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476A -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476A
KR20230139476A KR1020220037840A KR20220037840A KR20230139476A KR 20230139476 A KR20230139476 A KR 20230139476A KR 1020220037840 A KR1020220037840 A KR 1020220037840A KR 20220037840 A KR20220037840 A KR 20220037840A KR 20230139476 A KR20230139476 A KR 2023013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unit
groove
evaporator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준
김현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476A/ko
Publication of KR2023013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조 장치를 개시한다.
공조 장치는 공조 유닛 및 공조 유닛에 결합되는 블로워 유닛을 포함하고, 공조 유닛은, 공조 케이스,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증발기에 결합되어 증발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블로워 유닛이 공조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증발기에 결합된 센서의 일부분이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된다.

Description

공조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관한 것이다.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증발기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를 지난 공기는 증발기의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에 의해 열교환 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제1 열교환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으며 냉매가 배출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엔진룸에서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열교환부는 제2 열교환부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를 통한 열교환과정에서 증발기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 증발기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증발기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면, 결로 현상에 의해 증발기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가 얼어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증발기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발기의 온도 측정을 위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증발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열교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는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전송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센서는 제1 열교환부에 결합되므로, 부품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 센서를 증발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공조 케이스의 로우 케이스 및 히터 케이스를 분해해야 하는데, 공조 장치가 승객룸 측에 배치되므로, 공조 케이스 분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증발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생긴 응축수가 센서의 센싱부의 외면을 따라 흘러 와이어부에 전달되어 공조 케이스의 외부로 흐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증발기의 열교환 과정에서 생긴 응축수가 센서의 와이어부를 따라 흐르지 않도록 개선된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공조 유닛; 및 상기 공조 유닛에 결합되는 블로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은,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 유닛이 상기 공조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증발기에 결합된 상기 센서의 일부분이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공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조 유닛은 차량의 승객룸 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블로워 유닛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결합되는 센싱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센싱부와 커넥팅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케이스는, 상기 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승객룸으로부터 상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공조 케이스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은 상기 승객룸으로부터 상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홈을 통과하여 일부분이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유닛이 상기 공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 홈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와이어부의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냉매를 전달받으며,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엔진룸에서 상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부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발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열교환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 장치 전체를 분해야지 않고도 용이하게 센서를 증발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의 열교환과정에서 생긴 응축수가 센서의 와이어부를 따라 흐르지 않으므로, 센서의 성능 저하 및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공조 장치의 구성들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블로워 유닛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제1 결합부와 블로워 유닛의 제2 결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가 제1 홈과 제2 홈에 의해 커버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기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기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제1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공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블로워 유닛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제1 돌기와 블로워 유닛의 제2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가 제1 홈과 제2 홈에 의해 커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는 공조 유닛(100) 및 블로워 유닛(200)을 포함한다.
공조 유닛(100)은 블로워 유닛(200)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공조 유닛(100)은 냉매와 같은 열교환매체와 블로워 유닛(200)을 통해 이송된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공조 장치(1)에서 공조 유닛(100)은 차량의 승객룸 측에 배치되며, 블로워 유닛(200)은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로워 유닛(200)은 차량의 보닛(Bonnet) 또는 엔진 후드(Engine hood)를 개방하면 엔진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200)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공조 유닛(100)은 공조 케이스(110), 증발기(120) 및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케이스(110)는 증발기(1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공조 케이스(110)는 블로워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공조 케이스(110)는 노출홀(111), 제1 결합부(112) 및 제1 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홀(111)은 공조 케이스(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노출홀(111)은 공조 케이스(110)의 외면에서 블로워 유닛(200)이 결합되는 측에 해당되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로워 유닛(200)이 공조 유닛(100)에 결합될 경우, 노출홀(111)은 블로워 유닛(200) 및 증발기(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홀(111)은 블로워 유닛(2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노출홀(111)은 제1 결합부(112)의 내면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홀(111)을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출홀(111)의 형상은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노출홀(111)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112)는 노출홀(11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승객룸에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12)는 공조 유닛(100)에 결합되는 블로워 유닛(20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볼로워 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결합부(112)는 블로워 유닛(200)의 후술할 제2 결합부(2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홈(113)은 제1 결합부(11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113)은 제1 결합부(112)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홈(113)에서 승객룸으로부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측의 제1 단부(113a)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130)의 후술할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1 단부(113a)를 통과하여 제1 홈(113)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1 홈(113)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홈(113)에서 엔진룸으로부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측의 제2 단부(113b)(개구된 제1 단부(113a)의 반대 측)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130)의 후술할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2 단부(113b)에 접촉되면,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은 제2 단부(113b)의 반원 형상에 의해 제2 단부(113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증발기(120)(Evaporator)는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20)는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블로워 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20)는 제1 열교환부(121) 및 제2 열교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21)는 제1 관 및 제1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은 냉매가 유입되어 흐르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관은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수의 핀은 블로워 유닛(2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복수의 핀은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복수의 핀을 통과하는 공기는 제1 관을 통해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 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22)는 제2 관 및 제2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은 제1 관에 흐르는 냉매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냉매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관은 열교환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는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수의 핀은 제1 복수의 핀을 통과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2 복수의 핀은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복수의 핀을 통과하는 공기는 제2 관을 통해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 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교환부(122)는 승객룸에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열교환부(121)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열교환부(122)는 공조 케이스(110)의 노출홀(111)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로워 유닛(200)이 공조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경우, 제2 열교환부(122)의 제2 복수의 핀의 일부분은 노출홀(1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센서(130)는 증발기(120)에 결합되어 증발기(12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0)는 센싱부(131), 커넥팅부(132) 및 와이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1)는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증발기(12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싱부(131)는 고정핀(131a), 검출핀(131b) 및 고정핀(131a)과 검출핀(131b)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131c)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핀(131a)과 검출핀(131b)은 지지 블록(131c)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131)는 증발기(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열교환부(122)를 관통하여 제1 열교환부(121)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센싱부(131)의 고정핀(131a)은 제2 열교환부(122)의 제2 복수의 핀을 이루는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131)의 검출핀(131b) 또한, 제2 복수의 핀을 이루는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핀(131b)의 길이는 고정핀(131a)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검출핀(131b)은 센싱부(131)가 증발기(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열교환부(122)를 관통하여 제1 열교환부(121)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검출핀(131b)은 제2 복수의 핀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복수의 핀을 이루는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출핀(131b)은 제1 복수의 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핀(131b)의 길이가 고정핀(131a)의 길이보다 긴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핀(131b)의 길이는 고정핀(131a)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도 있다.
커넥팅부(132)는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와 공조 케이스(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부(132)는 센싱부(131)를 통해 검출된 측정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센싱부(131)와 커넥팅부(132)를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일단이 센싱부(131)의 지지 블록(131c)에 배치되며, 타단은 커넥팅부(13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도체 및 도체의 외면을 둘러싸는 절연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와이어부(133)의 절연체는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133)는 제1 홈(113)에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은 제1 홈(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단부(113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제1 홈(113)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제1 홈(113)에 배치되거나 제1 홈(1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은 제1 홈(113)을 통과하여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공조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1 홈(113)에 수용되면, 와이어부(133)에서 센싱부(131)의 지지 블록(131c)에 배치된 부분은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분은 제1 홈(113)에 의해 공조 케이스(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홈(113)에 통해 노출된 커넥팅부(132)와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에 의해 센서(130)가 증발기(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에 포함된 센서(130)는 제2 열교환기에서 노출홀(111)과 마주보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 의해 응축수가 생길 경우, 바람이 차량의 엔진룸을 향해 불어도 응축수가 센서(130)의 센싱부(131) 및 와이어부(133)를 타고 흐르지 않아 센서(130)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응축수가 센싱부(131)에 접촉되어도 와이어부(133)가 차량의 엔진룸을 향해 부는 바람의 방향과 다른 방향(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응축수가 와이어부(133)를 타고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블로워 유닛(200)(Blower unit)은 공조 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로워 유닛(200)은 공조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조 유닛(10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블로워 유닛(200)은 블로워 모터 및 블로워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블로워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 유닛(200)은 공조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블로워 케이스(210)는 공조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로워 케이스(210)는 노출홀(111)을 사이에 두고 증발기(1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블로워 케이스(210)는 제2 결합부(211) 및 제2 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211)는 블로워 케이스(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결합부(211)는 블로워 케이스(210)에서 공조 케이스(110)의 제1 결합부(112)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1)는 제1 결합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부(211)는 엔진룸에서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11)는 공조 케이스(110)의 제1 결합부(112)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1)는 공조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결합부(211)는 제1 결합부(1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홈(212)은 제2 결합부(21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212)은 제2 결합부(211)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211)가 결합되면, 제1 결합부(112)를 이루는 면 중 제1 홈(113)이 배치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제2 홈(2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212)에서 엔진룸으로부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측의 제3 단부(212a)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130)의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3 단부(212a)를 통과하여 제2 홈(212)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2 홈(212)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212)에서 승객룸으로부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측의 제4 단부(212b)(개구된 제3 단부(212a)의 반대 측)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130)의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제4 단부(212b)에 접촉되면,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은 제4 단부(212b)의 반원 형상에 의해 제4 단부(212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블로워 유닛(200)의 블로워 케이스(210)가 공조 케이스(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홈과 제2 홈(212)은 연통될 수 있다. 제1 홈(113)과 제2 홈(212)의 연통되었을 때 형성되는 형상은 원형상일 수 있다. 이때, 원형상은 정원(正圓, perfect circle)형상 또는 장공(Slot hole)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홈(113)과 제2 홈(212)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1 홈(113)의 제2 단부(113b)는 와이어부(133)의 일측을 커버하고, 제2 홈(212)의 제4 단부(212b)는 와이어부(133)의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211)에 결합에 의해, 와이어부(133)가 제1 홈(113) 또는 제2 홈(212)을 따라 공조 케이스(110) 또는 블로워 케이스(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 유닛(200)이 공조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증발기(120)에 결합된 센서(130)의 일부분이 노출홀(1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공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130)의 센싱부(131)의 지지 블록(131c) 및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노출홀(1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공조 유닛(100)이 차량에 승객룸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블로워 유닛(200)이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보닛(Bonnet)을 열고 블로워 유닛(200)을 공조 유닛(10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노출홀(111)에 의해 센서(130)의 센싱부(131)의 지지 블록(131c) 및 와이어부(133)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113)의 개구된 제1 단부(113a)에 의해 와이어부(133)가 제1 결합부(1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공조 장치(1)는 제1 홈(113)과 제2 홈(212)의 구조에 의해 센서(13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품 수리 용이성 및 부품 교체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공조 장치(1)는 센서(130)가 제2 열교환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출홀(111)에 의해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용이하게 증발기(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부품교체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는 센서(130)의 센싱부(131)가 제2 열교환부(122)를 관통하여 제1 열교환부(121)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130)가 제1 열교환부(121)를 검출하던 검출성능과 대응되는 검출성능을 유지할 수 있므로, 검출의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기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기밀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2)는 기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밀 부재(300)는 센서(130)의 와이어부(133)에 장착될 수 있다. 블로워 케이스(210)가 공조 케이스(110)에 결합되면, 기밀 부재(300)는 제1 홈(113)의 제2 단부(113b)와 제2 홈(212)의 제4 단부(212b)에 접촉될 수 있다. 기밀 부재(300)는 와이어부(133)와 제1 홈(113) 및 제2 홈(212) 사이의 틈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공조 유닛(100)과 블로워 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는 제1 홈(113)의 제2 단부(113b) 및 제2 홈(212)의 제4 단부(212b)에 배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기밀 부재(300)는 제1 홈(113)의 제2 단부(113b)에 배치되는 제1 부재(410)과 제2 홈(212)의 제4 단부(212b)에 배치되는 제2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재(4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재(420)는 제1 부재(4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블로워 케이스(210)가 공조 케이스(110)에 결합되면, 제1 부재(410)의 단부와 제2 부재(420)의 단부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부재(410)과 제2 부재(420)가 접촉되면, 기밀 부재(300)의 내부는 원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부재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는 제1 부재(410) 및 제2 부재(42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기밀 부재(300)는 와이어부(133)와 제1 홈(113) 및 제2 홈(212) 사이의 틈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공조 유닛(100)과 블로워 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포함된 제3 홈 및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예 따른 공조 장치(4)에 포함된 제3 홈(114)은 삽입부(114a)와 홀딩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4a)는 제1 결합부(11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114a)는 제1 결합부(112)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114a)를 따라 와이어부(133)가
홀딩부(114b)는 삽입부(114a)의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홀딩부(114b)는 삽입부(114a)의 단부로부터 홀딩부(114b)가 형성된 방향과 다른 방향(예 :교차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홀딩부(114b)는 차량의 상하 방향(승객룸의 천장면에서 승객룸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부(133)가 홀딩부(114b)에 수용되면, 블로워 유닛(200)이 공조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어도 와이어부(133)가 삽입부(114a)를 따라 공조 케이스(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연장부(213)는 블로워 케이스(210)의 제2 결합부(21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13)는 제3 홈(114)의 삽입부(114a) 및 홀딩부(114b)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연장부(213)는 삽입부(114a)와 홀딩부(114b)의 일부분을 커버하여 공조 유닛(100) 및 블로워 케이스(2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2, 3, 4. 공조 장치
100. 공조 유닛
110. 공조 케이스
120. 증발기
130. 센서
200. 블로워 유닛
210. 블로워 케이스

Claims (15)

  1. 공조 유닛; 및
    상기 공조 유닛에 결합되는 블로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은,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 유닛이 상기 공조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증발기에 결합된 상기 센서의 일부분이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공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공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차량의 승객룸 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되는, 공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블로워 유닛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공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결합되는 센싱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센싱부와 커넥팅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케이스는,
    상기 홀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승객룸으로부터 상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공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케이스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은 상기 승객룸으로부터 상기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공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홈을 통과하여 일부분이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공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측 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공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유닛이 상기 공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 홈과 연통되는, 공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와이어부의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을 커버하는, 공조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냉매를 전달받으며,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엔진룸에서 상기 승객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공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발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열교환부에 접촉되는, 공조 장치.
KR1020220037840A 2022-03-28 2022-03-28 공조 장치 KR20230139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40A KR20230139476A (ko) 2022-03-28 2022-03-28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40A KR20230139476A (ko) 2022-03-28 2022-03-28 공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476A true KR20230139476A (ko) 2023-10-05

Family

ID=8829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840A KR20230139476A (ko) 2022-03-28 2022-03-28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4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13B1 (ko) 팬 코일 유닛
US20120055465A1 (en) Condensate pan with condensate trap
US20060257256A1 (en) Turbulator on the underside of a turbine blade tip turn and related method
EP3236170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20160131430A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5417199A (en) Heating apparatus convertible for upflow or downflow operation
US5379750A (en) Burner mounting assembly for gas furnace
US6732728B2 (en) Air baffle for a heat exchanger
KR20230139476A (ko) 공조 장치
ITTO950278A1 (it) "apparecchio per il raffreddamento di componenti elettrici ed elettro- nici e di batterie in un quadro elettrico."
JPH0771893A (ja) 熱交換器
JPH04169842A (ja) 熱分析装置
US3939906A (en) Air cooled exchanger
JP4089804B2 (ja) Egrクーラ装置
KR20060111974A (ko) 응축수 드레인 구조
JP2009019833A (ja) 空気調和装置
KR102060145B1 (ko) 공기유동 가이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현열교환기
JP2730999B2 (ja) 冷却装置
KR100714439B1 (ko) 냉각 제습시스템용 압축공기 냉각장치
CN215227380U (zh) 热风装置和洗碗机
CN212746690U (zh) 风管机
EP4167697A1 (en) Cooling device for optical and/or electronic elements
CN209857198U (zh) 空调室内机、具有其的空调系统和空气处理系统
JP6887294B2 (ja) 燃焼装置
JPH0579655A (ja) 埋込型空気調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