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751A -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751A
KR20230140751A KR1020220039397A KR20220039397A KR20230140751A KR 20230140751 A KR20230140751 A KR 20230140751A KR 1020220039397 A KR1020220039397 A KR 1020220039397A KR 20220039397 A KR20220039397 A KR 20220039397A KR 20230140751 A KR20230140751 A KR 2023014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transmission
antenna unit
radar module
communica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751A/ko
Priority to PCT/KR2023/004284 priority patent/WO2023191545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16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where the road or rail vehicle is only used as transporta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통신 소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와 연결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된다.

Description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RADAR MODULE, RADAR DEVICE AND DETECTING SYSTEM FOR VEHICLE}
실시 예는 레이더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소자와 주요 부품 구성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안테나 성능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는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및 차량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 장치가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레이더 장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탐지한다. 이를 위해, 레이더 장치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차량용 레이더는 장거리용 레이더 장치(LRR; long range radar)와 근거리용 레이더 장치(SRR; short range radar)로 분류될 수 있으며, 장거리용 레이더 장치의 경우 77GHz 대역의 주파수를 주로 사용하고, 근거리용 레이더 장치의 경우 24GHz 대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장거리용 레이더 장치와 근거리용 레이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가 동시에 장거리와 근거리에 배치되는 물체를 탐지하기 위한 FOV(Field Of View)와 탐지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안테나 채널 간의 간격 배치 및 안테나 이득 확보가 필요하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 차량은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차량 내에 부주의로 인하여 유아 방치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릴 때, 상기 레이더 장치를 이용하여 후석의 승객(특히 영유)이 차량 실내에 남아 있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안내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ROA: Rear Occupant Alert)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릴 때, 후석의 승객이 감지되면, 운전석 클러스터 경고 및 경고음을 발생한다. 만약, 운전자가 후석의 영유아를 인지하지 못하고 완전히 하차한 후 도어를 잠그면,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차량 천장에 장착된 레이더 장치를 가동해서 차량 실내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후,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후석 승객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경적음 발생, 비상등 점멸 및 문자 메시지 발송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영유아 방치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151378 B
실시 예는 레이더 모듈의 주요 부품 구성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안테나 성능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는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차량 내의 레이더 모듈의 장착 면적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통신 소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와 연결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소자는,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복수의 송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복수의 수신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의 이격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의 이격 방향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제1 방사체 및 상기 복수의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제1 급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방사체의 이격 방향 및 상기 제1 급전 라인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상기 제3 방향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제2 방사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방사체와 연결된 제2 급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사체의 이격 방향 및 상기 제2 급전 라인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상기 제3 방향이다.
또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30도 내지 45도의 범위의 각도로 회전한 방향이다.
또한, 상기 레이더 모듈은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송신 선로; 및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신 선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신 선로의 각각의 제1 길이는, 상기 복수의 수신 선로의 각각의 제2 길이보다 길다.
또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의 140% 이하이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장치는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이더 모듈; 및 상기 레이더 모듈을 통해 획득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객체의 움직임 여부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단말기 및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레이더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송신 단자 및 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통신 소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기 송신 단자와 연결된 송신 안테나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기 수신 단자와 연결된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는 상기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수신 단자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된다.
실시 예는 레이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레이더 모듈은 통신 소자,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 소자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송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안테나 성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를 가졌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송신 안테나부와 연결되는 송신 선로와,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수신 선로의 길이 차이가 커지고,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를 가졌다. 나아가, 기존에는 상기와 같은 안테나부의 배치 구조에 의해, 기판 상에 상기 송신 및 수신 안테나부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활용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가졌다. 나아가, 기존에는 안테나 배치를 위한 디자인 자유도가 낮고, 이에 따른 설계 용이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선로와 상기 수신 선로 사이의 길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신호 전송 손실의 최소화에 의해, 전체적인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기판 상에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안테나 배치를 위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안테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레이더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송신 선로 및 수신 선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송신 선로와 수신 선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선로 길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실시 예와 비교되는 비교 예의 레이더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은 기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은 기판(10) 상에 배치된 레이더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레이더 모듈은 기판(10) 상에 배치 또는 실장된 통신 소자(2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소자(20)는 통신 칩, 통신 IC, RFIC 등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소자(20)는 상기 기판(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는 상기 레이더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신호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소자(20)는 외부로 전송할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송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는 외부에서 수신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자(20)의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의 평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면의 둘레는 제1 측부(20S1) 및 제2 측부(20S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부(20S1)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면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부(20S1)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면의 둘레 중 기판(10)의 평면에서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과 평행한 직선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부(20S2)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면에서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측부(20S2)는 상기 제1 측부(20S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측부(20S2)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면의 둘레 중 기판(10)의 평면에서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과 평행한 직선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소자(2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는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부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소자(20)는 송신 단자(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소자(20)는 수신 단자(2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단자(21)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기 제1 측부(20S1)에 복수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송신 단자(21)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상기 제1 측부(20S1)에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며 배치된다. 상기 수신 단자(22)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제2 측부(20S2)에 복수 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수신 단자(22)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제2 측부(20S2)에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며 복수 개 배치된다.
또한, 비교 예의 레이더 모듈은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안테나부는 송신 안테나부(30) 및 수신 안테나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안테나부(30)는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부(30)는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안테나부(50)는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부(50)는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는 방사체(31) 및 상기 방사체(31)에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 선로(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은 상기 기판(10) 상에 상기 제2 방향(D2)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의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의 각각을 구성하는 급전 선로(3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는 상기 통신 소자(20)의 제1 측부(20S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는 상기 제2 측부(20S2)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는 방사체(51) 및 상기 방사체(51)에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 선로(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의 배치 방향에 대응된다. 즉,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2 방향(D2)이다.
한편, 레이더 모듈은 상기 통신 소자(20)와 상기 안테나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송 선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와 상기 송신 안테나부(30) 사이에는 송신 선로(4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20)의 각각의 송신 단자(21)와 상기 송신 안테나부(30)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 사이에는 송신 선로(40)가 배치된다.
또한, 통신 소자(20)와 상기 수신 안테나부(50) 사이에는 수신 선로(6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20)의 각각의 수신 단자(22)와 상기 수신 안테나부(50)의 각각의 수신 안테나 사이에는 수신 선로(6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비교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송신 안테나부(30) 및 수신 안테나부(50)가 상기 기판(10) 상에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는 상기 기판(10) 상에서 상기 통신 소자(20), 상기 송신 안테나부(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50)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고, 이에 따른 제품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제품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상기 송신 안테나부(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50)의 사이즈를 줄이는 경우, 이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고, 이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 성능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비교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송신 선로(40) 및 수신 선로(60)를 포함한다. 이때,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수신 선로(60)의 길이와 큰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안테나부(50)는 상기 통신 소자(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송신 안테나부(30)는 상기 수신 안테나부(50) 대비 상기 통신 소자(20)와 멀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수신 선로(60)의 길이와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신호의 송신 특성과 수신 특성에 큰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전체적인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25mm 이상이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26mm 이상이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27mm 이상이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28mm 이상이다. 그리고 레이더 모듈에서의 신호 전송 손실은 상기 송신 선로(40)의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는 신호 전송 손실이 -6dB를 초과하는 수준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레이더 모듈의 송신 안테나부와 수신 안테나부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테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송신 선로의 길이와 수신 선로의 길이가 서로 유사한 수준을 가지도록 하여, 신호 송신 특성과 신호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비교 예 대비 송신 선로의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차량용 감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레이더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때, 실시 예의 레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는 후석 승객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 장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ROA)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In-Cabin Rada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 및 레이더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검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실시 예에서의 레이더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그에 따라 후석 승객 알림(ROA: Rear Occupancy Aler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의 레이더 장치는 후석 승객 알림(ROA: Rear Occupancy Alert)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용 감지 시스템은 차량(200) 및 상기 차량(200) 내에 배치된 레이더 장치인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차량(2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200) 내부에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차량(200)이 특정 상태인 경우, 이에 따른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차량(200)의 시동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 조건에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상기 조건에서 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있는 객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차량 내부에 타겟인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차량(200)의 전자 제어 유닛(ECU)에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200)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상기 정보의 전송에도 차량 제어가 없거나, 상기 감지된 객체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직접적으로 차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제어를 위한 신호로는 차량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차량 계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차량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차량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 ROA)는 레이더 모듈(110), 전원부(120), 제1 통신부(130), 제2 통신부(140), 온도 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110)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110)은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는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안테나는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즉, 레이더 모듈(11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서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11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타겟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11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움직임이 있는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11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생명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더 모듈(110)은 전자기파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타겟, 또는 움직임이 있는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 또는 생명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전원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 또는 단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후석 승객 알림 기능의 활성화 이전에,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20)는 후석 승객 알림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시동이 오프되고, 운전자의 하차가 감지되기 이전까지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시동 오프 및 운전자의 하차가 감지되면, 상기 레이더 모듈(110)에 일정 시간 동안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전력관리부(PMI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통신부(130)는 차량(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통신부(130)는 상기 차량(200)의 EC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통신부(130)는 상기 차량의 내부의 전자 장치들과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13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140)는 기등록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140)는 운전자가 등록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140)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40)는 긴급 신호를 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는 특정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은 온도 센서(15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차량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50)는 후석 승객 알림이 필요한 시점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50)는 레이더 모듈(110)을 통해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된 경우에 차량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차량(200)의 ECU와 통신을 통해 후석 승객 알림 동작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하차가 감지된 시점에, 상기 차량(200)의 ECU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레이더 모듈(11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한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기능 오프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레이더 모듈(11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레이더 모듈(110)의 구동에 따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에 움직임이 있는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객체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부(130)를 통해 차량(200)의 ECU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객체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제2 통신부(140)를 통해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객체의 존재를 알리는 정보와 함께, 온도 센서(150)를 통해 획득된 온도 데이터가 상기 ECU 및 상기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가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울 경우, 상기 객체의 안전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데이터가 상기 ECU 및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비상등 점멸, 계기판 출력, 경적음 발생 등과 같은 차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제어는 상기 제어부(160)의 단독 제어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ECU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정보의 전송 이후에도 차량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의 안전 확보를 위해 단독적으로 차량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차량 제어 시에, 상기 획득한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히터 동작이나 에어컨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차량의 윈도우 열림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레이더 모듈(110)의 배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이더 모듈(110)은 기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0)은 배선을 변경할 수 있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기판으로, 표면에 회로 패턴층들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프린트, 배선판 및 절연 기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모듈(110)은 상기 기판(310) 상에 배치되는 통신 소자(32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소자(320)는 레이더 모듈(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320)는 밀리미터파 RFIC(radio frequency IC) 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신 소자(320)는 레이더 모듈의 안테나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320)는 송신 안테나부(33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송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320)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에서 송신될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소자(320)는 수신 안테나부(350)를 통해 외부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320)는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자(320)는 상기 처리된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객체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자(320)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32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은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의 둘레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부(320S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320S1)는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 중 우측 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부(320S1)는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의 둘레 중 상기 기판(310)의 우측단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1 측부(320S1)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선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1 측부(320S1)에는 송신 단자(3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1 측부(320S1) 인접하게 복수의 송신 단자(32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자(321)는 상기 통신 소자(320)와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또는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자(321)의 개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단자(321)의 개수는 송신 신호의 전송 채널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레이더 모듈의 송신 채널은 제1 내지 제3 송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레이더 모듈의 송신 안테나부(330)는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소자(320)는 3개의 송신 단자(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개의 송신 단자(321)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개의 송신 단자(321)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1 측부(320S1)가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송신 단자(321)가 이격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3개의 송신 단자(321)의 중심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1 측부(320S1)는 상기 제1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1 측부(320S1)에 인접하게 복수의 송신 단자(32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321)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호 이격되며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321)의 중심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의 둘레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부(320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측부(320S2)는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 중 후측(rear side) 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측부(320S2)는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면의 둘레 중 상기 기판(310)의 후측단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2 측부(320S2)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제2 방향(D2)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선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2 측부(320S2)에는 수신 단자(32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2 측부(320S2) 인접하게 복수의 수신 단자(3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자(322)는 상기 통신 소자(320)와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또는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자(322)의 개수는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의 개수 또는 어레이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단자(322)의 개수는 수신 신호의 전송 채널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레이더 모듈의 수신 채널은 제1 내지 제4 수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레이더 모듈의 수신 안테나부(350)는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소자(320)는 4개의 수신 단자(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송신 단자(322)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개의 수신 단자(322)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2 측부(320S2)가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수신 단자(322)가 이격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4개의 수신 단자(322)의 중심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2 측부(320S2)는 상기 제1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 소자(320)의 상기 제2 측부(320S2)에 인접하게 복수의 수신 단자(32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322)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상호 이격되며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322)의 중심을 서로 연결한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더 모듈(110)은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더 모듈(110)은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은 외부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에서 송신 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송신 신호는 객체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상기 객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는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의 수신 신호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각각은 상기 기판(3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각각은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통신 소자의 제1측부에 대응하는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었다. 또한, 비교 예에서의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통신 소자의 제2측부가 배치된 방향인 제2 방향(D2)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는 기판 상에서, 상기 통신 소자,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의 배치 면적이 증가하였고, 배치 공간 활용의 부족으로 인해 레이더 모듈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하였다. 나아가, 비교 예에서는 송신 안테나부와 연결되는 송신 선로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와 연결되는 수신 선로의 길이 차이로 인한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가 상기 통신 소자(32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Θ)로 회전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가 배치되는 방향은, 상기 비교 예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이 아닌 제3 방향(D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각각은,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 사이의 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제1 방향(D1)에서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여 일정 각도(Θ)로 회전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부(3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1 측부(320S1)의 연장 방향 및 송신 단자(321)의 연장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부(3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2 측부(320S2)의 연장 방향 및 수신 단자(32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부(3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1 측부(320S1)의 연장 방향 및 송신 단자(321)의 연장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부(3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연장 방향 또는 배치 방향은 상기 통신 소자(320)의 제2 측부(320S2)의 연장 방향 및 수신 단자(32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통신 소자(320)의 배치 방향과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의 배치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의 배치 방향의 정의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안테나부(33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부(330)는 제1 내지 제3 송신 안테나(TX1, TX2, TX3)를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320)의 송신 단자(321)는 제1 내지 제3 송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는 제1 송신 단자와 연결된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단자와 연결된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단자와 연결된 제3 송신 안테나(TX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가 배치되는 방향, 제2 송신 안테나(TX2)가 배치되는 방향 및 제3 송신 안테나(TX3)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는 각각 서로 동일한 방향인 제3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 각각은 복수의 제1 방사체(331) 및 상기 복수의 제1 방사체(331)와 연결되는 제1 급전 라인(3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안테나(TX1)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를 구성하는 제1 급전 라인(33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송신 안테나(TX2)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를 구성하는 제1 급전 라인(33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송신 안테나(T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를 구성하는 제1 급전 라인(33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는 상기 제3 방향(D3)과 수직한 제4 방향(미도시)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는 서로 다른 감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310) 상에서의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의 배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및 제3 송신 안테나(TX3)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와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의 각각의 제1 방사체들은 상기 제3 방향(D3)과 수직한 제4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의 제1 방사체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및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의 제1 방사체와 상기 제4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TX2)의 제1 방사체는 상기 기판(310) 상에서,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및 상기 제3 송신 안테나(TX3)의 제1 방사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신 안테나부(350)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부(350)는 제1 내지 제4 수신 안테나(RX1, RX2, RX3, RX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소자(320)의 수신 단자(322)는 제1 내지 제4 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는 제1 수신 단자와 연결된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단자와 연결된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단자와 연결된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수신 단자와 연결된 제4 수신 안테나(RX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가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가 배치되는 방향, 제2 수신 안테나(RX2)가 배치되는 방향, 제3 수신 안테나(RX3)가 배치되는 방향 및 제4 수신 안테나(RX4)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수신 안테나(TX4)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송신 안테나(RX4)는 각각 서로 동일한 방향인 제3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수신 안테나(RX4)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가 배치되는 방향 또는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제3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수신 안테나(RX4) 각각은 복수의 제2 방사체(351) 및 상기 복수의 제2 방사체(351)와 연결되는 제2 급전 라인(3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 안테나(RX1)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를 구성하는 제2 급전 라인(35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신 안테나(RX2)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RX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신 안테나(RX2)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RX2)를 구성하는 제2 급전 라인(35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수신 안테나(R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3 수신 안테나(RX3)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수신 안테나(RX3)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3 수신 안테나(RX3)를 구성하는 제2 급전 라인(35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수신 안테나(RX4)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4 수신 안테나(RX4)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방사체들의 이격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수신 안테나(RX4)의 배치 방향은 상기 제4 수신 안테나(RX4)를 구성하는 제2 급전 라인(352)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및 제4 수신 안테나(RX4)는 상기 제3 방향(D3)과 수직한 제4 방향(미도시)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RX1), 제2 수신 안테나(RX2), 제3 수신 안테나(RX3), 제4 수신 안테나(RX4), 제1 송신 안테나(TX1), 제2 송신 안테나(TX2) 및 제3 송신 안테나(TX3)는 각각 상기 제4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 배치 또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방향(D1)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사이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Θ) 회전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90-Θ) 회전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최적의 안테나 설계 조건에 따른 안테나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각도(Θ)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각도(Θ)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와 상기 통신 소자(320) 사이에 배치되는 송신 선로(340)의 길이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와 상기 통신 소자(320) 사이에 배치되는 수신 선로(360)의 최적의 길이 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310) 상에는 송신 선로(340) 및 수신 선로(360)가 배치된다.
상기 송신 선로(340)는 상기 통신 소자(320)의 송신 단자(321)와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선로(340)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에 송신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선로(340)를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선로(340)는 제1 송신 단자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TX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송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선로(340)는 제2 송신 단자와 제2 송신 안테나(TX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송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선로(340)는 제3 송신 단자와 제3 송신 안테나(TX3)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송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선로(36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선로(360)는 제1 수신 단자와 제1 수신 안테나(RX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수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선로(360)는 제2 수신 단자와 제2 수신 안테나(RX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수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선로(360)는 제3 수신 단자와 제3 수신 안테나(RX3)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수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선로(360)는 제4 수신 단자와 제4 수신 안테나(RX4)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수신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송신 선로, 제2 송신 선로, 제3 송신 선로, 제1 수신 선로, 제2 수신 선로, 제3 수신 선로 및 제4 수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Θ)를 결정한다.
상기 각도(Θ)는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3 방향(D3) 사이의 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도(Θ)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도(Θ)가 45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수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가 기존 대비 증가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의 감소 정도가 기존 대비 미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Θ)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각도(Θ)가 30도 미만이면, 상기 제1 내지 제4 수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와,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의 차이의 감소 정도가 기존 대비 미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테나 성능의 향상이 기존과 크게 차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각도(Θ)는 30도 내지 45도 사이의 범위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상기 각도(Θ)는 32도 내지 43도 사이의 범위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상기 각도(Θ)는 33도 내지 42도 사이의 범위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와 수신 안테나부(350)가 상기 각도(Θ)를 기준으로 일정 회전하여 배치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송신 선로(340)의 길이와 수신 선로(36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의 길이는 수신 선로의 길이의 150%를 초과하였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의 길이는 수신 선로의 길이의 160%를 초과하였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의 길이는 수신 선로의 길이의 170%를 초과하였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의 길이는 수신 선로의 길이의 185%를 초과하였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도(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송신 선로(340)의 길이가 상기 수신 선로(360)의 길이의 14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도(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송신 선로(340)의 길이가 상기 수신 선로(360)의 길이의 13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도(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의 길이가 상기 수신 선로(360)의 길이의 120%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3 송신 선로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신 선로의 각각의 길이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신호의 길이를 기존 대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정 각도(Θ) 회전한 상태로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판(310) 상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상기 기판의 평면 영역 중 좌상측 영역과 우상측 영역에 전체적으로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는 안테나 배치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가 확보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안테나 설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350)가 상기 각도(Θ)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기판(310)의 평면 영역 중 좌상측 영역과 우상측 영역에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310)의 좌상측 영역과 우상측 영역의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 구성의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안테나 배치 구조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안테나 설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송신 선로 및 수신 선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송신 선로와 수신 선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선로 길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상기 제1 방향(D1)과 동일한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D2)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28.63mm 정도였고, 수신 선로(50)의 길이는 15.36mm 정도였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40)의 길이는 수신 선로(60)의 길이의 185% 정도의 수준을 가졌다. 이에 따라, 비교 예에서는 상기 수신 선로와 송신 선로의 차이로 인해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졌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의 레이더 모듈은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가 상기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의 사이 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30도 내지 45도 사이의 범위의 각도(Θ)를 회전한 제3 방향(D3)으로 상기 송신 안테나부(330) 및 수신 안테나부(35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송신 선로(340)와 수신 선로(360)의 길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송신 선로(340)의 길이는 22.67mm 정도이고, 수신 선로(360)의 길이는 19.15mm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의 송신 선로(340)의 길이는 상기 수신 선로(360)의 길이의 140% 이하, 130% 이하, 또는 125% 이하, 또는 12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서의 송신 선로의 길이 및 수신 선로의 길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Transmission Loss)은 -6dB 정도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의 송신 선로(340)의 길이 및 수신 선로(360)의 길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은 -4.2dB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안테나 특성 및 성능이 비교 예 대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 예는 레이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레이더 모듈은 통신 소자,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 소자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송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안테나 성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를 가졌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송신 안테나부와 연결되는 송신 선로와,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수신 선로의 길이 차이가 커지고,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를 가졌다. 나아가, 기존에는 상기와 같은 안테나부의 배치 구조에 의해, 기판 상에 상기 송신 및 수신 안테나부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활용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가졌다. 나아가, 기존에는 안테나 배치를 위한 디자인 자유도가 낮고, 이에 따른 설계 용이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선로와 상기 수신 선로 사이의 길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호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신호 전송 손실의 최소화에 의해, 전체적인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기판 상에 송신 안테나부 및 수신 안테나부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에에서는 안테나 배치를 위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안테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은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통신 소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와 연결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는,
    레이더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소자는,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복수의 송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와 연결되는 복수의 수신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의 이격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의 이격 방향에 대응되는,
    레이더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제1 방사체 및 상기 복수의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제1 급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방사체의 이격 방향 및 상기 제1 급전 라인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상기 제3 방향인,
    레이더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제2 방사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방사체와 연결된 제2 급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사체의 이격 방향 및 상기 제2 급전 라인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상기 제3 방향인,
    레이더 모듈.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30도 내지 45도의 범위의 각도로 회전한 방향인,
    레이더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송신 선로; 및
    상기 복수의 수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신 선로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선로의 각각의 제1 길이는,
    상기 복수의 수신 선로의 각각의 제2 길이보다 긴,
    레이더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의 140% 이하인,
    레이더 모듈.
  9.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이더 모듈; 및
    상기 레이더 모듈을 통해 획득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객체의 움직임 여부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단말기 및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레이더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송신 단자 및 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통신 소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기 송신 단자와 연결된 송신 안테나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소자의 상기 수신 단자와 연결된 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는 상기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수신 단자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송신 안테나부 및 상기 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는,
    레이더 장치.
  10. 제9항에 포함된 레이더 장치; 및
    상기 레이더 장치로부터 객체의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차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신호는,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공조기를 제어하는 신호 및 차량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KR1020220039397A 2022-03-30 2022-03-30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KR20230140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397A KR20230140751A (ko) 2022-03-30 2022-03-30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PCT/KR2023/004284 WO2023191545A1 (ko) 2022-03-30 2023-03-30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397A KR20230140751A (ko) 2022-03-30 2022-03-30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751A true KR20230140751A (ko) 2023-10-10

Family

ID=882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397A KR20230140751A (ko) 2022-03-30 2022-03-30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751A (ko)
WO (1) WO20231915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87B1 (ko) * 2012-02-09 2013-12-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레이더 배열 안테나
KR102212876B1 (ko) * 2014-04-28 2021-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장치
KR102378478B1 (ko) * 2015-08-31 2022-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052608B1 (ko) * 2017-11-01 2019-12-05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Fov 확장된 차량용 레이더 센서
KR20200130605A (ko) * 2019-05-10 2020-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이의 생명 보호 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545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328B2 (en) Radar device for an automotive radar system
CN108337662B (zh) 调整从第一移动台到第二移动台的无线通信干扰级的方法
JPH08114667A (ja) レーダーモジュール
US10644412B2 (en) Antenna, antenna module, and vehicle
CN111096002B (zh) 用于调节始于机动车的无线电连接的发射功率的方法、用于机动车的调节装置及具有调节装置的机动车
KR20220123133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US10236587B2 (en) Antenna
KR20100065455A (ko) 차량용 통합 레이더 장치
KR20230140751A (ko)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US10020567B2 (en) Antenna and vehicle having the antenna
KR20230141352A (ko)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US10998635B2 (en) Antenna apparatus and vehicle
US11774569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with a side communication channel
US20220200138A1 (en) Antenna-equipped light bar
EP3891056B1 (en) A saddle riding type vehicle comprising a collision risk reduction system
KR20230116586A (ko) 레이더 모듈, 레이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감지 시스템
KR101827699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2615141B (zh) 用于车辆的被动进入系统
Lind How new active safety systems and always connected vehicles leads to challenges on antenna design and integration in the automotive domain
CN115149247A (zh) 无线通信装置以及车辆
EP4047743A2 (en) Vehicle with optimized system for transceiving data
JP2008126805A (ja) タイヤ状態検出装置
JP2010204032A (ja) 車両用レーダ装置
KR20240070595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CN111342230A (zh) 一种宽水平视场角的汽车毫米波雷达天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