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027A -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027A
KR20230138027A KR1020237030397A KR20237030397A KR20230138027A KR 20230138027 A KR20230138027 A KR 20230138027A KR 1020237030397 A KR1020237030397 A KR 1020237030397A KR 20237030397 A KR20237030397 A KR 20237030397A KR 20230138027 A KR20230138027 A KR 2023013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layer
area
groo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유웨 차오
Original Assignee
광이 인텔리전트 테크 (쑤저우)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이 인텔리전트 테크 (쑤저우)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광이 인텔리전트 테크 (쑤저우)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3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Abstract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을 제공한다. 전기변색 소자는 인출전극(6)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1), 제1 도전층(2), 전기변색층(3), 제2 도전층(4), 제2 베이스층(5)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도전층(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2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22)을 구비하고; 제1 영역(21)은 인출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사이에는 제1 그루브(24)가 설치되고, 제1 그루브(24)는 수직방향으로 제1 도전층(2)을 관통하며;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사이에는 도전통로(23)가 더 설치되고, 제1 그루브(24)는 도전통로측에서 절단되며; 상기 제2 영역(22)은 상기 도전통로(23)를 통해 상기 제1 영역(21), 인출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Description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본 출원은 2021년 2월 6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2110164716.5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전기변색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장의 작용하에서의 재료의 광학적 속성의 안정적이고 가역적인 색상 변화 현상을 의미하며, 외관상에서 색상과 투명도의 가역적 변화로 나타난다. 전기변색 성능을 갖는 재료를 전기변색 재료라고 하며, 전기변색 재료는 무기 전기변색 재료와 유기 전기변색 재료로 나뉠 수 있다. 무기 전기변색 재료는 안정적이고 응답이 빠른 장점이 있고, 예를 들어, 삼산화텅스텐, 오산화바나듐, 산화니켈, 이산화티타늄 등이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종류가 많고 색상이 풍부하며 디자인에 편리하고, 예를 들어, 비올러겐, 폴리티오펜 등이다.
전기변색 재료로 만들어진 소자를 전기변색 소자라고 한다. 상이한 전기변색 재료를 선택하여 상이한 색상과 상이한 변색범위를 갖는 전기변색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전기변색 소자는 변색 안경, 전자 디스플레이, 군사 은폐 및 건물 에너지 절약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응용 전망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변색 소자는 일반적으로 투명 기재층, 투명 도전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이온 저장층, 투명 도전층 및 투명 기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전압이 인가된 후 이온이 이온 저장층에서 전해질층을 통해 전기변색층으로 전도되어 변색을 실현하고, 역전압이 인가된 후 이온이 전기변색층에서 전해질층을 통해 이온 저장층으로 전도되어 페이딩(fading)을 실현한다.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전기변색 소자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변색되는 것이 아니라 변색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내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관 디자인 감각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하기를 바란다.
관련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처리 방법은, 투명 도전층 중 하나를 에칭하여, 서로 다른 영역의 도전층을 완전히 분리한 다음, 서로 다른 영역의 도전층을 별도로 인출하고, 여러 인출전극을 통해 여러 영역의 변색을 각각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방법은 소자의 인출전극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소자의 구조가 더 복잡해지고 공정 난이도를 증가시키며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은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는 인출전극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변색 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인출전극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 제1 도전층, 전기변색층, 제2 도전층,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는 제1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는 도전통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도전통로측에서 절단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전통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전자 단말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 단말은 제1 측면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 4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 5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 6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 7에서 제공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제1 투명 도전층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 "하", "내", "외" 등에 의해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한 것이고, 본 출원을 설명하기 편리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정한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된 방위, 특정된 방위구조 및 조작을 반드시 갖도록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고,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이외, 용어 "제1", "제2" 등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되는 기술적 특징의 개수를 암시적으로 지적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등으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복수"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설치", "접속", "연결"을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직접 접속되는 것일 수 있고, 중간 매질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변색 소자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1), 제1 도전층(2), 전기변색층(3), 제2 도전층(4), 제2 베이스층(5)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전기변색층(3)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변색 재료층(31), 고체 전해질층(32) 및 이온 저장층(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전층(2)은 제1 그루브(2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루브(24)는 수직방향으로 제1 도전층(2)을 관통한다.
도 2에서, 외부 가장자리 내부의 모든 가는 실선은 각각 제1 그루브(24)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전층(2)은 하나의 제1 영역(21)과 하나의 제2 영역(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영역(21)은 인출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사이에는 제1 그루브(2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24)는 레이저 에칭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2)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이다.
상기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사이에는 도전통로(23)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24)는 상기 도전통로(23)측에서 절단된다.
상기 제2 영역(22)은 상기 도전통로(23)를 통해 상기 제1 영역(21), 상기 인출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도전통로(23)의 폭은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0.05%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루브(24)는 이온 저장층(33)이 도포되기 전에 형성되므로, 소자 구조의 무결성을 용이하게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통로(23)의 폭을 상기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0.05%로 설정하여, 제2 영역(22) 내부의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단 도통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최소 도통선 저항(minimum conduction line resistance)을 증가시키며, 변색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제2 영역(22)의 변색속도를 제1 영역(21)의 변색속도보다 작게 하여, 변색과정에서 특정 규칙이 있는 패턴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단지 하나의 인출전극(6)만으로 제1 도전층(2)에 대한 인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도전층(4)은 다른 하나의 인출전극(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두 개의 인출전극(6)은 외부 전원 및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제어를 구현한다. 다른 하나의 인출전극에 대한 설치는 본 분야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출원의 본 실시예 및 하기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1과의 구별점은 상기 제1 도전층(2)이 4 개의 제1 영역(21) 및 4 개의 제2 영역(22)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층(2)은 4 개의 도전통로(23)를 구비한다. 단일 도전통로(23)의 폭은 단일 제2 영역(22)에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이고, 예를 들어, 도 3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위치한 단일 제2 영역(22)에 대응하는 도전통로(23)의 폭은 해당 제2 영역(22)의 좌측 변의 길이와 같으며, 해당 도전통로(23)의 폭은 해당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20%이다.
상기 제1 도전층(2)은 제1 도전층(2)의 주변부분에 설치된 버스바(27)를 더 포함하고, 도 3에서 주변부분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도전층의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인출전극(6)은 상기 버스바(27)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24)는 상기 버스바(27)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3에서, 외부 가장자리 내부의 모든 가는 실선은 각각 제1 그루브(24)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루브(24)는 이온 저장층(33)이 도포된 후에 형성되므로, 도전층의 표면 에너지의 일치성을 확보하고, 이온 저장층(33)의 도포 효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27)를 설치하여 상이한 제1 영역 간의 변색속도 차이 및 상이한 제2 영역 간의 변색속도 차이를 줄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에칭을 통해 상기 도전통로(23)측에서의 도전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도전통로(23)측에서의 도전층의 면저항(sheet resistance)이 상기 제1 영역(21)의 도전층의 면저항보다 크도록 하고, 또한, 도전통로(23)의 폭을 상기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20%로 제어하여, 제2 영역(22) 내부의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을 증가시키고 변색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제2 영역(22)의 변색속도를 제1 영역(21)의 변색속도보다 작게 하여, 변색과정에서 특정 규칙이 있는 패턴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단지 하나의 인출전극(6)만으로 제1 도전층(2)에 대한 인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2와의 구별점은 각각의 제2 영역(22)의 내부에 하나의 제2 그루브(25)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각각의 제2 그루브(25)는 각각의 제2 영역(22) 내부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동일한 제2 영역(22) 내부의 2 개의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도 5에서, 음영영역 내부의 가는 실선은 제2 그루브(25)이고, 외부 가장자리 내부의 제2 그루브(25)를 제외한 기타 가는 실선은 제1 그루브(24)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의 기초상에서 제2 영역(22) 내에 제2 그루브(25)를 설치하여 제2 영역(22) 내부를 2 개의 부분(도전통로(23)에 가까운 제2 영역(22)의 부분과 도전통로(23)로부터 멀어지는 제2 영역(22)의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도전통로(23)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의 점의 최단 도통경로를 증가시키고("점의 최단 도통경로"는 해당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단 도통경로를 의미함), 도전통로(23)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의 변색속도를 감소시켜,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1과의 구별점은 상기 도전통로(23)의 폭이 상기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0.1%인 것이다.
상기 제2 영역(22)의 내부에는 11 개의 제2 그루브(25)가 더 포함된다.
도 6에서, 음영영역 내부의 가는 실선은 제2 그루브(25)이고, 제1 도전층(2) 내의 제2 그루브(25)를 제외한 기타 가는 실선은 제1 그루브(24)이다.
상기 제2 그루브(25)는 상기 제2 영역(22) 내부를 8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2 영역(22) 내부의 복수의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 도전층(2)은 제1 도전층(2)의 주변부분에 설치된 버스바(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출전극(6)은 상기 버스바(27)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24)는 상기 버스바(27)와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제2 영역(22) 내에 제2 그루브(25)를 설치하여, 제2 영역(22) 내부를 8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부분들이 제2 그루브(25)의 절단측의 통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통됨으로써, 각 부분의 점과 인출전극(6) 사이의 최단 도통경로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버스바(27)를 설치하여 도전층 주변부분의 전압강하를 줄여 변색속도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1과의 구별점은 상기 제1 영역(21)과 상기 제2 영역(22)의 형상이 실시예 1과 상이하고, 상기 도전통로(23)의 폭이 상기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0.01%인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통로(23)의 폭의 값은 중앙에 위치한 스트라이프에 대응되는 좁은 변의 폭과 같다.
도 7에서, 제1 도전층 내의 모든 가는 실선은 각각 제1 그루브(24)이다.
상기 고체 전해질층은 질량백분율이 20wt%인 과염소산리튬, 질량백분율이 59.9wt%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질량백분율이 0.1wt%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혼합하여 상기 이온 저장층에 도포한 후 자외선 경화를 통해 형성된다.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층이 자외선 경화되기 전에, 제2 영역(22)에 대응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외측에 10%의 자외선 투과율의 표면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박막을 커버하고, 제1 영역(21)의 제1 부분(211)에 대응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외측에 50%의 자외선 투과율의 표면 코팅된 PET 박막을 커버하며, 제1 영역(21)의 제2 부분(212)에 대응하는 전기변색 소자의 외측에 박막을 커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체 전해질층(32) 상의 상기 제2 영역(22)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상기 고체 전해질층(32) 상의 상기 제1 영역(21)의 제1 부분(211)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상기 고체 전해질층(32) 상의 상기 제1 영역(21)의 제2 부분(212)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고체 전해질층(32) 상의 상이한 영역 간의 가교 정도를 제어하여, 상이한 영역의 변색속도가 일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2와의 구별점은 상기 도전통로(23)의 폭이 상기 제2 영역(22)의 둘레 길이의 5%인 것이다.
상기 도전통로(23)측에서의 도전층의 면저항은 상기 제1 영역(21)의 도전층의 면저항과 같다.
상기 제1 도전층(2)은 수직방향으로 제1 도전층(2)을 관통하는 제3 그루브(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루브(26)는 상기 제1 도전층(2)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일부분의 상기 버스바(27)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그루브(26)는 상기 제1 그루브(24)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3 그루브(26)는 상기 버스바(27)와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그루브(26)를 설치하지 않으면, 버스바(27)의 전류는 도 8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영역의 상측 및 좌측 변의 길이로 직접 전달된다. 즉, 도 8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영역은 상측 및 좌측 변의 길이에서 하측 및 우측 변의 길이로 변색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우측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영역은 하측 및 우측 변의 길이에서 상측 및 좌측 변의 길이로 변색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제3 그루브(26)를 설치하면, 버스바(27)의 전류는 도 8의 좌우 양측에 있는 버스바를 통해서만 제1 영역(21)으로 전달될 수 있고, 즉 4개의 제1 영역은 모두 외측에서 내측으로 변색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음영영역 둘레 길이의 가는 실선은 제1 그루브(24)이고, 제1 도전층(2) 내의 제1 그루브(24)를 제외한 기타 가는 실선은 제3 그루브(26)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의 기초상에서 제3 그루브(26)를 설치하여, 인출구조(6)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버스바(27)의 전류가 제1 영역(21)으로 전도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원래의 전체 버스바 영역에서 좌우 양측의 버스바로 변경함으로써,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해당 전기변색 소자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예 6과의 구별점은 상기 버스바가 제1 버스바 메인부(271), 제1 버스바 연통부(272), 제2 버스바 메인부(273) 및 제2 버스바 연통부(274)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2721)은 상기 인출전극(6)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2722)은 상기 제1 버스바 메인부(271)의 중간점과 연결된다.
상기 제2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2741)은 상기 인출전극(6)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2742)은 상기 제2 버스바 메인부(273)의 중간점과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그루브(26)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버스바 메인부(271)와 상기 제1 버스바 연통부(27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그루브(26)의 일부분은 상기 제2 버스바 메인부(273)와 상기 제2 버스바 연통부(27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그루브(26)의 또 다른 일부분(도 9에 도시된 수평 부분)은 제1 도전층(2)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버스바(27)의 일측에 위치한다.
도 9에서, 음영영역 둘레 길이의 가는 실선은 제1 그루브(24)이고, 제1 도전층(2) 내의 제1 그루브(24)를 제외한 기타 가는 실선은 제3 그루브(26)이다.
실시예 6에서, 좌우 양측의 버스바의 길이가 너무 크면, 버스바(27) 자체의 선저항의 영향으로 인해, 버스바(27)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출전극(6)으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 도달할 때, 일정한 전압손실이 발생하므로, 인출전극(6)과 가까운 일단과 멀어지는 일단의 변색속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6의 기초상에서 버스바를 복수 개의 버스바 메인부와 복수 개의 버스바 연통부로 설치하여, 인출구조(6)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인출전극(6)의 전류가 버스바(27)로 전도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조절 후의 버스바 연통부와 버스바 메인부의 교차점 위치 즉 점(2722)과 점(2742)으로 변경함으로써, 인출전극(6)과 가까운 일단과 멀어지는 일단의 변색속도의 불일치 현상을 감소시키고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은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인출전극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 제1 도전층, 전기변색층, 제2 도전층,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는 제1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는 도전통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도전통로측에서 절단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전통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전기변색 소자의 임의의 점의 변색 상황은 해당 점에 대응되는 도전층 간의 전위차(즉, 유효전압)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외부에서 전기변색 소자의 인출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동일할 때, 임의의 점의 유효전압은 해당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전압강하와 관련이 있으며, 전압강하가 작을수록 해당 점의 유효전압이 크고 변색속도도 빨라진다. 임의의 점의 전압강하는 해당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에 따라 결정된다(해당 점과 인출전극 사이에는 여러 개의 도통경로가 존재하고, 각 경로는 하나의 선저항 값에 대응되며, 그의 최소값은 바로 최소 도통선 저항이고, 그의 값은 도통경로의 길이와 도통경로의 각 점의 선저항 값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서 도통경로의 각 점의 선저항 값은 해당 점에서의 도전층의 면저항 및 도통경로의 폭과 관련이 있음).
관련기술에서, 변색시 전기변색 소자의 여러 점의 전압강하는 일반적으로 모두 연속적이고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전기변색 소자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변색되는 것이 아니라 변색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려면, 제1 그루브를 경계선으로 하는 제2 영역과 제1 영역의 변색속도의 차이가 커야 하며, 즉 제1 영역의 전압강하와 제2 영역의 전압강하의 차이 값이 커야 하므로, 제1 그루브를 설치하여 제2 영역과 제1 영역을 분리하고, 제1 그루브에 노치를 설치하여 도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제2 영역의 각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을 변경하여, 최종적으로 제2 영역의 전압강하가 제1 영역의 전압강하보다 현저하게 크도록 하여, 변색과정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다른 변색속도로 변색되어 패턴을 나타내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도전통로의 존재로 인해, 전체 전기변색 소자의 여러 부분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통되므로, 새로운 인출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변색이 완료된 후 제2 영역과 제1 영역의 투과율이 점차 일치해지는 경향이 있어, 전체 소자가 균일하고 일치된 투과율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출원은 변색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낼 수 있고,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관 디자인 감각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간단한 소자 구조를 확보하여, 공정 난이도 및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통로의 면저항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저항보다 크다.
외부회로가 인출전극측에 인가한 전압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제1 영역을 통해 먼저 도전통로측으로 전도된 다음, 제2 영역측으로 전도되고, 즉 제2 영역 내부의 모든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경로는 반드시 해당 도전통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전통로측에서의 면저항을 증가시켜 이가 제1 영역의 면저항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즉, 제2 영역 내부의 모든 점과 인출전극의 최소 도통선 저항을 증가시켜 전압강하를 증가시키고, 나아가 제2 영역의 변색속도를 제1 영역의 변색속도보다 작게 하여 패턴을 나타내는 효과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에칭을 통해 도전통로측에서의 도전층의 두께를 얇게 하는 방식으로 도전통로측에서의 면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통로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 길이의 20%이하이고, 예를 들어 20%, 15%, 10%, 5%, 3%, 1%, 0.5%, 0.1% 또는 0.05% 등이며, 여기서 도전통로의 폭은 도전통로의 경계에서의 제1 그루브의 2 개의 끝점 사이의 거리이다.
도전통로의 폭을 조절하면 제2 영역 내부의 특정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단 도통경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기타 조건이 일치할 때 도통경로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이 크고 전압강하가 크며 변색속도가 느려진다. 또한, 제2 영역 내부의 모든 점의 도통경로는 반드시 도전통로를 통과하기 때문에, 도전통로의 폭을 조절하면 도전통로측에서의 선저항 값을 조절할 수도 있고, 나아가 제2 영역 내부의 모든 점의 도통경로의 선저항 값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전통로의 폭을 한정하여 제2 영역 내부의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즉 제2 영역의 변색속도를 제1 영역의 변색속도보다 작게 할 수 있어, 패턴을 나타내는 효과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루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그루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한다.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2 영역 내부를 적어도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2 영역 내부의 적어도 2 개의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제2 영역 내에 제2 그루브를 설치하여 제2 영역 내부를 적어도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제2 영역 내부의 일부분 영역의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단 도통경로의 길이를 증가시켜, 해당 일부분 영역의 변색속도를 감소시키고,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의 폭은 각각 0.1mm이하이고, 예를 들어 0.1mm, 0.08mm, 0.06mm, 0.04mm, 0.02mm, 0.01mm, 50μm, 10μm, 5μm 또는 1μm 등이며, 예를 들어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는 각각 0.02mm이하이다.
그루브의 폭이 작을수록 그루브는 사람의 눈에 더욱 보이지 않고, 전기변색 소자의 시각적 일체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주변부분에 설치되는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인출전극은 상기 버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지 않는다.
버스바를 설치하면 도전층의 전압강하를 줄여 변색속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개수가 비교적 많을 경우, 인출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영역과 인출전극에 가까운 제1 영역의 변색속도가 도전층의 상이한 전압강하로 인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불일치는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므로, 버스바를 설치하여 도전층에 의해 야기되는 동일한 영역 간의 전압강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부분의 폭을 조절하여 전압강하 차이를 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층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는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제1 도전층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제1 그루브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지 않는다.
2 개의 인출전극은 일반적으로 전기변색 소자의 동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제어 구조와 쉽게 연결된다. 이때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효과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인출전극 부근의 영역이 먼저 변색된 다음 인출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으로 점차 확산되지만, 기타 변색효과, 예를 들어, 인출전극에 가까운 일단과 인출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이 동시에 변색된 다음 양단 사이의 영역으로 점차 확산되는 것을 구현하지 못한다.
제3 그루브는 제1 도전층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적어도 일부분의 버스바의 일측에 위치하므로, 제3 그루브는 제3 그루브에 인접한 버스바 세그먼트의 전류가 제3 그루브에 인접한 제1 영역으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즉, 제3 그루브를 설치하여 인출구조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버스바의 전류가 제1 영역으로 전도되는 시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메인부 및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연통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은 상기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인출전극에 가까운 상기 버스바 메인부의 끝점과 겹치지 않는다.
상기 제3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와 상기 버스바 연통부 사이에 위치한다.
버스바의 길이가 너무 길면, 버스바 자체의 선저항의 영향으로 인해, 버스바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출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 도달할 때, 매우 큰 전압손실이 발생하므로, 인출전극과 가까운 일단과 멀어지는 일단의 변색속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버스바를 버스바 메인부와 버스바 연통부로 설치하여, 인출구조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버스바 연통부와 버스바 메인부의 교차점 위치를 조정하여, 인출전극의 전류가 버스바 메인부에 전도되는 시작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인출전극과 가까운 일단과 멀어지는 일단의 변색속도의 불일치 현상을 감소시키고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의 중간점과 겹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변색 재료층, 고체 전해질층 및 이온 저장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 저장층은 상기 제1 도전층과 접촉한다.
본 출원에서, 상기 "그루브가 수직방향으로 제1 도전층을 관통한다"는 것은 상기 그루브측에 제1 도전층 재료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그루브는 제1 도전층을 관통하는 슬롯일 수 있고, 전기변색층 재료(예: 변색 재료층 재료 또는 이온 저장층 재료 또는 전해질층 재료)로 채워질 수도 있으며, 기타 투명 절연 재료(예: 투명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채워질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 따른 "그루브"는 제1 도전층에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제1 도전층에 변색 재료층(또는 이온 저장층)을 형성한 다음 제1 도전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변색 재료층(또는 이온 저장층)의 일측에 레이저 또는 기계적 식각 등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기변색 소자를 형성한 다음 제1 도전층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베이스층의 일측에 레이저 또는 기계적 식각 등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도전층에 변색 재료층(또는 이온 저장층)을 형성한 다음 제1 도전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변색 재료층(또는 이온 저장층)의 일측에 레이저 에칭 등 방식을 통해 그루브를 형성하는 경우, 변색 재료층(또는 이온 저장층) 상의 그루브의 투영영역의 변색 재료층 재료(또는 이온 저장층 재료)도 레이저에 의해 제거된다. 변색 재료층은 색상이 있기 때문에, 그루브측의 대응되는 변색 재료층 재료가 제거되면, 그루브가 시각적으로 매우 뚜렷하게 되지만, 이온 저장층 재료의 색상은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의 예시에서는 이온 저장층이 제1 도전 기재와 접촉하는 것을 선택한다.
본 출원에서, 전기변색 소자는 관련기술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고, 예를 들어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1)베이스에 도전층을 형성한다: 베이스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또는 진공증착법, 졸겔(Sol-gel) 및 화학기상증착법 등)을 통해 도전층을 형성한다.
(2)제1 도전층에 그루브를 형성한다: 제1 도전층에 레이저 에칭을 통해 제1 그루브를 형성한다.
(3)제2 도전층에 변색 재료층을 도포한다: 500mg의 폴리(3-헥실티오펜)(P3HT)을 10mL의 o-자일렌에 용해시키고, 10시간 동안 자기적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제2 베이스에 코팅된 ITO층(제2 도전층)에 적하시키고 스핀코팅하여 변색 재료층을 형성한다.
(4)제1 도전층에 이온 저장층을 도포한다: 500mg의 삼산화텅스텐을 20mL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교반 및 여과한 후, 얻어진 용액을 제1 베이스에 코팅된 ITO층(제1 도전층)에 적하시키고 스핀코팅하여 삼산화텅스텐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온 저장층을 얻는다.
(5)전체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한다: 질량 백분율이 20wt%인 과염소산리튬, 질량 백분율이 59.9wt%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질량 백분율이 0.1wt%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혼합하여 이온 저장층에 도포하여 전해질 코팅층을 형성하고; 다음 상기 변색 재료층(제2 베이스층과 함께)을 전해질 코팅층에 커버하고, 자외선 경화시켜 전해질 코팅층이 고체 전해질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단계(2) 전에, 제1 도전층에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 즉 스크린 인쇄를 통해 제1 도전층의 주변부분에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와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는 다르다.
예를 들어, 상기 고체 전해질층의 재료는 경화되기 전에 액체 또는 겔 상태이고, 자외선 조사 또는 가열 등 방법으로 그의 가교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전해질을 경화시켜 상기 고체 전해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해질층의 재료는 과염소산리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예시적인 재료는 본 출원의 고체 전해질재료를 한정하지 않으며, 전술한 성능 설명을 만족시킬 수 있는 관련기술 또는 향후 개발될 고체 전해질재료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이한 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를 다르게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시적으로, 자외선 차단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즉 전해질층을 자외선 경화시키기 전에, 자외선 투과율이 다른 물질로 상이한 영역을 차단하여, 상이한 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전해질층 재료의 가교 정도가 클수록 이온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변색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와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가 다른 경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과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변색속도도 다르게 되므로, 변색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는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보다 작다.
대부분의 경우, 제2 영역의 변색속도가 제1 영역의 변색속도보다 작은 것을 원하므로,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가 고체 전해질층 상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보다 작은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즉, 제2 영역의 변색속도가 제1 영역의 변색속도보다 작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전자 단말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 단말은 제1 측면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변색 재료층은 사람의 시선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한다.
전기변색 소자는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색 재료층이 사람의 시선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면, 사람의 눈에 감지되는 소자의 색상이 더 밝아지고 시각적 효과가 더 좋아진다.
본 출원은 제1 그루브를 설치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분리하고, 제1 그루브에 노치를 설치하여 도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제2 영역의 각 점과 인출전극 사이의 최소 도통선 저항을 변경하여, 제2 영역의 전압강하가 제1 영역의 전압강하보다 현저하게 크도록 하여, 변색과정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다른 변색속도로 변색되어 패턴을 나타내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도전통로의 존재로 인해, 전체 전기변색 소자의 여러 부분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통되므로, 새로운 인출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변색이 완료된 후 전체 소자가 균일하고 일치된 투과율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출원은 변색 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낼 수 있고,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관 디자인 감각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하는 동시에, 간단한 소자 구조를 확보하여 공정 난이도 및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전기변색 소자는 변색과정에서 패턴을 나타낼 수 있고,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관 디자인 감각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인출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소자 구조가 간단하며, 공정 난이도 및 생산 비용을 줄인다.
1: 제1 베이스층,
2: 제1 도전층,
3: 전기변색층,
4: 제2 도전층,
5: 제2 베이스층,
6: 인출전극,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23: 도전통로,
24: 제1 그루브,
25: 제2 그루브,
26: 제3 그루브,
27: 버스바(busbar),
271: 제1 버스바 메인부,
272: 제1 버스바 연통부,
273: 제2 버스바 메인부,
274: 제2 버스바 연통부,
31: 변색 재료층,
32: 고체 전해질층,
33: 이온 저장층,
211: 제1 영역의 제1 부분,
212: 제1 영역의 제2 부분,
2721: 제1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
2722: 제1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
2741: 제2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
2742: 제2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

Claims (14)

  1. 인출전극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 제1 도전층, 전기변색층, 제2 도전층,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는 제1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는 도전통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도전통로측에서 절단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전통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기 인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통로의 면저항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통로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 길이의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루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그루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며;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2 영역의 내부를 적어도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2 영역의 내부의 상기 적어도 2 개의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의 주변부분에 설치되는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인출전극은 상기 버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도전층을 관통하는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제1 도전층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제1 그루브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3 그루브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메인부 및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연통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1 끝점은 상기 인출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와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인출전극에 가까운 상기 버스바 메인부의 끝점과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와 상기 버스바 연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연통부의 제2 끝점은 상기 버스바 메인부의 중간점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변색 재료층, 고체 전해질층 및 이온 저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저장층은 상기 제1 도전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와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는 상기 고체 전해질층 상의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영역의 투영영역의 전해질재료의 가교 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재료층은 사람의 시선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
KR1020237030397A 2021-02-06 2022-01-25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KR20230138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164716.5A CN112904636B (zh) 2021-02-06 2021-02-06 一种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CN202110164716.5 2021-02-06
PCT/CN2022/073609 WO2022166670A1 (zh) 2021-02-06 2022-01-25 电致变色器件及电子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27A true KR20230138027A (ko) 2023-10-05

Family

ID=7612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397A KR20230138027A (ko) 2021-02-06 2022-01-25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84644A1 (ko)
EP (1) EP4290305A1 (ko)
JP (1) JP2024514032A (ko)
KR (1) KR20230138027A (ko)
CN (1) CN112904636B (ko)
WO (1) WO2022166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4636B (zh) * 2021-02-06 2023-03-24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CN113433750B (zh) * 2021-06-25 2023-12-15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电子设备
WO2022267975A1 (zh) * 2021-06-25 2022-12-29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13267934B (zh) * 2021-06-25 2023-06-30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9419B1 (en) * 2001-08-03 2003-05-06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Multi-zone arrangement for heatable vehicle window
FR2944610B1 (fr) * 2009-04-16 2011-06-24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rome a transparence controlee
US8228587B2 (en) * 2010-04-22 2012-07-24 Sage Electrochromics, Inc. Series connected electrochromic devices
US20130222878A1 (en) * 2012-02-28 2013-08-29 Sage Electrochromics, Inc. Multi-zone electrochromic devices
CN107045243B (zh) * 2016-02-06 2020-11-13 合肥威迪变色玻璃有限公司 电致变色结构及其形成方法
US10509291B2 (en) * 2017-02-27 2019-12-17 Sage Electrochromics, Inc. Electrical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a process of forming the same
EP3625622A4 (en) * 2017-06-29 2021-02-24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OSAIC DEVICES ON SUPPORTING GLASS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CN108037629A (zh) * 2018-01-19 2018-05-15 姜卫东 电致变色器件用单面电极片
EP3928309A4 (en) * 2019-02-22 2022-11-16 Sage Electrochromics, Inc. IMPROVED CONTROL OF A PROGRESSIVE COLORING GUI
CN117389084A (zh) * 2020-10-26 2024-01-12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CN112904636B (zh) * 2021-02-06 2023-03-24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4644A1 (en) 2023-11-30
WO2022166670A1 (zh) 2022-08-11
CN112904636B (zh) 2023-03-24
JP2024514032A (ja) 2024-03-28
EP4290305A1 (en) 2023-12-13
CN112904636A (zh)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8027A (ko) 전기변색 소자 및 전자 단말
KR101127277B1 (ko) 전기변색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변색소자
US9122118B2 (en) Active barri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isplay apparatus and active shutter glasses
US11927865B2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side-by-side structure and application thereof
US10871696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11099450B2 (en) Electrochromic device
JP2012103659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電気変色モジュール
CN102478739A (zh) 立体影像显示装置及其电致变色模块
KR20110136680A (ko)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CN102338960A (zh) 2d/3d影像切换显示装置
US10935863B2 (en) Electrochromic device
CN110632804A (zh) 调光膜、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10255518A1 (en) Multi-layer optical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30030605A (ko)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80950B1 (ko) 셀 구조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6168B1 (ko) 유연성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092228A1 (en) Cloaking pattern in electrochromic devices
CN220438722U (zh) 显示组件及具有其的电子设备
CN102455559A (zh) 2d/3d影像切换显示装置
KR102091612B1 (ko)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67021A (ko) 전기변색물질을 이용한 패시브 매트릭스 표시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2070631B1 (ko) 전기변색소자
KR20210137699A (ko) 균일한 변색이 가능한 전기 변색소자
KR20220083871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