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554A -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554A
KR20230137554A KR1020220035073A KR20220035073A KR20230137554A KR 20230137554 A KR20230137554 A KR 20230137554A KR 1020220035073 A KR1020220035073 A KR 1020220035073A KR 20220035073 A KR20220035073 A KR 20220035073A KR 20230137554 A KR20230137554 A KR 2023013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liquid
wing
shaf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양안전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양안전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양안전메카
Priority to KR102022003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554A/ko
Priority to PCT/KR2022/004231 priority patent/WO2022211390A1/ko
Publication of KR2023013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선체 파손시 신속하게 파공 부분을 막아 상기 파공 부분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단 장치는 앵커, 파공 부분의 일측에서 상기 액체의 흐름을 1차로 차단하는 제 1 차단부, 상기 앵커와 상기 제 1 차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상기 앵커에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배열된 날개 연결부 몸체 및 상기 날개 연결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날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차단부는 상기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액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날개가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부가 접히거나 펴지며, 상기 힌지부로 인하여 상기 앵커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하다.

Description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FLUID FLOODING WHEN BODY OF SHIP IS BROKEN}
본 발명은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충돌 사고 등으로 인하여 선박의 선체가 파손되어 파공 부분이 생기면 해수가 유입되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파공 부분 발생시 신속하게 파공 부분을 막아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망치로 나무쐐기를 두드려서 나무쐐기로 파공 부분을 막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은 손상 부위에만 사용할 수 있었고 적은 수압에도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물이 차 있는 선박 내부의 손상 부위에 망치를 사용하기도 어려웠다.
KR 20-2012-0005198 U
본 발명은 선체 파손시 신속하게 파공 부분을 막아 상기 파공 부분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나 액체 탱크 파손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는 앵커; 파공 부분의 일측에서 상기 액체의 흐름을 1차로 차단하는 제 1 차단부; 상기 앵커와 상기 제 1 차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상기 앵커에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배열된 날개 연결부 몸체 및 상기 날개 연결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날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차단부는 상기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액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날개가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부가 접히거나 펴지며, 상기 힌지부로 인하여 상기 앵커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장치는 이중 차단부를 사용하여 파공 부분을 통하여 흐르는 액체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앵커를 사용하므로 상기 파공 부분으로 삽입하기가 용이하고, 제 2 차단부에 상호 분리된 홈들을 형성하여 상기 액체를 상기 홈들에 일정시간 머물게 하여 상기 제 2 차단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므로, 상기 액체의 흐름을 더 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액체와 접촉하는 제 1 차단부가 상기 액체의 흐름에 맞춰 전후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차단 장치의 차단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차단 장치는 제 2 차단부에 가해지는 힘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다양한 액체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앵커가 샤프트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임 가능하므로, 파공 부위에 관계없이 상기 파공 부위를 전체적으로 덮어 액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한, 상기 차단 장치는 날개의 종단과 제 1 차단부가 움직임 가능한 선체 보호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상기 날개로 인한 선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공 부분에 설치된 차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탄성체가 없을 때의 차단 동작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단부와 날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서 선체 파손, 예를 들어 벽면 파손 또는 액체 탱크 파손을 통한 해수 등의 액체 흐름(유입 또는 유출)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공 부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액체 흐름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장치는 가벼우면서도 효율적으로 해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수심 5m 이하(0m ~ 5m)의 깊이에서 주행 가능한 선박(예를 들어, 요트) 또는 50kpa 이하 압력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주행 가능한 선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 장치는 군부대나 해운 기업에서 운영하는 큰 선박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인이 사용하는 요트 등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장치는 연속적인 2번의 차단 과정을 통하여 액체 흐름을 원활히 차단할 수 있다. 특히, 1차 차단을 위하여 탄성 부재를 사용하므로, 액체의 속도 및 압력이 낮출 수 있어서 액체의 흐름을 더 잘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장치는 앵커 및 제 1 차단부가 선체 파손 구조에 맞춰서 기울어지기 때문에, 제 2 차단부는 파손 부분을 밀폐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 장치는 선체 파손 구조에 관계없이 액체를 잘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공 부분에 설치된 차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탄성체가 없을 때의 차단 동작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단 장치는 요트 등의 소형 선박에서 선체의 파손 또는 액체 탱크의 파손시 해수 등의 액체의 흐름(유입 또는 유출)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로서, 앵커(100), 제 1 차단부(102), 제 2 차단부(104), 차단 제어부(106), 차단 지지부(108), 지지 고정부(110), 샤프트(112), 적어도 하나의 날개(120), 하나 이상의 날개 연결부(122) 및 차단 고정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단 장치가 유입되는 액체를 차단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앵커(100)는 선체 파손시 파공 부분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재로서, 상기 파공 부분으로 삽입시 거센 액체의 압력을 이겨내기 위해서 전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100)는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차단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파손시 파공 부분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펼쳐지는 부재로서, 유입되는 액체를 1차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차단부(102)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가 유입되었을 때 제 1 차단부(102)가 일부는 날개(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중앙부가 상기 액체의 흐름에 맞춰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액체의 속도 및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차단부(102)가 액체의 유입을 더 잘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부(102)는 전후로 움직임 가능한 부재이므로, 움직임 부재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차단부(102)가 상기 액체의 흐름에 맞춰서 움직일 수 있는 한 탄성 부재로 제한되지도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100)와 제 1 차단부(102)는 복수의 날개들(12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120)는 접혔다 펴졌다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날개 연결부(122)를 통하여 샤프트(112) 상에 배열된 날개 연결부 몸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 연결부 몸체부는 샤프트(112) 상에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120)이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샤프트(112)를 잡고 차단 제어부(106)를 전진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120)이 펼쳐지게 되며, 그 결과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져서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차단 제어부(106)를 후진시키면, 날개들(1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면서 제 2 차단부(104) 또한 접혀질 수 있다. 즉, 차단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부(102)를 지지하는 차단 고정부(124)가 차단 제어부(106) 또는 샤프트(112)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고정부(124)로 인하여 제 1 차단부(102)가 유입되는 액체의 압력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제 2 차단부(104)는 제 1 차단부(102)의 후단에 배열되어 액체의 유입을 2차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차단부(104)의 중앙에 홀(820)이 형성되고, 차단 제어부(106)가 제 2 차단부(104)의 홀(820)을 관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차단 제어부(106)는 제 2 차단부(104)를 관통한 상태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졌다 접혀졌다 할 수 있다.
제 1 차단부(102)가 파공 부분의 외측에서 액체의 유입을 1차로 차단하였다면, 제 2 차단부(104)는 상기 파공 부분의 내측에서 액체의 유입을 2차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차단부(10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800) 및 차단 제어부(106)가 삽입되는 공간(8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800)의 일면(편의상 '전면'으로 칭함)에는 복수의 홈들(810 및 812)이 형성되며, 타면(편의상 '후면'으로 칭함)은 밀폐될 수 있다.
제 1 홈들(810)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홈들(812)은 폭보다 길이가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홈들(810 및 812)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1 홈들(810)이 상호 분리되고 제 2 홈들(812)도 상호 분리되며, 제 1 홈들(810)과 제 2 홈들(812)도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되는 액체가 분리된 홈들(810 및 812)로 유입되어 일정 시간 머물 수 있으며, 그 결과 유입되는 액체가 제 2 차단부(104)로 가하는 압력이 낮아져서 제 2 차단부(104)가 상기 액체의 유입을 더 잘 차단할 수 있다. 액체 차단 효율성을 고려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들(810 및 812)은 전체적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액체 유입시 특정 방향으로 액체가 더 강한 압력을 가지고 유입될 수 있는데, 제 2 차단부(104)에 홈이 형성되지 않으면 제 2 차단부(104)의 특정 부분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져서 제 2 차단부(104)가 일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액체를 골고루 분산시키고 압력을 낮출 수 있는 홈들(810 및 812)을 제 2 차단부(104)에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가 홈들(810 및 812)에 일정 시간 머물면서 특정 부분에 더 많이 가해졌던 압력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차단부(104)는 액체의 유입을 더 잘 차단할 수 있다.
차단 제어부(1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2) 상에 배열되며, 샤프트(112) 상에서 전후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제어부(106)의 종단은 날개 연결부들(122)과 접촉하거나 연결되며, 그 결과 사용자가 차단 제어부(106)를 전진시키면 연결부들(122)이 펼쳐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날개 연결부들(122)과 연결된 날개들(120)이 펼쳐지게 되며, 따라서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가 차단 제어부(106)를 샤프트(112) 상에서 후진시키면, 날개 연결부들(122)이 접히면서 날개들(120)이 접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차단부(102)가 접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제어부(106)의 종단에 탄성체(7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700)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살펴보면, 날개 연결부들(122)의 종단들이 결합된 날개 연결부 몸체가 탄성체(700)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단 제어부(106)가 전진하면 상기 날개 연결부 몸체가 상승하면서 날개 연결부들(122)이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700)는 파손 구조에 대한 차단 장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700)가 없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공 부분이 기울어지면 제 2 차단부가 기울어지게 되어 액체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차단 제어부(106)의 종단에 탄성체(700)가 형성되면, 제 2 차단부(104)가 파공 부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앵커(100) 및 제 1 차단부(102)가 파공 부분에 맞춰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파공 구조에 상관없이 제 2 차단부(104)는 항상 파공 부분을 잘 밀폐시켜 액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제어부(106)에서 제 2 차단부(104)의 후방에 잠금 장치(13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장치(130)가 잠가지면 차단 제어부(106) 또는 샤프트(112)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후 잠금 장치(130)를 잠그면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차단 지지부(108)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차단부(104)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지지부(108)는 몸체(200), 지지부(202) 및 힘 제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고, 차단 제어부(106) 또는 샤프트(112)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202)는 몸체(200)의 종단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몸체(200)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2)는 제 2 차단부(104)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2)는 제 2 차단부(10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사이즈 또는 유사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힘 제어부(204)는 지지부(202) 상에 놓인 상태로 몸체(200)의 측면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삽입되며, 상기 홀 또는 홈에서 움직일 수 있다. 힘 제어부(204)가 상기 홀 또는 홈에서 움직이는 경우, 해당 지지부로 가하는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좌측에서 더 많은 액체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는 좌측에 위치한 힘 제어부(204)를 상기 홈 또는 홀에서 이동시켜서 상기 좌측으로 더 많은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힘 제어부들(204)을 제어하여 지지부(202)를 통하여 제 2 차단부(104)로 가하는 힘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고른 압력을 가지고 유입되지 않고 특정 방향에서 더 많은 압력을 가하면서 유입되는 경우에도, 힘 제어부들(204)을 제어하여 더 많은 압력을 가지고 유입되는 액체에 해당하는 부분에 더 많은 힘을 가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압력이 부분적으로 다르더라도, 상기 차단 장치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110)는 차단 제어부(106)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단 제어부(106) 상에 나사산(140)이 형성되고, 지지 고정부(11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제어부(106)가 지지 고정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 고정부(110)를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고정부(110)가 이동하여 차단 지지부(108)의 몸체(200)로 힘을 가하며,그 결과 제 2 차단부(104)가 파공 부분을 밀폐시키고 밀폐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고정부(11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몸체(210) 및 몸체(210)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손잡이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21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210)가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다.
샤프트(112)는 차단 제어부(106)의 중앙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어 앵커(100)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단 제어부(106)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차단 장치는 제 1 차단부(102)를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액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구조로 구현하고 제 2 차단부(104)에 상호 분리된 홈들을 형성하여 액체의 차단 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 지지부(108)에 제 2 차단부(104)로 가하는 힘을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힘 제어부(204)를 구현하여, 더 정밀하게 액체 흐름 차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차단 제어부(106)의 종단에 탄성체(700)를 형성하여 파공 부분과 상관없이 차단 제어를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차단 장치의 차단 동작을 살펴보겠다.
우선, 선체 파손 등이 발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120)이 접혀진 상태로 앵커(100)를 파공 부분으로 밀어 넣는다.
이어서, 앵커(100)가 상기 파공 부분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단 제어부(106)를 전진시켜 날개들(120)을 펼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단부(102)를 펼쳐서 상기 파공 부분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제 1 차단부(102)가 상기 파공 부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지는 못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고정부(110)를 회전시켜 제 2 차단부(104)로 상기 파공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 때, 힘 제어부(204)를 이용하여 제 2 차단부(104)로 가하는 힘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단부와 날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제 2 차단부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앵커(100)가 연결된 샤프트(112)로부터 절곡이 불가능하였던 이전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의 차단 장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가 샤프트(112)로부터 절곡 가능할 수 있다. 즉, 앵커(100)의 움직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앵커(100)의 연결부(앵커 연결부, 1200)와 샤프트(112)가 예를 들어 360도 움직임 가능한 힌지부(10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앵커(100)가 샤프트(112)에 지지된 채로 360도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9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체의 파공 부분이 평평하지 않고 기울어지면 제 2 차단부(104)가 기울어져서 제 1 차단부(102)가 상기 파공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지 못하여 액체가 유입될 수 있는데, 앵커(100)가 샤프트(112)에 지지된 상태로 360도 움직임 가능하면 상기 파공 부분의 형상에 맞춰서 앵커(100)가 적응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파공 부분의 형상에 관계없이 제 1 차단부(102)가 상기 파공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부(102)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이후 앵커(1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상태로 상기 파공 부분을 덮은 이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000)가 예를 들어 차단 제어부(106)의 종단에 연결된 탄성체(1200)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샤프트(112)를 잡아당김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200)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로 힌지부(1000)가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샤프트(112)의 종단부도 탄성체(1200)의 홀로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이후 안정적으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차단부(102)가 펼쳐진 후 힌지부(1000)가 탄성체(1200)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탄성체(1200)로 인하여 앵커(100)가 약간은 움직일 수 있어서 액체의 유입에 앵커(100) 또는 제 1 차단부(102)가 적응적으로 조금은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앵커 연결부(1200), 힌지부(1000) 또는 샤프트(112) 상에 날개 연결부 몸체(1010)가 배열되고, 날개 연결부 몸체(1010)로부터 연장된 날개 연결부들(122)이 날개들(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날개 연결부 몸체(1010)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로 앵커 연결부(1200), 힌지부(1000) 또는 샤프트(11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날개 연결부 몸체(1010)는 탄성체(1200)와 앵커(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날개(120)의 종단이 제 1 차단부(10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었으나, 날개(12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가능한 선체 보호 부재(1300)를 통하여 제 1 차단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선체 보호 부재(1300)의 바닥면은 평평하며,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이 선체에 닿게 되어 선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요트 등은 선체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인데,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날개(120)의 종단이 선체에 닿게 되면 액체의 압력에 따라 날개(120)에 의해 선체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체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뾰족한 부분이 없는 평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선체 보호 부재(1300)를 날개(120)의 종단에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선체 보호 부재(130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액체의 흐름에 더 적응하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앵커 102 : 제 1 차단부
104 : 제 2 차단부 106 : 차단 제어부
108 : 차단 지지부 110 : 지지 고정부
112 : 샤프트 120 : 날개
122 : 연결부 124 : 차단 고정부
200 : 몸체 202 : 지지부
204 : 힘 제어부 700 : 탄성체
1000 : 힌지부 1010 : 날개 연결부 몸체
1200 : 탄성체 1300 : 선체 보호 부재

Claims (5)

  1. 선박의 선체나 액체 탱크 파손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에 있어서,
    앵커;
    파공 부분의 일측에서 상기 액체의 흐름을 1차로 차단하는 제 1 차단부;
    상기 앵커와 상기 제 1 차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상기 앵커에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배열된 날개 연결부 몸체 및 상기 날개 연결부 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날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연결부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차단부는 상기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액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날개가 접히거나 펴짐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부가 접히거나 펴지며,
    상기 힌지부로 인하여 상기 앵커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파공 부분의 타측에서 상기 액체의 흐름을 2차로 차단하는 제 2 차단부; 및
    상기 샤프트 상에 배열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 1 차단부가 펼쳐진 후 상기 힌지부가 상기 탄성체의 홀로 삽입되어 상기 앵커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와 상기 제 1 차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선체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체 보호 부재는 상기 날개로부터 움직임 가능하며, 상기 선체 보호 부재의 바닥면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에서 상기 제 1 차단부의 후단에 배열되는 차단 제어부;
    상기 차단 제어부 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차단부를 지지하는 차단 지지부; 및
    상기 차단 제어부 상에 배열되며, 상기 차단 지지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2 차단부를 상기 파공 부분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 지지부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차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배열되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힘 제어부들을 포함하며,
    특정 힘 제어부를 상기 홈 또는 홀에서 이동시키면 해당 지지부 부분에 추가적인 힘이 가해져서 해당 제 2 차단부 부분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고,
    상기 차단 제어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고정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고정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산들이 치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 고정부가 직선 운동하여 상기 제 2 차단부를 상기 파공 부분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단부의 면들 중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면에는 제 1 홈들 및 제 2 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면과 대향하는 제 2 차단부의 면은 밀폐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들이 상호 분리되고 상기 제 2 홈들도 상호 분리되며 상기 제 1 홈들과 상기 제 2 홈들도 상호 분리되고, 그 결과 상기 액체가 상기 홈들에 일정 시간 머물게 되어 상기 제 2 차단막으로 가해지는 액체의 압력이 감소하고 상기 액체가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장치.
KR1020220035073A 2021-03-29 2022-03-22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KR20230137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73A KR20230137554A (ko) 2022-03-22 2022-03-22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PCT/KR2022/004231 WO2022211390A1 (ko) 2021-03-29 2022-03-25 선체 파손시 액체 흐름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73A KR20230137554A (ko) 2022-03-22 2022-03-22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554A true KR20230137554A (ko) 2023-10-05

Family

ID=8829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073A KR20230137554A (ko) 2021-03-29 2022-03-22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5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98U (ko) 2011-01-07 2012-07-17 송훈민 선박파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98U (ko) 2011-01-07 2012-07-17 송훈민 선박파손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8331A (ko) 횡동요 억제장치
CN106005240A (zh) 一种隐形多体防倾覆单体船
KR20230137554A (ko)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EP2374708A1 (en) Resistance-reducing device for a moon pool
EP1718522A1 (en) Steering and/or stabilising device for motorised watercraft
KR102594617B1 (ko) 선체 파손시 탄성체를 이용하여 액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치
KR20070026728A (ko) 수중 제동 장치
KR101291138B1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75019B1 (ko) 애지머스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2448127B1 (ko) 선체 파손시 액체 흐름 차단 장치
CN205801417U (zh) 一种隐形多体防倾覆单体船
KR101334332B1 (ko) 선박
JP2005315053A (ja) 流体圧シリンダ式拡大ヘッド
KR20160022537A (ko) 폴더블 스러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024547B1 (ko)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횡방향 추진 시스템
KR100879204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선박의 빠른 발라스팅 장치
KR102563565B1 (ko)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KR20110139800A (ko) 직진 안정성 향상 장치
US5702203A (en) Floating "V" shaped breakwater
KR20120128823A (ko) 개폐식 사이드 쓰러스터
CN115158573A (zh) 船用伸缩式航向稳定装置
KR101826781B1 (ko) 선박의 롤링저감장치
CN114206718B (zh) 利用作用反作用定律的推进体
EP1992559A1 (en) Stabilizing fin for watercraft
EP2853481A1 (en) Retractable propul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