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905A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7905A KR20230137905A KR1020237025604A KR20237025604A KR20230137905A KR 20230137905 A KR20230137905 A KR 20230137905A KR 1020237025604 A KR1020237025604 A KR 1020237025604A KR 20237025604 A KR20237025604 A KR 20237025604A KR 20230137905 A KR20230137905 A KR 202301379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adapter
- tube
- light guide
- gu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06010011409 Cross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29803 Nosocom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65 me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64 cross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 G02B23/2469—Illumination using optical fib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non solid core or cladd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5—Optical track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6—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using optical fib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8—Sensor means, e.g. for sensing reflux, acidity or pressure
- A61J15/0088—Sensor means, e.g. for sensing reflux, acidity or pressure for sens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61M2205/3313—Optical measuring means used specific waveleng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커넥터(50)는 통 부재(52) 및 기관(58)을 구비한다. 도광성 튜브(60)가 기관(58)으로부터 통 부재(52)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 어댑터(1)는, 광원 장치(70)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접속부(10)와, 커넥터(50)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접속부(20)와, 광원 장치(70)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광성 튜브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검사나 치료를 위하여, 환자에게 유연한 중공의 튜브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씹거나 삼키는 것이 곤란해진 환자에 대해 외부로부터 액상의 영양제를 보급하기 위하여, 입 또는 코로부터 삽입된 튜브(경구 튜브 또는 경비 튜브라고 호칭된다. 이하, 단순히 「튜브」라고 한다.)를 통해 영양제를 위에 직접적으로 보내는 경관 영양이 행해진다. 영양제를 보내기에 앞서, 튜브의 선단이 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미리 광섬유를 삽입한 튜브를 환자에게 삽입하고, 광섬유의 선단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체외에서 관찰함으로써, 튜브 선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튜브를 환자에게 삽입한 후, 튜브를 통해 영양제를 위에 보내기 전에, 광섬유를 튜브로부터 뽑아낼 필요가 있다. 일단 광섬유를 뽑아낸 후, 광섬유를 튜브에 재삽입하는 것은, 삽입의 과정에서 광섬유가 튜브를 뚫고 소화관 벽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방법은, 처음에 튜브를 환자에게 삽입할 때에만 사용 가능하며, 그 후의, 튜브 선단 위치의 정기적인 확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이에,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튜브 자체를 도광로로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광을, 튜브의 기단면에 입사시키고,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시킨다. 이 방법에 의하면, 처음에 튜브를 환자에게 삽입했을 때는 물론, 그 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광을 방사시켜, 튜브 선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경관 영양에서는 영양제가 저류된 용기로부터 위까지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튜브의 기단에는 커넥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튜브의 선단을 발광시킬 때에는,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다.
그런데,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직접 접속하면, 광원 장치를 통해 커넥터가 교차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복수의 환자에 대해 공통되는 광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커넥터가 광원 장치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커넥터와 광원 장치 사이에 어떠한 부재를 개재시켜서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부재에 의해 튜브에 입사하는 광이 감소하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교차 감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도광성 튜브의 선단을 발광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성 튜브에 입사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유연한 중공의 도광성 튜브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중공 원통 형상의 통 부재와, 상기 통 부재와 동축으로 배치된 중공 원통 형상의 기관(基管)을 구비한다. 상기 도광성 튜브가 상기 기관으로부터 상기 통 부재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원 장치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접속부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성 튜브의 기단면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는 광원 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교차 감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도광성 튜브의 선단을 발광시킬 수 있다.
어댑터는,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성 튜브의 기단면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성 튜브에 입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튜브의 선단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와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를 개재하여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端面)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 입사 단면에 볼록 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누출광)을 저감할 수 있다. 이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환상의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튜브의 기단면에 효율적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 출사 단면은, 광을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튜브의 기단면에 효율적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과,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 입사 단면은 상기 광 출사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과,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도광 부재의 외경은, 상기 광 입사 단면과 상기 광 출사 단면 사이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 부재의 형상이 간단화된다. 이는, 어댑터의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 접속부를 상기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통 부재에 축방향으로 대향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어댑터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 접속부를 상기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통 부재에 삽입되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성 튜브의 기단면이 통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후퇴되어 있어도, 광을 튜브의 기단면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의 내경에 관계없이, 통 부재의 선단의 개구경을, 기존 커넥터의 그것과 같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존 커넥터에 대한 호환성을 갖는 커넥터에 본 발명의 어댑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어댑터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 부재의 광 입사 단면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의 기단면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제1 접속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돌출된 도광 부재의 측면을, 도광 부재를 광원 장치에 대해 축 맞춤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튜브의 선단의 밝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어댑터는,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광원 장치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광원 장치에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어댑터가 광원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어댑터를 광원 장치에,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어댑터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중간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오염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중간부에 파지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파지면으로 어댑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또, 축방향의 힘 및/또는 축 둘레의 회전력을 어댑터에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중간부에,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융기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융기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중간부를 파지하는 위치를 축방향으로 규제하는 「파지 위치 규제 구조」로서 기능한다. 융기면은, 어댑터에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융기면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오염될 가능성을 저감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제2 접속부에 커넥터를 동축으로 단단히 접속할 수 있다. 끼워맞춤 구조는, 예를 들면, 테이퍼 끼워맞춤을 구성할 수 있는 수테이퍼면 또는 암테이퍼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기 통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댑터를, 경비 경관 영양에서 사용되는 경비 튜브의 기단에 설치되는 수커넥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내어진 각 부재를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 형태에서 인용한 도면에 나타내어진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당해 선행하는 실시 형태의 도면에서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으며, 선행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재(예를 들면 어댑터, 도광 부재, 커넥터)의 「축」은, 당해 부재의 중심축을 의미한다. 「축」은, 부재에 포함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또는, 부재에 포함되는 원통 혹은 원뿔(테이퍼)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하여 축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축에 직교하는 직선을 따른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고 한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축에 가까운 쪽을 「내」측, 축에 먼 쪽을 「외」측이라고 한다. 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을 경비 경관 영양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비 튜브(이하, 단순히 「튜브」라고 한다)(60)의 기단에 커넥터(50)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60)는 환자(90)의 비강으로부터 삽입되고, 튜브(60)의 선단(65)은 위(91)에 도달해 있다. 튜브(60)는, 자유롭게 만곡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튜브(60)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는 유로(69)(후술하는 도 2b 참조)가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물이다. 경관 영양을 행할 때, 액상의 영양제는, 커넥터(50) 및 튜브(60)를 통과하여 환자의 위(91)에 투여된다. 커넥터(50)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어댑터(1)를 개재하여 광원 장치(70)에 반복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다. 커넥터(50)를 어댑터(1)를 개재하여 광원 장치(70)에 접속했을 때, 광원 장치(70)에 내장된 광원(78)(후술하는 도 3 참조)으로부터의 광은, 어댑터(1), 커넥터(50) 및 튜브(6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튜브(60)의 선단(65)으로부터 출사된다. 선단(65)으로부터의 광은 환자(90)의 신체를 투과하여 체표면을 빛나게 한다. 시술자는, 환자(90)의 체표면에서의 발광 위치로부터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a는, 어댑터(1)와, 튜브(60)에 설치된 커넥터(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어댑터(1) 및 커넥터(50)의 축(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도 2a의 단면도이다.
어댑터(1)는, 일단에, 광원 장치(70)(도 1 참조)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접속부(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커넥터(50)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접속부(20)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제1 접속통(11)을 구비한다. 제1 접속통(11)의 외주면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제1 접속통(11)의 외주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 외경이 제1 접속통(11)의 선단 측 또는 기단 측(제2 접속부(20) 측)을 향하여 커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제2 접속부(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제2 접속통(21)을 구비한다. 제2 접속통(21)의 내주면에는, 선단(제1 접속부(10)와는 반대측 단)을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암테이퍼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통(11) 내에 도광 부재(30)가 수용되어 있다. 도광 부재(30)는,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을 향한 광 입사 단면(31) 및 광 출사 단면(32)과, 광 입사 단면(31)과 광 출사 단면(32)을 잇는 측면(33)을 구비한다. 도광 부재(30)는, 광 입사 단면(31) 측이 대경인 대략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도광 부재(30)는, 원뿔면 또는 테이퍼면인 측면(33)이 제1 접속통(11)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간극 없이 밀착하여, 제1 접속통(11)에 끼워 넣어져 있다. 광 입사 단면(31)은, 제1 접속부(10)의 선단 측(제2 접속부(2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볼록 곡면이다. 광 출사 단면(32)은, 제2 접속통(21)의 내강을 향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어댑터(1)의 축 둘레에 환상으로 연속된 홈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1)의 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광 출사 단면(32)의 단면 형상은, 축에 대해 대칭인 2개의 대략 원호를 포함한다. 광 출사 단면(32)은, 이 2개의 대략 원호가 축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 얻어지는 궤적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의 오목 곡면이다.
어댑터(1)는, 도광 부재(30)와, 도광 부재(30) 이외의 부분(어댑터 본체(101))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어댑터 본체(101)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101)는,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해서 전체를 일 부품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광 부재(30)는, 광이, 광 입사 단면(31)으로부터 입사하고, 도광 부재(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32)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도록, 도광성을 갖는 재료(도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도광성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경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에틸렌,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부타디엔, 폴리올레핀, 아크릴 수지(예를 들면 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나 석영 유리 등의 투명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형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예를 들면 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튜브(60)의 선단(65)(도 1 참조)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 입사 단면(31)에서 광 출사 단면(32)까지의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측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누출광)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누출광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도광 부재(30)를, 고굴절률의 내층과 저굴절률의 외층을 적어도 구비한 다층 구조로 구성하거나, (2) 측면(33)에 반사층(예를 들면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30)를 어댑터 본체(101)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도광 부재(30) 및 어댑터 본체(101)를 각각 따로 제조한 후, 도광 부재(30)를 어댑터 본체(101)의 제1 접속통(11)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도광 부재(30) 및 어댑터 본체(101) 중 한쪽을 제조하고, 그 후, 다른 쪽을 상기 한쪽에 2색 성형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50)는, 그 선단 측(어댑터(1) 측)에 커넥터부(51)를 구비하고, 그 기단 측에 기관(58)을 구비한다. 커넥터부(51)는, 중공 통 형상을 갖는 통 부재(수부재)(52)와, 통 부재(52)를 둘러싸는 외통(56)을 구비한다. 커넥터부(51)(또는 통 부재(52))와 기관(58)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59)이, 통 부재(52)에서 기관(58)까지 커넥터(50)의 축을 따라 커넥터(50)를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59)의 내주면은, 커넥터(50)의 축과 동축의 원통면이다.
통 부재(52)의 외주면에는, 통 부재(52)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수테이퍼면(53)이 형성되어 있다. 통 부재(52)의 외주면은, 수테이퍼면(53)보다 선단 측에, 수테이퍼면(53)보다 큰 테이퍼 각도를 갖는 선단 테이퍼면(54)을 추가로 갖는다. 통 부재(52)의 선단(선단 테이퍼면(54)의 일부 또는 전부)은, 외통(56)의 선단보다, 커넥터(5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 부재(52)가 외통(56)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은, 어댑터(1)에 대한 커넥터(50)(또는 통 부재(52))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플랜지(55)가, 통 부재(52)의 기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55)의 원형의 외주연으로부터, 외통(56)이 통 부재(52)와 같은 측(커넥터(50)의 선단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외통(56)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통 부재(52)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통(56)은, 통 부재(5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외통(56)의 통 부재(52)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57)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51)는, 경관 영양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커넥터(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a, 도 4b 참조)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연한 중공의 튜브(60)가, 커넥터(50)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되어 있다. 튜브(60)의 외경은, 관통 구멍(59)의 내경과 대략 같다. 튜브(60)는, 그 기단 측의 종단면인 기단면(61)을 갖는다. 기단면(61)은, 튜브(60)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이다. 기단면(61)은, 통 부재(52)의 선단과 동일면을 구성하고, 외계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튜브(60)는, 커넥터(5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제 등에 의해 커넥터(50)(특히 기관(58))에 고정되어 있다. 튜브(60)는, 기관(58)으로부터, 통 부재(52)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
커넥터(50)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어댑터(1)의 어댑터 본체(101)의 재료로서 상술한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50)는,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해서 전체를 일 부품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튜브(60)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지만, 유연성과 도광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아크릴, 실리콘, 폴리에틸렌,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부타디엔,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튜브(60)(튜브(6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튜브(60)의 두께를 구성하는 부분)를 투과하고 선단(65)(도 1 참조)으로부터 출사되어, 선단(65)이 발광한다.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단면(61)에서 선단(65)까지의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단면(61)에서 선단(65)까지의 사이에서 튜브(6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계로 출사되는 광(누출광)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누출광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는,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튜브(60)의 외주면을 평활화하거나, (2) 튜브(60)의 외주면을, 튜브(60)보다 저굴절률의 피복재로 덮거나, (3) 튜브(60)의 외주면에 반사층(예를 들면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거나, (4) 튜브(60)를, 고굴절률의 내층과 저굴절률의 외층을 적어도 구비한 다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 등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위(91)(도 1 참조) 내에서의 선단(65)의 방향에 관계없이, 선단(65)으로부터의 광으로 환자(90)의 체표면을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광이, 튜브(60)의 선단(65)으로부터, 튜브(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출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튜브(60)의 선단(65)에 경사진 광 출사면을 형성하는 것, 및/또는, 반사 부재 또는 굴절 부재를 튜브(60)의 선단(65)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여 설치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어댑터(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광원 장치(70)는, 제1 접속부(10)(제1 접속통(11))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유지부(71)와, 유지부(71)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된 광원(78)을 구비한다. 유지부(71)는, 유지통(72) 및 단차면(73)을 구비한다. 유지통(72)의 내주면은, 제1 접속통(11)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단차면(73)은, 유지통(72)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유지통(7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원(78)은, 유지부(71)(또는 유지통(72))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1)의 제1 접속부(10)는, 제1 접속통(11)의 선단이 단차면(73)에 맞닿을 때까지 유지부(71)에 삽입된다. 유지통(72)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30))를 광원(78)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다. 단차면(73)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30))를 광원(7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도광 부재(30)의 광 입사 단면(31)이 광원(78)에 대향한다.
어댑터(1)의 제2 접속부(20)(또는 제2 접속통(21))가, 커넥터(50)의 외통(56)과 통 부재(52)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다. 커넥터(50)의 통 부재(52)가, 제2 접속부(20)(또는 제2 접속통(21))에 삽입된다. 제2 접속통(21)의 암테이퍼면(23)은, 통 부재(52)의 수테이퍼면(53)과 외경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암테이퍼면(23)에 수테이퍼면(53)이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통 부재(52)(또는 튜브(60)의 기단면(61))는, 도광 부재(30)와 동축으로, 또한, 도광 부재(30)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튜브(60)의 기단면(61)이 도광 부재(30)의 광 출사 단면(32)에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광원(78)을 발광시킨다. 광원(78)은, 도광 부재(30)의 광 입사 단면(31)을 향하여 광을 발사한다. 광원(78)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광 입사 단면(31)에 입사하고, 도광 부재(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32)으로부터 출사되고,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한다.
광원(78)으로서, 제한되지 않지만,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78)이 발사하는 광은, 가시광 또는 근적외광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광의 파장은, 제한되지 않지만, 360nm 이상, 나아가서는 63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nm 이하, 나아가서는 78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파장의 광은, 인체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인체에 대해 저침습(低侵襲)이며 안전성이 높다. 가시광은,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기 때문에,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근적외광은, 가시광보다 투광성이 우수하고, 적외선 카메라 등의 전용 카메라를 통해 관찰 가능하다. 일례에서는, 가시광으로서 파장이 630nm인 광을, 또는, 근적외광으로서 파장이 780nm인 광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78)으로부터 발사된 광이 도광 부재(30)의 광 입사 단면(31)에 효율적으로 입사하도록, 광원(78)이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또는, 광원(78)과 도광 부재(30) 사이에 렌즈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튜브(60)의 기단에 커넥터(50)가 설치된 경비 튜브를 준비한다. 일반적인 경비 튜브와 마찬가지로, 튜브(60)를 환자(90)의 비강에 삽입한다(도 1 참조). 커넥터(50)에 어댑터(1)를 접속하고, 어댑터(1)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한다. 그리고, 광원(78)(도 3 참조)을 발광시킨다. 광원(78)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도광 부재(30) 및 튜브(6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튜브(60)의 선단(65)으로부터 방사된다. 선단(65)으로부터의 광은, 환자(90)를 투과한다. 시술자는, 환자(90)의 체표면에서의 발광 위치로부터, 선단(6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광은, 그 파장에 의해, 육안으로,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비 튜브를 삽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리 스타일렛(가이드 와이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을 유로(69)에 삽입한 튜브(60)를 환자(90)에게 삽입해도 된다. 스타일렛의 기단은 커넥터(50)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렛을 튜브(60)로부터 뽑아낸 후, 커넥터(50)를 어댑터(1)에 접속한다.
광섬유를, 그 선단이 튜브(60)의 선단(65)에 도달하도록 유로(69)에 삽입한 튜브(60)를 환자(90)에게 삽입해도 된다. 광원 장치(70)를 이용하여, 선단(65)에 더해, 광섬유의 선단도 발광시킨다. 선단(65)으로부터의 광속이 증대되므로, 선단(65)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튜브(60)의 선단이 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한 후, 광섬유를 튜브(60)로부터 뽑아낸다.
튜브(60)의 선단(65)이 위에 도달한 것을 확인 후, 커넥터(50)로부터 어댑터(1)를 분리한다. 그리고, 커넥터(50)를, 영양제를 반송하는 튜브(일반적으로, 경관 영양 세트라고 불린다)의 하류단에 설치된 커넥터(암커넥터.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5a, 도 5b 참조)에 접속한다. 영양제는, 튜브(60)의 유로(69)를 통과하고, 선단(65)으로부터 유출되어 환자에게 투여된다.
커넥터(50)는 튜브(60)와 더불어, 수일에 걸쳐 환자(90)에게 유치된다. 그 사이에 튜브(60)가 컬 업하는 등 하여 선단(65)이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면 영양제를 환자(90)에게 투여하기 직전), 커넥터(50)를 어댑터(1)를 개재하여 광원 장치(70)에 접속하고, 선단(65)을 발광시켜, 그 위치를 확인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는, 광원 장치(70)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접속부(10)와, 커넥터(50)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접속부(2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어댑터(1)를 개재하여 커넥터(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할 수 있다. 어댑터(1)는, 광원 장치(70)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3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의 광을 도광 부재(30)의 광 입사 단면(31)에 입사시키면, 광은, 도광 부재(30)를 통과하고, 광 출사 단면(32)으로부터 출사되어,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시킬 수 있다. 광은, 추가로, 튜브(60)를 통과하여, 튜브(60)의 선단(65)으로부터 출사된다. 특허문헌 1과는 달리,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튜브(60) 자체를 도광로로서 이용하여, 튜브(60)의 선단(65)을 발광시킬 수 있다. 선단(65)으로부터의 광은, 환자(90)의 신체를 통해 관찰 가능하다. 이 때문에,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튜브 선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튜브에 광섬유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튜브로부터 광섬유를 뽑아낸 후에, 광섬유를 튜브에 재삽입하면, 광섬유가 튜브를 뚫고 소화관 벽을 손상시키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특허문헌 1에서는 필수인 광섬유가 불필요하다. 튜브(60)에 광섬유를 재삽입하지 않아도,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특허문헌 1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기의 사고는 일어날 수 없다. 튜브(60)를 환자(90)에게 삽입한 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튜브(60)의 선단(65)으로부터 광을 방사시켜, 선단(65)의 위치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커넥터(50)는, 어댑터(1)를 개재하여 광원 장치(70)에 접속된다. 튜브(60)를 처음에 환자(90)에게 삽입하는 경우는 물론, 튜브(60)를 환자에게 삽입한 후에 선단(65)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여도, 어댑터(1)를 개재하여 커넥터(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할 수 있다. 선단(6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커넥터(50)를 광원 장치(70)에 직접 접속할 필요는 없다. 만일 광원 장치(70)(특히 유지부(71))가 오염되어 있어도, 청정한 어댑터(1)를 이용하면, 커넥터(50)가 오염될 가능성은 낮다. 예를 들면, 공통된 광원 장치(70)를 복수의 환자에 대해 이용하는 경우여도, 환자마다 별개의 청정한 어댑터(1)를 이용하면, 교차 감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교차 감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튜브(60)의 선단(65)을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1)는, 사용할 때마다 세정, 멸균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1)는, 사용할 때마다 폐기되고, 항상 새로운 것이 사용된다.
어댑터(1)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3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6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광 부재(30)는, 볼록 곡면이 형성된 광 입사 단면(31)을 구비한다. 볼록 곡면은,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도광 부재(30)의 축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킨다. 이는, 도광 부재(30)의 측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누출광)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 입사 단면(31)은, 볼록 곡면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광 입사 단면(31)은, 어댑터(1)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나,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도광 부재(30)는, 튜브(60)의 환상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환상의 광 출사 단면(32)을 구비한다. 환상의 광 출사 단면(32)은, 도광 부재(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튜브(60)의 환상의 기단면(61)에 낭비 없이 입사시키는데 유리하다.
광 출사 단면(32)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 곡면은, 도광 부재(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환상의 기단면(61)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키는 렌즈 기능을 갖는다. 이는, 도광 부재(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에 효율적으로 입사시키는데 더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 출사 단면(32)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출사 단면(32)은, 환상이 아닌 오목 곡면 또는 어댑터(1)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어도 된다. 평탄면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 2의 광 출사 단면(232)(도 4b 참조)과 같은 환상의 평탄면이어도 된다. 혹은, 광 출사 단면(32)은,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볼록 곡면은, 환상의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환상의 볼록 곡면의 어댑터(1)의 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 형상은, 축에 대해 대칭인 2개의 대략 원호를 포함하며, 환상의 볼록 곡면은, 이 2개의 대략 원호가 축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 얻어지는 궤적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50)에 접속했을 때, 도광 부재(30)는, 통 부재(52)에 삽입되지 않고, 통 부재(52)의 선단에 축방향으로 대향한다. 이는, 어댑터(1)의 구성을 간단화하는데 유리하다. 이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염가의 어댑터(1)를 이용하여, 도광 부재(30)와 튜브(60)를 용이하게 광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광 부재(30)는, 광 입사 단면(31)이 광 출사 단면(32)보다 대경인 대략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대면적의 광 입사 단면(31)을 통해 보다 많은 광을 도광 부재(3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광 부재(30)는, 측면(33)이, 축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면인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2 접속통(21)의 외주면에, 커넥터(50)의 암나사(57)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접속부(20)는, 제2 접속통(21)에, 커넥터(50)의, 통 부재(52)가 아니라, 외통(56)이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접속통(21)의 내주면(23)은, 외통(56)의 외주면에 끼워 넣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튜브(60)의 기단면(61)은, 통 부재(52)의 선단과, 커넥터(50)의 축방향에 있어서 정확히 동일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기단면(61)이 통 부재(52)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후퇴 또는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여도, 도광 부재(30)의 광 출사 단면(3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어댑터(2)와, 튜브(60)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2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어댑터(2) 및 커넥터(250)의 축(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도 4a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를 설명한다.
어댑터(2)는, 일단에 제1 접속부(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제2 접속부(20)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제1 접속통(211)을 구비한다. 제1 접속통(211)의 외주면은, 실시 형태 1의 제1 접속통(11)과 같은,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제1 접속통(211)의 외주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 외경이 제1 접속통(211)의 선단 측 또는 기단 측(제2 접속부(20) 측)을 향하여 커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렌즈(237)가, 제1 접속통(211)의 선단(제2 접속부(20)와는 반대측 단) 또는 그 근방에, 제1 접속통(211)의 개구를 막도록, 또한 제1 접속통(211)과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2)는, 제1 접속통(211)의 내강과 제2 접속통(21)의 내강을 가르는 격벽(205)을 추가로 구비한다. 격벽(205)은, 어댑터(2)의 축에 수직인 평판이어도 된다. 격벽(205)의 중앙에, 격벽(205)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206)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 부재(230)가, 구멍(206)을 막도록, 격벽(205)에 유지되어 있다. 도광 부재(230)는, 가늘고 긴 봉 형상(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어댑터(2)와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광 부재(230)는,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을 향한 광 입사 단면(231) 및 광 출사 단면(232)을 구비한다. 광 입사 단면(231)은, 제1 접속부(10)의 선단 측(제2 접속부(2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볼록 곡면이다. 광 출사 단면(232)은, 제1 접속부(1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으며, 어댑터(2)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 출사 단면(232)은, 어댑터(2)와 동축의 원뿔 형상의 오목부(234)를 둘러싸는 환상의 평탄면이다. 도광 부재(230)의 측면(외주면)(233)은, 광 출사 단면(232)의 근방에 있어서 약간 확경(擴徑)되어 있다. 도광 부재(230)는, 제2 접속부(20)의 제2 접속통(21)보다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접속통(21)은, 도광 부재(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도광 부재(230)를 둘러싸고 있다.
어댑터(2)는, 도광 부재(230)와, 렌즈(237)와, 도광 부재(230) 및 렌즈(237) 이외의 부분(어댑터 본체(201))의 3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어댑터 본체(201)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어댑터 본체(20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 본체(201)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230)는, 광이, 광 입사 단면(231)으로부터 입사하고, 도광 부재(2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232)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도록, 도광성을 갖는 재료(도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237)는, 광원(78)(후술하는 도 5 참조)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 부재(230)의 광 입사 단면(231)을 향하여 집광할 수 있도록, 도광성을 갖는 재료(도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에 사용할 수 있는 도광성 재료를, 도광 부재(230) 및 렌즈(237)의 도광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광 부재(30)의 측면(33)으로부터의 누출광을 저감하기 위한 수단은, 도광 부재(23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230) 및 렌즈(237)를 어댑터 본체(201)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도광 부재(230), 렌즈(237), 및 어댑터 본체(201)를 각각 따로 제조한 후, 도광 부재(230)를 격벽(205)의 구멍(206)에 끼워 넣고, 또, 렌즈(237)를 제1 접속통(211)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도광 부재(230) 및 렌즈(237) 중 한쪽과 어댑터 본체(201)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조한 후, 도광 부재(230) 및 렌즈(237) 중 다른 쪽을 어댑터 본체(201)에 끼워 넣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250) 및 튜브(60)는, 실시 형태 1의 커넥터(50) 및 튜브(60)(도 2a 및 도 2b 참조)와 개략적으로 같다. 단,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튜브(60)의 기단면(61)은, 통 부재(52)의 선단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있다. 기단면(61)은, 통 부재(52)의 선단 측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튜브(60)는, 통 부재(52)에는 실질적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튜브(60)가 통 부재(52) 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즉, 기단면(61)이 통 부재(52)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도 5는, 어댑터(2)를 개재하여 커넥터(2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광원 장치(70)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어댑터(2)의 제1 접속부(10)는, 제1 접속통(211)의 선단이 단차면(73)에 맞닿을 때까지 유지부(71)에 삽입된다. 유지통(72)은 제1 접속부(10)(또는 렌즈(237))를 광원(78)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다. 단차면(73)은 제1 접속부(10)(또는 렌즈(237))를 광원(7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렌즈(237)가 광원(78)에 대향한다.
어댑터(2)의 제2 접속부(20)(또는 제2 접속통(21))는, 커넥터(250)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접속된다. 제2 접속통(21)의 암테이퍼면(23)에 통 부재(52)의 수테이퍼면(53)이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도광 부재(2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된다. 도광 부재(230)는, 튜브(60)와 동축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광 부재(230)의 광 출사 단면(232)은,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단면(61)에 근접하며, 바람직하게는 맞닿는다.
광원(78)은, 렌즈(237)를 향하여 광을 발사한다. 렌즈(237)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 부재(230)의 광 입사 단면(231)을 향하여 집광한다. 광 입사 단면(231)에 입사한 광은, 도광 부재(2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232)으로부터 출사되고,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한다.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튜브(60) 자체를 도광로로서 이용하여, 튜브(60)의 선단(65)(도 1 참조)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안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250)를 광원 장치(70)에 직접 접속할 필요는 없으므로, 교차 감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어댑터(2)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 부재(230)의 광 입사 단면(231)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237)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6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게다가, 렌즈(237)의 구경은, 광 입사 단면(231)의 직경보다 크다. 대면적의 렌즈(237)를 통해 보다 많은 광을 도광 부재(3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댑터(2)가 렌즈(2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이 도광 부재(230)의 광 입사 단면(231)에 효율적으로 입사하도록, 광원(78)이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또는, 광원 장치(70)가 광원(78)과 도광 부재(230) 사이에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어댑터(2)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23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6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광 부재(230)는, 볼록 곡면이 형성된 광 입사 단면(231)을 구비한다. 볼록 곡면은,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도광 부재(230)의 축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킨다. 이는, 도광 부재(230)의 측면(23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누출광)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 입사 단면(231)은, 볼록 곡면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광 입사 단면(231)은, 어댑터(2)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나,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도광 부재(230)는, 튜브(60)의 환상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환상의 광 출사 단면(232)을 구비한다. 환상의 광 출사 단면(232)은, 도광 부재(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낭비 없이 튜브(60)의 환상의 기단면(61)에 입사시키는데 유리하다.
광 출사 단면(232)은, 환상의 평탄면을 갖는다. 이는, 도광 부재(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낭비 없이 튜브(60)에 입사시키는데 더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 출사 단면(232)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출사 단면(232)은, 오목부(234)를 갖지 않는 평탄면이어도 된다. 혹은, 광 출사 단면(232)은,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댑터(2)의 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광 출사 단면(232)의 단면 형상은 축에 대해 대칭인 2개의 대략 원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광 출사 단면(232)은, 이 2개의 대략 원호가 축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 얻어지는 궤적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의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광 출사 단면(32)과 마찬가지로, 광 출사 단면(232)이, 도광 부재(2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환상의 기단면(61)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키는 렌즈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230)의 광 출사 단면(232)의 적어도 일부는,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2)의 축을 따라 보았을 때, 광 출사 단면(232)의 일부가 기단면(61)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되고, 또, 기단면(61)의 일부가 광 출사 단면(23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232)의 내경 및 외경은, 기단면(61)의 내경 및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광 출사 단면(232)은, 기단면(61)에 대해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편심되어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232)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튜브(60)의 기단면(61)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230)는, 광 출사 단면(232)의 근방에 있어서 확경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광 부재(230)는, 광 출사 단면(232)의 근방에 있어서, 일정 직경이어도 되고, 혹은, 축경(縮徑)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250)에 접속했을 때, 도광 부재(2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달리, 튜브(60)의 기단면(61)은 통 부재(52)의 선단으로부터 후퇴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문에, 통 부재(52)의 선단에서의 유로(관통 구멍(59))의 개구경(이하 「선단 개구경」이라고 한다)을, 튜브(60)의 내경에 관계없이, 경관 영양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경비 튜브의 기단에 설치되는 수커넥터(이하 「기존 수커넥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a, 도 4b 참조)의 그것과 같게 할 수 있다. 어댑터(2)가 적용되는 커넥터(250)(특히 커넥터부(51))를, 기존 수커넥터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단,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튜브(60)가 통 부재(52)의 선단까지 연장된 커넥터(50)(도 2a 및 도 2b 참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광 부재(230)의 제2 접속통(21) 내로의 돌출 길이는 단축화된다.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50)에 접속했을 때,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광 부재(2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되지 않고, 광 출사 단면(232)은 기단면(61)(또는 통 부재(52)의 선단)에 대향한다.
도광 부재(230)는, 광 입사 단면(231)이 광원(78)에 가까워지도록, 제1 접속통(211)의 내강 내에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230)의 제1 접속통(211) 내의 부분이,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와 동일한 대략 원뿔대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대면적의 광 입사 단면(231)을 통해 보다 많은 광을 도광 부재(230)에 입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2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3)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어댑터(3)와 튜브(60)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2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어댑터(3) 및 커넥터(250)의 축(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도 6a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2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를 설명한다.
어댑터(3)는, 일단에 제1 접속부(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제2 접속부(20)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접속통(311)을 구비한다. 제1 접속통(311)의 외주면은, 실시 형태 1의 제1 접속통(11)과 같은,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제1 접속통(311)의 외주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 외경이 제1 접속통(311)의 선단 측 또는 기단 측(제2 접속부(20) 측)을 향하여 커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어댑터(3)는, 추가로, 도광 부재(330)를 구비한다. 도광 부재(330)는, 가늘고 긴 봉 형상(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어댑터(3)와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광 부재(330)는,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을 향한 광 입사 단면(331) 및 광 출사 단면(332)과, 광 입사 단면(331)과 광 출사 단면(332)을 잇는 측면(333)을 구비한다. 광 입사 단면(331) 및 광 출사 단면(332)은, 모두 어댑터(3)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다. 광 입사 단면(331)은, 제1 접속부(10)의 선단 측(제2 접속부(2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고, 광 출사 단면(332)은, 제1 접속부(1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측면(333)은, 그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도광 부재(330)는, 측면(333)이 제1 접속통(311)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간극 없이 밀착하여, 제1 접속통(311)에 끼워 넣어져 있다. 광 입사 단면(331)은, 제1 접속부(10)(또는 제1 접속통(311))의 선단면(312)과 공통되는 일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광 부재(330)는, 제2 접속부(20)의 제2 접속통(21)보다 제1 접속부(10)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접속통(21)은, 도광 부재(3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도광 부재(330)를 둘러싸고 있다.
어댑터(3)는, 도광 부재(330)와, 도광 부재(330) 이외의 부분(어댑터 본체(301))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어댑터 본체(301)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어댑터 본체(30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 본체(301)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330)는, 광이, 광 입사 단면(331)으로부터 입사하고, 도광 부재(3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332)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도록, 도광성을 갖는 재료(도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에 사용할 수 있는 도광성 재료를, 도광 부재(330)의 도광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광 부재(30)의 측면(33)으로부터의 누출광을 저감하기 위한 수단은, 도광 부재(33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330)를 어댑터 본체(301)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도광 부재(330) 및 어댑터 본체(301)를 각각 따로 제조한 후, 도광 부재(330)를 어댑터 본체(301)의 제1 접속통(311)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도광 부재(330) 및 어댑터 본체(301) 중 한쪽을 제조하고, 그 후, 다른 쪽을 상기 한쪽에 2색 성형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250) 및 튜브(60)는, 실시 형태 2의 커넥터(250) 및 튜브(60)(도 4a 및 도 4b 참조)와 같다.
도 7은, 어댑터(3)를 개재하여 커넥터(2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광원 장치(70)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어댑터(3)의 제1 접속부(10)는, 제1 접속통(311)의 선단이 단차면(73)에 맞닿을 때까지 유지부(71)에 삽입된다. 유지통(72)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330))를 광원(78)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다. 단차면(73)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330))를 광원(7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도광 부재(330)의 광 입사 단면(331)이 광원(78)에 대향한다.
어댑터(3)의 제2 접속부(20)(또는 제2 접속통(21))는, 커넥터(250)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접속된다. 제2 접속통(21)의 암테이퍼면(23)에 통 부재(52)의 수테이퍼면(53)이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도광 부재(3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된다. 도광 부재(330)는, 튜브(60)와 동축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광 부재(330)의 광 출사 단면(332)은,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단면(61)에 근접하며, 바람직하게는 맞닿는다.
광원(78)은, 도광 부재(330)의 광 입사 단면(331)을 향하여 광을 발사한다. 광원(78)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광 입사 단면(331)에 입사하고, 도광 부재(3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332)으로부터 출사되고,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한다.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튜브(60) 자체를 도광로로서 이용하여, 튜브(60)의 선단(65)(도 1 참조)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안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250)를 광원 장치(70)에 직접 접속할 필요는 없으므로, 교차 감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어댑터(3)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33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6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광 부재(330)는, 그 측면(333)이 원통면이며, 양단면(331, 332)이 평탄면인,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도광 부재(330)가, 이러한 단순한 로드 형상을 가지므로, 도광 부재(330)의 제조는 용이하다. 이는, 어댑터(3)의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도광 부재(33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입사 단면(331)은, 실시 형태 2의 광 입사 단면(231)과 동일한 볼록 곡면이어도 되고, 또는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332)은, 실시 형태 2의 광 출사 단면(232)과 동일한, 중앙에 오목부(234)가 형성된 환상의 평탄면이어도 된다. 혹은, 광 출사 단면(332)은, 실시 형태 2에서 광 출사 단면(232)에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한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광 출사 단면(32)과 마찬가지로, 광 출사 단면(332)이, 도광 부재(3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환상의 기단면(61)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키는 렌즈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330)의 측면(333)은, 원통면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광 부재(330)가, 제1 접속통(311) 내에, 광 입사 단면(331)을 향하여 대경의 대략 원뿔대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와 마찬가지로, 광 입사 단면(331)은 광 출사 단면(332)보다 큰 면적을 갖게 된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혹은, 도광 부재(330)는, 광 출사 단면(332)의 근방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도광 부재(230)(도 4b 참조)와 마찬가지로 확경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축경되어 있어도 된다.
어댑터(3)는,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가 구비하고 있던 렌즈(237)(도 4b, 도 5 참조)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댑터(3)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저감된다. 어댑터(3)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이는, 어댑터(3)의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또한,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이 도광 부재(330)의 광 입사 단면(331)에 효율적으로 입사하도록, 광원(78)이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또는, 광원 장치(70)가 광원(78)과 도광 부재(330) 사이에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광 입사 단면(331)은, 제1 접속부(10)(제1 접속통(311))의 선단면(312)과 축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입사 단면(331)은, 제1 접속통(311)의 선단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 또는 후퇴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속통(311)은, 도광 부재(330)의 측면(333)에 밀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 접속통(311)은, 실시 형태 2의 제1 접속통(211)과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도광 부재(330)의 측면(333)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330)의 광 출사 단면(332)의 적어도 일부는,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3)의 축을 따라 보았을 때, 광 출사 단면(332)의 일부가 기단면(61)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되고, 또, 기단면(61)의 일부가 광 출사 단면(33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332)의 외경은, 기단면(61)의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광 출사 단면(332)은, 기단면(61)에 대해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편심되어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332)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튜브(60)의 기단면(61)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250)에 접속했을 때, 도광 부재(3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통 부재(52)의 선단에서의 유로(관통 구멍(59))의 개구경(선단 개구경)을, 튜브(60)의 내경에 관계없이, 경관 영양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경비 튜브의 기단에 설치되는 수커넥터(기존 수커넥터,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a, 도 4b 참조)의 그것과 같게 할 수 있다. 어댑터(3)가 적용되는 커넥터(250)(특히 커넥터부(51))를, 기존 수커넥터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단,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튜브(60)가 통 부재(52)의 선단까지 연장된 커넥터(50)(도 2a 및 도 2b 참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광 부재(330)의 제2 접속통(21) 내로의 돌출 길이는 단축화된다.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50)에 접속했을 때,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광 부재(330)는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되지 않고, 광 출사 단면(332)은 기단면(61)(또는 통 부재(52)의 선단)에 대향한다.
본 실시 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 2와 같다. 본 실시 형태 3에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 1, 2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3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어댑터(4)를 개재하여 커넥터(450)를 광원 장치(70)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어댑터(4)는,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와 실질적으로 같다. 광원 장치(70)는, 실시 형태 1~3과 같다. 본 실시 형태 4의 커넥터(450)는, 실시 형태 2의 커넥터(250)가 구비하고 있던 외통(56), 암나사(57), 플랜지(55)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접속통(21)에 커넥터(450)의 통 부재(452)가 끼워 넣어지고, 양자의 마찰력에 의해 어댑터(4)(특히 제2 접속부(20))가 커넥터부(451)(특히 통 부재(452))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커넥터부(51)는 경관 영양에서 사용되는 기존 수커넥터(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a, 도 4b 참조)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커넥터부(451)는, 암부재로서의 통 부재(452)를 구비한 암커넥터여도 된다. 이 경우, 통 부재(452)의 내강(관통 구멍(59))에 임의의 수부재가 삽발(揷拔)된다. 통 부재(452)의 내주면에, 통 부재(452)의 선단을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암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암테이퍼면은, 수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테이퍼면과 테이퍼 끼워맞춤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암커넥터(451)를 구비한 커넥터(450)가 설치된 튜브(60)는, 예를 들면, 요도 카테터나 기관 삽관 카테터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2와 같다. 실시 형태 2의 설명(나아가서는, 실시 형태 2에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4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를, 커넥터(450)에 접속해도 된다.
(실시 형태 5)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어댑터(5)와, 튜브(60)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어댑터(5)의 축(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도 9a의 단면도이다. 도 9b의 단면과 도 9c의 단면은, 어댑터(5)의 축에 있어서 직교한다. 실시 형태 1~3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를 설명한다.
어댑터(5)는, 일단에 제1 접속부(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제2 접속부(20)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제1 접속통(511)을 구비한다. 제1 접속통(511)의 외주면은, 실시 형태 1의 제1 접속통(11)과 같은,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제1 접속통(511)의 외주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 외경이 제1 접속통(511)의 선단 측 또는 기단 측(제2 접속부(20) 측)을 향하여 커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제1 접속통(511)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환상 오목부(환상 홈)(5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들 사이에 중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4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중간 통(41)을 구비한다. 제1 접속통(511) 및 중간 통(41)에는, 어댑터(5)의 축을 따른 연속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40)(또는 중간 통(41))의 외주면은, 제한되지 않지만, 제1 접속통(511)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단, 중간부(40)의 외주면에는, 중간부(40)의 당해 원통면을 잘라내도록(또는 깎아내도록) 하여, 테이퍼면(43) 및 한 쌍의 파지면(45)이 형성되어 있다(도 9c 참조). 테이퍼면(43)은, 제2 접속부(20)를 향하여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면이다. 한 쌍의 파지면(45)은, 어댑터(5)의 축에 대해 대칭이다. 각 파지면(45)은, 제1 접속부(10) 측의 제1 평탄면(45a)과 제2 접속부(20) 측의 제2 평탄면(45b)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1 평탄면(45a)은, 그 사이의 간격이 제1 접속부(10)를 향하여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제2 평탄면(45b)은, 서로 평행하다. 제1 평탄면(45a)에 제1 접속부(10) 측에 인접하여 융기면(제1 융기면)(46)이 형성되어 있다. 융기면(46)은, 제1 접속부(10) 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테이퍼면(43) 및 제2 평탄면(45b)에 대해 제2 접속부(20) 측에 인접하여 융기면(제2 융기면)(47)이 형성되어 있다. 융기면(47)은, 제2 접속부(20) 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융기면(47)은,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어댑터(5)는, 추가로, 도광 부재(530)를 구비한다. 도광 부재(530)는, 가늘고 긴 봉 형상(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어댑터(5)와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광 부재(530)는,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을 향한 광 입사 단면(531) 및 광 출사 단면(532)과, 광 입사 단면(531)과 광 출사 단면(532)을 잇는 측면(533)을 구비한다. 광 입사 단면(531) 및 광 출사 단면(532)은, 모두 어댑터(5)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다. 광 입사 단면(531)은, 제2 접속부(2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어댑터(5)의 축에 수직인 평탄면이다. 실시 형태 3과 달리, 도광 부재(530)는, 제1 접속부(10)(또는 제1 접속통(511))의 선단면(51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광 출사 단면(532)은, 제1 접속부(10)와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실시 형태 3과 달리, 도광 부재(530)는, 제2 접속통(21) 내로는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측면(533)은, 그 외경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원통면이다. 도광 부재(530)는, 측면(533)(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제외함)이 어댑터 본체(501)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간극 없이 밀착하여, 어댑터 본체(501)에 끼워 넣어져 있다.
어댑터(5)는, 도광 부재(530)와, 도광 부재(530) 이외의 부분(어댑터 본체(501))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어댑터 본체(501)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어댑터 본체(10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 본체(501)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530)는, 광이, 광 입사 단면(531)으로부터 입사하고, 도광 부재(5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532)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도록, 도광성을 갖는 재료(도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에 사용할 수 있는 도광성 재료를, 도광 부재(530)의 도광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광 부재(30)의 측면(33)으로부터의 누출광을 저감하기 위한 수단은, 도광 부재(53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광 부재(530)를 어댑터 본체(501)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도광 부재(530) 및 어댑터 본체(501)를 각각 따로 제조한 후, 도광 부재(530)를 어댑터 본체(501)의 관통 구멍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도광 부재(530) 및 어댑터 본체(501) 중 한쪽을 제조하고, 그 후, 다른 쪽을 상기 한쪽에 2색 성형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50) 및 튜브(60)는, 실시 형태 1의 커넥터(50) 및 튜브(60)(도 2a 및 도 2b 참조)와 같다.
도 10은, 어댑터(5)를 개재하여 커넥터(50)를 광원 장치(570)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광원 장치(570)는, 제1 접속부(10)(제1 접속통(511))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유지부(571)와, 유지부(571)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된 광원(78)을 구비한다. 유지부(571)는, 유지통(572) 및 저판(573)을 구비한다. 유지통(572)의 내주면은, 제1 접속통(511)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유지통(572)의 내주면으로부터 4개의 볼록부(575)(도 10에서는 2개의 볼록부(575)만이 보인다)가 반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4개의 볼록부(575)는,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저판(573)은, 유지통(572)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유지통(57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저판(573)의 중앙에는, 저판(573)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76)이 형성되어 있다. 광원(78)은, 관통 구멍(576)(또는 유지부(571))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5)의 제1 접속부(10)는, 제1 접속통(511)의 선단면(512)이 저판(573)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할 때까지 유지부(571)에 삽입된다. 유지통(572)의 볼록부(575)가 제1 접속부(10)(또는 제1 접속통(511))의 환상 오목부(515)에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어댑터(5)가 광원 장치(570)에 걸린다. 볼록부(575) 및/또는 저판(573)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530))를 광원(7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제1 접속부(10)(제1 접속통(511))의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된 도광 부재(530)가, 저판(573)의 관통 구멍(576)에 끼워 넣어진다. 관통 구멍(576)을 규정하는 관통 구멍(576)의 내주면은, 도광 부재(530)를 광원(78)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다. 도광 부재(530)의 광 입사 단면(531)이 광원(78)에 대향한다.
어댑터(5)의 제2 접속부(20)(또는 제2 접속통(21))는, 커넥터(50)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접속된다. 제2 접속통(21)의 암테이퍼면(23)에 통 부재(52)의 수테이퍼면(53)이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도광 부재(530)의 광 출사 단면(532)은,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단면(61)에 근접하며, 바람직하게는 맞닿는다.
광원(78)은, 도광 부재(530)의 광 입사 단면(531)을 향하여 광을 발사한다. 광원(78)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광 입사 단면(531)에 입사되고, 도광 부재(530)를 통과하여, 광 출사 단면(532)으로부터 출사되고,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한다.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튜브(60) 자체를 도광로로서 이용하여, 튜브(60)의 선단(65)(도 1 참조)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60)의 선단(65)의 위치를 안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50)를 광원 장치(70)에 직접 접속할 필요는 없으므로, 교차 감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어댑터(5)는, 광원(78)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튜브(60)의 기단면(61)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53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튜브(60)에 입사시킬 수 있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은, 제1 접속부(10)(제1 접속통(511))의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광 부재(530)가 돌출된 측면(533)이 광원 장치(570)의 관통 구멍(576)을 규정하는 관통 구멍(576)의 내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에 의해 도광 부재(530)는 광원(78)에 축 맞춤된다(도 10 참조). 축 맞춤이,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531)을 구비하는 도광 부재(530)를 이용하여 행해지므로, 광원(78)에 대한 도광 부재(530)(또는 광 입사 단면(531))의 편심을 저감할 수 있다. 이는, 도광 부재(530)에 입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된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은 원통면이며, 관통 구멍(576)의 내주면도 원통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된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은, 광 입사 단면(531)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이어도 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관통 구멍(576)의 내주면은, 광원(78)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이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도광 부재(530)와 관통 구멍(576)의 내주면은, 원통면과 테이퍼면의 끼워맞춤, 또는, 테이퍼면과 테이퍼면의 끼워맞춤(이른바 테이퍼 끼워맞춤)을 한다. 이는, 광원(78)에 대한 도광 부재(530)(또는 광 입사 단면(531))의 편심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도광 부재(530)는, 제1 접속부(10)의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530))는 광원(78)에 대해,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축 맞춤되어도 된다.
어댑터(5)(제1 접속부(10))가 광원 장치(570)에 접속되었을 때, 광원 장치(570)의 볼록부(575)가 어댑터(5)의 환상 오목부(515)에 결합된다. 이는, 어댑터(5)와 광원 장치(570) 사이에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에, 어댑터(5)가 광원 장치(57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광원 장치(570)에 대한 어댑터(5)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어댑터(5)는 광원 장치(57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특히 이격)하는 것이 방지되고, 어댑터(5)는 광원 장치(570)에,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유지된다. 사용자는, 당해 결합이 행해졌을 때에 발생하는 클릭감(또는 클릭음)을 느낌으로써, 어댑터(5)(제1 접속부(10))가 광원 장치(570)에 적정하게 접속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오목부(515)가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어댑터(5)를 광원 장치(570)에 접속할 때, 광원 장치(570)에 대한 어댑터(5)의 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이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어댑터(5)의 제1 접속부(10)를 광원 장치(570)에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어댑터(5)를 광원 장치(570)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어댑터(5)를 광원 장치(570)에 접속한 후, 어댑터(5)에 대해 광원 장치(5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60)에 꼬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광원 장치(570)의 회전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어댑터(5) 및 광원 장치(570)에 설치되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볼록부(575) 및 환상 오목부(515)이다. 단, 본 발명의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어댑터 및 광원 장치 각각에 설치되는 결합 구조는, 서로 결합하는 볼록부와 오목부, 또는, 서로 결합하는 볼록부와 볼록부여도 된다. 결합 구조가 볼록부와 오목부로 구성되는 경우, 어댑터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도 된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둘레 방향으로 분단(즉 비환상)되어 있어도 된다. 비환상인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수는, 1개 또는 복수여도 된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탄성 변형되는 부재(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 굽힘 변형 가능한 아암)로 지지되고, 이동(예를 들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어댑터(5) 및 광원 장치(570)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볼록부(575) 및 환상 오목부(515))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 형태 1~4의 어댑터 및 광원 장치에, 본 실시 형태 5와 동일한, 서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어댑터(5)는, 제1 접속부(10)와 제2 접속부(20) 사이에 중간부(40)를 구비한다. 도 10을 도 3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어댑터(5)를 개재하여 커넥터(50)를 광원 장치(570)에 접속했을 때, 커넥터(50)와 광원 장치(570)가 이격되고, 중간부(40)가 외계에 노출된다. 어댑터(5)의 취급 시에, 사용자는 중간부(40)를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제1 접속부(10) 및 제2 접속부(20)에 닿을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는, 제1 접속부(10) 및 제2 접속부(20)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오염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사용자가 중간부(40)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사용자는 파지면(45)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는, 어댑터(5)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축방향의 힘 및/또는 축 둘레의 회전력을 어댑터(5)에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중간부(40)에 2개의 파지면(45)이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파지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지면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많아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짝수의 파지면이, 어댑터(5)의 축에 수직인 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정다각형(예를 들면, 정사각형, 정육각형 등)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면(45)은,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파지면은, 정확한 평탄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파지면이, 예를 들면 볼록 곡면 또는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파지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의 리브나 복수의 돌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파지면은, 중간부(40)의 외주면(원통면 또는 테이퍼면)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각 파지면(45)이, 기울기가 상이한 2개의 평탄면(45a, 45b)으로 구성되었다. 단, 본 발명의 파지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파지면은, 단일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어댑터(5)의 축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파지면을 구성하는 면은, 어댑터(5)의 축에 대해 평행해도 되고, 경사져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파지면(45)이 중간부(40)의 외주면을 잘라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파지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지면이, 중간부(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커넥터(50)의 기관(58)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판(도 9a 참조)과 마찬가지로, 어댑터(5)의 축에 평행한 한 쌍의 판을 중간부(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당해 판의 면을 파지면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파지면(45)에 인접하는 융기면(46, 47)은, 파지면(45)을 파지한 손가락이 파지면(45)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손가락이 중간부(40)를 파지하는 위치를 축방향으로 규제하는 「파지 위치 규제 구조」로서 기능한다. 파지 위치 규제 구조로서의 융기면(46, 47)은, 어댑터(5)를 커넥터(50) 및 광원 장치(570)에 접속할 때에, 어댑터(5)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융기면(46, 47)은, 어댑터(5)의 취급 시에, 사용자가 제1 접속부(10) 및 제2 접속부(20)에 닿을 가능성이 저감시키고, 이에 의해, 제1 접속부(10) 및 제2 접속부(20)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오염될 가능성을 저감한다.
어댑터(5)의 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융기면(46, 47)의 축에 대한 기울기는 임의이다. 융기면(46, 47)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어도 된다. 융기면(46, 47)은, 손가락으로 파지해야 할 영역(파지면(45))에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파지면(45)을 생략하고, 중간부(40)의 외주면에 융기면(46, 47)을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이격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도, 융기면(46, 47)은 파지 위치 규제 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어댑터(5)에, 융기면(46, 47)의 한쪽 또는 양쪽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 어댑터(5)에, 테이퍼면(43)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 5의 중간부(40)를, 실시 형태 1~4의 어댑터(1~4)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어댑터(1~4)의 중간부(40)에, 본 실시 형태 5의 파지면 및/또는 융기면을 형성해도 된다.
도광 부재(530)는, 그 측면(533)이 원통면이며, 양단면(531, 532)이 평탄면인,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도광 부재(530)가, 이러한 단순한 로드 형상을 가지므로, 도광 부재(530)의 제조는 용이하다. 이는, 어댑터(5)의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서는, 도광 부재(53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입사 단면(531)은, 실시 형태 2의 광 입사 단면(231)과 동일한 볼록 곡면이어도 되고, 또는 오목 곡면이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532)은, 실시 형태 2의 광 출사 단면(232)과 동일한, 중앙에 오목부(234)가 형성된 환상의 평탄면이어도 된다. 혹은, 광 출사 단면(532)은, 실시 형태 2에서 광 출사 단면(232)에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한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광 출사 단면(32)과 마찬가지로, 광 출사 단면(532)이, 도광 부재(5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환상의 기단면(61)에 집속하도록 굴절시키는 렌즈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은, 원통면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광 부재(530)가, 어댑터 본체(501)(또는 제1 접속통(511)) 내에, 광 입사 단면(531)을 향하여 대경의 대략 원뿔대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의 도광 부재(30)와 마찬가지로, 광 입사 단면(531)은 광 출사 단면(532)보다 큰 면적을 갖게 된다. 이는 튜브(60)의 선단(65)의 밝기(광속)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단, 이 경우여도, 선단면(512)으로부터 돌출된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면, 또는, 광 입사 단면(531)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 부재(530)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을 따른 도광 부재(530)의 단면 형상은, 원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광 부재(530)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의 모서리가 원호 또는 직선 등으로 모따기되어 있어도 된다), 원호(정확한 원호가 아니어도 된다)의 양단을 직선으로 이은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 부재(530)의 단면 형상은, 도광 부재(530)의 축방향에 있어서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어댑터(5)는,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가 구비하고 있던 렌즈(237)(도 4b, 도 5 참조)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댑터(5)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저감된다. 어댑터(5)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이는, 어댑터(5)의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또한,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이 도광 부재(530)의 광 입사 단면(531)에 효율적으로 입사하도록, 광원(78)이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또는, 광원 장치(570)가 광원(78)과 도광 부재(530) 사이에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속통(511) 및 중간 통(41)은,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에 밀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 접속통(511) 및/또는 중간 통(41)은, 도광 부재(530)의 측면(533)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530)의 광 출사 단면(532)의 적어도 일부는, 튜브(60)의 기단면(61)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5)의 축을 따라 보았을 때, 광 출사 단면(532)의 일부가 기단면(61)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되고, 또, 기단면(61)의 일부가 광 출사 단면(53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532)의 외경은, 기단면(61)의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광 출사 단면(532)은, 기단면(61)에 대해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편심되어 있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532)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튜브(60)의 기단면(61)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원형(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의 모서리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으로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2 접속부(20)를 커넥터(50)에 접속했을 때, 도광 부재(530)는, 통 부재(52)에 삽입되지 않는다. 도광 부재(530)는, 통 부재(52)의 선단에 축방향으로 대향해도 된다. 이는, 어댑터(5)의 구성을 간단화하는데 유리하다. 이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염가의 어댑터(5)를 이용하여, 도광 부재(530)와 튜브(60)를 용이하게 광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는, 실시 형태 2, 3의 커넥터(250)나 실시 형태 4의 커넥터(4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광 부재(530)는, 커넥터(250, 450)의 통 부재(52)의 관통 구멍(59)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광 출사 단면(532) 및 그 근방은, 실시 형태 2~4의 도광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5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4와 같다. 본 실시 형태 5에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 1~4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5에도 적용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 1~5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1~5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와 광원 장치의 접속 구조는, 상기의 실시 형태 1~5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 1~5에서는, 광원 장치(70, 570)의 유지통(72, 572)은, 제1 접속통(11, 211, 311, 511)이 유지통(72, 572)에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 장치가, 제1 접속통(11, 211, 311, 511)이 끼워 넣어지는 유지통(72, 572)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속통(11, 211, 311, 511)의 선단이, 광원 장치에 설치된, 단차면(73) 또는 저판(573)과 동등한 평탄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어댑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평탄면은 제1 접속부(10)(또는 도광 부재(30, 230, 330, 530))를 광원(7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유지통(72, 572)을 구비하지 않는 광원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며, 그 제조는 용이하다. 광원 장치에 대한 어댑터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은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탄성 밴드를 이용하는 방법, 자기 흡인력을 이용하는 방법 등,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와 커넥터의 접속 구조는, 상기의 실시 형태 1~5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 1~5에서는, 어댑터의 제2 접속부(20)의 암테이퍼면(23)이 커넥터의 수테이퍼면(53)에 테이퍼 끼워맞춤되었지만, 제2 접속부(20)는, 커넥터에 테이퍼 끼워맞춤 이외의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접속통(21)의 내주면이, 커넥터의 수테이퍼면(53)과 상이한 테이퍼 각도를 갖는 암테이퍼면 또는 원통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혹은, 커넥터의 통 부재(52, 452)의 외주면이, 원통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여도, 제2 접속통(21)의 내주면은, 통 부재(52, 452)의 외주면에, 테이퍼 끼워맞춤 이외의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다. 또, 어댑터의 제2 접속부(20)는, 커넥터의 통 부재(52, 452)의 외주면 이외의 부분과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 부재(30, 230, 330, 530)는, 어댑터의 축을 거의 따른 1개의 광섬유 또는 복수개의 광섬유(광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광원(78)으로부터의 광은, 1개 또는 복수개의 광섬유를 통과한 후, 튜브(60)의 기단면(61)에 입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광성 튜브가 커넥터의 기관으로부터 통 부재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는 것은, 외관상, 튜브(60)가 기관(58)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튜브(60)의 기단면(61)이 기관(58)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에 대한 튜브(60)의 삽입 깊이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실시 형태 2~4에 있어서, 기단면(61)이 통 부재(52, 452) 내에 위치할 때까지, 튜브(60)가 커넥터(250, 350, 450)에 깊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어댑터가 접속되는 커넥터의 통 부재의 관통 구멍(59)의 내경은, 커넥터의 축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되고, 또는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튜브(60)의 직경(내경 및/또는 외경)은, 커넥터 내에 있어서 일정해도 되고, 또는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삽입되는 의료용 튜브의 기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3, 4, 5: 어댑터
10: 제1 접속부
11, 211, 311, 511: 제1 접속통
312, 512: 제1 접속부(제1 접속통)의 선단면
20: 제2 접속부
21: 제2 접속통(끼워맞춤 구조)
30, 230, 330, 530: 도광 부재
31, 231, 331, 531: 광 입사 단면
32, 232, 332, 532: 광 출사 단면
33, 533: 도광 부재의 측면
40: 중간부
45: 파지면
46, 47: 융기면(파지 위치 규제 구조)
50, 250, 450: 커넥터
52, 452: 통 부재
56: 외통
57: 암나사
58: 기관
60: 튜브(도광성 튜브)
61: 튜브의 기단면
65: 튜브의 선단
69: 튜브의 유로
70: 광원 장치
237: 렌즈
515: 환상 오목부(결합 구조)
575: 볼록부(결합 구조)
10: 제1 접속부
11, 211, 311, 511: 제1 접속통
312, 512: 제1 접속부(제1 접속통)의 선단면
20: 제2 접속부
21: 제2 접속통(끼워맞춤 구조)
30, 230, 330, 530: 도광 부재
31, 231, 331, 531: 광 입사 단면
32, 232, 332, 532: 광 출사 단면
33, 533: 도광 부재의 측면
40: 중간부
45: 파지면
46, 47: 융기면(파지 위치 규제 구조)
50, 250, 450: 커넥터
52, 452: 통 부재
56: 외통
57: 암나사
58: 기관
60: 튜브(도광성 튜브)
61: 튜브의 기단면
65: 튜브의 선단
69: 튜브의 유로
70: 광원 장치
237: 렌즈
515: 환상 오목부(결합 구조)
575: 볼록부(결합 구조)
Claims (16)
- 유연한 중공의 도광성 튜브의 기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광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 원통 형상의 통 부재와, 상기 통 부재와 동축으로 배치된 중공 원통 형상의 기관(基管)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성 튜브가 상기 기관으로부터 상기 통 부재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원 장치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에 대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접속부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성 튜브의 기단면으로 이끄는 도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端面)을 구비하며, 상기 광 입사 단면에 볼록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환상의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 출사 단면은, 광을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 기능을 갖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과,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 입사 단면은 상기 광 출사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면과, 상기 도광성 튜브의 상기 기단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 부재의 외경은, 상기 광 입사 단면과 상기 광 출사 단면 사이에 있어서 일정한,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를 상기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통 부재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를 상기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통 부재에 삽입되는, 어댑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 부재의 광 입사 단면에 집광하기 위한 렌즈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제1 접속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광원 장치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광원 장치에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중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댑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에 파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에,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융기면이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를 구비하는, 어댑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통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기 통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15261 | 2021-02-02 | ||
JPJP-P-2021-015261 | 2021-02-02 | ||
JP2021114764 | 2021-07-12 | ||
JPJP-P-2021-114764 | 2021-07-12 | ||
PCT/JP2022/000408 WO2022168529A1 (ja) | 2021-02-02 | 2022-01-07 | アダプ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7905A true KR20230137905A (ko) | 2023-10-05 |
Family
ID=827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5604A KR20230137905A (ko) | 2021-02-02 | 2022-01-07 | 어댑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82559A1 (ko) |
EP (1) | EP4290287A1 (ko) |
JP (1) | JPWO2022168529A1 (ko) |
KR (1) | KR20230137905A (ko) |
WO (1) | WO20221685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2100B1 (ko) * | 2020-11-12 | 2023-08-30 | 주식회사 엘티전자 | 광섬유 접속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19837A (ja) | 2013-12-24 | 2015-07-02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オスコネクタ |
WO2015133119A1 (ja) | 2014-03-04 | 2015-09-11 | 学校法人久留米大学 | 先端加工された光照射用光ファイ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体内照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6513U (ja) * | 1984-08-30 | 1986-03-28 |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光結合装置 |
DE3603782A1 (de) * | 1986-02-06 | 1987-10-15 | Hauer Gerald | Verfahren zum orten einer venenstrippersonde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
JP2000214350A (ja) * | 1999-01-25 | 2000-08-0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光コネクタプラグ |
JP2003210485A (ja) * | 2002-01-23 | 2003-07-29 | Nidek Co Ltd | レーザ治療装置 |
JP2008524641A (ja) * | 2004-12-17 | 2008-07-10 | ポリ オプティクス オーストラリア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 ポリウレタン導光体 |
JP5781363B2 (ja) * | 2011-05-11 | 2015-09-24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外装チューブ,レーザ伝送路,レーザ治療器具 |
JPWO2021024992A1 (ko) * | 2019-08-05 | 2021-02-11 |
-
2022
- 2022-01-07 US US18/263,645 patent/US20240082559A1/en active Pending
- 2022-01-07 KR KR1020237025604A patent/KR20230137905A/ko unknown
- 2022-01-07 JP JP2022579398A patent/JPWO2022168529A1/ja active Pending
- 2022-01-07 EP EP22749408.5A patent/EP4290287A1/en active Pending
- 2022-01-07 WO PCT/JP2022/000408 patent/WO202216852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19837A (ja) | 2013-12-24 | 2015-07-02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オスコネクタ |
WO2015133119A1 (ja) | 2014-03-04 | 2015-09-11 | 学校法人久留米大学 | 先端加工された光照射用光ファイ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体内照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2168529A1 (ko) | 2022-08-11 |
WO2022168529A1 (ja) | 2022-08-11 |
US20240082559A1 (en) | 2024-03-14 |
EP4290287A1 (en) | 2023-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46276T3 (es) | Fibra multinúcleo para una sonda láser multipunto | |
US11109751B2 (en) | Illumination system for an endoscope | |
US10512788B2 (en) | Vascular access device with integrated light guide | |
US20220287917A1 (en) |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of distal end of medical tube | |
US20200187781A1 (en) | Optical Probe And Assembly Thereof | |
KR20230137905A (ko) | 어댑터 | |
US20110224554A1 (en) | Optogenetic Fiber Optic Cannula and Adapted Fiber Optic Connector | |
US20200345211A1 (en) | Housing Assembly for Periodontal Endoscopic Probe | |
CN116783529A (zh) | 适配器 | |
JP2022118609A (ja) | コネクタ | |
EP3232897B1 (en) | Optically guided feeding tube assemblies | |
WO2020039866A1 (ja) | 涙道内挿管システム | |
JP6831955B2 (ja) | 分岐管 | |
JP4606755B2 (ja) | 長尺物導入器具 | |
WO2022054833A1 (ja) | 医療用チューブ、医療用チューブ位置確認システム | |
TWM432049U (en) | Light guiding stru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