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514A -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514A
KR20230139514A KR1020220037923A KR20220037923A KR20230139514A KR 20230139514 A KR20230139514 A KR 20230139514A KR 1020220037923 A KR1020220037923 A KR 1020220037923A KR 20220037923 A KR20220037923 A KR 20220037923A KR 20230139514 A KR20230139514 A KR 2023013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joint
band
lateral epicondylitis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최영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514A/ko
Publication of KR2023013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에 착용한 상태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서 외측상과염과 연관된 근육들을 이완시킴으로써 외측상과염 환자의 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키거나 외측상과염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로, 사용자의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글러브부; 상기 글러브부의 외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네 손가락의 손등면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부착되어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굴신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APPARATU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본 발명은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에 착용한 상태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서 외측상과염과 연관된 근육들을 이완시킴으로써 외측상과염 환자의 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키거나 외측상과염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는 외측상과염으로 진단된 환자나 외측상과염의 재발이 염려되는 사람을 위한 보조기구이다.
상과염이란 팔꿈치 관절의 상과 기시부(내, 외측 상과 기시부, 손목을 굴곡 또는 신전하는 근육이 시작되는 지점)에 동통이나 국소 압통이 생기는 증후군을 말하며, 팔꿈치 관절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테니스, 골프 등 팔을 쓰는 운동을 지나치게 하거나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외측상과염을 ‘테니스 엘보’, 내측상과염을 ‘골프 엘보’라고 부른다. 도 1에는 외측상과염이 발생되는 부위가 표시되어 있다. 외측상과염은 팔꿈치의 바깥쪽 돌출된 부위(외측상과, Lateral epicondyle)에 통증과 함께 발생된 염증을 의미한다. 테니스의 백핸드 자세에서 팔꿈치 바깥이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발견된다고 하여 테니스 엘보(Tennis Elbow)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많이 쓰는 팔에 잘 생기며, 테니스와 골프 이외의 다른 운동으로도 많이 발생하고, 컴퓨터 사용자, 주부, 목수, 요리사 등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도 호발한다. 외측상과염이 내측상과염보다 더 흔한데, 외측상과염은 일반 성인 중 1%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며, 내측상과염은 0.1%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
외측상과염은 대부분 급성인 경우가 많고, 손가락 및 손목을 뒤로 젖히는 신전 혹은 신전 저항시 환자는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 저림, 민감한 느낌 등을 호소하며 이러한 통증이 팔꿈치의 바깥쪽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손목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외측상과염의 치료의 원칙은 통증의 조절, 염증 완화, 연부 조직 자연 치유 촉진, 근력 회복, 활동의 복귀로 요약할 수 있다. 대부분 보존적 치료만으로 충분히 회복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식이다. 과하게 근육을 사용하여 힘줄에 반복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면 손상된 힘줄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없으므로 근육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실제 현장에서는 외측상과염의 보존적 치료를 위해 발병 부위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호 밴드 착용이나 테이핑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보호 밴드나 테잎은 발병 부위인 외측상과 부위의 움직임만을 직접적으로 제한할 뿐이어서 그 보존적 치료 및 예방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손에 착용한 상태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에서 외측상과염과 연관된 근육들을 이완시킴으로써 외측상과염 환자의 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키거나 외측상과염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글러브부; 상기 글러브부의 외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네 손가락의 손등면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부착되어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굴신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러브부는 손목 부위와 손등 및 손바닥 부위 그리고 손가락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목 부위에 착용 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부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 밴드; 및 상기 손목 밴드의 손등면 부위에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지선 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목 밴드와 지선 밴드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신 제한부는 상기 지선 밴드 상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모듈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굴신 제한부는, 관절의 굴신 부위를 기준으로 마주하는 양측 마디 부위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 내장되어 고정되는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바닥면이 상기 지선 밴드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이 부착되는 지선 밴드의 부위는 네 손가락의 중수지관절, 근위지관절 및 원위지관절을 중심으로 한 마주하는 양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상기 지선 밴드에 부착된 바닥면 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게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대 포켓 방향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개방된 부위가 밀접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게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이 각각 내장되어 인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 각각 내장되어 인접 배치되는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의 마주하는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관절을 펴는 동작에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의 인력 발생 부위에 의해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고,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서 관절을 중심으로 인접 배치된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이 관절 부위에 배치되는 하부 관절점을 중심으로 호형으로 상부가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하여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 따라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의 인력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만들어 유연한 손가락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며,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더라도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의 하부 관절점이 붙어 있어 해당 관절 부위에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러브부의 손바닥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손바닥 부위까지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손등굽힘 상태로 고정하는 배굴판부;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굴판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굴판부는 손목 관절이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10° 내지 30°의 범위에서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고정 자세를 가지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 상태에서 외측상과염과 연관된 근육들을 이완시킴으로써 외측상과염 환자의 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키거나 외측상과염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손에 착용한 상태로 일상생활과 함께 보존적 치료를 병행할 수 있으며, 혼자서 쉽게 신고 벗길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외측상과염의 발생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외측상과염의 연관 근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의 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신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과 마그넷 그리고 그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의 손가락 관절 굽힘 동작에 따른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굴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굴판부의 배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외측상과염의 연관 근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요측수근신근(짧은노쪽손목폄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은 위팔뼈에서 일어나 손허리뼈에 닿는 아래팔 뒤칸 얕은층의 근육이다. 단요측수근신근은 긴노쪽손목폄근 바로 밑쪽에서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 가쪽근육사이막(lateral intermuscular septum), 팔꿉관절의 노쪽곁인대(radial collateral ligament) 등에서 일어난다. 이후 아래팔의 가쪽을 따라 긴노쪽손목폄근에 덮인 채로 주행한다.
단요측수근신근의 기능은 손목의 폄과 벌림을 일으키며, 손목관절의 폄 및 노쪽(엄지손가락 쪽) 편위를 담당한다. 주먹을 쥐는 동작에서 강하게 작용하고, 같은 작용을 하는 긴노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 ECRL)과는 협동근이며 정반대로 손목을 굽히면서 모으는 대항근은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m.)이다.
한편 총지신근(Extensor Digitorum Communis, EDC)은 위팔뼈에서 일어나 손가락들의 중간마디뼈와 끝마디뼈에 닿는 아래팔 뒤칸 얕은층의 근육으로 손가락 폄을 담당한다.
외측상과염과 연관된 근육은 단요측수근신근(ECRB)과 총지신근(EDC)이 주로 관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의 원리는 단요측수근신근(ECRB)의 메인액션인 손목신전근(wrist extension)을 리지드(rigid)하게 고정시키고 총지신근(EDC)의 메인액션인 손가락신전근(finger extension)을 elastic extension 하는데 있으며, 결과적으로 손가락 움직임을 일부 제한하게 되면 두 근육이 이완(relaxation)되어 외측상과염의 빠른 회복과 재발 예방을 이룰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의 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글러브부(10)와, 상기 글러브부(10)의 외면에서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네 손가락의 손등면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부착되어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는 굴신 제한부(30)와, 상기 글러브부(10)의 손바닥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손바닥 부위까지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손등굽힘 상태로 고정하는 배굴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글러브부(10)는 사용자의 손을 감쌀 수 있도록 연질의 면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드러운 면사를 사용하거나 손을 압박할 수 있는 신축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러브부(10)는 손목 부위와 손등 및 손바닥 부위 그리고 손가락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끼고 벗을 수 있으며 착용 후 착용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손목 부위에 착용 벨트(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러브부(10)는 총지신근(EDC)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엄지 손가락 부위는 감싸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밴드부(20)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 밴드(21)와 이 손목 밴드(21)의 손등면 부위에서 네 손가락의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지선 밴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목 밴드(21)와 지선 밴드(22)는 신축성이 적은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선 밴드(22)는 띠와 같이 얇은 형상을 가지며, 4 가닥으로 분할된 지선 밴드(22)가 각각의 손가락 말단, 보다 정확하게는 손가락 끝 마디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네 가닥으로 분할된 지선 밴드(22)는 엄지를 제외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끝 마디까지 연장형성될 것이다.
상기 굴신 제한부(30)는 상기 지선 밴드(22) 상에 모듈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부착된다.
개별 굴신 제한부(30)는 관절의 굴신 부위를 기준으로 마주하는 양측 마디 부위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과 이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에 내장되어 고정되는 제 1 마그넷(33) 및 제 2 마그넷(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은 바닥면이 상기 지선 밴드(22)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부착되는 지선 밴드(22)의 부위는 네 손가락의 중수지관절, 근위지관절 및 원위지관절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수지관절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중수골과 근위 지골에 각각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근위지관절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근위 지골과 중간 지골에 각각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원위지관절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중간 지골과 말단 지골에 각각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같은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선 밴드(22)에 부착된 바닥면 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게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대 포켓 방향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은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개방된 부위가 밀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게) 제 1 마그넷(33) 및 제 2 마그넷(34)이 각각 내장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는 개별 굴신 제한부(30)의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밀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에 내장된 제 1 마그넷(33) 및 제 2 마그넷(34)은 인력에 의해 붙게 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굽힌 상태에서는 개별 굴신 제한부(30)의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에 내장된 제 1 마그넷(33) 및 제 2 마그넷(34) 역시 떨어지게 될 것이다.
결국 이 굴신 제한부(30)는 네 손가락 내 각 관절의 굴절 움직임을 제한하게 될 것이다. 즉 자력에 의해 착용자의 손은 손가락의 관절을 편 상태로 강제되게 될 것이고 손가락을 굽히더라도 곧 자력에 의해 다시 탄력적으로 손가락의 관절이 펴지는 방향으로 유도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굴신 제한부(30)의 네 손가락에 대한 관절 굴절 움직임의 제한은 외측상과염의 빠른 회복과 재발 예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여기에서 개별 굴신 제한부(30)에서 손가락의 관절 운동에 따라 연동하도록 관절의 굴신 부위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은 인접 배치된다. 그리고 이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에 각각 내장되어 인접 배치되는 제 1 마그넷(33) 및 제 2 마그넷(34)의 마주하는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의 마주하는 면 즉 인력에 의해 당겨져 상대 마그넷에 붙게 되는 결합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이 같은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면 구조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의 결합 부위 즉 인력 발생 부위의 면적을 넓혀 보다 강하게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고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서 관절을 중심으로 인접 배치된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은 관절 부위에 배치되는 하부 관절점(P)을 중심으로 호형으로 상부가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같은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면 구조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켓(31) 및 제 2 포켓(32)의 호형 움직임에 따라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의 상부부터 떨어져나가면서 떼어지게 된다. 이는 결국 착용자가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 따라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의 인력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만들 것이다. 착용자가 손가락을 굽히는 동작은 최초 관절을 굽히기 위해 인력에 의한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의 수직면 결합을 깨는 강한 힘을 준 이후 점차적으로 약한 힘을 주도록 만들어 비록 기구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유연한 손가락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면 구조는 착용자가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더라도 제 1 마그넷(33)과 제 2 마그넷(34)의 하부 관절점(P)이 붙어 있기 때문에 해당 관절 부위에 일정 정도의 펴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관절점(P)의 항시 자력에 의해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고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배굴판부(40)는 상기 글러브부(10)의 손바닥면에 접합되어 손목을 손등굽힘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배굴판부(40)는 단단한 판형의 철재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굴판부(40)는 손목 관절을 중심으로 손목 부위부터 손바닥 부위까지 연장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굴판부(40)는 손목 관절이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굴곡각(θ)이 약 10° 내지 30°정도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고정 자세를 가지게 제작되어 글러브부(10)의 손바닥면에 접합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항시 손목 관절을 손등 방향으로 굽히는 자세를 가지게 되어 단요측수근신근(ECRB)의 메인액션인 손목신전근을 리지드하게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외측상과염의 빠른 회복과 재발 예방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글러브부 11 : 착용 벨트
20 : 밴드부 21 : 손목 밴드
22 : 지선 밴드 30 : 굴신 제한부
31 : 제 1 포켓 32 : 제 2 포켓
33 : 제 1 마그넷 34 : 제 2 마그넷
40 : 배굴판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글러브부;
    상기 글러브부의 외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네 손가락의 손등면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부착되어 관절의 굴절 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굴신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부는 손목 부위와 손등 및 손바닥 부위 그리고 손가락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목 부위에 착용 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 밴드; 및
    상기 손목 밴드의 손등면 부위에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말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지선 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밴드와 지선 밴드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굴신 제한부는 상기 지선 밴드 상에서 네 손가락의 관절 부위 각각에 모듈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개별 굴신 제한부는,
    관절의 굴신 부위를 기준으로 마주하는 양측 마디 부위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 내장되어 고정되는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바닥면이 상기 지선 밴드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이 부착되는 지선 밴드의 부위는 네 손가락의 중수지관절, 근위지관절 및 원위지관절을 중심으로 한 마주하는 양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상기 지선 밴드에 부착된 바닥면 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게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대 포켓 방향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은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개방된 부위가 밀접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게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이 각각 내장되어 인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 및 제 2 포켓에 각각 내장되어 인접 배치되는 제 1 마그넷 및 제 2 마그넷의 마주하는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관절을 펴는 동작에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의 인력 발생 부위에 의해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동작을 유도하고,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서 관절을 중심으로 인접 배치된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이 관절 부위에 배치되는 하부 관절점을 중심으로 호형으로 상부가 밀려나면서 벌어지게 하여 손가락 관절을 굽히는 동작에 따라 수직면 형상의 자력 결합의 인력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만들어 유연한 손가락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며,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더라도 제 1 마그넷과 제 2 마그넷의 하부 관절점이 붙어 있어 해당 관절 부위에 손가락 관절이 펴지는 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부의 손바닥면에 접합되며 손목 부위부터 손바닥 부위까지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손등굽힘 상태로 고정하는 배굴판부;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굴판부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굴판부는 손목 관절이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10° 내지 30°의 범위에서 손등 방향으로 굴곡된 고정 자세를 가지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KR1020220037923A 2022-03-28 2022-03-28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KR20230139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923A KR20230139514A (ko) 2022-03-28 2022-03-28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923A KR20230139514A (ko) 2022-03-28 2022-03-28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514A true KR20230139514A (ko) 2023-10-05

Family

ID=8829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923A KR20230139514A (ko) 2022-03-28 2022-03-28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ditz The biomechanics of a thumb carpometacarpal immobilization splint: design and fitting
US4709694A (en) Glove-like dynamic spli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5413553A (en) Remedial prophylaxis for carpal tunnel syndrome
US20080281242A1 (en) Wrist brace and method for alleviating and preventing wrist pain
KR101892573B1 (ko)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US11044957B2 (en) Wrist guard
CA242208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compressive syndrome conditions
US10765547B2 (en) Wrist brace for protecting integrity of the carpal tunnel
EP2975961A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KR20190081891A (ko) 손가락 운동 보조 장치
JP2016533828A (ja) 特に母指cm関節症の場合の母指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手装具
CA2584839A1 (en) Improved orthotic appliance for carpal tunnel symdrome
US11931284B2 (en) Multi-digit braces and methods of use
JP2006515797A (ja) 協調動的且つ調節可能な手根管症候群用装具
Chan Splinting for peripheral nerve injury in upper limb
CN110325151B (zh) 用于人体关节的保护设备
KR20230139514A (ko)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구
US8568345B2 (en) Digit pad for treating trigger finger and trigger thumb
JP4481934B2 (ja) サポータ
JP3842684B2 (ja) 肘用サポーター
US11039946B2 (en) Non-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JP4761925B2 (ja) サポートウェア
JP6375472B2 (ja) 手袋
KR102496230B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RU209330U1 (ru) Аппарат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с повреждениями ки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