지시가 생성되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선도가 민감한 상품들(예를 들어, 제조 일자 기준의 신선 상품들), 단기 판매용 상품들(예를 들어, 하루 안에 판매가 완료되어야 하는 상품들)은 서브 SKU로의 전환 대신에 바로 폐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의 재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제2 작업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 피킹 대상 아이템이 저장된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제1 작업 진행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피킹 수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재고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재고 조사 요청을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정보에 따라 작업 로케이션에 저장된 아이템의 수량과 피킹되는 아이템의 수량이 다른 경우, 해당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전수 조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는 해당 작업 로케이션에 저장된 모든 아이템에 대한 재고 조사를 사용자 단말(20)로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여 서브 SKU로 변경되는 경우 외에 다음의 경우에도 서브 SKU로 SKU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PN의 유통 기한 또는 제조 일자가 변경되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제1 작업 요청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제거 예정인 아이템이, 아이템이 존(zone) 간 이동을 위해 임시로 저장되는 버퍼 로케이션 또는 아이템이 진열되어 있는 피킹 로케이션이 아닌 다른 로케이션에 진열되어 있다가, 버퍼 또는 피킹 로케이션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작업 요청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제거 예정인 아이템이 출고 또는 재고 이관 등으로 상태 값이 할당되어 있다가 해당 상태 값이 해제되는 경우, 제1 작업 요청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SKU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1 작업 요청이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KU의 판매 기한 또는 관리 유형이 변경되는 경우 제1 작업 요청이 할당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작업 진행 정보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작업 로케이션에서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실물을 확인하여 실질 판매 기한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아이템을 피킹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소스 SKU의 재고 정보와 서브 SKU의 재고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서브 SKU로의 변경이 예정된 아이템은 사용자의 실제 작업 전까지 판매 대기 재고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SKU로의 변경은 SKU ID와 판매자 ID가 신규 생성되어 아이템에 할당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SKU 정보가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된 제1 아이템 그룹과 SKU 정보가 유지되는 제2 아이템 그룹이 둘다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아이템 그룹과 제2 아이템 그룹 둘다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1 아이템 그룹 및 제2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에 대한 변경된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작업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2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2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제2 작업 진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아이템 그룹 및 제2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판매 가격과 서브 SKU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판매 가격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SKU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원래의 아이템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SKU 정보가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된 아이템의 판매 기한은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작업 진행 정보에 포함된 실질 판매 기한 정보에 따라 서브 SKU 아이템의 판매 기한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실시 예는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작업 요청 수량 정보에 따른 아이템 수량만큼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산 상의 판매 기한 정보와 작업 로케이션에서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확인되는 실제 판매 기한 정보가 동일하다면, 정보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 지시한 수량만큼 아이템을 피킹하고 서브 SKU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느 판매 기한이 더 빠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질 판매 기한 정보에 따른 판매 기한이 예상 판매 기한 정보에 따른 판매 기한보다 빠른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빠른 아이템에 대한 제거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판매 가능 기간이 이미 지난 것이므로, 해당 아이템은 폐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빠른 아이템에 대한 오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오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SKU 리스트에 포함된 소스 SKU에 대한 특별 관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 보고 누적 횟수 및 오류 보고 빈도 횟수를 고려하여 소스 SKU에 대해 특별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결정에 기초하여 소스 SKU에 관련된 제거 요청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오류가 자주 보고되는 소스 SKU는 입고 당시에 판매자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에 오류가 많다고 판단하고, 해당 소스 SKU에 대해서는 빠른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질 판매 기한 정보에 따른 판매 기한이 예상 판매 기한 정보에 따른 판매 기한보다 느린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늦은 아이템의 SKU 정보는 유지하고,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상 아이템의 서브 SKU로의 전환을 유보하고, 실제로 확인된 판매 기한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로케이션에 아이템이 저장되는 기준에 판매 기한이 고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아이템은 다른 로케이션에 진열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는 판매 기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아이템에 대해 변경된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이템이 반품 되거나 파손 등의 이유로 다시 센터로 돌아오는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SKU 정보가 서브 SKU인지에 관계 없이 대응되는 소스 SKU로 복원되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센터를 떠난 아이템의 경우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가 제거되기 때문에, 아이템을 다시 진열하기 위해 소스 SKU를 할당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변경하거나, 판매 기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센터에 저장된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 정보 및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SKU를 서브 SKU로 변경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3월 8일에 입고된 판매 기한이 3월 25일인 소스 SKU A가 서브 SKU B로 변경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소스 SKU에 대한 폐기 또는 서브 SKU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은 본 개시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유통 기한이 10일 남은 시점에 판단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SKU A는 판매 기한으로부터 10일 이전인 3월 15일에 폐기 또는 서브 SKU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SKU의 폐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대응되는 아이템의 보관 상태, 판매량, 재고량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보관 상태가 좋지 않으면, 서브 SKU로의 전환 없이 소스 SKU를 바로 폐기할 수 있다. 또는, 아이템의 판매량이 높거나 보유중인 재고량이 많은 경우, 서브 SKU로 전환하여 최대한 많은 아이템을 판매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소스 SKU A를 서브 SKU B로 변경할 것을 결정하고, 3월 15일에 소스 SKU A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서브 SKU로 변경하였다. 서브 SKU는 판매 기한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동안 판매되며, 해당 기간동안 판매되지 못한 서브 SKU는 폐기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SKU에 대한 폐기 시점은 본 개시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유통 기한이 5일 남은 시점에 서브 SKU를 폐기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SKU B는 판매 기한으로부터 5일 이전인 3월 20일에 제거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이 유통 기한 유형인 경우에 대한 실시 예로서, 판매 기한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 이전에 SKU가 변경되거나, 아이템이 폐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이 제조 일자 유형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기한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 SKU가 변경되거나 아이템이 폐기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SKU 변경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401). 요청을 받은 작업자는 아이템을 담을 저장 유닛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S402). 일 예로, 작업자는 토트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토트는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만일 해당 토트가 다른 작업자에게 할당된 상태인 경우, 작업자 단말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다른 토트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존의 토트를 먼저 사용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S403). 관리 유형에는 유통 기한 유형 및 제조 일자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로 제공된 작업 요청 정보에 작업 대상으로서 소스 SKU가 한 개 있을 수 있으나, 여러 개의 소스 SKU가 작업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하고자 하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한 명의 작업자에게 복수 개의 작업 요청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는 순서에 따라 작업 요청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통 기한을 기초로 관리되는 아이템과 제조 일자를 기초로 관리되는 아이템의 저장 로케이션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작업 로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존(zone) 목록에서 작업할 존을 선택하고(S404), 선택한 존에 위치하는 통로 목록에서 작업할 통로를 선택하여(S405), 작업 로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존 목록과 통로 목록은 작업 대상이 되는 소스 SKU의 재고가 존재하는 존 및 통로만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존 및 통로에 존재하는 작업 대상 SKU의 수량 정보 또는 가능한 작업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로케이션으로 이동하여 로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케이션의 위치가 불명하거나 식별 정보가 손상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작업자는 로케이션의 위치 불명 또는 위치 바코드가 손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6). 만일 로케이션의 위치가 불명하거나 위치 바코드가 손상되었다면(S406에서 Yes),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 시스템으로 문제를 보고할 수 있다(S407). 반대로 로케이션의 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되고 위치 바코드도 손상되지 않았다면(S406에서 No), 작업자는 작업 로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408). 일 예로 작업자는 로케이션의 위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작업 로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소스 SKU에 대한 피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소스 SKU에 대응되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상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품 바코드가 손상되었는지 확인하여(S409), 상품 바코드가 손상되었다면(S409의 Yes), 작업자 단말을 통해 시스템으로 문제를 보고할 수 있다(S407). 그렇지 않고 상품 바코드가 온전하여(S409의 No)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상품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S410).
작업자가 상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작업 요청 정보에 따른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는 실물 상품의 실질 판매 기한을 확인하여, 예상 판매 기한과 실질 판매 기한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아이템은 서브 SKU로의 전환 대상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미전환 상품이 있다고 확인되면(S411의 Yes), 작업자는 미전환 수량을 작업자 단말에 입력하고(S412), 실질 판매 기한을 입력할 수 있다(S413).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상 판매 기한이 실질 판매 기한보다 빠르면, 판매 기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나, 예상 판매 기한이 실질 판매 기한보다 늦으면, 폐기 대상이 될 수 있다. 작업자는 실질 판매 기한을 확인하여 예상 판매 기한과 다르다면(S414의 Yes), 소스 SKU의 판매 기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 된 판매 기한 정보로 다시 미전환 수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1). 이와 같이 아이템의 판매 기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더 이상 정보를 업데이트할 아이템이 없는 경우(S414의 No), 서브 SKU로 전환할 아이템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5).
다음으로, 서브 SKU로 전환할 아이템이 있는 경우(S415의 Yes),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 전환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S416). 작업 로케이션에서 소스 SKU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작업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되어 더 이상 서브 SKU로 전환할 아이템이 없는 경우(S415의 No), 소스 SKU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전산 재고와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실물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S417).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다면(S417의 No), 미전환 된 재고가 남아 있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S411). 만일 미전환 재고를 재 확인해도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 시스템으로 문제를 보고할 수 있다(S407).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한다면(S418의 Yes), 서브 SKU로 전환되는 아이템이 있는지 및 서브 SKU로 전환되지 않는 아이템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18). 만일 전환 수량과 미전환 수량 모두 있는 경우(S418의 Yes), 본 개시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 단말로 미전환 아이템을 저장 유닛에 담도록 지시할 수 있다(S419). 이 경우 작업자 단말은 미전환 아이템을 저장 유닛에 담은 이후 전환 아이템에 대해 시스템으로 보고할 수 있다(S407). 만일 전환 수량만 있는 경우(S418의 No), 작업자 단말은 시스템으로 서브 SKU로의 전환을 보고하고(S407), 저장 유닛의 빈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S420).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남아 있어 추가 작업이 가능한 경우(S420의 Yes), 작업자는 통로 목록에서 작업할 통로를 선택하여(S405), 추가로 더 작업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없어 작업을 마무리해야 하는 경우(S420의 No), 작업 완료 정보를 아이템 관리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S421). 이를 '토트풀(tote full)'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환 수량이 1개 이상이고, 미전환 수량은 0개인 경우, 전환 수량에 입력한 수량만큼 아이템의 SKU 정보가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전환 수량이 1개 이상이고, 미전환 수량도 1개 이상인 경우, 전환 수량에 입력한 수량만큼 대응되는 아이템의 SKU 정보가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될 될 수 있으며, 미전환 수량에 입력한 수량만큼 대응되는 아이템이 저장 유닛에 담길 수 있다. 이때 미전환 아이템에 대해서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 (예를 들어, 유통 기한 또는 제조 일자)가 입력될 수 있으며, 작업자 단말을 통해 미전환 아이템은 저장 유닛에 담으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전환 아이템의 서브 SKU 정보로의 변경과 미전환 아이템의 저장 유닛에 담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다음 로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현재 저장 유닛이 가득 찼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유닛이 가득 찼다면, 작업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저장 유닛에 저장된 아이템을 진열 가능한 로케이션에 진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만일 저장 유닛이 가득 차지 않았다면, 작업자 단말로 다음 작업을 할당하고 다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케이션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저장 유닛의 빈 공간 여부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확인되거나, 저장 유닛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확인될 수도 있다.
전환 수량이 0개이고, 미전환 수량만 1개 이상인 경우, 본 개시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 단말을 통해 미전환 아이템에 대한 실질 판매 기한 정보 (예를 들어, 유통 기한 또는 제조 일자)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작업자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를 입력하고, 작업 중이던 로케이션에서 아이템의 판매 기한이 업데이트 된 상태로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이 작업자 단말을 통해 판매 기한이 업데이트 된 아이템을 저장 유닛에 담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경우 판매 기한이 업데이트 된 아이템이 진열될 로케이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산 재고가 실물 재고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본 개시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으로 오류를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실물 재고는 저장 유닛에 담겨 이동될 아이템의 수량과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되는 아이템의 수량을 포함한다. 반대로, 전산 재고가 실물 재고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 단말로 수량 확인 요청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 작업자는 추가되는 수량을 입력하고 실물 재고에 기초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템 관리 시스템은 실물 재고에 기초하여 전산 재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류 상태이므로, 작업자 단말로 작업 중인 로케이션에 대한 재고 조사 요청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상 상태이므로, 후속 작업인 전환 작업 및 아이템 이동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할당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아이템을 담을 저장 유닛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화면(510)은 토트 바코드를 스캔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작업자가 저장 유닛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관리 유형에는 유통 기한 유형과 제조 일자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제2 화면(520)은 "유통기한 상품"과 "제조일자 상품"으로 관리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저장 유닛의 식별 정보(521)는 작업 동안 화면 상단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한 소스 SKU가 저장되어 있는 로케이션을 대상으로 작업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을 선택하면, 작업 로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제3 화면(530)은 작업자가 "유통기한 상품"을 작업 대상으로 선택하여 "작업 위치 선택하기" 버튼이 활성화 된 모습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존 목록에서 작업할 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존 목록은 각각의 존에 대해 작업 대상 SKU의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화면(540)은 복수 개의 존을 포함하는 존 목록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사용자는 14B를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선택한 존에 포함된 통로 목록에서 작업할 통로를 선택할 수 있다. 제5 화면(550)은 복수 개의 통로를 포함하는 통로 목록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사용자는 통로 15를 선택하였다.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제5 화면(550)에서는 사용자가 존과 통로 선택을 완료하여 "작업 시작하기" 버튼이 활성화 된 모습이다. 이후 작업자는 자신이 선택한 작업 로케이션으로 이동하여 로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선택한 존 및 통로 외에 보다 상세한 로케이션 위치는 작업자 단말로 자동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제6 화면(560)은 작업자가 선택한 존 14B 통로 15에서 401번에 해당하는 로케이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제6 화면(560)에서 작업자 단말을 통해 로케이션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 단계에서 작업 대상이 되는 소스 SKU에 대한 정보가 일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수량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수신한 작업 요청 정보에는 작업 대상이 되는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단말은 예상 판매 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SKU로 전환할 판매 기한과 전환하지 않을 판매 기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610)에서는 유통 기한이 2021년 3월 5일 이전인 소스 SKU에 대해서는 서브 SKU로 전환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유통 기한이 2021년 3월 6일 이후인 소스 SKU에 대해서는 아직 서브 SKU로 전환될 필요가 없다.
작업자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피킹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여 자신이 작업 요청 정보에 따라 작업을 개시하였음을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화면(610)에서는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세요"와 같은 문구로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것을 요청 하였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아이템의 실물 판매 기한 정보를 확인하고, 실물 판매 기한과 예상 판매 기한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아이템은 미전환 대상이 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 미전환 아이템의 수량과 실질 판매 기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화면(620)은 아이템의 SKU 정보를 전환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미전환 아이템의 수량은 4개인 것을 나타낸다. 제3 화면(630)은 미전환 아이템의 실질 판매 기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전환 아이템의 실질 판매 기한이 상이할 경우, 작업자는 가장 빠른 날짜를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물 판매 기한과 예상 판매 기한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은 서브 SKU로의 전환 대상이 될 수 있다. 제4 화면(640)은 SKU 정보를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전환 아이템의 수량은 6개인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작업 종료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가 일치하는 경우, 작업자는 서브 SKU로 전환되지 않는 아이템이 있는지 확인하여, 미전환 아이템을 저장 유닛에 담을 수 있다. 제1 화면(710)은 미전환 아이템을 토트에 담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화면이다. 작업자는 미전환 아이템 전체를 토트에 담은 뒤 제2 화면(720)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 단말은 토트에 담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서 자동으로 수량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화면(720)은 미전환 아이템이 모드 토트에 담겨서 작업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한편, 서브 SKU로 전환되는 아이템은 작업 로케이션에서 SKU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유닛에 담기는 아이템은 판매 기한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재 진열이 필요하거나, 제거가 필요한 아이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 기한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미전환 아이템과 제거가 필요한 미전환 아이템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두 종류의 아이템 모두 토트에 담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종류의 아이템을 새로운 로케이션 또는 제거 구역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새로운 작업 요청 정보가 작업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남아 있어 추가 작업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남아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새로운 로케이션을 할당 받아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제3 화면(730)은 저장 유닛이 가득 찼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화면이다.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남이 있는 경우 작업자는 제3 화면(730)에서 "아니요, 더 담을 수 있어요" 버튼을 통해 제4 화면(7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저장 유닛에 빈 공간이 없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제3 도면(730)에서 "네, 담을 공간이 없어요" 버튼을 통해 제5 화면(7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5 화면(750)에서는 새로운 저장 유닛으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것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5 화면(750)에서는 "새 토트 스캔하기" 버튼을 통해 새 토트를 이용하여 다음 작업을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전자 장치를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80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810), 저장 디바이스(820) 및 제어부(controller)(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8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8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8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8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8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작업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8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류 보고 및 서브 SKU로의 전환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820)는 센터의 아이템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820)는 각각의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820)는 소스 SKU 및 서브 SKU에 대한 아이템 이름, SKU ID, 저장 로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디바이스(820)는 센터 내 로케이션 별 재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디바이스(820)는 소스 SKU와 그에 대응되는 서브 SKU 간의 매핑 관계를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전자 장치(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고,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통신 디바이스(8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서브 SKU 정보로의 변경은 작업 로케이션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물 아이템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830)는 통신 디바이스(810) 및 저장 디바이스(820)와, 나아가 전자 장치(8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 장치(800)가 수행하는 실시 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을 위한 사용자 단말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9의 사용자 단말(90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2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90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910),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920),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930) 및 프로세서(processor)(9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910)는 앞서 도 8의 통신 디바이스(8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9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작업 진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910)는 작업 대상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에 대한 SKU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9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920)는 사용자가 작업하기 위한 로케이션 정보와 작업 대상 아이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920)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피킹 작업 대상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920)는 존 목록 및 통로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 로케이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93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93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9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디바이스(930)는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930)는 작업 경과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대상 아이템의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930)는 아이템이 로케이션 간 이동을 위해 임시 보관되는 저장 유닛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940)는 사용자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940)는 작업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910), 출력 디바이스(920) 및 입력 디바이스(9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940)가 확인하는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910) 또는 입력 디바이스(93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940)는 통신 디바이스(910), 출력 디바이스(920) 및 입력 디바이스(930), 나아가 사용자 단말이 더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실시 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센터의 아이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상기 SKU 정보가 상기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된 제1 아이템 그룹과 상기 SKU 정보가 유지되는 제2 아이템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템 그룹 및 상기 제2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에 대한 변경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작업 요청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2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 진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아이템 그룹 및 상기 제2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판매 가격과 상기 서브 SKU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판매 가격은 상이한,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SKU 정보가 상기 서브 SKU 정보로 변경된 아이템의 판매 기한은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SKU에 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은 유통 기한 유형 및 제조 일자 유형을 포함하고, 서브 SKU의 관리 유형은 대응하는 소스 SKU의 관리 유형과 동일한,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 작업 로케이션 정보 및 작업 요청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해 상기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상기 작업 요청 수량 정보에 따른 아이템 수량만큼 상기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빠른 아이템에 대한 제거 요청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늦은 아이템의 SKU 정보는 유지하고,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아이템에 대한 변경된 진열 로케이션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보다 빠른 아이템에 대한 오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SKU 리스트에 포함된 소스 SKU에 대한 특별 관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SKU에 관련된 제거 요청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식별자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의 재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에 대한 피킹 수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 정보 및 상기 피킹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재고 조사 요청을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관리 방법. -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작업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의 SKU 정보를 대응되는 서브 SKU 정보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기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SKU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형의 소스 SKU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SKU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SKU 중 판매 기한이 제1 설정 조건에 대응하는 SKU이고 -,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로케이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예상 판매 기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해 상기 작업 로케이션에서 확인되는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피킹 수량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 및 상기 피킹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작업 진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에 대한 SKU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1 피킹 수량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상기 실질 판매 기한 정보와 상기 예상 판매 기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2 피킹 수량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킹 수량 정보 및 상기 제2 피킹 수량 정보가 상기 제1 작업 요청 정보에 따른 작업 요청 수량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작업 종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857A KR102706993B1 (ko) | 2022-03-30 | 2022-03-3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CT/KR2022/010913 WO2023191191A1 (ko) | 2022-03-30 | 2022-07-25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TW112111864A TW202338683A (zh) | 2022-03-30 | 2023-03-29 | 用於管理中心之物品的方法及其裝置 |
KR1020240123300A KR20240142335A (ko) | 2022-03-30 | 2024-09-1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857A KR102706993B1 (ko) | 2022-03-30 | 2022-03-3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23300A Division KR20240142335A (ko) | 2022-03-30 | 2024-09-1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948A true KR20230140948A (ko) | 2023-10-10 |
KR102706993B1 KR102706993B1 (ko) | 2024-09-19 |
Family
ID=88202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9857A KR102706993B1 (ko) | 2022-03-30 | 2022-03-3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20240123300A KR20240142335A (ko) | 2022-03-30 | 2024-09-1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23300A KR20240142335A (ko) | 2022-03-30 | 2024-09-10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102706993B1 (ko) |
TW (1) | TW202338683A (ko) |
WO (1) | WO2023191191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393B1 (ko) * | 2020-02-17 | 2020-12-30 | 쿠팡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76193A (ja) * | 2008-01-28 | 2009-08-06 | Ishida Co Ltd | 商品販売システム |
KR20150089795A (ko) * | 2014-01-28 | 2015-08-05 |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 창고관리시스템에서 유통기한 관리 방법 |
KR102096619B1 (ko) * | 2017-09-29 | 2020-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품의 정보를 스캐닝하는 장치 및 스캐닝한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
KR20190083627A (ko) * | 2019-03-22 | 2019-07-12 | (주) 비지에프리테일 | 상품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KR102196395B1 (ko) * | 2020-02-17 | 2020-12-30 | 쿠팡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2022
- 2022-03-30 KR KR1020220039857A patent/KR1027069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25 WO PCT/KR2022/010913 patent/WO2023191191A1/ko unknown
-
2023
- 2023-03-29 TW TW112111864A patent/TW202338683A/zh unknown
-
2024
- 2024-09-10 KR KR1020240123300A patent/KR2024014233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6393B1 (ko) * | 2020-02-17 | 2020-12-30 | 쿠팡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91191A1 (ko) | 2023-10-05 |
KR20240142335A (ko) | 2024-09-30 |
TW202338683A (zh) | 2023-10-01 |
KR102706993B1 (ko) | 2024-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71020B2 (ja) | 電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 |
KR102389764B1 (ko) |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393362B1 (ko) | 상품 판매 서비스에서 카트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
KR102380643B1 (ko) |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13017930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stocking Inventory | |
US12014413B2 (en) |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205214B1 (ko) |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 |
KR102706993B1 (ko) | 센터의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JP6887153B2 (ja) | 買物支援システム | |
KR102441293B1 (ko) |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18006078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lient terminal | |
KR20230135951A (ko) | 아이템 번들링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JP6935893B1 (ja) |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 |
JP7430416B1 (ja) |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TWI856517B (zh) | 物品搭售管理方法及其裝置 | |
TWI854292B (zh) | 提供產品資訊之方法及其裝置 | |
KR102677805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주문 정보 관리 방법 | |
TW202420176A (zh) | 電子裝置及其資訊管理方法 | |
KR20170086305A (ko) |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
KR20220134232A (ko) | 주문 데이터 기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 |
KR20220134231A (ko) | 주문 데이터의 태그 기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
KR20220134237A (ko) | 트렌드 분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 |
KR20220134234A (ko) |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태그 기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 |
KR20220134233A (ko) | 의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
KR20220134235A (ko) | 주문 데이터의 태그 기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