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655A -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655A
KR20230138655A KR1020220036498A KR20220036498A KR20230138655A KR 20230138655 A KR20230138655 A KR 20230138655A KR 1020220036498 A KR1020220036498 A KR 1020220036498A KR 20220036498 A KR20220036498 A KR 20220036498A KR 20230138655 A KR20230138655 A KR 2023013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composition
bad breath
pepperm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우
Original Assignee
칼리아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리아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칼리아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655A/ko
Publication of KR2023013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유지에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및 구취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씹는 기능과 동시에 발포제와 혼합하여 물과 닿으면 녹아서 가글액 기능을 하는 고형 가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Effervescent tablet-type toothpaste and gargle composition for tooth decay prevention, bad breath removal and oral cleaning}
본 발명은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유지에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및 구취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씹는 기능과 동시에 발포제와 혼합하여 물과 닿으면 녹아서 가글액 기능을 하는 고형 가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충치와 치주질환은 구강 내의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 질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치과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은 구강 내의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치면 세균막 즉, 치태(齒苔, dental plaque)에 의하여 유발된다. 구강 내에 세균의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음식물과 타액 등에 의하여 공급되면 미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다. 구강세균 중 치아 우식증, 즉, 충치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태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는 혐기성의 그람 양성 구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가 대표적이다.
S. mutans는 구강 내에서 섭취한 음식물 중의 탄수화물, 특히 설탕,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를 대사하고 부산물로서 주로 젖산을 생산함으로써 치아의 법랑질을 부식시킨다. 또한, S. mutans는 설탕을 이용하여 세포외 다당류인 점착성의 수불용성 글루칸(glucan) 형성에 관여한다. 즉, S. mutans는 균체 표층에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 내 설탕을 기질로 하여 포도당의 중합체인 수불용성 글루칸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이 글루칸에 구강 내 다른 미생물들이 부착함으로써 치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S. mutans를 포함한 젖산균이 증식하여 당류로부터 젖산을 생산하면 수불용성 글루칸에 젖산이 농축되고 농축된 고농도의 젖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과 반응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서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치태는 점차 석회화되어 치아의 표면에 치석(dental calculus)을 형성하게 되며, 치태와 치석 중의 세균과 그 대사산물은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치주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주질환은 치아지지 조직의 염증 상태를 말하며,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태를 방치하면, 염증과 함께 잇몸 출혈이나 구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치은염이라 하며, 치은염이 더 진행되면 치아와 잇몸사이에 치주낭이 생기고, 여기에 병원성 세균들이 번식하여 치주염을 일으킨다.
그리고 구취(입 냄새)는 구강 내의 음식물 잔사 등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휘발성 물질을 생산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인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디메틸 머캅탄(dimethyl mercaptan) 등이 있으며, 이외에 트리에틸아민(trimethylamine) 등의 휘발성 아민 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충치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구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물리적으로 이를 닦아 치태와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치태나 음식물 잔사가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한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구강환경관리를 철저하게 하여 치태가 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구강환경관리와 함께 치태 중에 존재하는 S. mutans와 같은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항균물질인 불화나트륨(NaF),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이나 항생물질인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물질들은 S. mutans와 같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구토나 설사의 유발, 내성균의 출현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일부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치태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구강 위생용품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제품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176015호(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19933호(자연산 생약물질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청결 및 구취 제거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5814호(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157088호(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537834호(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30791호(소회향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447호(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22493호(금은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등 다수가 있으나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다르다.
한편, 최근 참기름이나 올리브유 등의 식용유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가글링, 즉, 오일 풀링이 치아, 치주 및 양악의 건강 강화와 충치, 구취, 치주 출혈 및 인후 건조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세간의 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오일 풀링은 고대 인도의 아유르베다의 의학서인 차라카 삼히타에 기술되어 있는 구강 건강 방법으로서 참기름을 사용하는 구강 가글링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S.Asokan. 2008. Oil pulling therapy. Indian J. Dental Res. 19, 169), 아미쓰 등은 해바라기유로 오일 풀링을 하였을 때 치태와 치은 지수가 감소하여 구강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HV Amith et al. 2007. Effect of Oil Pulling on Plaque and Gingivitis. J. Oral Health Comm. Dent. 1. 12), 두라이 아나드 등은 오일 풀링에 의하여 구강 내 충치균의 수가 다소 감소하였고, 40일간 실시하였을 때 충치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었으며, 충치균이 참기름에 중등도의 감수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T. Durai Anand et al. 2008. Effect of oil-pulling on dental caries causing bacteria. J. Microbiol. Res. 2, 63). 그리고 아소칸 등은 참기름으로 오일 풀링하였을 때 치태와 타액 중의 S. mutans 균이 감소하였고, 치태지수와 치은지수 그리고 치태 유발 치은염 환자의 치태 중의 호기성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였다고 하였다(S. Asokan et al. 2008. Effect of oil pulling on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plaque and saliva using Dentocult SM Strip mutans test: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blind study. J. Indian Soc. Pedodontics Prevent. Dentist. 26, 12; S. Asokan et al. 2009. Effect of oil pulling on plaque induced gingiv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blind study. Indian J. Dental Res. 20, 47),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오일 풀링에 주목하여 그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항균제나 항생물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구강 질환 원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지며, 충치와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효과가 크고 사용 시 상쾌한 가글용 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씹는 기능과 동시에 발포제와 혼합하여 물과 닿으면 녹아서 가글액 기능을 하는 가글용 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씹는 기능과 동시에 발포제와 혼합하여 물과 닿으면 녹아서 가글액 기능을 하는 가글용 고형 조성물을 제공하고, 청량한 방향을 발산하고, 습진, 옴 등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의 세균에 대하여 살균 및 항균작용이 있으며, 홍반 및 지루성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박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오장육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며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하며,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동통이나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항알러지 작용을 하고,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크고, 동맥경화를 방지하며, 독성 물질을 해독하여 간장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유의 항균 작용이 있는 감초 추출물, 항염작용, 항병원성 미생물 작용, 해열작용, 진정작용 등이 있어 종기, 구강내 염증, 치통, 구강통증, 충치, 치주염, 종기 등에 이용되는 황금과 진해거담작용 및 항염증, 항암, 통증완화 등의 효과가 있는 길경 추출물을 전래의 오일 풀링의 재료로 이용되는 참기름, 올리브유 등의 식용유에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가 탁월하여 충치, 치은염 및 치주염 등을 예방하고 구취를 억제하여 구강 내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과 길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형 가글 조성물로서 가글 시에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및 구취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박하 추출물은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박하 추출물은 0.1중량% 보다 낮을 경우에는 항균작용 및 치태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0중량%보다 높을 경우 박하의 향이 너무 강하여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감초 추출물은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금 추출물은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길경 추출물은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은 생약재를 열수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의 일예로서 박하 추출물을 얻는 경우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박하를 박하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7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70%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박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박하는 박하의 잎,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로서 열수를 이용한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은 상기의 박하 추출물을 얻는 공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각각의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은 생약재를 에탄올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의 일예로서 박하 추출물을 얻는 경우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박하를 박하 중량 대비 5∼10배량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60∼70℃에서 3∼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박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탄올은 농도가 30∼99.99부피%인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박하는 박하의 잎,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의 일예로서 박하 추출물을 얻는 경우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박하를 박하 중량 대비 5∼10배량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60∼70℃에서 3∼48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10∼70%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박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탄올은 농도가 30∼99.99부피%인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박하는 박하의 잎, 줄기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약재 추출물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은 상기의 박하 추출물을 얻는 공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각각의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식물성 유지는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채종유, 대두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식물성 유지의 함량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에서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생약재 추출물로서 박하 추출물 5중량%를 사용시 식물성유지는 95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생약재 추출물로서 박하 추출물 5중량%, 감초 추출물 0.5중량% 및 황금 추출물 0.5중량%를 사용시 식물성 유지는 94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식물성 유지에 생약제 추출물로서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로 혼합하여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비(단위:중량%)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생약재
추출물
박하 - 5.0 4.0 3.0 1.0 1.0
감초 - 0.5 1.0 1.5 1.5 2.0
황금 - 0.5 0.5 1.0 1.5 2.0
길경 - - 0.5 0.5 1.0 1.0
식물성 유지 100 94 94 94 94 94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1에서 식물성 유지는 참기름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박하 추출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은 박하 잎 80중량% 및 박하 줄기 20중량%로 이루어진 박하를 박하 중량 대비 8배량이고 농도가 90부피%인 에탄올에 첨가하고, 6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60%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포로 여과하여 얻은 박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은 각각 감초, 황금 및 길경을 재료로 하여 상기의 박하 추출물을 얻는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가글유의 항균효과 측정
구강세균인 S. mutans(KCCM 11823)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페이퍼 디스크 법으로 측정하였다. 분양받은 S.mutans(KCCM 11823)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3회 계대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균수가 1ㅧ106cfu/ml 정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100㎕씩 BHI(brain heartinfusion) 한천 배지에 도포 접종하고 시료를 Tween 80 0.5v/v% 함유 10%DMSO(dimethyl sulfoxide) 용액에 20배로 희석하여 직경 8mm의 페이퍼 디스크에 50㎕씩 첨가하여 배지 표면에 설치한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하여 투명환의 직경을 측정하였다(표 2).
S. mutans에 대한 가글유의 항균 효과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투명환 직경(mm) 8 12 12 15 13 1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의 가글유 조성물에 비하여 실시예 1-5 에서 제조한 가글유 조성물이 S.mutans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스나이더 실험(Snyder test)
본 발명의 가글용 식물성 유지의 구강 내 젖산 생산 세균의 생육 억제효과를 직접 비색법으로 측정하고자 스나이더 검사(A. Alban. 1970. An Improved Snyder Test. J. Dent. Res. 49, 641)를 실시하였다. 치태나 타액 중에 포함된 세균이 산을 생성한다는 근거하에 젖산 생산균의 활성정도를 비색법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그 기본 색도와 산 생산 세균의 활성도는 다음과 같다.
1. 청색 : 무활성 (0점)
2. 초록 : 경도의 활성 (1점)
3. 황록 : 중등도의 활성 (2점)
4. 황색 : 고도의 활성 (3점)
총 35명의 피검자를 선정하여 대조구 및 실시예 1-5 및 비교예에 각 5명씩 배정하고 비교예를 제외한 피검자에게 각각 40일간 매일 1회 조식 전에 15분간씩 가글하게 한 후 피검자의 타액 0.2ml씩을 Snyder testagar(Difco, USA) 배지에 접종하여 잘 혼합한 후 37℃에서 24시간 단위로 3일간 배지 색깔의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기본 색도의 판정표에 따라 우식세균의 활성정도를 파악하였다(표 3). 
스나이더 실험 결과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점수 1.4 0.5 0.4 0.2 0.3 0.6 2.6
표 3과 같이 스나이더 실험 결과 식물성 유지 가글링을 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2.6으로 고도 활성에 가깝게나타났고, 대조구는 1.4로서 중등도의 활성인데 비하여 실시예 1-5에서는 0.6이하로서 거의 무활성에 가깝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조성물로 가글 후의 만족도 조사
본 발명의 조성물로 실험예 2와 같이 가글 후 실시예의 실험군 별로 구강 건강 상태의 개선된 정도의 만족도(매우 좋아졌다, 약간 좋아졌다, 보통이다, 변화가 없다)를 조사하여 매우 좋아졌다와 약간 좋아졌다로 응답한 피검자의 비율을 만족도로 나타낸 결과는 표 4와 같다.
조성물로 가글 후 구강 상태의 개선에 대한 만족도(%)
구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치은의 색상 76.7 81.4 82.3 83.2 84.0 83.5 52.5
치은 출혈 74.6 78.8 79.2 80.4 81.6 80.1 43.6
잇몸 강도 70.2 73.6 74.1 74.0 75.1 73.6 44.1
입냄새 69.8 75.2 76.4 76.5 76.2 74.8 35.7
치아 시림 68.8 72.1 73.2 73.6 74.1 73.0 45.2
전체적인 만족도 72.3 76.8 77.6 77.5 78.2 76.2 43.8
본 발명의 조성물로 가글 후 피검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하여 조사하여본 결과, 먼저 치은 색상의 변화 여부별로는 '매우 좋아졌다'와 '약간 좋아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의 52.5%와 대조구의 76.7%에 비하여 각각의 실시예에서 80%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치은 출혈, 잇몸 강도, 입냄새, 치아 시림 부분에서도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전체적인 만족도도 비교예의 43.8%와 대조구의 72.3%에 비하여 76% 이상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은 식물성 유지에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한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어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및 구취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어 이를 복용시 치은 및/또는 치주의 건강상태가 개선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씹는 기능과 동시에 발포제와 혼합하여 물과 닿으면 녹아서 가글액 기능을 하는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생약재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또는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박하 추출물이 0.1∼5.0중량%,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이 각각 0.1∼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성 유지는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채종유, 대두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KR1020220036498A 2022-03-24 2022-03-24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KR20230138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498A KR20230138655A (ko) 2022-03-24 2022-03-24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498A KR20230138655A (ko) 2022-03-24 2022-03-24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655A true KR20230138655A (ko) 2023-10-05

Family

ID=8829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498A KR20230138655A (ko) 2022-03-24 2022-03-24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85B1 (ko) 구강 청결 조성물
US20090269288A1 (en) Black pearl toothpaste
CN106821950A (zh) 一种抗菌和美白的口腔护理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55561A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1319522B1 (ko) 충치 및 치주염에 유효한 구강위생 조성물
KR20150027352A (ko) 천연물을 이용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5924B1 (ko) 생약재를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459936B1 (ko) 알칸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397805B (zh) 改善口腔卫生、预防并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700606B1 (ko) 이카리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8655A (ko) 충치예방, 구취제거, 구강 청정이 용이한 발포 정제형 치약 및 가글 조성물
KR20130060084A (ko)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047704A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siga et al. Clinical effects of alkaline ionization water (AIW) as a mouthwash against the reduction of dental plaque
KR102665310B1 (ko) 베어바스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reen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al toothpaste-An in vitro study.
Bhat et al.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to assess the immediate antimicrobial effect of miswak and toothbrush on cariogenic bacteria
KR20190094986A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3824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657494B1 (ko) 리소스퍼믹 액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3411A (ko) 택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억제용 조성물
KR102626864B1 (ko) 시코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