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309A -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309A
KR20230139309A KR1020230024265A KR20230024265A KR20230139309A KR 20230139309 A KR20230139309 A KR 20230139309A KR 1020230024265 A KR1020230024265 A KR 1020230024265A KR 20230024265 A KR20230024265 A KR 20230024265A KR 20230139309 A KR20230139309 A KR 20230139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inlet
storage cavity
hole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자오치앙 쉬에
루어위 메이
윈 양
웨이강 뤼
위에홍 취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30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오일 필터 장치 및 조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오일 필터 장치는 액체 저장 캐비티가 설치된 오일 분리 메커니즘 - 액체 저장 캐비티에는 액체 유입 채널이 설치되고, 오일 분리 메커니즘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액체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됨 - ; 및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액체 유입 채널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체 - 커버체는 조리 과정에서 유압 작용을 받아 액체 유입 채널을 열어 액체를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시킴 -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오일 필터 효과를 향상시키며 사용자 신체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This application discloses an oil filter device and a cooking device. The oil filter device includes an oil separation mechanism equipped with a liquid storage cavity, wherein the liquid storage cavity is provided with a liquid inlet channel,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s used to separate oil from the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a cover body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o cover the liquid inlet channel - the cover body receives hydraulic action during the cooking process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allow the liquid to flow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Through this method, the oil filter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physical health can be guaranteed.

Description

오일 필터 장치 및 조리 장치{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Oil filter device and cooking device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본 출원은 가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필터 장치 및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the field of home appliance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oil filter devices and cooking devices.

종래 기술에서는 조리기구로 국을 끓인 후 국물에 기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름의 대부분이 국물 표면에 떠 있다. 이는 국물의 맛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신체 건강에도 좋지 않다.In the prior art, after boiling soup with a cooking utensil, the soup contains a lot of oil, and most of the oil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soup. This affects the taste of the soup and is not good for the user's physical health.

본 출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일 필터 장치 및 조리 장치를 제공하여 오일 필터 효과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신체 건강을 보장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n this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oil filter device and a cooking device to improve the oil filter effect and ensure the user's physical health.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오일 필터 장치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상기 오일 필터 장치는 액체 저장 캐비티가 설치된 오일 분리 메커니즘 - 액체 저장 캐비티에는 액체 유입 채널이 설치되고, 오일 분리 메커니즘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액체에 대해 오일 분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 및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액체 유입 채널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체 - 커버체는 조리 과정에서 유압 작용을 받아 액체 유입 채널을 열어 액체를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시킴 - 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is application provides a technical solution of the oil filter device. The oil filter device includes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with a liquid storage cavity - a liquid inflow channel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s used to perform oil separation for the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a cover body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o cover the liquid inlet channel - the cover body receives hydraulic action during the cooking process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allow the liquid to flow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조리 장치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상기 조리 장치는 상술한 오일 필터 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is application provides a technical solution for the cooking device. The cooking device includes the oil filter device described above.

본 출원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오일 필터 장치는 오일 분리 메커니즘을 통해 국물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를 통해 액체 유입 채널을 개폐함으로써 조리 초기 상태(국물에 기름이 생성되지 않거나 소량 생성)에서 국물이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입 채널이 국물 온도가 상승할 때, 특히 끓을 때(국물에 대량의 오일이 생성) 국물을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액체 저장 캐비티로 이송하여 오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오일 분리 효과를 향상시키며 사용자 신체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embodiments of this application are as follows. The oil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eparate oil from broth through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 addi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inflow channel through the cov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soup from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no oil or a small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soup). In addition, the liquid inlet channel can transfer the broth 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to perform oil separation when the broth temperature rises, especially when boiling (a large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broth). Through this method, the oil separa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physical health can be guaranteed.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될 필요가 있는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하의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오일 필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2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 부분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커버체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CC'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리테이너 링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링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DD'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오일 분리 메커니즘과 리테이너 링의 조립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 중 지지대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 실시예에서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실시예에서 지지대의 EE'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2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 중 오일 필터 장치과 지지대의 조립 구조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FF'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GG'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Hereinafter,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is application or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ior art,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need to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briefly introduced.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are only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pertains can obtain other drawings from these drawings without creative efforts.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oil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2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3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BB'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3 embodiment.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artial structure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cover body of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Figure 10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retainer ring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11 is a top view of the retainer ring in the Figure 10 embodiment.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retainer ring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15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support in the cook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4.
Figure 16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in the Figure 15 embodiment.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E' of the support in the Figure 16 embodiment.
Figure 18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oil filter device and the support in the cook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2.
Figure 19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8 embodiment.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FF'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9 embodiment.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GG'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9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마찬가지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창의적 노력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Please note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applica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Likewise,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some examples and not all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l other embodiments obta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out creative effort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본 출원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별도로 명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상호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다. 그 외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 실시예에서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is appl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limited, the terms “interconnection” and “connec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For example, this may be a fixed connection, a detachable connection or an integral connection. It may also be a mechanical or electrical connection. In other cases, it may be a direct connection, or it may be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r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of this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별도로 명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 또는 비스듬한 위에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단순히 제1 특징 레벨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비스듬한 아래에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단순히 제1 특징 레벨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limited, being “above” or “below” the second feature means that the first feature and the second feature are in direct contact, or that the first feature and the second feature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may be indirect contact through this intermediary. Additionally, saying that the first feature is "above", "above", or "on the top" of the second feature may mean that the first feature is directly above or obliquely above the second feature, or simply that the first feature level height is higher than the second feature. It can indicate that it is higher than the characteristics. A first feature being “below”, “below”, or “under” a second feature may mean that the first feature is directly below or obliquely below the second feature, or simply that the first feature level height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cond feature. It may indicate that it is lower than the characteristic.

본 출원은 먼저 오일 필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오일 필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2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 부분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커버체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CC'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리테이너 링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링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실시예에서 커버체의 DD'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 중 오일 분리 메커니즘과 리테이너 링의 조립 구조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오일 필터 장치(도면 미표시)는 오일 분리 메커니즘(11) 및 커버체(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에는 액체 저장 캐비티(도면 미표시)가 설치된다. 액체 저장 캐비티에는 액체 유입 채널(13)이 설치된다.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액체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커버체(12)는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액체 유입 채널(13)을 덮도록 설치된다. 커버체(12)는 조리 과정에서 유압 작용을 받아 액체 유입 채널을 열어 액체를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시킨다.This application first provides an oil filter devic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oil filter device in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2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3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BB'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Figure 3 embodiment.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artial structure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cover body of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Figure 10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retainer ring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11 is a top view of the retainer ring in the Figure 10 embodiment.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the cover bod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retainer ring in the oil filter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oil filter device (not show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il separation mechanism 11 and a cover body 12. Here,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s equipped with a liquid storage cavity (not shown). A liquid inlet channel 13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s used to separate oil from the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cover body 12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is installed to cover the liquid inlet channel 13. The cover body 12 receives hydraulic action during the cooking process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allow the liquid to flow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본 실시예의 오일 필터 장치는 조리 장치의 조리 캐비티 내에 거치한다. 조리 초기 상태에서, 커버체(12)는 액체 유입 채널(13)을 밀봉하여 오일과 물이 분리되지 않은 국물이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국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특히 끓는 과정에서) 조리 캐비티 내 국물이 계속해서 증발하여 수증기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 외부의 국소 압력이 상승하여 액면이 상승한다. 국물 압력이 커버체(12)의 하방 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해지면, 커버체(12)가 들어 올려진다. 이때 액체 유입 채널(13)과 액체 저장 캐비티가 연통되며 오일이 혼합된 국물이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된다.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의 국물에서 오일을 분리한다.The oil filter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mounted within the cooking cavity of the cooking device.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the cover body 12 seals the liquid inlet channel 13 to prevent broth in which oil and water are not separated from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As the broth temperature rises (especially during boiling), the broth in the cooking cavity continues to evaporate, producing water vapor. This causes the local pressure outside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to rise, causing the liquid level to rise. When the broth pressure is sufficient to overcome the downward pressure of the cover body 12, the cover body 12 is lifted. At this time, the liquid inflow channel 13 and the liquid storage cavity are in communication, and the broth mixed with oil flows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separates the oil from the broth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종래 기술과 달리, 본 출원의 오일 필터 장치는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을 통해 국물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12)가 액체 유입 채널(13)을 개폐함으로써 조리 초기 상태(국물에 기름이 생성되지 않거나 소량 생성)에서 국물이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의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입 채널(13)이 국물 온도가 상승할 때, 특히 끓을 때(국물에 대량의 오일이 생성) 국물을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의 액체 저장 캐비티로 이송하여 오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오일 분리 효과를 향상시키며 사용자 신체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the oil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eparate oil from broth through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n addition, the cover body 12 opens and closes the liquid inflow channel 13 to prevent soup from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no oil or a small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soup). there is. In addition, the liquid inlet channel 13 can transfer the broth 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to perform oil separation when the broth temperature rises, especially when boiling (a large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broth). Through this method, the oil separa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physical health can be guaranteed.

본 출원의 액체 유입 채널은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 또는 측벽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 본 출원의 액체 유입 채널이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Note that the liquid inlet channel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wall or side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liquid inlet channel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은 측벽(도면 미표시) 및 측벽과 연결된 바닥벽을 포함하는 오일컵일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벽과 액체 저장 캐비티를 형성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형상을 제한하지 않으며, 액체 저장 캐비티에 꼭대기벽 또는 상부 커버 등을 설치한 구조일 수 있다.Here,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of this embodiment may be an oil cup including a side wall (not shown) and a bottom wall connected to the side wall. The side wall forms a liquid storage cavity with the bottom wall. Of course, in other embodiments, the shape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s not limited, and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top wall or an upper cover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체 저장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1 액체 유출공(a) 및 제2 액체 유출공(b)이 설치된다. 제1 액체 유출공(a)은 제2 액체 유출공(b)과 액체 저장 캐비티를 연통시킨다. 여기에서 제1 액체 유출공(a)과 바닥벽 사이 거리(d1)는 제2 액체 유출공(b)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d2)보다 작다.Optionally, as shown in FIGS. 1 and 4, a first liquid outlet hole (a) and a second liquid outlet hole (b) ar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liquid outlet hole (a)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b) and the liquid storage cavity. Her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liquid outlet hole (a) and the bottom wall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b) and the bottom wall.

본 실시예의 제1 액체 유출공(a)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d1)가 제2 액체 유출공(b)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d2)보다 작으므로, 국물 중의 오일(액면에 부유)이 제1 액체 유출공(a)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국물 중에서 물 등의 성분(오일 아래에 위치)이 제1 액체 유출공(a) 및 제2 액체 유출공(b)으로부터 유출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Sinc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liquid outflow hole (a) and the bottom wall in this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second liquid outflow hole (b) and the bottom wall, the oil in the broth (floating on the liquid surface) It can be ensured that the first liquid does not leak from the outflow hole (a). In addition, it can be ensured that components such as water (located below the oil) in the soup flow out from the first liquid outlet hole (a) and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b).

구체적으로, 액체 저장 캐비티의 측벽은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형 측벽(101)을 포함한다. 링형 측벽(101)에는 제2 액체 유출공(b)이 설치된다. 액체 저장 캐비티의 측벽은 링형 측벽(101) 내에 설치된 차단판(10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102)은 제2 액체 유출공(b)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바닥벽과의 사이에 제1 액체 유출공(a)을 형성한다. 차단판은 오일을 차단하고 국물 중에서 물 등의 성분을 제1 액체 유출공(a)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데 사용된다.Specifically, the side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includes a ring-shaped side wall 101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A second liquid outlet hole (b) is installed in the ring-shaped side wall 101. The side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late 102 installed within the ring-shaped side wall 101. The blocking plate 102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b) and forms a first liquid outlet hole (a) between it and the bottom wall. The blocking plate is used to block oil and allow components such as water in the broth to flow out from the first liquid outflow hole (a).

액체 저장 캐비티 내의 국물이 일정량에 도달하면 차단판(102)을 우회하여 액체 저장 캐비티에서 유출된다. 오일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대부분 액면 근처에 부유하며, 액체 저장 캐비티 내의 국물은 바닥부로부터 유출된 것이다. 따라서 오일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남는다. 이러한 순환의 반복을 통해 오일을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집중시켜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목적을 달성한다.When the broth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reaches a certain amount, it bypasses the blocking plate 102 and flows out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Because the density of oil is less than that of water, it mostly floats near the liquid surface, and the broth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flows out from the bottom. The oil therefore remains with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hrough repetition of this cycle, the purpose of separating oil and water is achieved by concentrating the oil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적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d1 범위는 0.8 내지 5.2mm이다. 예를 들어, 0.8mm, 1mm, 2mm, 3mm, 4mm, 5mm 및 5.2mm이다. 이는 국물이 즉시 유출되며 오일을 최대한 적게 가져가도록 보장할 수 있다. d2와 d1 사이의 차이값 범위는 4 내지 55mm이다. 예를 들어 4mm, 5mm, 10mm, 20mm, 30mm, 40mm, 50mm 및 55mm 등이다. 이는 액체 저장 캐비티에 오일을 저장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For the application scenario, the d1 range of this embodiment is 0.8 to 5.2 mm. For example, 0.8mm, 1mm, 2mm, 3mm, 4mm, 5mm and 5.2mm. This will ensure that the broth flows out immediately and takes as little oil as possible. The difference value range between d2 and d1 is 4 to 55 mm. For example, 4mm, 5mm, 10mm, 20mm, 30mm, 40mm, 50mm and 55mm. This can ensure sufficient space to store oil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선택적으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에는 액체 유입공(61) 및 액체 유입공(61) 외주에 설치된 제1 걸림 결합부가 설치된다. 제1 걸림 결합부는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액체 유입공(61) 및 제1 걸림 결합부로 둘러싸인 의 주위 공간은 액체 유입 채널을 형성한다.Optionally, as shown in FIGS. 1, 2, 3, and 6,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is provided with a liquid inlet hole 61 and a first catch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joint is installed.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the liquid inlet hole 61 and the surrounding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form a liquid inlet channel.

구체적으로, 제1 걸림 결합부는 액체 유입공(61) 외부를 둘러싸는 제1 차단판(62)을 포함한다. 제1 차단판(62)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된다. 액체 유입공(61) 및 제1 차단판(62)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액체 유입 채널을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blocking plate 62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first blocking plate 62 is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space surrounded by the liquid inlet hole 61 and the first blocking plate 62 forms a liquid inlet channel.

국물은 액체 유입공(61)으로부터 액체 저장 캐비티로 유입되고, 제1 차단판(62)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따라 유동한다.The broth flows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from the liquid inlet hole 61 and flows along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blocking plate 62.

선택적으로, 도 1,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버체(12)는 커버 본체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는 액체 유입공(61)을 덮도록 설치되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매칭되도록 설치된다.Optionally, as shown in FIGS. 1, 7, 8 and 9, the cover body 12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ver body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The cover body is installed to cover the liquid inlet hole 61, and the first fastener and the second fastener are installed to match.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커버체는 커버판(121) 및 커버판(121)으로부터 액체 유입공(6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부(122)를 포함한다. 제2 체결부는 커버판(121)으로부터 액체 유입공(6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판(123)을 포함한다. 링부(122)는 액체 유입공(61) 내에 내장된다. 제2 차단판(123)과 제1 차단판(62)은 액체 유입공(61)의 축방향을 따라 치합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cover body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ver plate 121 and a ring portion 122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121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second fastening part includes a second blocking plate 123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121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ring portion 122 is built into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and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re installed in engagem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커버판(121)은 링부(122) 및 제2 차단판(123)과 일체로 성형된다.The cover plate 1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링부(122)는 커버체(12)가 액체 유입공(61) 축방향을 따르도록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초기 상태에서 액체 유입공(61)을 밀봉할 수도 있다. 제2 차단판(123)과 제1 차단판(62)은 액체 유입공(61)의 축방향을 따라 치합 설치된다. 이는 제2 차단판(123)이 조리 초기 상태에서 제1 차단판(62)의 주위에 형성된 액체 유입 채널 부분을 밀봉한다.The ring portion 122 not only serves to guide the cover body 1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but also seals the liquid inlet hole 61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and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re installed in engagem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is means that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seals the portion of the liquid inflow channel formed around the first blocking plate 62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에는 반경이 상이하고 링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1 차단판(62)이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차단판(62)은 내장된다(반경이 큰 제1 차단판(62)은 반경이 작은 제1 차단판(62)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됨). 커버체(12)는 반경이 상이하고 링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차단판(123)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차단판(123)은 내장된다(반경이 큰 제2 차단판(123)은 반경이 작은 제2 차단판(123)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됨). 이러한 구조는 커버체(12)의 액체 유입 채널에 대한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Op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lates 62 having different radii and installed in a ring shape are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lates 62 are built in (the first blocking plate 62 with a large radius is instal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62 with a small radius). The cover body 12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plates 123 having different radii and installed in a ring shape.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plates 123 are built in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with a large radius is instal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with a small radius). This structure can improve the sealing effect on the liquid inlet channel of the cover body 12.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인접하게 설치된 제1 차단판(62)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제1 차단판(62)에는 홈 또는 통공이 설치되어 인접하게 설치된 갭을 연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액체 유입공(61), 제1 차단판(62) 사이의 갭 및 제1 차단판(62) 상의 홈 또는 통공은 액체 유입 채널을 형성한다.Op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plates 62 installed adjacently. A groove or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nd is used to communicate adjacent gaps.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gap between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nd the groove or through hole on the first blocking plate 62 form a liquid inlet channel.

또한 인접하도록 설치된 제1 차단판(62) 상의 홈 또는 통공은 엇갈리게 설치된다. 액체 유입공(61)을 열면 국물이 해당 갭 및 해당 홈 또는 통공을 거쳐 유통된다. 액체 유입공(61)을 밀봉하면, 엇갈린 홈 또는 통공이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ooves or holes on the adjacent first blocking plates 62 are installed in a staggered manner. When the liquid inlet hole 61 is opened, the broth flows through the gap and the groove or hole. When sealing the liquid inlet hole 61, staggered grooves or through holes can improve the sealing effect.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제1 차단판(62)은 액체 유입공(61) 반경 방향을 따르는 크기가 바닥벽으로부터 커버판(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감소한다. 제2 차단판(123)은 액체 유입공(61) 반경 방향을 따르는 크기가 커버판(121)으로부터 바닥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감소한다. 이러한 구조는 순조로운 조립을 전제로 인접한 제1 차단판(62) 사이의 갭 및 인접한 제2 차단판(123) 사이의 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체(12)의 액체 유입 채널에 대한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Optionally, the siz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62 in this embodimen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wall toward the cover plate 121. The siz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cover plate 121 toward the bottom wall. This structure can reduce the gap between adjacent first blocking plates 62 and the gap between adjacent second blocking plates 123 on the premise of smooth assembly. Therefore, the sealing effect on the liquid inlet channel of the cover body 12 can be improved.

여기에서 제2 차단판(123) 측표면과 커버판(121) 표면의 협각(r)은 90° 내지 9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90°, 91°, 92°, 93°, 94° 및 95° 등일 수 있다. 제1 차단판(62) 측표면과 바닥벽 표면의 협각(r)은 90° 내지 9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90°, 91°, 92°, 93°, 94° 및 95° 등이며, 바닥벽의 표면은 커버판(121) 표면과 평행하다.Here, the included angle (r)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and the surface of the cover plate 121 may be 90° to 95°. For example, it may be 90°, 91°, 92°, 93°, 94°, and 95°. The included angle (r)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nd the bottom wall surface may be 90° to 95°. For example, 90°, 91°, 92°, 93°, 94° and 95°, etc., and the surface of the bottom wall i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over plate 121.

선택적으로,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차단판(62)은 액체 유입공(61)의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는 보스(6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오일 필터 장치는 리테이너 링(14) 및 스프링(15)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리테이너 링(14)은 제1 링부(122)의 커버판(121)에서 먼 일단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스프링(15)은 제1 링부(122)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또한 일단은 리테이너 링(14)과 연결되고, 타단은 커버체(12)가 액체 유입 채널을 밀봉할 때 보스(63)와 맞닿는다.Optionally, as shown in FIGS. 1 to 13, the first blocking plate 62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oss 63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oil filter device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etainer ring 14 and a spring 15. Here, the retainer ring 14 is installed to cover the outer end of the first ring portion 122 away from the cover plate 121. The spring 15 is instal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ring portion 122. Also,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tainer ring 14, and the other e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ss 63 when the cover body 12 seals the liquid inlet channel.

제1 링부(122)는 커버판(121)에서 먼 일단에 제1 고정부(도면 미표시)가 설치된다. 리테이너 링(14)의 내벽에는 제2 고정부(도면 미표시)가 설치된다. 제1 고정부는 제2 고정부와 매칭되어, 리테이너 링(14)을 링부(122)와 고정 설치한다.A first fixing part (not shown)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ring part 122 farthest from the cover plate 121. A second fixing part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tainer ring 14. The first fixing part is match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retainer ring 14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ring part 122.

리테이너 링(14)은 링부(122)와 고정 설치된다. 스프링(15)의 일단은 리테이너 링(14)과 고정 설치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15)은 커버체(12)에 대해 바닥벽 방향을 향한 작용력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체(12)가 스프링(15)의 작용력을 통해 하방 압력을 가하여 액체 유입 채널을 밀봉하게 된다.The retainer ring 14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ring portion 122. One end of the spring 15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retainer ring 14. Because of this, the spring 15 has an acting force toward the bottom wall with respect to the cover body 12. Accordingly, the cover body 12 applies downward pressure through the action force of the spring 15 to seal the liquid inlet channel.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리테이너 링(14)에는 액체 유입공(61) 축방향을 따르는 통공(141)이 설치된다. 액체는 유압 작용 하에서 통공(141)을 통해 커버체(12)로 배출되어, 커버체(12)가 액체 유입 채널과 분리된다.Optionally, the retainer ring 14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41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The liquid is discharged into the cover body 12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under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cover body 12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inlet channel.

리테이너 링(14) 상의 통공(141)은 국물에 상승 채널을 제공한다. 통공(141) 직경(d3) 범위는 0.8 내지 5.2mm이다. 예를 들어 0.8mm, 1mm, 2mm, 3mm, 4mm, 5mm 및 5.2mm 등이다. 이는 충분한 유량을 보장하는 동시에 육류 덩어리 음식물이 통공(141) 내에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pertures 141 on retainer ring 14 provide an upward channel for the broth. The diameter (d3) of the through hole 141 ranges from 0.8 to 5.2 mm. For example, 0.8mm, 1mm, 2mm, 3mm, 4mm, 5mm and 5.2mm. This can ensure a sufficient flow rat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meat chunks from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41 and clogging it.

끓는 과정에서 조리 장치 내의 국물이 계속 증발하여 수증기를 생성한다. 이는 액체 저장 캐비티 하부에 국소 압력을 상승시켜 액면을 상승시킨다. 국물 압력이 스프링(15) 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면, 커버체(12)가 들어 올려진다. 이때 액체 유입 채널이 열리고 오일을 함유한 국물이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된다. 끓는 것을 정지시키면, 스프링(15) 작용력 하에서 커버체(12)가 액체 유입 채널이 밀봉되도록 하방 압력을 가한다. 이를 통해 액체 저장 캐비티 내의 국물이 직접 환류되어 오일 환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다.During the boiling process, the broth in the cooking device continues to evaporate and generate water vapor. This increases the local pressure at the bottom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raises the liquid level. When the broth pressure is sufficient to overcome the spring 15 pressure, the cover body 12 is lifted. At this time, the liquid inlet channel opens and the oil-containing broth flows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When boiling is stopped, the cover body 12 under the force of the spring 15 exerts downward pressure so that the liquid inlet channel is sealed. This prevents the broth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from directly refluxing and causing oil reflux.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나사산 등의 고정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have a fixing structure such as a screw thread.

본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는 오일이 수면에 부유하는 특성 및 국물이 끓어 액면이 상승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U형 오일 필터 채널을 설계하였다. 이는 국물을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중심으로부터 상승하여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시키며, 차단판(102)을 거쳐 여과하고 환류시킨다. 따라서 오일을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집중시켜 오일 필터의 목적을 달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il filter device was designed as a U-shaped oil filter channel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oil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liquid level rising as soup boils. This causes the broth to rise from the center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and enter the liquid storage cavity, where it is filtered and refluxed through the shutoff plate 102.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oil filter is achieved by concentrating the oil within the liquid storage cavity.

본 실시예의 오일 필터 장치는 스프링(15)의 작용력을 통해 커버체(12)를 아래로 가압한 다음 일정한 액체 유입 채널(제1 차단판(62)과 액체 유입공(61))을 매칭시켜 국물의 단방향 유통을 구현한다. 끓을 때 액체 유입 채널이 결려 국물이 오일 분리 메커니즘(11) 중심으로부터 상승한다. 끓는 것을 정지하면, 커버체(12)가 하방 압력을 가해 액체 유입공(61)을 밀봉시킨다. 따라서 액체 저장 캐비티 내의 국물이 직접 액체 유입공(61)으로부터 환류하여 오일 환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oil filter device of this embodiment presses the cover body 12 downward through the action force of the spring 15, and then matches a certain liquid inflow channel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nd the liquid inlet hole 61) to filter the soup. Implements one-way distribution of When boiling, the liquid inlet channel is blocked and the soup rises from the center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When boiling stops, the cover body 12 applies downward pressure to seal the liquid inlet hole 61. Therefore, it prevents the broth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from flowing back directly from the liquid inlet hole 61 and causing oil return.

선택적으로, 제2 차단판(123)과 제1 차단판(62) 사이의 측방향 갭은 0.04 내지 0.31mm이다. 예를 들어, 0.04mm, 0.05mm, 0.1mm, 0.2mm, 0.3mm 및 0.31mm이며, 비교적 우수한 밀봉 효과와 조립 신뢰성을 구현한다.Optionally, the lateral gap between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and the first blocking plate 62 is 0.04 to 0.31 mm. For example, 0.04mm, 0.05mm, 0.1mm, 0.2mm, 0.3mm and 0.31mm, which achieve relatively good sealing effect and assembly reliability.

제1 차단판(62)과 커버판(121) 사이의 갭은 0.15 내지 2.1mm이다. 예를 들어 0.15mm, 0.2mm, 0.7mm, 1mm, 2mm 및 2.1mm이며, 제2 차단판(123)의 바닥부가 바닥벽과 가압되도록 보장하여 밀봉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first blocking plate 62 and the cover plate 121 is 0.15 to 2.1 mm. For example, they are 0.15mm, 0.2mm, 0.7mm, 1mm, 2mm and 2.1mm, and the seal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ensuring that the bottom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123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wall.

본 실시예에 언급된 밀봉 구조는 기계적 구조와 압력 매칭을 통해 밀봉한다. 실리카겔, 고무 등 밀봉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솥 내에 방치되어 식품과 접촉하는 재료가 모두 식품 등급 금속 재료가 되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식품 위생 안전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개선한다.The sealing structure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seals through mechanical structure and pressure matching. Since there is no need for sealing materials such as silica gel or rubber, it ensures that all materials left in the pot and in contact with food are food-grade metal materials. Therefore, it improves food hygiene safety and improves user experience.

본 출원은 조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4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 중 지지대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 실시예에서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실시예에서 지지대의 EE'를 따르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2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 중 오일 필터 장치과 지지대의 조립 구조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FF'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 실시예에서 조립 구조의 GG'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도면 미표시)는 오일 필터 장치(20) 및 솥체(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오일 필터 장치(20)는 솥체(30) 내에 설치되어, 솥체(30) 내의 국물에서 오일을 여과하는 데 사용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provides a cooking device. As shown in FIGS. 14 to 21, FIG.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15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support in the cook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4. Figure 16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in the Figure 15 embodiment.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E' of the support in the Figure 16 embodiment. Figure 18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oil filter device and the support in the cook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2. Figure 19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8 embodiment.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FF'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9 embodiment.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GG' of the assembled structure in the Figure 19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ooking device (not shown) includes an oil filter device 20 and a cooking pot 30. Here, the oil filter device 20 is installed in the pot body 30 and is used to filter oil from the broth in the pot body 30.

오일 필터 장치(20)의 구조와 작동 원리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oil filter device 20 can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will not be repeated here.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은 바닥벽으로부터 액체 저장 캐비티에서 먼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부(도면 미표시)를 더 포함한다. 조리 장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40)는 조리 장치의 솥체(30) 내에 설치되며, 고정부와 고정 연결되어 오일 필터 장치(20)를 솥체(30) 내에 고정시킨다.Optionally,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xtur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toward a side away from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coo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upport 40. The support 40 is installed in the cooker body 30 of the cooking device,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o fix the oil filter device 20 in the cooker body 30.

선택적으로, 지지대(40)는 바닥판(도면 미표시)과 링형 측벽(도면 미표시)을 포함한다. 바닥판에는 통공(도면 미표시)이 설치된다. 오일 분리 메커니즘(11) 상의 고정부는 해당 통공 내에 설치되며,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의 액체 유입 채널의 액체 유입공(61)은 해당 통공과 연통된다. 오일 분리 메커니즘(11) 상의 고정부는 나사산 구조일 수 있다. 통공 내에는 나사산이 설치되며, 오일 분리 메커니즘(11)과 통공은 나사산 구조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Optionally, support 40 includes a bottom plate (not shown) and a ring-shaped side wall (not shown). A through hole (not shown in the drawing) is installed in the floor plate. The fixing part on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liquid inlet hole 61 of the liquid inlet channel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The fixing portion on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may be of a threaded structure. A thread is installed within the hole,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and the hole are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thread structure.

선택적으로, 지지대(40)의 바닥판은 중심에만 상기 통공이 있으며, 국물이 위로 흐르는 데 사용된다. 바닥판의 나머지 영역은 연속적인 곡면 또는 평면이다. 또한 바닥판은 액체 저장 캐비티를 향해 돌출된 구조이다. 바닥판의 중심 영역 높이는 에지 영역의 높이보다 높아 국물이 끓을 때 중심에 가까워져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모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Optionally,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40 has the aperture only in the center and is used for the broth to flow upward. The remaining area of the base plate is a continuous curved or flat surface. Additionally, the bottom plate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toward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height of the center area of the bottom plat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dge areas, which helps ensure that when the broth boils, it gathers closer to the center and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선택적으로, 지지대(40)의 바닥판의 직경(d4)은 솥체(30)의 내경보다 약 1 내지 10mm 작다. 따라서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을 거쳐 여과된 국물이 환류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국물이 측벽으로부터 너무 많이 상승하여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을 통과하는 국물 비율이 충분하지 않아 오일 필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ptionally, the diameter d4 of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40 is about 1 to 10 mm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ot body 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roth filtered through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s reflux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il filter effect from deteriorating because the broth rises too much from the side wall and the proportion of broth passing through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is not sufficient.

선택적으로, 지지대(40)는 링형 측벽(도면 미표시)을 더 포함한다. 링형 측벽 상에는 통공이 설치되어, 오일 분리 메커니즘(11)에서 여과된 국물이 솥체(30) 내로 환류되기가 용이하다.Optionally, the support 40 further includes a ring-shaped side wall (not shown). A through hole is provided on the ring-shaped side wall, so that the broth filtered by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11 can easily be refluxed into the pot body 30.

지지대(40)의 링형 측벽은 바닥판에서 먼 일단이 액체 유입 채널의 액체 유입공(6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액체 저장 캐비티에서 먼 측벽을 향해 고정부가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는 솥체(30) 내의 범프 상에 랩 조인트된다. 또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대(40)의 바닥판은 솥체(30)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ring-shaped side wall of the support 40 has one end farthest from the bottom plate and a fixed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ide wall farthest from the liquid storage cavit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61 of the liquid inlet channel. The fixing portion is lap jointed on a bump in the pot body 30. Additionally, to improve stability,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pot body 30.

본 실시예에서 오일 필터 장치(20)와 지지대(40) 사이의 고정, 리테이너 링(14)과 커버체(12) 사이의 고정은 모두 나사산 매칭 방식을 채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xation between the oil filter device 20 and the support 40 and the fixation between the retainer ring 14 and the cover body 12 all adopt the thread matching method.

본 출원에 언급된 오일 필터 장치는 그 고정 구조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냅핏, 나사, 서클립 등 다른 고정 구조가 있다.The oil filter device mentioned in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in its fixing structur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are other fastening structures, for example snap fits, screws, and circlips.

본 실시예의 조리 장치는 전기밥솥, 찜솥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cook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be an electric rice cooker, a steamer, etc., an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종래 기술과 달리, 본 출원의 오일 필터 장치는 액체 저장 캐비티가 설치된 오일 분리 메커니즘 - 액체 저장 캐비티에는 액체 유입 채널이 설치되고, 오일 분리 메커니즘은 액체 저장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액체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됨 - ; 및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액체 유입 채널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체 - 커버체는 조리 과정에서 유압 작용을 받아 액체 유입 채널을 열어 액체를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시킴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오일 필터 장치는 오일 분리 메커니즘을 통해 국물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를 통해 액체 유입 채널을 개폐함으로써 조리 초기 상태(국물에 기름이 생성되지 않거나 소량 생성)에서 국물이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입 채널이 국물 온도가 상승할 때, 특히 끓을 때(국물에 대량의 오일이 생성) 국물을 오일 분리 메커니즘의 액체 저장 캐비티로 이송하여 오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오일 분리 효과를 향상시키며 사용자 신체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the oil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with a liquid storage cavity - the liquid storage cavity is installed with a liquid inlet channel,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s used to separate oil from the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 ; and a cover body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to cover the liquid inlet channel - the cover body receives hydraulic action during the cooking process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allow the liquid to flow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oil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eparate oil from broth through an oil separation mechanism. In addi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inflow channel through the cov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soup from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initial cooking state (no oil or a small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soup). In addition, the liquid inlet channel can transfer the broth to the liquid storage cavity of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to perform oil separation when the broth temperature rises, especially when boiling (a large amount of oil is produced in the broth). Through this method, the oil separa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physical health can be guaranteed.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내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등가의 메커니즘 또는 등가의 프로세스 변경, 또는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적용은 모두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content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does not limit the patent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y equivalent mechanism or equivalent process change mad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is application, or any direct or indirect application in other related technical fields, is likewise included in the scope of patent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Claims (14)

오일 필터 장치에 있어서,
액체 저장 캐비티가 설치된 오일 분리 메커니즘 -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에는 액체 유입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오일 분리 메커니즘은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유입되는 액체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체 - 상기 커버체는 조리 과정에서 유압 작용을 받아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을 열어 액체를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에 유입시킴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In the oil filter device,
an oil separation mechanism provided with a liquid storage cavity, wherein the liquid storage cavity is provided with a liquid inlet channel,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s used to separate oil from the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A cover body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installed to cover the liquid inlet channel, wherein the cover body receives hydraulic action during a cooking process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allow liquid to flow into the liquid storage cavity. Characterized by an oil filt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의 바닥벽에는 액체 유입공 및 상기 액체 유입공 외주에 설치된 제1 걸림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유입공 및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로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체는 커버 본체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액체 유입공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2 체결부와 매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liquid inlet hol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liquid inlet hole are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installed within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the liquid inlet hole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are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upling portion forms the liquid inlet channel,
The cover body includes a cover body and a second fastening part, the cover body is installed to cover the liquid inlet hole, and the first engaging part is installed to match the second fastening par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액체 유입공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제1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커버판 및 상기 커버판으로부터 상기 액체 유입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커버판으로부터 상기 액체 유입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는 상기 액체 유입공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제2 차단판과 상기 제1 차단판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blocking plate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liquid inlet hole,
The cover body includes a cover plate and a r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block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ver plat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An oil filter device comprising a plate, wherein the ring portion is embedded in the liquid inlet hole,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and the first blocking plate are installed to engage along the axi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 반경이 상이하며 링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제1 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차단판은 내장되고,
상기 커버체는 반경이 상이하고 링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제2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차단판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lates having different radii and installed in a ring shape are installed on the bottom wall, and the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lates are built in,
The oil filter device, wherein the cover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plates having different radii and installed in a ring shap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blocking plates are built-in.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1 차단판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차단판에는 홈 또는 통공이 설치되어 인접하도록 설치된 상기 갭을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oil fil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blocking plates, and a groove or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blocking plate and is used to communicate the gap installed adjacent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은 상기 액체 유입공의 반경 방향을 따르는 크기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커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제2 차단판은 상기 액체 유입공 반경 방향을 따르는 크기가 상기 커버판으로부터 상기 바닥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iz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wall toward the cover plate,
The oil filt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gradually decreases in a direction from the cover plate toward the bottom wa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에는 상기 액체 유입공의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는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필터 장치는,
상기 링부의 상기 커버판에서 먼 일단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된 리테이너 링; 및
상기 링부 외부를 씌우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리테이너 링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체가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을 밀봉할 때 상기 보스와 맞닿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boss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liquid inlet hole is installed on the first blocking plate, and the oil filter device includes,
a retainer ring installed to cover the outer end of the ring portion away from the cover plate; and
The oil filter device further includes a spring instal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ing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tainer r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ntacts the boss when the cover body seals the liquid inlet chann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에는 상기 액체 유입공의 축방향을 따르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액체는 유압 작용 하에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커버체로 배출되어 상기 커버체가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을 개방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In clause 7,
The retainer ring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hole, and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cover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under hydraulic action, causing the cover body to open the liquid inlet channe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의 측벽에는 제1 액체 유출공 및 제2 액체 유출공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액체 유출공은 상기 제2 액체 유출공과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를 연통시키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액체 유출공과 상기 바닥벽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액체 유출공과 상기 바닥벽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liquid outlet hole and a second liquid outlet hole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the first liquid outlet hole communicates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with the liquid storage cavity, wherein the first liquid outlet hole and the liquid storage cavit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oil filter devic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wall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quid outlet hole and the bottom wall.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일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A cooking device comprising an oil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 메커니즘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에서 먼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일 필터 장치는 상기 조리 장치의 솥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와 고정 연결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fixture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toward a side away from the liquid storage cavity,
The oil filter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oking device of the cooking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fixed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은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support includes a bottom plate, a through hole is installed 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art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liquid inlet channel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링형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형 측벽 상에는 통공이 설치되어 상기 오일 분리 메커니즘으로부터 여과되는 국물을 상기 솥체 내로 환류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ring-shaped side wall, and a hole is provided on the ring-shaped side wall, and is used to return the broth filtered from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to the pot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측벽의 상기 바닥판에서 먼 일단에는 상기 액체 유입 채널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에서 먼 일측을 향해 고정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링형 측벽의 고정부는 상기 솥체 내에 랩 조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A fixing par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ing-shaped side wall farthest from the bottom plat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quid inlet channel and extends toward a side away from the liquid storage cavity, and the fixing part of the ring-shaped side wall is lap jointed in the pot body. A cooking device that does.
KR1020230024265A 2022-03-25 2023-02-23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KR2023013930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683921.2U CN217659316U (en) 2022-03-25 2022-03-25 Oil filter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CN202220683921.2 2022-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309A true KR20230139309A (en) 2023-10-05

Family

ID=8373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265A KR20230139309A (en) 2022-03-25 2023-02-23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43665A (en)
KR (1) KR20230139309A (en)
CN (1) CN217659316U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659316U (en) 2022-10-28
JP2023143665A (en)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512B1 (en) A lid for cooker
CN204698328U (en) Steam valve, upper cover and cooking apparatus
CN110623534A (en) Bubble breaker, pot cover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204427767U (en) For cooking apparatus cover assembly and there is its cooking apparatus
KR20230139309A (en) Oil filt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CN203789739U (en) Micro-pressure anti-spill steam valve for electric cooker
CN204133241U (en) Pot cover and the electric cooker with it
CN207152482U (en) Steam valve seat and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s
CN202891594U (en) Electric kettle for preventing boiling water from splashing
KR20050094730A (en) Handle of pot not overflow
CN211632810U (en) Electric heating water cup
CN220706497U (en) Backflow sealing structure and electric rice cooker
CN204336473U (en) A kind of thermo jug
CN203914582U (en) Health pot lid and health-promotion kettle
CN105627278A (en) Steam generator capable of shortening steam outlet time
CN108433557B (en) Steam valve seat and steam valve and culinary art kitchen utensils and appliances
CN214964679U (en) Steam valve and electric cooker
CN213155451U (en) Pot cover subassembly and culinary art device
CN205351272U (en) Shorten steam generator of vapour time
CN207125646U (en) Steam valve seat and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s
CN217827498U (en) Immersed ring type quick-heating electric steam stove
CN218164871U (en) Multifunctional food steamer and cooking utensil
CN108433556B (en) Steam valve cover, steam valve seat,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
CN219125979U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with reliable use
JP7257792B2 (en) heating coo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