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261A - 내측에 편향된 환자 특정 기구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내측에 편향된 환자 특정 기구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261A
KR20230137261A KR1020230036258A KR20230036258A KR20230137261A KR 20230137261 A KR20230137261 A KR 20230137261A KR 1020230036258 A KR1020230036258 A KR 1020230036258A KR 20230036258 A KR20230036258 A KR 20230036258A KR 20230137261 A KR20230137261 A KR 2023013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positioning member
tibial
flange
guide lo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테쉬 알. 샤
두이 큐. 당
후안 디. 에르난데스 비.
어빙 로메로 모라
알레한드라 바르케로 모라
브라이언 알. 하리스 주니어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포트 오소페딕스 홀딩스 아이엔씨.
샤아 리테쉬 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포트 오소페딕스 홀딩스 아이엔씨., 샤아 리테쉬 알. filed Critical 마이크로포트 오소페딕스 홀딩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3013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5Cutting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7Cutting tib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oduced with shape and dimensions specific for an individual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Abstract

원위 대퇴골의 노출된 과두 상에서 전방 내측으로 원위 대퇴골 절제 가이드의 위치 설정과 관련된 어셈블리, 시스템, 키트, 및 방법. 노출된 근위 경골 상에서 전방 내측으로 근위 경골 절제 가이드의 위치 설정과 관련된 어셈블리, 시스템, 키트, 및 방법.

Description

내측에 편향된 환자 특정 기구 및 관련 방법{MEDIAL BIASED PATIENT-SPECIFIC INSTRUMENTATION AND RELATED METHODS}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3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69,642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련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이로써 전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릎 임플란트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 수술 절차를 위한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무릎 관절 치환 수술의 일반적인 목적은 발병 전(pre-diseased) 관절의 자연스러운 정렬 및 회전축을 복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은 실제로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관절이 관절 골(articulating bone)뿐만 아니라 보조 지지 골(ancillary supporting bone) 및 연골(cartilage), 인대, 및 힘줄을 포함한 다양한 연조직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외과 의사는 자연스러운 정렬을 완전히 복원하는 것을 회피하였거나, 집단의 샘플로부터 유래된 평균에 기초하여 정렬 각도 및 다른 치수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이들 평균은 종종, 특히 환자가 골관절염과 같은 만성 골 변형 질환을 앓고 있을 때, 특정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서의 자연적인 변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의료 제공자는 정형외과 수술을 계획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환자의 내부 해부학적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스캔 및 자기 공명 이미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CT 스캔 및 MRI로부터의 데이터는 심지어 디지털 형태로 3차원("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들 모델은 상기 수술을 위한 환자 특정(patient-specific) 임플란트 및 기구를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해 전문가에게 보내질 수 있었다.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구조에 맞는 물리적 임플란트 또는 절제 가이드 기구를 구성하기 위해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법(예컨대, 3D 인쇄) 및 다른 종래의 생성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는 원위 대퇴골 및 근위 경골 절제의 보다 정확하고 맞춤화된 배치, 및 확장하면, 적절한 크기의 관내 인공 삽입 관절 임플란트의 보다 정확하고 맞춤화된 배치를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적절한 임플란트 크기 및 배치는 결과적으로 환자가 질환 전 관절로 인해 가졌던 경험에 비교할만한 환자의 수술 후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기술의 예에 대해, 미국 특허 제9,017,334호 및 제9,113,914호를 참조하며, 이들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 특정 기구는 최소 침습 절차와 부합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표준 슬관절 전치환술("TKA")을 생각해본다. 표준 TKA에서, 외과 의사는 특정 대퇴사두근 힘줄 및 근육을 통해 6 내지 8 인치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를 한다. 이어서, 외과 의사는 관절낭을 노출시키기 위해 대퇴사두근 힘줄 주위의 슬개골 및 슬개건을 뒤집는다. 노출된 후에, 외과 의사는 관내 인공 삽입 무릎 임플란트를 설치하기 위해 관절낭을 뚫고, 대퇴골의 원위측과 경골의 근위측을 측정하고 절제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를 사용한다. 표준 6 내지 8 인치 절개는 다양한 표준 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관절 영역에 충분한 접근을 제공한다. 그러나, 표준 6 내지 8 인치 절개는 또한 2 내지 3개월의 평균 회복 시간, 근육이 치유됨에 따라 증가된 환자 불편함, 및 절차 자체 동안 증가된 감염 위험에 기여할 수 있다.
최소 침습성 TKA에서,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는 평균적으로 약 3 내지 4 인치이고, 표준 비-최소 침습 절차에 비교하여 더 안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행은 일반적으로 회복 시간을 개선시키고 환자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더 짧은 절개는 또한 일반적으로 슬개골의 외번 및 아탈구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다. 결과적으로,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위해 원위 대퇴골 및 근위 경골을 측정하고 절제하기 위해 원위 대퇴골 또는 근위 경골에 직접 위치될 수 있는 기구의 크기 및 유형을 제한할 수 있는 감소된 개구가 수술 영역에 있다. 이런 제한은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성 TKA와 부합하지 않는 환자 특정 기구를 제공하였다.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에서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의 부정확한 배치의 위험은 본체, 환자의 자연적인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의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뼈 맞물림 표면을 갖는,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 제1 위치 설정 부재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와 제2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 의해 해결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신체의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예는 단일 과상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를 설치하려고 하는 최소 침습 TKA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이전에 가능한 것보다 더 작은 내측 절개부를 통한 고정 핀의 전방 내측 배치를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와 함께 고정 핀을 배치하는 것은 외과 의사가 하나 이상의 과두를 정확하게 절제하고, 이에 의해 내측 측부 인대 ("MCL")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MCL이 유래하는 내측 과두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원하는 임플란트 정렬을 위한 관절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를 이용하는 절차는 외과 의사가 고정 핀을 배치할 수 있게 하면서 대퇴사두근 힘줄 및/또는 슬개골에 의한 육안 장애물에 대한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여전히 고려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절차 및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에 기인하는 개선된 가시성은 선행 접근법과 비교하여 감소된 절차 시간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하기의 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대신에 개시된 구현예를 예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 1은 구부러진 채로 노출된 대퇴골의 원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원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중앙도이며, 대퇴골은 확장되어 도시된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대퇴골 상에 배치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구부러진 채로 노출된 대퇴골의 원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의 원위도이다.
도 5는 노출된 경골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중앙도이다.
도 8은 노출된 경골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노출된 경골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평면도이며,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도 9b는 도 9a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중앙도이다.
도 9c는 도 9a 및 9b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9d는 도 9a, 9b 및 9c의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및 경골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평면도이며, 이탈 위치 설정 부재는 제거되었다.
도 9e는 도 9a, 9b, 9c 및 9d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중앙도이다.
도 10a는 노출된 경골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평면도이며,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투시도이다.
도 11a는 연장된 상태의 노출된 대퇴골의 원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정면도이며,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의 정면도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목적으로만 제시되며, 총망라하거나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구현예는 발명의 원리 및 그것의 실제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다. 당업자는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몇몇 도면 전체에 걸쳐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이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특징 및 구성요소의 구현예를 나타내지만,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소정 특징은 본 개시의 구현예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과장될 수 있고, 그러한 예시는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달리 명확히 언급된 바를 제외하고, 하기의 해석 규칙이 본 명세서에 적용된다: (a)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단어는 그러한 상황이 요구하는 그러한 성별 또는 수(단수 또는 복수)의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b)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형 용어("a", "an", "the")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 언급을 포함하며; (c) 인용된 범위 또는 값에 적용되는 선행 용어 "약"은 측정치로부터 당업계에서 알려지거나 예상되는 범위 또는 값 내의 편차를 갖는 근사치를 나타내고; (d) 단어 "본원에서", "이로써", "본 명세서에", "이전에" 및 "이후에",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단락, 청구항, 또는 다른 세분된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며; (e) 설명 표제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명세서의 부분의 구성의 의미를 지배하거나 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 (f) "또는" 및 "임의의"는 배타적이지 않고,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용어 "포함하는", "갖는", "포함되는" 및 "함유하는"은 개방형 용어(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의미함)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 구현예", "구현예", "예시적인 구현예" 등의 본 명세서에서의 언급은 기술된 구현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구현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그러한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구현예를 지칭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술될 때, 명백하게 기술되든 아니든, 다른 구현예와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당업자의 지식 내에 있음이 제기된다.
설명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 및/또는 텍스트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의 상술은, 본원에서 달리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그 사이의 임의의 하위 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속기 방법으로서 역할하도록 의도될 뿐이다. 상술된 범위 내의 각각의 개별 값은, 마치 각각의 개별 값이 본원에 개별적으로 상술된 것처럼,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값의 특정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 그 범위의 상한과 하한 사이에서 하한의 단위의 1/10 이하까지의 각각의 중간 값 및 그의 하위 범위의 그러한 언급된 범위 내의 임의의 다른 언급된 값 또는 중간 값이,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 이해된다. 모든 하위 범위가 또한 포함된다. 언급된 범위 내의 임의의 구체적이고 명백하게 제외된 한계를 조건으로, 이들 더 작은 범위의 상한과 하한이 또한 그 안에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부가 상대적인 용어들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 "상부" 및 "하부"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에 대한 것인데, 즉 상부 구성요소가 각각의 배향에서 하부 구성요소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되지만, 이들 용어는 배향이 뒤집히면 바뀔 수 있다. 용어 "수평" 및 "수직"은 절대 기준, 즉 지면 평면에 대한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용어는 구조물이 서로에 대해 절대적으로 평행하거나 절대적으로 수직일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제1 수직 구조물 및 제2 수직 구조물은 반드시 서로 평행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 내용 전반에 걸쳐, "원위", "근위", "내측", "측면", "전방", "후방", "상위", 및 "하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용어는 인체 해부학적 구조를 언급할 때 관례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위"는 본체에의 부착 지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영역을 지칭하는 한편, "근위"는 본체에의 부착 지점 부근의 영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원위 대퇴골은 경골 부근의 대퇴골의 부분을 지칭하는 반면, 근위 대퇴골은 엉덩이 부근의 대퇴골의 부분을 지칭한다. 용어 "내측" 및 "측면"은 또한 본질적으로 반대이다. "내측"은 본체의 중간에 더 가깝게 배치된 어떤 것을 지칭한다. "측면"은 어떤 것이 본체의 중간보다 본체의 우측 또는 좌측에 더 가깝게 배치됨을 의미한다. "전방" 및 "후방"에 관하여, "전방"은 본체의 전면에 더 가깝게 배치된 어떤 것을 지칭하는 반면, "후방"은 본체의 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된 어떤 것을 지칭한다. 인간 해부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상위"및 "하위"와 관련하여, "상위"는 기준점 위에 배치된 어떤 것을 지칭하는 반면, "하위"는 기준점 아래에 배치된 어떤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위치 설정 부재"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상위"및 "하위"는 그것들의 상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에 배치될 때 위치될 것과 같은 구성요소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대퇴골 절제 가이드에 대해 노출된 원위 대퇴골 및 경골 절제 가이드에 대해 노출된 경골).
"내반" 및 "외반"은 광범위한 용어이며, 제한 없이, 슬관절에 대한 내측 및/또는 측면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포함한다.
대퇴골의 "기계적 축"이라는 용어는 대퇴 골두의 중심으로부터 무릎의 원위 대퇴골의 중심까지 그려진 가상선을 지칭한다.
"해부학적 축" 이라는 용어는 용도에 따라 대퇴골 샤프트 또는 경골 샤프트의 중간 아래로 길이 방향으로 그려진 가상선을 지칭한다.
일차 최소 침습성 TKA 동안, 외과 의사는 전형적으로 수술 무릎의 전방 내측면에서 약 3 내지 4 인치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를 만든다.
외과 의사는 계속해서 지방 조직을 절개하여 관절낭의 전방 내측 측면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외과 의사는 관절낭을 뚫고 내측 슬개골 지지대를 절제하기 위하여 내측 슬개골 주위 관절절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슬개골을 일반적으로 측면으로 이동시켜(대략 약 90도) 대퇴골의 원위 과두 및 근위 경골 고평부 상에 놓여 있는 연골 반월판을 노출시키기 위해 견인기(retrac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외과 의사는 반월판을 제거하고 기구류(instrumentation)를 사용하여 시험용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원위 대퇴골 및 근위 경골을 측정하고 절제한다. 시험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실제 관내 인공 삽입물과 동일한 기능적 치수를 갖는 시험 관내 인공 삽입물이지만, 시험용 임플란트는 실제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적합성을 평가할 목적을 위해 그리고 슬관절의 운동학을 평가할 목적을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고 제거되도록 설계된다. 일단 외과 의사가 시험용 임플란트의 크기 조정 및 슬관절의 운동학에 만족하면 외과 의사는 시험용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실제 임플란트를 설치한다.
이 경골 절제는 통상적으로 경골의 해부학적 축에 수직인 횡방향 본체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일단 절제되면, 경골의 절제된 영역은 "경골 고평부"로 알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외과 의사는 절제된 근위 경골 고평부 상에 시험용 경골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외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기구류를 사용하여 시험용 대퇴골 구성요소를 설치할 목적으로 원위 대퇴골 과두를 측정하고 절제한다. 시험용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안착되지 않는다면, 외과 의사는 원하는 안착이 달성될 때까지 추가의 기구류를 사용하여 대퇴골 과두 및/또는 경골 고평부를 측정하고 절제할 수 있다.
이어서, 외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시험용 경골 트레이와 시험용 대퇴골 구성요소 사이에 시험용 반월 삽입물(meniscal insert)을 삽입하여 무릎 굴곡 및 확장, 전반적인 안정성, 및 시험용 임플란트 상에서의 슬개골 주행(patellar tracking)을 시험한다. 일단 시험 및 이동 특성이 만족스럽다면, 외과 의사는 골 시멘트를 사용하여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의 실제 경골 및 대퇴골 구성요소들을 영구적으로 부착시키거나, 원하는 경우 압입식(press-fit) 임플란트를 사용하고 골 시멘트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기술된 기구(즉,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는 대체로 반월판이 제거된 후에 원위 대퇴골 및 근위 경골을 절제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절제의 작용은 골 상에 절제된 표면을 생성한다. 시험용 임플란트 구성요소 및 결국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의 실제 기능성 구성요소는 결국 이들 절제된 표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절제된 표면의 배치는 설치된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의 위치 및 전체 기능 운동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도 1은 노출된 대퇴골(200)의 원위 측면에 배치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도시한다. 원위 대퇴골(200)은 내측 과두(218), 측면 과두(219), 내측 후방 과두(222)(도 2) 및 측면 후방 과두(224) (도 2)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본체(20) 및 본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15)를 갖는다. 제1 위치 설정 부재(15)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상에 있는 구현예(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됨)에서, 제1 위치 설정 부재(15)는 " 하위 위치 설정 부재" 또는 "대퇴골 하위 위치 설정 부재"로 알려질 수 있다. "위치 설정 부재" 는 일반적으로 본체(20)의 또는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또는 연장부이다. 위치 설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노출된 뼈 상의 상응하는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뼈 맞물림 표면(32, 도 2 참고)을 갖는 (표적 뼈 상에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를 이식하는 사람에 비해) 원위 측면을 갖는다. 즉, 위치 설정 부재의 원위 측면이 상응하는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 상에 배치될 때,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 및 뼈 맞물림 표면은 이들이 인터록킹되도록 매칭되는 토포그래피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위치 설정 부재(15)는 본체(20)의 하위 단부(21)로부터 연장된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를 포함한다.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는 제1 아암(31) 및 제1 아암(31)으로부터 이격된 제2 아암(33)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아암(31)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도 2)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 아암(33)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도시되지 않지만, 도 2의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 참고)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2 하위 뼈 맞물림 표면(도시되지 않지만, 도 2의 제1 뼈 맞물림 표면(32) 참고)을 가진다.
대퇴골(200)의 상보적인 토포그래피 해부학적 특징부와 매칭하도록 구성된 뼈 맞물림 표면(32, 38)을 갖는 것이 그러한 표면이 외과 의사가 예시적인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원위 대퇴골(200) 상에 원하는 위치에서 보다 정확하고 더 빠르게(환자 특정 토포그래피 맞물림 특징부가 결여된 뼈 맞물림 표면(32, 38)에 비해) 안착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개시 내용의 어떤 것도 뼈 맞물림 표면(32, 38)이 환자 특정적일 것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비-환자 특정 뼈 맞물림 표면(32, 38)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본체(20)의 상위 단부(23)로부터 연장되는(예를 들어, 제1 위치 설정 부재(15)로부터 근위 배치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45)(도 2) 및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와 제2 위치 설정 부재(45) 사이에서 본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2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위치 설정 부재(45)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상에 있는(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됨) 구현예에서, 제2 위치 설정 부재(45)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 또는 "대퇴골 상위 위치 설정 부재"로 알려질 수 있다.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본체(20)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46)에 대해 오프셋 각도(θ)로 배치된다. 오프셋 각도(θ)가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를 참조하여 설명될 때, 오프셋 각도(θ)는 "대퇴골 오프셋 각도(θ)"로 알려질 수 있다. 대퇴골 오프셋 각도(θ)는 본체(20)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46)과 일반적으로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플랜지 길이(la) 및 플랜지 높이(ha)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기준 플랜지 평면(49)의 교차점에 의해 정의된다. 대퇴골 기준 시상면(46) 및 기준 플랜지 평면(49)은 기술된 바와 같이 그것들의 상응하는 요소들을 참조하여 상상할 수 있는 가상 평면들인 것이 이해될 것이다. 기준 플랜지 평면(49)은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플랜지 높이(ha) 및 플랜지 길이(la)와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대퇴골 기준 시상면(46)은 바람직하게는 설치된 구성에서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의 원위 단부가 환자의 뼈에 대해 배치되는 장소에서 본체(20)의 높이(h) 및 폭(w)과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상보적인 대퇴골 오프셋 각도(90 - θ)가 전방 내측 플랜지(25)와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20) 사이의 각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보적 대퇴골 오프셋 각도(90 - θ)는 90도(°)에서 대퇴골 오프셋 각도(θ)를 뺀 값으로 정의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이 관계는 본체(20)의 기준 정면 평면(47)과 기준 플랜지 평면(49)의 교차점에 의해 표현된다. 기준 정면 평면(47)은 본체(20)의 길이(l) 및 높이(h)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으로 상상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정면 평면(47)은 기준 플랜지 평면(49)이 본체(20)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기준 플랜지 평면(49)과 교차한다.
정면 평면(47)이 설명된 바와 같이 그것의 상응하는 요소를 참조하여 상상할 수 있는 가상 평면인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대퇴골 오프셋 각도(θ)는 약 20°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5°의 값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퇴골 오프셋 각도(θ)의 정확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수술 전 이미징 데이터로부터 평가되는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들 예시적인 범위 중 어느 하나 내의 값으로부터 선택된 오프셋 각도(θ)로 배치된 전방 내측 플랜지(25)를 갖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절제 가이드(90)의 배치를 허용할 수 있고 6 내지 8 인치 절개를 이용하는 종래의 고관절성형술 기술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더 작은 절개를 사용하면서 이전에 가능했던 보다 안쪽으로의 대퇴골(200)의 절제를 궁극적으로 허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관통 보어(64)가 핀 각도(λ)에서 배치될 수 있다. 핀 각도(λ)는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관통 보어(64)의 관통 보어 길이(bl)와 기준 플랜지 평면(49)의 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각도이다. 핀 각도(λ)는 180-λ로 표현될 수 있는 보충 핀 각도를 갖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핀 각도가 예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핀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핀 각도(λ)가 도시된 것과 같이 예각인 구현예에서, 핀 각도(λ)는 약 40° 내지 약 80° 사이의(및 포함하는) 값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50° 내지 75°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제공된 범위 중 하나 내의 값으로부터 선택된 핀 각도(λ)를 갖는 것이 외과 의사가 관통 보어(64)를 더 인체공학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고정 핀(6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소 침습 절개부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20)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모듈식 피스일 수 있다. 모듈식 전방 내측 플랜지(25)를 갖는 것이 외과 의사가 최소 침습 절차의 더 작은 절개를 통해 원위 대퇴골(200)에 더 잘 접근하기 위해 오프셋 각도(θ)를 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상보적 돌출부 및 오목부, 예컨대 레일,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고정 수단"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에 선택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치된 구성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바람직하게는 원위 대퇴골(200)의 내측 측면 상에 배치되어 보다 전통적인 무릎 관절성형술에 대한 절개부의 위치와 비교하여 환자의 무릎 상에 더 내측으로 위치된 최소 침습성 3 내지 4 인치 절개부와 정렬된다.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설치된 구성에서(즉,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노출된 원위 대퇴골(200) 상에 배치될 때) 원위 대퇴골(200)에 대해 가장 근위에 배치될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표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 뼈 맞물림 표면(5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 뼈 결합 표면(59)은 환자의 자연 뼈의 상응하는 인접하게 배치된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들과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러한 상보적 전방 내측 플랜지 뼈 맞물림 표면(59)을 가진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원하는 위치에서 환자에게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고정하는 것을 추가로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최소 침습 수술 기술에 더 잘 부합할 수 있는 최소 설계 프로파일을 가진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그것을 통해 고정 핀(62)이 밑에 있는 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핀 관통 보어(64)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아암(31) 및 멀리 떨어져 있는 제2 아암(33)은 또한 각각 고정 핀(62)을 위한 관통 보어(12 및 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8)의 상위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상위 위치 설정 부재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38)을 추가로 포함한다(도 2).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8)의 상위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지 않은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38)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다른 임상적으로 입증된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이미지의 상부에 겹쳐진 원위 절제 가이드(90)를 도시한다. 실제로,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수술 전 계획 단계에서 유래된 환자 특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수술 전 계획자는 CT 스캔, MRI 스캔, 방사선 촬영 및 2차원 투시도로부터 3차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람들이 표적 뼈의 오목부 및 돌출부 등과 같은 표면 특징부의 토포그래피 (즉, 위치, 형상, 크기 및 분포)를 맵핑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스캐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정보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기술자는 표적 뼈(예를 들어, 이 경우 원위 대퇴골(200), 그러나 또한 근위 경골(100) 참고)의 가상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모델은 가상 볼륨(예를 들어, 가상 모델을 포함하는 가상 큐브)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모델은 가상 볼륨으로부터 감산되어 초기 가상 모델의 표면 토포그래피에 상보적인 표면 토포그래피를 갖는 음성 가상 모델이 정의될 수 있다. 음성 모델을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예를 들어, CAD 유형 또는 다른 3D 가상 모델 파일을 판독하고 조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으로 가져온 경우, 설계자는 음성 가상 모델의 토포그래피의 섹션들을 추출하여 위치 설정 부재들의 가상 모델의 단부 상에 배치하고 이로써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32 및 38)을 정의한다. 설계자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위치 설정 부재의 단부(즉, 뼈 맞물림 표면(32 및 38))를 표적 뼈의 자연 표면 토포그래피에 상응하는 위치에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는 원하는 위치에서 환자 특정 뼈 맞물림 표면을 갖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의 설계 파일(즉, 가상 모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명된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32 및 38)은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의 표시된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Swaelens 등의 미국 특허 제5,768,134호 및 Carrol 등의 미국 특허 제9,017,334호는 특히 정형외과용 수술 절차를 위한 환자 특정 기구를 생성하는 것에 관하여, 이 기술에 대한 개선을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각의 특허 전체는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최소 침습성 TKA에서,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는 평균적으로 약 3 내지 4 인치이고 표준 비-최소 침습 절차에 비해 더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최소 침습 절차는 일반적으로 회복 시간을 개선시키고 환자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더 짧은 절개부는 일반적으로 슬개골의 외번 및 아탈구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수술 영역에 개구가 감소되고, 이는 수술 영역의 접근 및 외과 의사 시각화를 제한할 수 있다.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에서 수술 영역의 노출 시, 외과 의사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수술 개구부를 통해 삽입할 수 있고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도 1 내지 도4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원위 대퇴골(20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오프셋 각도(θ)로 배치된 전방 내측 플랜지(25)를 갖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기존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 비해 더 압축된 설계를 초래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압축된 설계, 및 환자 특정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32 및 38)은 외과 의가 감소된 수술 구멍을 통해 수술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32 및 38)이 환자의 뼈 상의 상보적인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예를 들어, 각각 42 및 48)에 맞물릴 때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환자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확신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20) 및 위치 설정 부재(15, 45)의 만곡된 형상은 본체(20)에 잠재적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특징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상보적인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각각 42 및 48)의 제1 하위 및 상위 세트 상에 배치되도록 각각 구성된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의 적어도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 및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38)과 함께,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유지력을 인가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환자의 고유한 해부학적 구조에 기초하여 절제 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순간-피팅"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체(20)의 후방 측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들의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뼈 맞물림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위치되고 안착되면, 외과 의사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전방 내측 플랜지(25)에 존재하는 관통 보어(64)를 통해 드릴 보어를 생성하기 위해 수술용 드릴을 사용할 수 있다. 일단 뚫리면, 외과 의사는 원하는 관통 보어(64)를 통해 밑에 놓여 있는 뼈에서 새롭게 생성된 드릴 보어로 하나 이상의 고정 핀(62)을 배치할 수 있다. 선호도 및 설계에 따라, 외과 의사는 그런 후 삽입된 고정 핀(62)을 유지하면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원위 대퇴골(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20)의 하위 단부(21)와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 사이에 배치된 오목부(28a, 28b)는 도시된 구현예에서 하위의 좁은 브릿지(29)를 정의한다. 유사하게, 본체(20)의 상위 단부(23)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 사이에 배치된 환형 오목부(26)는 상위의 좁은 브릿지(27)를 정의한다. 하위 및 상위의 좁은 브릿지(29, 27)는 각각 인접한 본체(20) 및 분기된 과두 요크(30) 및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보다 구조적으로 약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도 1 및 2에 도시된 상위 및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 45)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상응하는 뼈 토포그래피의 윤곽은 충분히 깊을 수 있고/있거나 영역은 충분히 광범위할 수 있어서 환자 특정 맞물림 표면(31, 38)이 맞물릴 때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32, 48)과 상당히 안정한 결합을 생성한다. 외과 의사가 원하는 경우, 외과 의사는 고정 핀(62)이 관통 보어(64)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뼈로 삽입된 후에 원위 대퇴골(200)로부터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하위 좁은 브릿지 및/또는 상위 좁은 브릿지에서 파괴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제거하면 밑에 놓인 뼈로 삽입된 고정 핀(62)이 남겨진다.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현예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될 때 더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데 이러한 폴리아미드가 특히,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좁은 브릿지(29, 27)에서 전단력 및 비틀림 힘에 대해 덜 탄력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어떠한 것도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을 갖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의 사용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가지며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내구성 있는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좁은 브릿지(29, 27)는 바람직하게는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 또는 금속보다 전단력 및 비틀림 힘에 대해 덜 탄력적인 다른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고려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좁은 브릿지(29, 27)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최소 침습성 절개부 내로 도입되기 전에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본체(20) 및 위치 설정 부재(15, 45)에 결합될 수 있다.
이탈 위치 설정 부재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원위 대퇴골(200) 상에 순간 피팅되는 구현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대퇴골에 맞물리는 압축력에 대응하는 대신, 외과 의사는 고정 핀(62)이 뼈에 삽입된 후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해제하기 위해 단순히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궁극적으로 감소된 절차 시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가 마취 하에서 더 적은 시간을 소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사용 방법에서, 특히 예시적인 구현예가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갖지 않는 경우, 외과 의사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삽입된 고정 핀(62) 위로 간단히 미끄러지도록 선택함으로써 뼈에 삽입된 고정 핀(62)을 남겨둔 채 수술 영역으로부터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의 조합은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제거 후, 외과 의사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를 나머지 고정 핀(62)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절제 가이드는 외과 의사가 원위 대퇴골(200)을 절제하기 위해 관내 인공 삽입 임플란트의 정확한 배치에 바람직한 위치에 톱을 삽입할 수 있는 절제 슬롯을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사용을 통해 절제 가이드를 전방 내측으로 배치하는 것은 외과 의사가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에 환자 특정 기기 및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임플란트 위치 설정의 이점, 가능한 복원된 운동학적 기능, 및 개선된 치유 시간 및 환자의 감소된 불편함의 이점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4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70)가 조립된 구성 및 분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추가로 예시한다. 조립된 구성에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70)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90)의 상보적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예를 들어, 관통 보어(64),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또는 고정 핀(62)의 돌출부 또는 수신기 기계식 잠금 기계 장치에 상보적인 돌출부 또는 수신기 기계식 잠금 기계 장치, 인접하게 배치될 때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의 내장된 자석과 반대 극성의 내장된 자석, 등)에 맞물린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예를 들어, 고정 핀(62), 돌출부 또는 수신기 기계식 잠금 기계 장치, 내장된 자석, 등)을 갖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해된 구성에서, 절제 가이드(90)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에 맞물리지 않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어셈블리에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본체(20), 본체(20)의 하위 단부(21)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는 제1 아암(31) 및 제2 아암(33)을 가질 수 있다. 제1 아암(31)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 1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을 가진다. 제2 아암(33)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제2 하위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진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가 원위 대퇴골(200) 상에 배치되지 않을 때, 설치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본체(20)의 상위 단부(23)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 및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30)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 사이의 본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2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본체(20)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46)에 대해 대퇴골 오프셋 각도(θ)로 배치된다.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갖는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상의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외과 의사가 고정 핀(62) 또는 다른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이전에 가능한 것보다 더 작은 내외측 절개를 통해 전방내측으로 배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압축된 크기 및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배향은 외과 의사가 3 내지 4 인치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를 통해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노출된 대퇴골 과두(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내측 과두(218) 및 측면 과두(219) 또는 내측 후방 과두(222) 및 측방향 후방 과두(224)) 위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4 인치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 및 주변 연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임의의 견인기의 사용은 추가로 외과 의사가 대퇴사두근 힘줄 및/또는 슬개골로부터 장애물 없이 수술 영역을 볼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절차 및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에 기인하는 개선된 가시성은 선행 접근법에 비교하여 감소된 절차 시간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전방 내측 플랜지(25)는 또한 외과 의사가 고정 핀(62) 또는 다른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원하는 위치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를 정렬시키기 위해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4 인치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의 사용은 외과 의사가 MCL을 손상시키지 않고 MCL이 유래하는 내측 과두를 손상시키지 않고 이러한 정밀도를 실현하는 것을 허용한다. 자연 인대의 더 적은 방출은 자연스러운 안정성 구조의 더 빠른 치유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다.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는 전방 내측 플랜지(25)의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보적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가진다.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은 관통 보어 및 고정 핀, 가이드 리셉터클, 클램프, 립, 자석, 돌출부, 오목부, 돌기-오목부 잠금 기계 장치, 및 대퇴골 절제 가이드(90)와 연관된 상보적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과 선택적으로 기계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퇴골 가이드(90)와 연관된 상보적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은 관통 보어 및 고정 핀, 가이드 리셉터클, 클램프, 립, 자석, 돌출부, 오목부, 돌기-오목부 잠금 기계 장치, 및 주어진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와 연관된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과 선택적으로 기계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90) 및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연속 유닛일 수 있다. 즉,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에 영구적으로 맞물려서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구조물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는 전방 내측 플랜지(25)에서 바람직하게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와 영구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코발트 크롬, 티타늄, 또는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의 다른 생체 적합한 임상적으로 입증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일반적으로 노출된 경골(100)의 근위 측면에 배치된(즉, 설치된 구성에 있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근위 경골(100)은 내측 경골 과두(118), 경골 측방향 과두(119)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근위 경골(100)에 배치되지 않은 설치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경골 가이드 본체(60) 및 경골 가이드 본체(60)로부터 연장된 제1 위치 설정 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설정 부재(55)가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상에 있는 구현예에서(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됨), 제1 위치 설정 부재(55)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 또는 "경골 상위 위치 설정 부재"로 알려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상위 단부(37)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분기된 경골 과두 요크(35)를 포함한다. 상위 분기된 경골 과두 요크(35)는 제1 경골 아암(61) 및 제2 경골 아암(63)을 가진다. 제1 경골 아암(61)은 환자의 자연 경골(100)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상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1)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상위 경골 뼈 맞물림 표면(71)(도 7)을 가진다. 경골 제2 아암(63)은 환자의 자연 경골(100)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상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2)(도 9B)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2 상위 경골 뼈 맞물림 표면(72)(도 9B)을 가진다.
제2 위치 설정 부재(95)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하위 단부(39)로부터 연장된다. 제2 위치 설정 부재(95)가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상에 있는 구현예(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제2 위치 설정 부재(95)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 또는 "경골 하위 위치 설정 부재"로서 알려질 수 있다. 하위 위치 설정 부재(95)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8)의 하위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하위 위치 설정 부재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9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7). 경골(100)의 상보적인 토포그래피 해부학적 특징부와 매칭을 위해 구성된 뼈 맞물림 표면(71, 98)을 가지면, 이러한 표면이 외과 의사가 예시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근위 경골(100) 상에 원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하고 더 빠르게(환자 특정 토포그래피 맞물림 특징부가 결여된 뼈 맞물림 표면(71, 98)에 비해) 안착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본 개시 내용의 어떤 것도 뼈 맞물림 표면(71, 98)이 환자 특정적일 것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비-환자 특정 뼈 맞물림 표면(71, 98)은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로드 홀더(89)는 외과 의사가 수술 중에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경골 가이드 본체(60)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일반적으로 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 홀더(89)를 도시한다. 외과 의사는 설치된 구성에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로드 오리피스(83)를 통해 위치 설정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할 수 있다.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와 하위 위치 설정 부재(95) 사이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60)로부터 연장되며,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경골 기준 시상면(97)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된다. 오프셋 각도가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참조하여 설명될 때, 오프셋 각도는 "경골 오프셋 각도(Δ)"로서 알려질 수 있다.
경골 오프셋 각도(Δ)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기준 경골 기준 시상면(97)과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99)의 교차점에 의해 정의된다.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99)은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의 전방면(86)의 경골 플랜지 길이(tla) 및 경골 플랜지 높이(tha)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으로 상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골 기준 시상면(97)은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로드 홀더(89)의 높이(th) 및 폭(tw)과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경골 기준 시상면(97)은 외과 의사가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근위 경골(100)과 시각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마커(91)와 인접하여 도시된다. 마커(91)는 경골(100)의 기계적 축에 대체로 수직으로 도시된다.
로드 홀더(89)는 예시적인 경골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바람직하게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전방 측으로부터 경골 가이드 본체(60)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된다. 로드 홀더(89)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가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로드 오리피스(83)가 환자 무릎의 기계적 축과 전방으로 정렬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전방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선형으로 연장된다. 원하는 경우, 외과 의사는 기계적 축에 대해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기울기를 시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로드 오리피스(83)를 통해 정렬 로드를 배치할 수 있다. 많은 절차에서, 기울기는 0도일 것이고, 즉, 정렬 로드는 기계적 축에 평행하게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정렬은 핀(62)의 배치 및 연장에 의해, 절제 슬롯(36)의 궁극적인 위치가 기계적 축에 수직이고, 그로써 기계적 축에 대해 수직 경골 절제를 허용하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99) 및 경골 기준 시상면(97)은 기술된 바와 같이 그것들의 상응하는 요소들을 참조하여 상상할 수 있는 가상 평면들인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는 고정 핀(62)을 위한 제1 세트의 관통 보어(64)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경골 오프셋 각도(Δ)는 약 60° 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110°의 값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경골 오프셋 각도(Δ)의 정확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수술 전 이미징 데이터로부터 평가되는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들 예시적인 범위 중 어느 하나 내의 값으로부터 선택된 경골 오프셋 각도(Δ)로 배치된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를 가진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절제 가이드(75)의 배치를 허용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6 내지 8인치 절개를 이용하는 종래의 인공 고관절 성형술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더 작은 절개부를 사용하면서 이전에 가능했던 보다 내측으로의 경골의 절제를 허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는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경골 본체(60)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모듈식 피스일 수 있다. 모듈식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를 갖는 것은 외과 의사가 최소 침습 절차의 더 작은 절개를 통해 근위 경골(100)에 더 잘 접근하도록 경골 오프셋 각도(Δ)를 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는 상보적 돌출부 및 오목부, 예컨대, 레일,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고정 수단" 중 임의의 것에 의해,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경골 본체(60)에 선택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설치된 구성에서,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경골(100)의 내측 측면 상에 배치되어 보다 전통적인 무릎 관절 성형술에서 절개부의 위치와 비교하여 환자의 무릎에 더 내측으로 위치하는 최소 침습성 3 내지 4 인치 절개부와 정렬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는 다중 세트의 고정 핀 관통 보어(64a, 64b, 64c)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핀 관통 보어의 상위 세트(64a)는 고정 핀 관통 보어의 초기 세트(64c)보다 상위에 배치된다. 고정 핀 관통 보어의 하위 세트(64b)는 고정 핀 관통 보어의 초기 세트(64c)에 대해 하위에 배치된다. 고정 핀 관통 보어의 하위 세트(64b)는 이들이 고정 핀 관통 보어의 상위 세트(64a)에 대해 추가의 2 밀리미터("mm")의 절제를 제공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도 9c 참고).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는 단지 2 세트의 고정 핀 관통 보어(64a, 64b) 또는 3 세트 이상의 고정 핀 관통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바람직하게는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후방 단부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상위 단부(37)와 하위 단부(39)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결절 측면(96)을 포함한다. 만곡된 결절 측면(96)은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표준 절차와 비교하여 최소 침습 절차에서 자연스러운 위치에 훨씬 더 가깝게 배치되는, 설치된 구성에서 슬개건 주위에 피팅되는 것을 허용한다. 만곡된 결절 측면(96)은 바람직하게는 수술 경골의 환자의 특정 결절의 표면 토포그래피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근위 경골(100) 상에 배치되지 않는 설치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다른 임상적으로 증명된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가상의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및 고정 핀 관통 보어(64)를 통해 삽입된 드릴 비트를 통해 생성된 보어 구멍과 정렬된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도시한다. 함께 존재할 때,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및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본 발명자에게 "경골 절제 가이드 어셈블리"(73)로 알려질 수 있다. 실제로,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훨씬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 구성에서) 근위 경골(100) 상에 안착되며, 즉, 뼈 맞물림 표면(71, 98)은 설치된 구성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배치하기 위해 근위 경골(100)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의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보적 경골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가진다.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은 관통 보어 및 고정 핀, 가이드 리셉터클, 클램프, 립, 자석, 돌출부, 오목부, 돌기-오목부 잠금 기계 장치, 및 경골 절제 가이드(75)와 연관된 상보적 경골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과 선택적으로 기계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보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은 관통 보어 및 고정 핀, 가이드 리셉터클, 클램프, 립, 자석, 돌출부, 오목부, 돌기-오목부 잠금 기계 장치, 및 주어진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와 연관된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과 선택적으로 기계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이들 수단은 고정 핀(62) 및 관통 보어(64, 65)이다. 안착되면, 고정 핀(62, 도 9a, 9b 참고)은 근위 경골(10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런 후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제거될 수 있다.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그런 후 고정 핀(62) 위에서 미끄러져서 절제 가이드(75)의 절제 슬롯(36)을 경골 절제를 위한 최적 위치로 배향시킬 수 있다.
도시된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경골 절제 가이드 관통 보어의 3개의 세트(65a, 65b, 65c)를 추가로 포함한다. 초기 관통 보어(65c)는 다른 관통 보어에 비해 경골 절제 가이드(75)의 중간에 도시된다. 경골 절제 가이드(75)가 초기 관통 보어(65c)를 사용하여 고정 핀(62) 위에 배치될 때, 절제 슬롯(36)은 특정 관내 인공 삽입 무릎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크기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경골(100)에 대해 위치된다. 예를 들어, 표준 관내 인공 삽입 무릎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높이는 10 mm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대퇴골 절제 가이드(90)를 사용하는 원위 대퇴골(200)의 절제 및 초기 관통 보어(65c)를 사용하여 경골(100)에 대해 배향된 절제 슬롯(36)을 가진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사용하는 근위 경골(100)의 절제는 연장된 절제된 원위 대퇴골(200)과 절제된 근위 경골(100) 사이에서 10 mm 관내 인공 삽입 무릎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수용하기에 충분할 10 mm 갭을 생성할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요인이 외과 의사가 근위 경골(100)을 다소 절제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그로써 절제된 원위 대퇴골(200)과 절제된 근위 경골(100) 사이의 갭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밑에 있는 뼈의 건강 및 무결성과 이용 가능한 임플란트 크기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외과 의사가 경골 뼈를 덜 취할 수 있다고 결론지으면, 외과 의사는 궁극적으로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하위 경골 절제 가이드 관통 보어(65b)를 사용하여 삽입된 고정 핀(62)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이들 하위 관통 보어(65b)는 초기 관통 보어(65c) 및 상위 관통 보어(65a) 아래에서 한 줄로 위치한다. 고정 핀(62)이 하위 관통 보어(65b)를 통해 배치된다면, 절제 슬롯(36)의 위치는 초기 관통 보어(65c)가 사용된 경우 절제 슬롯이 있었을 곳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된다. 하위 관통 보어(65b)가 예를 들어 초기 관통 보어(65c)의 2 mm 아래에 배치된다면, 절제 슬롯(36)은 초기 관통 보어(65c)를 사용하여 배치된 경골 절제 가이드(75)가 있었을 곳보다 2 mm 위에 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새롭게 배향된 절제 슬롯(36)을 통해 배치된(즉, 하위 관통 보어(65b)를 사용하여 배치된) 수술용 톱은 초기 관통 보어(65c)를 사용하여 배치된 경골 절제 가이드(75)보다 2 mm 더 적은 뼈를 절제할 것이다.
반대로, 경골 절제 가이드(75)가 상위 관통 보어(65a)를 사용하여 경골(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면, 절제 슬롯(36)은 경골 절제 가이드(75)가 초기 관통 보어(65c)를 사용하여 내장된 고정 핀(62) 위로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경골(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있었을 절제 슬롯(36)의 위치와 비교하여 경골(100)의 높이를 따라 더 낮게 배치될 것이다. 상위 관통 보어(65a)가 예를 들어 초기 관통 보어(65c)보다 2 mm 위에 배치되었다면, 외과 의사는 초기 관통 보어(65c)에 비교하여 상위 관통 보어(65a)를 사용하여 2mm 이상의 뼈를 절단하는 것을 종료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75) 및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연속 유닛일 수 있다(도 9c 참고). 즉, 일부 구현예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에 영구적으로 맞물려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구조물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바람직하게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와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에서 영구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코발트 크롬, 티타늄, 또는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의 다른 생체 적합성 임상적으로 입증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효과적으로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단순히 경골 가이드 본체(60)를 통해 연장되는 절제 슬롯(36)을 포함할 수 있다(도 9Bb참고).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경골 오프셋 각도(Δ)로 배치된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를 갖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기존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 비해 더 압축된 설계를 초래한다. 이러한 압축된 설계, 및 환자 특정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71, 72, 95, 및 98)은 외과 의사가 감소된 수술 구멍을 통해 수술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뼈 맞물림 표면(예를 들어, 71, 72, 및 98)이 환자의 뼈 상의 상보적인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예를 들어, 각각 81, 82, 및 88)와 맞물릴 때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환자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된다고 확신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85)는 또한 외과 의사가 고정 핀(62) 또는 다른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원하는 위치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정렬시키기 위해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4 인치 내측 슬개골 주위 절개의 사용은 외과 의사가 MCL을 손상시키지 않고, MCL이 유래하는 경골 내측 과두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러한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자연적인 인대의 더 적은 방출은 자연적인 안정성 구조의 더 빠른 치유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예시적인 대퇴골 및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80)는 예시적인 기구의 프로파일을 추가로 최소화하고 달리 날카로운 에지가 생성될 수 있는 연조직의 우발적인 절단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따기되거나 또는 둥근 에지를 가질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9A는 노출된 경골(100)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평면도이며,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61, 63)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8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와 유사하게, 도 9A 내지 9E의 도시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상위 단부(37)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를 포함한다.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는 이탈 제1 경골 아암(61) 및 제1 경골 아암(6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이탈 제2 경골 아암(63)을 갖는 분기된 과두 요크(35)를 포함한다. 제1 경골 아암(61)은 환자의 자연 경골(100)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상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1)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상위 경골 뼈 맞물림 표면(71)(도 9c)을 가진다. 경골 제2 아암(63)은 환자의 자연 경골(100)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상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2)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2 상위 경골 뼈 맞물림 표면(72)(도 9c)을 가진다.
환형 오목부(26)는 각각의 경골 아암(61, 63)의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경골 아암(61)의 근위 단부와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상위 단부(37)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위 좁은 브릿지(27)가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환형 오목부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95) 주변에 배치되어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하위 단부(39)를 하위 위치 설정 부재(95)에 연결시키는 하위 좁은 브릿지(29)가 정의된다. 이탈 하위 위치 설정 부재(95)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8)의 하위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하위 위치 설정 부재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98)을 포함할 수 있다(도 9b).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현예는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생체적합성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될 때 이러한 폴리아미드가, 특히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좁은 브릿지(29, 27)에서 전단력 및 비틀림 힘에 덜 탄력적이기 때문에 더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어떤 것도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을 갖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의 사용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탈 위치 설정 부재를 갖고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코발트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내구성 있는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좁은 브릿지(29, 27)는 바람직하게는 의료 등급 폴리아미드 또는 금속보다 전단력 및 비틀림 힘에 덜 탄력적인 다른 생체적합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추가적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좁은 브릿지(29, 27)는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최소 침습성 절개부 내로 도입되기 전에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경골 가이드 본체(60) 및 위치 설정 부재(55, 95)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의 전방면(86)은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60)의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경골 기준 시상면(97)에 대해 경골 오프셋 각도(Δ)로 배치된다. 공간 및 물질을 절약하기 위해, 경골 가이드 본체(60)의 전방면(87)은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의 전방면(86)으로부터 오목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e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경골 본체(60)는 수술용 톱에 대해 절제 슬롯(36)을 추가로 정의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구현예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및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별도의 기구로서 도시한 반면, 두 기구의 기능성은 모두 도 9a 내지 9e에서 도시된 구현예와 조합되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관통 보어(64a, 64b, 64c)가 제공된다(도 9c). 이들 다수의 관통 보어(64a, 64b, 64c)는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 및 경골 가이드 본체(60)를 통해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의 전방면(86)으로부터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만곡된 결절 측면(96)으로 연장된다.
초기 관통 보어(64c)는 다른 관통 보어의 배치 높이 사이에 있는 전방 내측 경골 플랜지(85)를 따라 높이에서 배치된다. 상위 관통 보어(64a)는 예시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설치된 구성에 있을 때 초기 관통 보어(64c) 위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위 관통 보어(64b)는 예시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가 설치된 구성에 있을 때 초기 관통 보어(64c) 아래에 배치된다.
작동 시, 외과 의사는 수술 전에 결정된 원하는 위치에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구성에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배치할 수 있다. 외과 의사는 그런 후 고정 핀(62)을 초기 관통 보어(64c)를 통해 삽입하여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근위 경골(100)에 추가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수술 전 계획은 무릎 관절성형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에 놀라울 정도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술 전 이미징 세션과 수술일 사이에 환자가 경험할 수 있는 모든 변수를 고려할 수는 없다. 외과 의사가 경골 절제의 배치에 대한 조정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수술 중에 결정한다면, 외과 의사는 상위 및 하위 좁은 브릿지(27, 29)를 파괴하여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로부터 상위 및 하위 위치 설정 부재(55, 95)(및 그로써 초기 고정력을 제공한 환자 특정 맞물림 표면(71, 72, 98))를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만곡된 결절 측면(96)은 결절 상에 여전히 배치될 수 있지만, 초기 관통 보어(64c)를 통해 연장되는 고정 핀(62)은 이제 제거된 상위 및 하위 위치 설정 부재(55, 95)에 의해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서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경골(100)에 고정시키는 일차 요소이다. 외과 의사가 경골(100)을 더 적게 절제하려고 한다면, 외과 의사는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고정 핀(62)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한 후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하위 관통 보어(64b)를 사용하여 다시 고정 핀(62) 위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치의 효과는 절제 슬롯(36)이 이제, 절제 슬롯(36)이 초기 관통 보어(64c)를 사용하여 초기에 배치된 곳 위에 배치되는 것이다. 반대로, 외과 의사가 경골(100)을 더 많이 절제하려고 한다면, 외과 의사는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고정 핀(62)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한 후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를 상위 관통 보어(64a)를 사용하여 다시 고정 핀(62) 위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치로, 절제 슬롯(36)은 이제, 그것이 초기 관통 보어(64c)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경골(100) 상에서 더 아래에 배치된다. 이런 조정된 높이에서 절제 슬롯(36)을 통해 삽입된 수술용 톱은 외과 의사가 뼈를 더 많이 절제하게 할 것이다.
일단 외과 의사가 절제 슬롯(36)의 배치에 만족하면, 외과 의사는 절제 슬롯(36)을 통해 수술용 톱을 삽입하여 근위 경골(100)의 원하는 양을 절제할 수 있다.
상위 관통 보어(64a) 및 하위 관통 보어(64b)의 정확한 높이는 임플란트 설계 및 관련 크기 조정 기구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한 구현예에서, 상위 관통 보어(64a)는 초기 관통 보어(64c)로부터 + 2 mm에 배치될 수 있고 하위 관통 보어(64b)는 초기 관통 보어(64c)로부터 -2 mm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는 노출된 경골(100)의 근위 측면에 맞물린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평면도이며,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는 제1 경골 아암(61)을 포함한다. 제1 경골 아암(61)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상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1)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71)(도 10b)을 가진다. 도시된 설치 구성에서,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의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71)은 내측 경골 과두(118) 상에서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의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71)은 측면 경골 과두(119)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8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단일 광범위한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는 단일 광범위한 위치 설정 부재(55a)가 설치된 구성에서 내측 경골 과두(118) 및 측면 경골 과두(119)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분기된 과두 요크(35 참고)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의 투시도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프로파일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71) 및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98)(도 9b 참고)이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각각 81 및 88, 도 9b 및 9c 참고)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이런 방식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에서 설치 및 사용의 용이성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71)이 있는 단일 상위 위치 설정 부재(55a)를 가진 예시적인 경골 절제 가이드(80)가 단일 과두 무릎 관절성형술에 매우 적합할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고려된다. 임의의 의도된 용도에 대해,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해 더 적은 시간 및 자원이 요청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11a는 연장된 상태의 노출된 대퇴골(200)의 원위 측면에 맞물린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정면도이며,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대퇴골 오프셋 각도(θ)(상보적 대퇴골 오프셋 각도(90 - θ)가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도시되며; 상보적 대퇴골 오프셋 각도(90 - θ)가 존재하고, 대퇴골 오프셋 각도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 이해될 것임)로 배치된 전방 내측 플랜지(25), 및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를 포함한다(도 11b). 도 11b에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는 연장된 노출된 대퇴골(200)의 원위 측면에 맞물린 상태로 도시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는 제1 아암(31)을 포함한다. 제1 아암(31)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도 2 참고)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도 2 참고)을 가진다. 도시된 설치 구성에서,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의 제1 뼈 맞물림 표면(32)은 원위 대퇴골(200)의 내측 과두(218) 상의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의 제1 뼈 맞물림 표면(32)은 원위 대퇴골(200)의 측면 과두(219) 상의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4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단일 광범위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는 단일 광범위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가, 설치된 구성에서 내측 과두(218) 및 측면 과두(219)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분기된 과두 요크(35 참고)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a)는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프로파일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도 2 참고) 및 제1 상위 뼈 맞물림 표면(38)(도 2 참고)이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상보적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각각 42 및 48, 도 2 참고)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대퇴골 절제 가이드(50)는 최소 침습성 무릎 관절성형술로 설치 및 사용의 용이성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32)이 있는 단일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를 갖는 예시적인 대퇴골 절제 가이드(50)는 단일 과두 무릎 관절성형술에 매우 적합할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고려된다. 임의의 의도된 사용을 위해,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해 더 적은 시간 및 자원이 요청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비록 도 11b가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50)의 본체(20)의 하위 단부(21)에 배치되어 하위 좁은 브릿지(29)를 정의하고, 그로써 이탈 하위 위치 설정 부재(15)를 정의하는 오목부(28)를 추가로 도시하지만,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오목부(28)가 없을 수 있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는 본체(20)의 상위 단부(23)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45) 사이에 환형 오목부(26)를 추가로 포함하여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위 좁은 브릿지(27)를 정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50) 및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리소그래피, 선택적 레이저 소결, 융합 증착 모델링, 또는 다른 유형의 적층 제조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70)의 구성요소는 수술 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73)의 구성요소는 수술 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키트의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수술 트레이 또는 케이스에서와 같이 편리한 형식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키트 구성요소는, 그것들이 수술 시에 사용하기 위해 수술실에서 함께 조립되거나 수집된다면, 함께 패키징되거나 배송될 필요는 없다. 예시적인 키트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 본원에서 설명된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의 변형, 및 구현예에 따르는 임의의 다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키트가 하나 이상의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고정 수단, 하나 이상의 원위 절제 가이드(90), 하나 이상의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및 하나 이상의 경골 절제 가이드(7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특정 키트는 이들 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결여될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의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 본원에서 설명된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의 변형, 및 구현예에 따르는 임의의 다른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은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원위 절제 가이드(90)의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 본원에서 기술된 원위 절제 가이드(90)의 변형, 및 구현예에 따른 임의의 다른 원위 절제 가이드(90)는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 본원에서 기술된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의 변형, 및 구현예에 따른 임의의 다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는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경골 절제 가이드(75)의 임의의 적합한 구현예, 본원에서 기술된 경골 절제 가이드(75)의 변형, 및 구현예에 따른 임의의 다른 경골 절제 가이드(75)는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 키트에 포함하기 위한 적합한 수 또는 유형의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50),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 원위 절제 가이드(90),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80), 및 경골 절제 가이드(75)의 선택은 키트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수행되도록 의도되는 절차와 같은 다양한 고려사항을 토대로 할 수 있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는 제1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된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들의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제1 위치 설정 부재;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로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 제2 위치 설정 부재;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와 제2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기준 시상면은 기준 플랜지 평면이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기준 플랜지 평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의 플랜지 길이 및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분기된 과두 요크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서,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가지며, 제1 아암은 제1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에 배치된 제1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고, 제1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제1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제2 아암은 제2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에 배치된 제2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고, 제2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제2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제1 위치 설정 부재;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와 제2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기준 시상면은 기준 플랜지 평면이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기준 플랜지 평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의 플랜지 길이 및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고정 핀 관통 보어를 한정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한정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일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일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본체는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는 절제 슬롯을 한정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본체는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후방 측면을 갖고, 후방 측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부가적인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모듈식이고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맞물린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본체의 코너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 또는 제2 위치 설정 부재에서 둥근 또는 모따기된 에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본체;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로서, 하위 위치 설정 부재는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분기된 과두 요크를 포함하며,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갖고, 제1 아암은 제1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며, 제1 하위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고, 제2 아암은 제2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하위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며, 제2 하위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하위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으로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하위 위치 설정 부재; 본체의 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 및 하위 위치 설정 부재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가 본체에 인접한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는: 본체;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로서,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가지며, 제1 아암은 제1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고, 제1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제2 아암은 제2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뼈 맞물림 표면을 가지고, 제2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으로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 본체의 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 및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가 본체에 인접한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가지는 것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및 전방 내측 플랜지의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을 가진 대퇴골 절제 가이드를 포함한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의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은 전방 내측 플랜지에서 고정 핀 관통 보어를 통해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 핀일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어셈블리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의 절제 가이드 고정 수단은 가이드 리셉터클일 수 있다.
예시적인 키트는: 본체,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로서,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가지며, 제1 아암은 제1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1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제 2 아암은 제2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2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 본체의 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 및 하위 분기된 과두 요크와 상위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여기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대퇴골 기준 시상면은 기준 플랜지 평면이 대퇴골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본제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며, 기준 플랜지 평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의 플랜지 길이 및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인 것인 환자 특정 대퇴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및 경골 가이드 본체, 경골 가이드 본체의 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로서,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경골 아암 및 제2 경골 아암을 가지며, 제1 경골 아암은 제1 경골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1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경골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경골 제2 아암은 제2 경골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2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경골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 경골 가이드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 및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와 하위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여기서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는 경골 가이드 본체의 경골 기준 시상면에 대해 경골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며, 경골 가이드 본체의 경골 기준 시상면은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이 경골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고,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은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의 경골 플랜지 길이 및 경골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인 것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는: 경골 가이드 본체, 경골 가이드 본체의 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를 포함하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로서,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경골 아암 및 제2 경골 아암을 가지며, 제1 경골 아암은 제1 경골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1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경골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경골 제2 아암은 제2 경골 아암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2 경골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경골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상위 위치 설정 부재, 경골 가이드 본체의 하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 및 상위 분기된 과두 요크와 하위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는 경골 가이드 본체의 기준 시상면에 대해 경골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경골 가이드 본체의 경골 기준 시상면은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이 경골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경골 가이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며, 경골 기준 플랜지 평면은 경골 전방 내측 플랜지의 경골 플랜지 길이 및 경골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이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하위 위치 설정 부재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3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제3 뼈 맞물림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시적인 환자 특정 경골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에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 구현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이의 변경 및 변형은 의심 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을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로서,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는 제1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된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의 세트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제1 위치 설정 부재;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로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 제2 위치 설정 부재;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와 제2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기준 시상면은 기준 플랜지 평면이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기준 플랜지 평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의 플랜지 길이 및 플랜지 높이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고정 핀 관통 보어를 한정하는 영역을 갖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한정하는 영역을 갖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인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인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는 절제 슬롯을 한정하는 영역을 갖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후방 측을 갖고, 후방 측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부가적인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모듈식이고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코너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 또는 제2 위치 설정 부재에서 둥근 또는 모따기된 에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0.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로서,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분기된 과두 요크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설정 부재로서, 분기된 과두 요크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가지며,
    제1 아암은 제1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1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제1 선택된 영역의 제1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며,
    제2 아암은 제2 위치 설정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뼈 맞물림 표면을 갖고, 제2 뼈 맞물림 표면은 환자의 자연 뼈의 제2 선택된 영역의 제2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제1 위치 설정 부재;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2 위치 설정 부재;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와 제2 위치 설정 부재 사이에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내측 플랜지는 본체의 기준 시상면에 대해 오프셋 각도로 배치되고, 본체의 기준 시상면은 기준 플랜지 평면이 기준 시상면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본체의 높이 및 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기준 플랜지 평면은 전방 내측 플랜지의 플랜지 길이 및 플랜지의 높이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고정 핀 관통 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아암은 고정 핀 관통 보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아암은 고정 핀 관통 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상위 위치 설정 부재이고, 상위 위치 설정 부재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3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3 뼈 맞물림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하위 위치 설정 부재이고, 하위 위치 설정 부재는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제3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된 제3 뼈 맞물림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가이드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6. 제10항에 있어서, 제1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인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7. 제10항에 있어서, 제2 위치 설정 부재는 이탈 위치 설정 부재인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8. 제10항에 있어서, 본체는 설치된 구성에 배치될 때 후방 측을 갖고, 후방 측은 환자의 자연 뼈의 선택된 영역의 부가적인 세트의 해부학적 표면 특징부와 상보적인 매칭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19. 제10항에 있어서, 전방 내측 플랜지는 모듈식이고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인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20. 제10항에 있어서, 본체의 코너 및 제1 위치 설정 부재 또는 제2 위치 설정 부재에서 둥근 또는 모따기된 에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환자 특정 절제 가이드 로케이터.
KR1020230036258A 2022-03-21 2023-03-21 내측에 편향된 환자 특정 기구 및 관련 방법 KR20230137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269642P 2022-03-21 2022-03-21
US63/269,642 2022-03-21
US18/182,516 US20230293191A1 (en) 2022-03-21 2023-03-13 Medial biased patient-specific instrumentation and related methods
US18/182,516 2023-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261A true KR20230137261A (ko) 2023-10-04

Family

ID=8570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258A KR20230137261A (ko) 2022-03-21 2023-03-21 내측에 편향된 환자 특정 기구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93191A1 (ko)
EP (1) EP4248885A1 (ko)
KR (1) KR20230137261A (ko)
AU (1) AU2023201719A1 (ko)
BR (1) BR102023005220A2 (ko)
CA (1) CA3193391A1 (ko)
CR (1) CR2023013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8372A3 (nl) 1994-04-19 1996-04-02 Materialise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perfektioneerd medisch model uitgaande van digitale beeldinformatie van een lichaamsdeel.
US9017334B2 (en) 2009-02-24 2015-04-28 Microport Orthopedics Holdings Inc. Patient specific surgical guide locator and mount
EP2627266B1 (en) * 2010-10-14 2019-12-11 Smith&Nephew, Inc. Patient-matched instrumentation
DE102014107481A1 (de) * 2014-05-27 2015-12-03 Aesculap Ag Medizinisches System
FR3033691A1 (fr) * 2015-03-19 2016-09-23 Evolutis Dispositif pour la preparation des coupes osseuses pour la mise en place d'une prothese du genou sans conservation des ligaments croises
EP3095398B8 (de) * 2015-05-22 2023-08-02 Medivation AG Patientenspezifisches instrument zur referenzierung von körperteilen
US11051829B2 (en) * 2018-06-26 2021-07-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Customized patient-specific orthopaedic surg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R20230137A (es) 2023-07-03
CA3193391A1 (en) 2023-09-21
US20230293191A1 (en) 2023-09-21
AU2023201719A1 (en) 2023-10-05
EP4248885A1 (en) 2023-09-27
BR102023005220A2 (pt)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165B2 (en) Ligament guide registration
US11471288B2 (en) Motion facilitating tibial components for a knee prosthesis
US9579112B2 (en) Patient-specific computed tomography guides
US10939923B2 (en) Instruments and methods in performing kinematically-aligned total knee arthroplasty
US85353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artmental replacement in a knee
US7695520B2 (en) Prosthesis and implementation system
US98145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ormable prosthetic implants
US80028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artmental replacement in a knee
AU2017258891A1 (en) Advanced methods, techniques, devices, and systems for cruciate retaining knee implants
US200602710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navigated osteotome
US20210038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operatively determining desired alignment of a knee joint
US20060161165A1 (en) Patellar cutting guide
EP3355834B1 (en) Tibial prosthesis for tibia with varus resection
CN110638508A (zh) 定制的患者专用整形外科器械
CN113040862A (zh) 用骨轮廓曲线的整形外科器械的定制的患者专用接触节段
US20210100568A1 (en) Cutting and drilling template for unicondylar knee arthroplasty
WO2006112911A2 (en) Unicondylar knee implant and instrument system
EP4248885A1 (en) Medial biased patient-specific instrumentation
CN116784926A (zh) 内侧偏置患者专用仪器和相关方法
US20230372121A1 (en) Tibial dual stylus instrument having wide convex stylus tips and components thereof
US11872142B2 (en) Gap balancing assembly for knee revision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