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643B1 -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643B1
KR102380643B1 KR1020210100998A KR20210100998A KR102380643B1 KR 102380643 B1 KR102380643 B1 KR 102380643B1 KR 1020210100998 A KR1020210100998 A KR 1020210100998A KR 20210100998 A KR20210100998 A KR 20210100998A KR 102380643 B1 KR102380643 B1 KR 10238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time
stor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보라
김소희
차승훈
센린 시옹
배호연
박상길
정윤성
박주영
시안 왕
오혜진
양여주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43B1/ko
Priority to PCT/KR2021/010747 priority patent/WO2023008634A1/ko
Priority to TW110144515A priority patent/TWI817267B/zh
Priority to TW112133013A priority patent/TW202401352A/zh
Priority to KR1020220037309A priority patent/KR2023001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전자 장치를 통해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스토어를 확인하는 단계;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3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ING DELIVERY OF ITEMS}
본 개시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현상들로 인하여 음식점에 방문하여 식사를 하거나 마트에 방문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가 줄어들고 있다. 대신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 제품 등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주문 방식이 대체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은 구매자의 물품 수령을 위해 해당 물품의 예상 배송 도착 시각을 알려줄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7514호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매자에게 예상 배송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과정에서 해당 매장의 관리자는 주문과 관련된 시간을 계산하고 일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또한, 매장에서 배송지까지 물품의 원활한 배송을 위해 각 주문에 할당된 작업자들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스토어를 확인하는 단계;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3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은, 통신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출력 디바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물품 배송에 관련된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상기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스토어의 관리자가 자신의 스토어에 대한 주문 및 배송원에 대해서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스토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토어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이 자신의 스토어에 대한 주문 이력을 기반으로 평균 소요 시간을 계산하거나 고정 소요 시간을 수신할 수 있으며,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주문에서 스토어 복귀까지의 각 단계별 시간 계산을 복잡한 절차 없이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어 할당 이전의 주문 관리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관리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관리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물품은 단일 물품을 의미하거나, 동일 종류의 물품들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 관리자 단말(20), 고객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단말들(20, 30, 40)과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스토어 별로 관리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고객 단말(3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 피킹과 배송 픽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토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고객 단말(30)에서 스토어를 지정하여 주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주문 정보는 스토어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일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물품의 수령 대상으로써 확인하고,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스토어가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고객 단말(3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각각에 피커 또는 피커 및 배송원을 할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단말(40)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원 단말(40)은 배송 할당 대기 중, 물품의 배송 중 및 스토어로 복귀 중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이를 통해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정보는 관리자 단말(20)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20)은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평균 소요 시간은 전자 장치(10)에서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은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고정 소요 시간을 입력 받아 전자 장치(10)로 고정 소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제3 정보를 관리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수신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제3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 소요되었던 시간 정보들을 포함하는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물품 주문 후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를 기초로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수를 확인하여, 제3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고정 소요 시간을 수신하고,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스토어로의 복귀 상태인 배송원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귀 상태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배송 출발 시간을 기초로 나열하여, 배송 출발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복귀 상태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스토어로의 복귀 시간을 기초로 나열하여, 복귀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배송원이 스토어에 복귀하는 동안 물품의 피킹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3 정보는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피킹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물품 배송을 관리할 스토어를 선택 받거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주문 관리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접속한 사용자의 ID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관리하는 스토어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스토어를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고객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주문 관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물품을 선택 받고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30)은 수신한 구매 요청을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단말(30)이 전자 장치(10)로 전송하는 정보에는 물품을 선택한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정보는 물품 배송을 위한 스토어를 지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배송원 단말(40)은 물품을 배송하는 사용자를 위한 단말로서, 사용자는 배송원 단말(40)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송원 단말(40)을 통해 자신이 배송해야 하는 물품의 정보와 배송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배송원 단말(40)을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배송 할당 대기 중, 물품 배송 중, 스토어로 복귀 중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송원 단말(40)의 사용자는 특정 스토어에 할당되어 해당 스토어에 대한 배송을 전담하는 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 단말(40)은 할당된 스토어의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어 할당 이전의 주문 관리 페이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200)는 스토어 별로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스토어의 관리자가 자신의 주문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주문 정보와 주문에 연계된 배송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어가 지정되기 이전의 주문 관리 페이지(200)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가 0 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토어가 지정된 이후에 주문 관리 페이지(200)에서 주문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할 스토어를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스토어를 선택해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어가 할당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지도 정보(210)는 스토어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거나, 이전에 해당 단말에서 관리하였던 스토어의 위치가 디폴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토어가 할당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시간 정보(220)는 0 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관리 페이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300)는 지도 정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스토어가 지정된 주문 관리 페이지(300)이므로 지도 정보(310)는 스토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지도 정보(310)는 스토어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배송 할당 대기 중, 물품의 배송 중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에 대한 지시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정된 스토어 지시자(311)는 지도의 중심에서 표시될 수 있고,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 지시자(312)는 스토어 주변부에서 대기 중인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품의 배송 중인 배송원 지시자(313)와 배송 완료 후 복귀 중인 배송원 지시자(314) 또한 배송원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송원 지시자들(312, 313, 314)은 배송원 단말(4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주문 관리 페이지(300)는 물품의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스토어의 물품에 관한 주문 중 선택된 하나의 주문에 대한 것일 수 있으나, 스토어의 물품에 관한 주문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300)는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행 중인 주문 관리 정보(330)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주문 상태, 예상 소요 시간,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정보 및 작업자 할당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 식별자는 스토어에서 관리하는 주문 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주문 고객 정보는 구매자가 스토어에 온라인 접속하여 주문을 위해 입력한 개인 정보에 기초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는 물품 구매를 위하여 자신의 이름, 배송 주소 및 연락처를 기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배송 관련 주문 상태는 주문에 따른 물품의 배송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송 관련 주문 상태는 물품이 피킹 대기 중(Waiting for Picking), 피킹 중(Picking), 배송 대기 중(Waiting for Delivery) 및 배송 중(Deli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물품의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 예상되는 시간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주문 별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스토어에 대한 주문인 경우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상 소요 시간 정보(320)에서도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경과 시간 정보는 스토어가 고객의 주문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경과 시간 정보는 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그 정보는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 및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자가 할당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하였으면, 해당 주문 건은 미스(missed) 건으로 태깅한다. 또한,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 내에 이루어졌으면, 해당 주문 건은 재시간(on-time)에 처리된 건으로 태깅한다. 그리고,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자가 할당되지 않았으면, 해당 주문 건은 늦은(Late) 건으로 태깅한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2분 이내에 피커가 할당되지 않아서 아직 물품의 피킹 작업조차 시작되지 못한 경우, 늦은 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물품의 피킹이 완료되었으나 피킹 완료 시점으로부터 3분 이내에 배송원이 할당되지 않아 물품의 픽업 및 배송이 시작되지 못한 경우, 늦은 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어에 관한 주문 건에 대하여 예상 소요 시간이 12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배송 완료까지 12분 1초가 소요된 주문 건의 경우 미스 건으로 태깅(331)되며,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배송 완료까지 6분 59초가 소요된 건은 재시간에 처리된 건으로 태깅(333)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2분 59초동안 피커가 할당되지 않은 주문 건의 경우 늦은 건으로 태깅(332)될 수 있다.
작업자 할당 상태 정보는 각 주문에 대하여 피커 및 배송원을 포함하는 작업자의 할당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작업자 할당 상태 정보는 작업자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 또는 작업자가 할당된 상태를 포함하며, 할당된 작업자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종류와 이름 또는 식별자 등이 작업자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는 "미할당(Not assigned)" 표시와 함께 작업자의 할당을 수동으로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각각에 피커만을 할당하거나, 피커 및 배송원 모두를 동시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는 피커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 배송원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 피커 및 배송원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할당된 상태는 작업자(피커 또는 배송원)의 정보, 예를 들어 "DriverC" 또는 "ClerkA", 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할당 해제(Unassign) 또는 작업자 재할당(Reassign)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300)는 스토어에 대한 통계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정보(340)는 주문 관련 통계 정보(341) 및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34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관련 통계 정보(341)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및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대비 예상 소요 시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어는 하루 동안 800건의 주문을 완료하였으며, 그 중 788건의 주문이 예상 소요 시간 내에 배송 완료되어 총 98.5 %의 재시간 처리율을 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문 관련 통계 정보(341)는 계속 중인 주문 통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속 중인 주문 통계 정보는 배송 완료된 주문을 제외한 현재 계속 중인 주문에 대하여 배송 진행 상태 별로 합산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 중인 주문 통계 정보는 피킹 대기 중인 주문, 피킹 중인 주문, 배송 대기 중인 주문 및 배송 중인 주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어는 현재 28건의 주문이 계속 중이며, 그 중 2건이 피킹 대기 중, 8건이 피킹 중, 3건이 배송 대기 중, 15건이 배송 중임을 알 수 있다.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342)는 계속 중인 주문에 대하여 배송 진행 상태 별로 작업중인 피커 또는 배송원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342)는 피킹 할당 대기 중인 피커의 수, 피킹 중인 피커의 수,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의 수, 배송 중인 배송원의 수 및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의 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어는 현재 27명의 작업자가 주문에 할당되어 있으며, 그 중 1명이 피킹 대기 중, 8명이 피킹 중, 0명이 배송 대기 중, 15명이 배송중, 3명이 복귀 중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342)를 통해 스토어에 할당된 작업자 27명 중 9명이 피커이며 21명이 배송원인 것 또한 유추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관리 페이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400)는 지도 정보(410), 예상 소요 시간 정보(420) 및 통계 정보(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리 페이지(400)는 배송 결과 정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송 결과 정보(430)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물품 상태, 예상 소요 시간, 총 배송 소요 시간, 배송 완료 시각, 배송원의 예상되는 복귀 시각 및 배송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및 경과 시간 정보는 도 3의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330)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배송 결과 정보(430)에서 배송 관련 주문 상태는 고객에게 물품 인도가 완료된 이후의 주문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송 관련 주문 상태는 배송 완료 및 (배송원) 복귀 중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소요 시간 정보는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배송이 완료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배송 소요 시간 정보는 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그 정보는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하였으면, 해당 주문 건은 미스(missed) 건으로 태깅한다. 또한,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 내에 이루어졌으면, 해당 주문 건은 재시간(on-time)에 처리된 건으로 태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토어에 관한 주문 건에 대하여 예상 소요 시간이 12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배송 완료까지 11분 35초가 소요된 주문 건의 경우 재시간에 처리된 건으로 태깅(431)될 수 있으며,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배송 완료까지 12분 1초가 소요된 주문 건의 경우 미스 건으로 태깅(432)될 수 있다.
배송 결과 정보(430)에서 배송 완료 시각 정보는 물품이 배송 완료된 시각을 나타낸다. 그리고 배송원의 예상되는 복귀 시각 정보는 배송 완료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원이 스토어에 도착하는 예상 시각을 나타낸다. 또한, 배송원 정보는 배송을 완료한 배송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정보는 스토어의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예상 소요 시간을 제3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주문 건에 대하여 예상 소요 시간이 입력될 수 있고, 해당 스토어의 모든 주문 건에 대하여 예상 소요 시간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토어에 대한 주문에 대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임의로 입력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는 물품의 배송 완료까지 12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 경우 해당 주문 건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은 각각의 관리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에서 12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의 평균 소요 시간은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에서 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서버에서 스토어 정보를 기초로 제공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획득한 평균 소요 시간 및 배송원의 수에 기초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송원의 수가 평균 소요 시간을 충족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상 소요 시간은 연장되도록 계산될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예상 소요 시간이 더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을 더 확인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없다면 예상 소요 시간은 연장되도록 계산될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획득한 평균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계산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에서 사용자는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b)에서 사용자는 평균 소요 시간(610)을 입력하거나 서버로부터 평균 소요 시간(61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수(620)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평균 소요 시간(630)을 7분에서 8분으로 변경 설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d)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평균 소요 시간 및 배송원의 수에 기초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도 5와 같이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임의로 예상 소요 시간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상 소요 시간을 자동 계산하는 모드와 예상 소요 시간을 직접 입력하는 모드 간 전환은 스위칭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고정(fixed) 소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의 고정 소요 시간은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고정 소요 시간은 평균 소요 시간과 다르게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타임 윈도우(time window)이다. 또한, 고정 소요 시간은 배송 출발, 물품 인도(배송 완료) 및 스토어 복귀까지의 각각의 시간 간격에 적용할 수 있는 시간이다. 즉, 배송 출발부터 배송 완료 시까지, 배송 완료 시부터 스토어 복귀 시까지, 나아가 다음 주문 건의 배송 출발에서 배송 완료 시까지 각각의 타임 윈도우에 고정 소요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예상 배송 시간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소요 시간이 10분인 경우, 배송원이 물품을 픽업하여 배송 완료하기까지 10분이 걸린다고 예상될 수 있다. 또는, 앞선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예상 배송 시간은 획득된 평균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스토어로의 복귀 상태인 배송원을 더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귀 상태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배송 출발 시간을 기초로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출발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소요 시간이 7분인 경우, 배송 출발부터 배송 완료 시까지, 배송 완료 시부터 복귀 시까지, 복귀 시부터 다음 주문의 배송 완료 시까지 3번의 타임 윈도우에 대해 7분을 적용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21분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복귀 상태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스토어로의 복귀 시간을 기초로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복귀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소요 시간이 7분인 경우, 배송원의 예상되는 복귀 시각에 복귀 시부터 다음 주문의 배송 완료시까지 1번의 타임 윈도우로 7분을 적용하여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배송원이 스토어에 복귀하는 동안 물품의 피킹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3 정보는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피킹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될 수 있다. 앞서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타임 윈도우를 계산하는 것으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평균 소요 시간을 기초로 타임 윈도우가 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스토어의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반경 이내의 고객에 대하여 해당 스토어의 물품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어에 할당된 배송원들은 일정 반경 이내의 배송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배송원의 위치 추적과 복잡한 계산 없이 빠른 예상 소요 시간을 제공하고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통해 카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전자 장치(10)일 수 있으며 단말은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관리자 단말(20)일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전자 장치(10)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를 확인할 수 있다. 스토어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선택 받거나, 또는 관리자 단말(20)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가 스토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스토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각각에 피커 또는 피커 및 배송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전자 장치(10)는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배송원은 물품을 주문자에게 배송하기 위한 자로서, 하나의 스토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이 할당될 수 있다. 배송원 각자는 여러 스토어에 할당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스토어에 전담으로 배정될 수도 있다. 제1 정보는 배송원의 식별자, 스토어에 할당된 배송원의 수, 배송원의 상태 정보 등 배송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숫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단말(40)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원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현재 배송 할당 대기 중인지, 물품의 배송 중인지, 배송 완료 후 스토어로 복귀 중인지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전자 장치(10)는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정보는 스토어의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제2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단계 S704에서 상기 수신한 예상 소요 시간을 제3 정보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는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 소요되었던 시간 정보들을 포함하는 주문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주문 이력을 통해 물품 주문 후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는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고정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소요 시간 정보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2 정보에 따른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을 기초로, 물품 주문 후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제1 정보를 기초로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평균 소요 시간 및 배송원의 수에 기초하여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소요 시간을 수신하여 제2 정보로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배송 출발 시간을 기초로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출발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스토어로의 복귀 시간을 기초로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복귀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고정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배송원이 물품을 픽업하기까지 여유가 있으므로, 제3 정보를 계산하는 데에 있어서, 전자 장치(10)는 주문 후 물품 피킹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고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전자 장치(10)는 제3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정보는 관리자 단말(20)에 제공될 수도 있고, 고객 단말(30) 및 배송원 단말(40)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의 사용자 단말(20)은 도 1에서의 관리자 단말(2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22),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24) 및 프로세서(processor)(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2)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22)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2)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 및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에서 계산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22)는 입력 디바이스(미도시)를 통해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또는 고정 소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2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24)는 스토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지도 정보는 스토어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배송 할당 대기 중, 물품의 배송 중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에 대한 지시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24)는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주문 상태, 예상 소요 시간,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정보 및 작업자 할당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과 시간 정보는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 및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자의 할당 여부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태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24)는 배송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배송 결과 정보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주문 상태, 예상 소요 시간, 총 배송 소요 시간, 배송 완료 시각, 배송원의 예상되는 복귀 시각 및 배송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24)는 스토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계 정보는 주문 관련 통계 정보 및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관련 통계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대비 예상 소요 시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및 계속 중인 주문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 중인 주문 통계 정보는 피킹 대기 중인 주문, 피킹 중인 주문, 배송 대기 중인 주문 및 배송 중인 주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는 피킹 할당 대기 중인 피커의 수, 피킹 중인 피커의 수,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의 수, 배송 중인 배송원의 수 및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의 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지도 정보,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 배송 결과 정보 및 스토어에 대한 통계 정보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6)는 사용자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6)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22) 및 출력 디바이스(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출력되는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전자 장치(10)로부터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 및 스토어의 물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초로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입력 디바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4)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의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토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토어에 관한 주문 별 기 설정된 전체 배송 소요 시간 및 상기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제3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정보를 기초로 제시간 처리율을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시간 처리율은 제1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에 따른 예상 소요 시간 안에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의 비율인 -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의 단말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기 설정된 전체 배송 소요 시간은 상기 스토어의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원의 상태 정보는 배송 할당 대기, 물품의 배송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order)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문 각각에 피커; 또는 피커 및 배송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전체 배송 소요 시간을 상기 제3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상기 평균 소요 시간 및 상기 배송원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물품의 배송 출발부터 고객에게 배송 완료 시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 설정된 시간 정보 및 물품의 배송 완료 시부터 배송원의 스토어 복귀 시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 설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귀 중인 배송원이 없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배송 출발 시간을 기초로 나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출발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중인 배송원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을 상기 스토어로의 복귀 시간을 기초로 나열하는 단계; 및
    상기 복귀 시간이 가장 빠른 배송원에 대하여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피킹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되는,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10.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출력 디바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물품 배송에 관련된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스토어의 물품에 대하여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제시간 처리율을 계산하는 것 - 상기 제시간 처리율은 제1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에 대한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에 따른 예상 소요 시간 안에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의 비율임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상기 스토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 관한 주문 별 기 설정된 전체 배송 소요 시간 및 상기 스토어에 관한 주문 이력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주문 후 물품 배송 완료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 중 현재 근무 중인 배송원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의 단말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기 설정된 전체 배송 소요 시간은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원의 상태 정보는 배송 할당 대기, 물품의 배송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상기 스토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정보는 상기 스토어의 위치에서 제1 범위 이내의 배송 할당 대기 중, 물품의 배송 중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에 대한 지시자(indicator)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행 중인 주문 관련 정보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주문 상태, 예상 소요 시간,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정보 및 작업자 할당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 정보는,
    물품 배송 완료 시간이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 및 상기 주문 정보 수신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 동안 작업자의 할당 여부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배송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결과 정보는,
    주문 식별자, 주문 고객 정보, 배송 관련 주문 상태, 예상 소요 시간, 물품 주문 시부터 물품 배송 완료 시까지의 전체 배송 소요 시간, 배송 완료 시각, 배송원의 예상되는 복귀 시각 및 배송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는 상기 스토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계 정보는, 주문 관련 통계 정보 및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련 통계 정보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 상기 제1 기간 동안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에 대한 상기 예상 소요 시간 안에 배송 완료된 주문 건수의 비율 및 배송 절차가 진행 중인 주문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절차가 진행 중인 주문 통계 정보는 피킹 대기 중인 주문, 피킹 중인 주문, 배송 대기 중인 주문 및 배송 중인 주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관련 통계 정보는,
    피킹 할당 대기 중인 피커의 수, 배송 할당 대기 중인 배송원의 수, 피킹 중인 피커의 수, 배송 중인 배송원의 수 및 상기 스토어로 복귀 중인 배송원의 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토어에 관련된 단말.
KR1020210100998A 2021-07-30 2021-07-30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8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98A KR102380643B1 (ko) 2021-07-30 2021-07-30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21/010747 WO2023008634A1 (ko) 2021-07-30 2021-08-12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110144515A TWI817267B (zh) 2021-07-30 2021-11-30 用於提供關於物品運送之時間資訊的方法及裝置
TW112133013A TW202401352A (zh) 2021-07-30 2021-11-30 用於提供關於物品運送之時間資訊的方法及裝置
KR1020220037309A KR20230018991A (ko) 2021-07-30 2022-03-25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98A KR102380643B1 (ko) 2021-07-30 2021-07-30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09A Division KR20230018991A (ko) 2021-07-30 2022-03-25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43B1 true KR102380643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998A KR102380643B1 (ko) 2021-07-30 2021-07-30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20037309A KR20230018991A (ko) 2021-07-30 2022-03-25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09A KR20230018991A (ko) 2021-07-30 2022-03-25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380643B1 (ko)
TW (2) TWI817267B (ko)
WO (1) WO202300863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97A1 (ko) * 2022-05-09 2023-11-16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배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29083A1 (ko) * 2022-05-26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49149A1 (ko) * 2022-06-23 2023-12-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WO2024005247A1 (ko) * 2022-06-30 2024-01-04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19211A1 (ko) * 2022-07-22 2024-01-25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169A (ja) * 2015-02-23 2016-09-01 南洋アスピレーション株式会社 配送状況管理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42598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분배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1071A (ko) * 2017-03-03 2018-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송원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75814A (ko) * 2019-12-13 2021-06-23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배달원 스케줄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767B1 (ko) * 2019-06-10 2021-10-01 김종완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169A (ja) * 2015-02-23 2016-09-01 南洋アスピレーション株式会社 配送状況管理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42598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분배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1071A (ko) * 2017-03-03 2018-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송원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75814A (ko) * 2019-12-13 2021-06-23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배달원 스케줄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97A1 (ko) * 2022-05-09 2023-11-16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배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29083A1 (ko) * 2022-05-26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49149A1 (ko) * 2022-06-23 2023-12-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WO2024005247A1 (ko) * 2022-06-30 2024-01-04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19211A1 (ko) * 2022-07-22 2024-01-25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634A1 (ko) 2023-02-02
TWI817267B (zh) 2023-10-01
KR20230018991A (ko) 2023-02-07
TW202305730A (zh) 2023-02-01
TW202401352A (zh) 202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43B1 (ko) 물품 배송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0423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rder fulfillment, inventory management, and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to customers
US9928531B2 (en) In store voice picking system
US20170213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gistics management
US110745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sh order fulfilment optimization
US20140279081A1 (en) Mobile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systems for ensuring that a pickup order is freshly prepared when a consumer arrives to pick it up
US108609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webpages with delivery date estimation
KR102390916B1 (ko) 물품 이관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정보 관리 방법
US11195244B2 (en) Operation method for location recommend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94988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20160371606A1 (en) In-store checkout with virtual waiting lines
TW202141373A (zh) 電子設備及其操作方法
US20170316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operations in a retail store
US10535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ocking locations of products having more than one stocking location on a sales floor
KR102389764B1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46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KR102426384B1 (ko) 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2083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CA302350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KR2024000027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TW202414293A (zh) 提供配送資訊之方法及用於其之電子裝置
TW202401316A (zh) 物品搭售管理方法及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