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558A -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558A
KR20230140558A KR1020237021778A KR20237021778A KR20230140558A KR 20230140558 A KR20230140558 A KR 20230140558A KR 1020237021778 A KR1020237021778 A KR 1020237021778A KR 20237021778 A KR20237021778 A KR 20237021778A KR 20230140558 A KR20230140558 A KR 2023014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st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리 구오
치엔시 루
하오루이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5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제어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중계 단말기가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에 있어 계속 자원을 소비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중계 단말기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중계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단말기의 응용이 확대됨에 따라 단말기를 매체로 하는 통신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임의의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를 매개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통신 단말기와 중계 단말기를 예로 들면,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고,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하며, 이때 중계 단말기는 CM(Connection Management, 연결 관리)-connected(연결 완료)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매개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이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도 CM-connected 상태로 전환한 후,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가 더 이상 통신할 필요가 없으면 CM-idle(유휴) 상태 또는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중계 단말기의 상태는 변하지 않고 CM-connected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중계 단말기의 자원이 소비 상태가 되어 자원 활용도가 낮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중계 단말기가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에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중계 단말기의 자원 소비가 절약되므로 중계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이 제공되며, 중계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 단말기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장치가 제공되며, 중계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 단말기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과,
상기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구성된 탈퇴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 및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측면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중계 단말기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 및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측면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저장 매체에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 및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측면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칩이 제공되며, 상기 칩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및/또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칩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중계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측면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중계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측면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은 적어도 다음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모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중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중계 단말기가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에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중계 단말기의 자원 소비가 절약되므로 중계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기는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하는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의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는 단말기, 액세스 네트워크, UPF(User Plane Function, 사용자 평면 기능) 네트워크 요소,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AMF(Access Management Function, 액세스 관리 기능) 네트워크 요소,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세션 관리 기능) 네트워크 요소, PCF(Policy Control Function, 정책 제어 기능) 네트워크 요소, AF(Application Function, 응용 기능) 네트워크 요소, NSSF(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 네트워크 요소,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인증 서버 기능) 네트워크 요소 및 UDM(Unified Data Management, 통합 데이터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단말기는 Uu(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와 액세스 계층 연결을 수행한 후 액세스 계층 메시지를 교환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단말기는 N1(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네트워크 요소와 비액세스 계층 연결을 수행한 후, NAS(None Access Stratum, 비액세스 계층) 메시지를 교환한다. 그 중 AMF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관리 기능을 갖고, SMF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세션 관리 기능을 갖는다. AMF 네트워크 요소는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 외에도 단말기와 SMF 네트워크 요소 간의 세션 관리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도 담당하며, AMF 네트워크 요소는 N11(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S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PCF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정책 관리 기능을 가지며,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과금과 관련된 정책 수립을 담당하고 N7(통신 인터페이스)을 통해 S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또한 PCF 네트워크 요소는 N15(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UPF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평면 기능을 갖고, N6(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N3(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기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SMF 네트워크 요소의 제어 하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U 세션을 구축한다. NSSF 네트워크 요소는 N22(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AUSF 네트워크 요소는 N12(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N13(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UDM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UDM 네트워크 요소는 N8(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N10(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SMF 네트워크 요소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단말기의 상태: 네트워크에 등록된 단말기와 AMF 사이에는 유휴 상태 또는 연결 상태의 두 가지 연결 관리 상태가 있다.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구축된 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AMF와 연결을 구축하여 단말기는 AMF와 NAS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CM-connected 상태이며, AMF도 단말기의 상태를 CM-connected 상태로 표기한다.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단말기는 CM-idle 상태에 진입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AMF 간의 연결도 해제되며, AMF 역시 단말기의 상태를 CM-idle 상태로 표기한다.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중단되고(suspends), 단말기가 CM-connected 상태의 무선 연결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AMF 간의 연결은 계속 유지되며, AMF는 여전히 UE 상태를 CM-connected 상태로 표기한다.
중계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는 Prose(Proximity Services, 근거리 서비스) 능력을 가진 단말기이며, 중계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구축하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 단말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한 후, 중계 단말기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매개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하며,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는 NG(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계층과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12), 중계 단말기(13) 및 통신 단말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단말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장치인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의 이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는 eNodeB 또는 eNB라고 한다. 5G NR-U 시스템에서는 gNodeB 또는 gNB라고 한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지국"에 대한 설명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편의상, 상술한 중계 단말기(13)를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총칭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라 한다.
중계 단말기(13) 및 통신 단말기(14)는 각종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디바이스 및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기(terminal device)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언급한 디바이스들을 총칭하여 단말기라고 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와 중계 단말기(13)는 Uu 인터페이스와 같은 특정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하고, 중계 단말기(13)와 통신 단말기(14)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고급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 시스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WiFi(Wireless Fidelity),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수의 연결을 지원하고 실현하기도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기계 간(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또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등도 지원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1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기, 중계 단말기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401에서,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 및 중계 단말기는 모두 근거리 통신 능력을 구비한다. 통신 단말기와 중계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면 통신 단말기와 중계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능력을 갖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며,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의 연결을 위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통신 단말기가 현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없고 중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스캔으로 획득한 경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중계 단말기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PC5(통신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402에서,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와 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구축을 트리거할 수 있고, 그 다음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기반으로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한다.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브로드캐스트 범위에 위치하고, 중계 단말기가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이미 구축한 경우,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구축 요청을 송신하고, 그 다음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연결 구축 요청에 기초하여 중계 단말기와의 연결을 구축한다. 또한,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한 후,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도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A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중계 단말기가 자신이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중계 단말기는 CM-connected 상태에 진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403에서, 중계 단말기는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404에서,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와 중계 단말기가 단계 201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중계 단말기는 포워딩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구축한다.
상기 중계 단말기는 포워딩 디바이스이다. 중계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통신 메시지를 수신한 후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통신 메시지를 송신한다. 실제로 상기 중계 단말기는 투명한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이며, 통신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상기 중계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401이 402-403 이전에 실행되고 402-403이 단계 404 이전에 실행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401은 402-403 이후에 실행되고 404는 402-403 이전에 실행되거나, 또는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401, 402-403, 404 사이의 선후 실행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405에서, 통신 단말기는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후, 상기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가 속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A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중계 단말기가 자신이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중계 단말기는 CM-connected 상태에 진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한 후,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기반으로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의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상가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 범위를 확장하고, 통신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통신을 실현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4의 실시예는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하여 통신을 구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떠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중계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인 실시예일 수도 있고, 도 4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단말기, 중계 단말기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여기서,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내용 중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501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떠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고, 각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만약 통신 단말기가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다면,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떠나야 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현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 상태에 있으며, 상기 연결 상태는 CM-connected 상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떠나는 것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 번째 경우는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CM-idle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 경우는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중단하고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통신 단말기에 CM-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CM-idle 상태로 전환하고, 이때 상기 통신 단말기는 더 이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지 않는다.
두 번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통신 단말기에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고,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상기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더 이상 통신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연결 상태에 있는 예로 들어 설명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는 먼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해야 하고, 중계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연결 구축 요청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을 통해 중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결 구축 요청에 액세스한 다음 중계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502에서,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로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제어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고,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를 기록하기 때문에,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면, 상기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상기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여, 상기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한다.
503에서,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504에서, 중계 단말기는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다.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 단말기는 수신한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 번째 경우는 중계 단말기가 CM-idle 상태 및/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자원 제어)-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중계 단말기에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며, 중계 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에 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태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되는 상태 전환 동작은 3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1) 중계 단말기는 CM-idle 상태에 진입한다.
(2) 중계 단말기는 RRC-idle 상태에 진입한다.
(3) 중계 단말기는 CM-idle 상태와 RRC-idle 상태에 진입한다.
여기서, 중계 단말기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CM-idle 상태와 RRC-idle 상태로 동시에 진입한다. 또는, 중계 단말기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먼저 RRC-idle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RRC-idle 상태를 기반으로 CM-idle 상태로 전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에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와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인터랙션에 사용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를 제어하여 중계 단말기의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중계 단말기가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므로, 이때 중계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필요가 없다. 이때,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로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는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기반으로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중계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중계 단말기는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한 후,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하고,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중계 단말기로 송신한다.
두 번째 경우는 중계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중계 단말기에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중계 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한다. 또한 이때 중계 단말기는 CM-connected 상태의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중계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 일부에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고,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중계 단말기는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한 후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한 후,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구축하고, 통신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NAS 메시지 인터랙션을 수행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중계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도 6의 실시예와 도 7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고, 도 6과 도 7에서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은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단계 501-504는 통신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을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제한하지 않는다.
두 번째로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할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뿐만 아니라, 중계 단말기 자체도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서비스 전송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떠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세 번째로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예를 들어 설명할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가 서비스 전송이 필요한 경우 중계 단말기는 CM-connected 상태로 전환하고, 이때 중계 단말기가 속한 코어 네트워크와 계속해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 이는 중계 단말기는 더 이상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에 있을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여, 중계 단말기가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에 있어 계속하여 자원을 소비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중계 단말기의 자원 소비를 절약하고 중계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는 제어 모듈(801)과 송신 모듈(802)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801)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한다.
송신 모듈(802)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제어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중계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중계 단말기가 연결 관리 유휴(CM-idle) 상태 및/또는 무선 자원 제어 유휴(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에게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모듈(802)은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중계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에게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801)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통신 단말기가 CM-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801)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통신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수신 모듈(803)과 연결 구축 모듈(804)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803)은 중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구축 모듈(804)은 중계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중계 단말기에 적용된다.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통신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장치는 수신 모듈(1001)과 탈퇴 모듈(10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001)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제어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다.
탈퇴 모듈(1002)은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에게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중계 단말기에게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는 송신 모듈(1003)과 연결 구축 모듈(1004)을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듈(1003)은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구축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구축 모듈(1004)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201), 수신기(1202), 송신기(1203), 메모리(1204) 및 버스(12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1202) 및 송신기(120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메모리(1204)는 버스(1205)를 통해 프로세서(1201)에 연결된다.
메모리(12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12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중계 단말기이다.
또한, 메모리(1204)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도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방법 실시 예들의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상태 전환 방법이 구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칩이 또한 제공되고, 상기 칩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및/또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칩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중계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중계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 예를 구현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완료될 수 있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에 지시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언급된 상기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상기는 본 출원의 선택 가능한 실시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어떠한 수정, 동등한 치환, 개선 등도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 관리 유휴(CM-idle) 상태 및/또는 무선 자원 제어 유휴(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상기 중계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CM-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8. 중계 단말기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CM-idle 상태 및/또는 유휴 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방법.
  12.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장치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계 단말기에 제1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 관리 유휴(CM-idle) 상태 및/또는 무선 자원 제어 유휴(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상기 중계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CM-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7. 제1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결 구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과,
    상기 중계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연결 구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19. 중계 단말기에 적용되는 상태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제어 메시지-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과,
    상기 제1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도록 구성된 탈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CM-idle 상태 및/또는 유휴 RRC-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해제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CM-idle 상태 및/또는 RRC-idle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를 벗어나는 것은,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메시지는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무선 연결 중단 메시지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구축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연결 구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환 장치.
  23.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 및 실행함으로써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24.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 및 실행함으로써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
  25.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 및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태 전환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21778A 2021-02-05 2021-02-05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20230140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75519 WO2022165752A1 (zh) 2021-02-05 2021-02-05 状态转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558A true KR20230140558A (ko) 2023-10-06

Family

ID=8274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778A KR20230140558A (ko) 2021-02-05 2021-02-05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97743B2 (ko)
EP (1) EP4243509A4 (ko)
JP (1) JP2024510071A (ko)
KR (1) KR20230140558A (ko)
CN (2) CN117222054A (ko)
WO (1) WO20221657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210B2 (ja) * 2010-06-24 2013-08-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CN102378329B (zh) * 2010-08-16 2014-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US9363753B2 (en) * 2011-07-19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user equipment relays
KR102039908B1 (ko) * 2013-04-01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을 위한 상태 천이 방법 및 장치
CN106211024A (zh) * 2015-04-10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通信节点
US20180213588A1 (en) * 2015-07-29 2018-07-26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evice-to-device relay procedure
EP3340544B1 (en) * 2015-08-18 2020-01-01 TLV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954282A (zh) * 2016-01-06 2017-07-14 夏普株式会社 Ue上下文管理方法和设备
CN106341877A (zh) * 2016-09-29 2017-01-1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中继设备的状态控制方法、中继设备及通信系统
EP3471457B1 (en) * 2017-04-28 2021-03-10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edt
EP3637940A4 (en) * 2017-08-11 2020-10-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CONNECTING PROCEDURE, APPROPRIATE DEVICE AND SYSTEM
CN109474937A (zh) * 2017-09-08 2019-03-15 索尼公司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设备
CN108541032B (zh) * 2017-09-22 2022-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基站分离架构下的通信方法、功能实体及无线基站
CN109729524B (zh) * 2017-10-31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rrc连接恢复方法及装置
CN109951890B (zh) * 2017-12-21 2022-03-22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数据通信方法、中继节点、终端节点及通信系统
CN110876175B (zh) * 2018-08-31 2021-07-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链路中断的处理方法、中继节点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909297B1 (en) * 2019-01-10 2022-07-06 Signify Holding B.V. Signal-repeater device operable in low-power repeater-operation mode
CN114731568A (zh) * 2019-11-28 2022-07-08 苹果公司 中继用户装备处的访问控制
WO2021133047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통신 ue가 설정 업데이트 시에 원격 ue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WO2021134162A1 (en) * 2019-12-30 2021-07-08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of system information delivery for sidelink relay
CN115553051A (zh) * 2020-03-06 2022-12-30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核心网络处的远程ue控制信息建立
WO2021196216A1 (zh) * 2020-04-03 2021-10-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及存储介质
CN113938903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4079934A (zh) * 2020-08-12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11997642B2 (en) * 2020-11-23 2024-05-28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and paging via UE-to-network r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02953A1 (en) * 2020-11-23 2022-05-2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and paging via ue-to-network r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3509A1 (en) 2023-09-13
US11997743B2 (en) 2024-05-28
EP4243509A4 (en) 2024-01-17
CN116349402A (zh) 2023-06-27
WO2022165752A1 (zh) 2022-08-11
JP2024510071A (ja) 2024-03-06
CN117222054A (zh) 2023-12-12
US20230319945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8254A1 (en) Method of processing network slice based conges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JP2021185690A (ja) 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端末
CN112218354A (zh) 有多个具有改进的暂停/恢复操作的用户身份模块的ue
CN114143871B (zh) 网络连接方法、网络去连接方法及通信装置
US11184812B2 (en) Security contex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27495B2 (en) Common process implement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40034875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EP415684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EP3479614A1 (en) Secure communications
KR20210078482A (ko) 리소스 제어 상태 변경 및 다중 노드 연결의 효율적인 처리
JP7013474B2 (ja) コンテキスト解放方法、機器及びシステム
WO2023213140A1 (zh) 通信方法、资源配置方法、设备、网络节点、系统及介质
KR20230140558A (ko) 상태 전환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JP7459148B2 (ja) Sn rrcメッセージの処理方法、装置、機器および記憶媒体
CN112956222B (zh) 用于用户设备移动性管理和注册的方法和系统
CN114557120A (zh) 侧链路传送连续性
CN114071801A (zh) 一种终端设备的状态指示方法及通信装置
WO202025985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3231032A1 (zh) 非激活态组播业务区域的确定方法、配置方法、及装置
WO2023202503A1 (zh) 通信方法和装置
WO2022252133A1 (zh) 一种安全激活失败后的恢复方法和装置
WO2022147671A1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24067383A1 (zh) 连接建立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231033A1 (zh) 指示信息发送方法、组播业务更新方法、装置及介质
KR20240004289A (ko)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