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961A -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961A
KR20230136961A KR1020220034486A KR20220034486A KR20230136961A KR 20230136961 A KR20230136961 A KR 20230136961A KR 1020220034486 A KR1020220034486 A KR 1020220034486A KR 20220034486 A KR20220034486 A KR 20220034486A KR 20230136961 A KR20230136961 A KR 2023013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space
guider
unit
biopsy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101B1 (ko
Inventor
임종필
신일형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임스카우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스카우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스카우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겸자(forcep)가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더에 있어서, 상기 겸자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겸자의 인입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GUIDER FOR AN ENDOSCOPIC APPARATUS AND AN ENDOSCOP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연성 재질의 겸자(forcep)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1868년 독일의 Kussmaul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이래 광학 기술의 발전, 광섬유의 개발, 전자공학의 급속한 발전 등에 힘입어 현재의 내시경에 이르고 있으며, 현대 의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단부를 인체 내부의 장기로 삽입하고, 장기의 내벽에 빛(가시광선)을 조사한 후 반사된 피사체를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어 모니터에 표시한다. 이렇게 얻어진 내시경 영상은 엑스레이(X-ray) 영상, CT(Computed Tomography) 영상, 초음파 영상 등과 달리 컬러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방사선 피폭이 없으며 실시간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대형 병원의 임상 각 과에서 사용하는 내시경의 종류는 수 십 종류에 이른다. 그 원리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 명칭이 다르고, 요구되는 외형(굵기와 길이 등)이 다르며, 유연성 여부가 다르다. 이에 따라, 내시경은 크게 경성내시경(Rigid Endoscope, 경성경)과 연성내시경(Flexible Endoscope, 연성경)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경성내시경은 길이 방향의 내시경 관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내부가 로드 렌즈로 채워진 것으로, 경성경에는 이경(耳鏡, Otoscope), 비경(鼻鏡, Sinuscope), 후두경(喉頭鏡, Laryngoscope), 복강경(腹腔鏡, Laparoscope), 방광경(膀胱鏡, Cystoscope), 관절경(關節鏡, Arthroscope)이 있다.
연성내시경은 소화기 내시경으로 대표되며, 위내시경(胃內視鏡, Gastroscope) 및 대장경(大腸鏡, Colonoscope)이 있다. 연성경은 위장이나 대장과 같이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환부까지 접근해야 하므로 관절을 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유연한 몸체를 가져야 한다.
1980년대까지는 광섬유 영상 가이드를 사용한 내시경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해상도의 한계로 인해 1980년대 이후부터는 반도체 기술이 사용된 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가 영상전달용 광섬유 다발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서는 거의 모든 연성내시경에 있어 CCD(또는 CMOS)를 사용하는 전자내시경이 사용되고 있다. 연성내시경 중에 화소수가 낮아도 외경이 절대적으로 얇아야 하는 경우에만 광섬유 다발이 영상유도 장치로 사용될 뿐, 대부분의 소화기 내시경은 촬상소자를 사용한 전자내시경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내시경이라는 용어가 연성내시경이라는 용어와 혼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성내시경, 전자내시경, 소화기 내시경, 위(대장) 내시경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연성내시경은 구강-식도-위로 이어지는 곡선을 타고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즉, 연성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인체의 장기 내로 삽입되며 선단부(distal tip)와 굴절부(bending part)를 포함하는 삽입부, 삽입부의 선단부를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와, 선단부를 통해 장기 내로 공기 및 액체를 주입하거나 흡입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조절부, 그리고 영상처리 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또한, 선단부의 전면에는 어두운 공간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 영상화를 위한 카메라모듈(대물렌즈 및 촬상소자를 포함한다), 촬상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기 또는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 생검(biopsy)과 처치를 위한 겸자(포셉, forcep)와 같은 기구들이 드나드는 생검 채널(biopsy channel) 또는 기구 채널(instrument channel)이 형성된다. 여기서 생검이란 내시경 검사 시, 겸자를 이용하여 의심 부위의 조직 샘플을 채취하거나 생체 내에 생긴 용종 등을 절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시경 도중 상술한 생검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는 직접 손으로 조절부에 형성된 생검 채널 도입부에 연성 재질의 겸자의 단부를 인입한 후, 선단부의 단부로 겸자를 인출시켜 생검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직접 손으로 겸자를 파지한 후 생검 채널 도입부로 인입시키기 때문에, 생검 채널로 겸자의 인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겸자의 인입 정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4075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연성의 겸자(forcep)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는,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겸자(forcep)가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더에 있어서, 상기 겸자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겸자의 인입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제1공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도입부와 상기 제1공간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겸자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겸자가 상기 제1공간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겸자와 각각 접촉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겸자가 상기 제2공간을 통해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핸들부가 파지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 인입된 상기 겸자와 접촉되어 상기 겸자를 고정하고, 상기 핸들부가 파지된 후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겸자와 접촉된 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핸들부의 파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 인입된 상기 겸자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는, 단부에 장기 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생검 채널(biopsy channel)이 형성되고, 장기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영상처리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조절부에 설치되고,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겸자(forcep)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연성 재질의 겸자(forcep)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생검 채널로 인입되는 겸자의 인입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통해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로 겸자가 인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핸들부의 동작에 따라 생검 채널에 인입된 겸자의 이동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통해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통해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로 겸자가 인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의 핸들부의 동작에 따라 생검 채널에 인입된 겸자의 이동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통해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는 연성내시경(Flexible Endoscope)을 이용한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연성 재질의 내시경 생검용 또는 처치용 겸자(F)(포셉, forcep)가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C)(biopsy channel) 또는 기구 채널(instrument channel)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는 가이드부(110)와, 체결부(120)와, 핸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연성 재질의 상기 겸자(F)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삽입부(210)에 형성된 상기 생검 채널(C)(또는 기구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하우징부(111)와, 롤러부(112)와, 모터부(113)와,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1)는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1)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은 상기 겸자(F)가 최초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공간(S2)과 연통되는 공간으로, 그 형상은 육면체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공간(S1)은 한 쌍의 상기 롤러부(112)와 상기 모터부(11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형성된 생검 채널 도입부(A)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생검 채널 도입부(A)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겸자(F)는 상기 제1공간(S1)을 통해 최초로 인입되어 상기 제2공간(S2)에 인입된 후 상기 내시경 장치의 삽입부(210)에 형성된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겸자(F)가 상기 제1공간(S1)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겸자(F)와 각각 접촉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겸자(F)가 상기 제2공간(S2)을 통해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1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핸들부(130)에 의해 그 동작이 조절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겸자(F)와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실리콘(silicon)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1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롤러부(112)와 베벨기어(bevel gears)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롤러부(1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베벨기어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체결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롤러부(112)와 상기 모터부(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하우징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핸들부(1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롤러부(112)가 상기 겸자(F)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핸들부(1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부(113)가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겸자(F)의 지시선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겸자(F)에는 인입 한계선을 나타내는 지시선이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공간(S1) 또는 상기 제2공간(S2)에 설치된 후 상기 겸자(F)의 상기 지시선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롤러부(112)가 자동으로 멈추도록 상기 모터부(11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겸자(F)가 과도하게 인입되어 겸자(F) 또는 내시경 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잇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2공간(S2)이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형성된 생검 채널 도입부(A)에 연통되도록,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제어부(114)를 통해 상기 롤러부(112)의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생검 채널(C)로의 상기 겸자(F)의 인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되어 인입된 상기 겸자(F)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어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된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인입된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130)에 인가되는 외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롤러부(112)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30)에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112)가 빠르게 회전되어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빠르게 인입될 수 있고, 상기 핸들부(130)에 약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112)가 느리게 회전되어 상기 겸자(F)의 인입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1)의 외면에는 상기 겸자(F)의 인입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의 파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와 이격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겸자(F)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겸자(F)는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어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외측으로 밀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된 후,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와 달리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된 상기 겸자(F)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200)는 연성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200)는 삽입부(210)와, 조절부(220)와, 연결부(230)와,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0)는 단부에 장기 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생검 채널(C)(biopsy channel) 또는 기구 채널(instrument channel)이 형성되고, 장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조절부(22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210)는 선단부(distal tip)와, 상기 선단부를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굴절부(bend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는 대물렌즈와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모듈, 연성 재질의 내시경 생검용 또는 처치용 겸자(F)(포셉, forcep)를 인입시키기 위한 상기 생검 채널(C), 장기 내의 어두운 공간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라이트 및 촬상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기 또는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와 상기 연결부(230)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선단부를 상하좌우의 네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굴절부를 조절하는 손잡이 및 상기 선단부를 통해 상기 장기 내로 공기 및 액체를 주입하거나 흡입하기 위한 밸브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220)에는 상기 겸자(F)를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시키기 위한 생검 채널 도입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장기 내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영상처리 장치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영상처리 장치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가이더는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연성 재질의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조절부(220)에 체결된다.
상기 가이더는 가이드부(110)와, 체결부(120)와, 핸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겸자(F)가 상기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하우징부(111)와, 롤러부(112)와, 모터부(113)와,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1)는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1)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은 상기 겸자(F)가 최초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공간(S2)과 연통되는 공간으로, 그 형상은 육면체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공간(S1)은 한 쌍의 상기 롤러부(112)와 상기 모터부(11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형성된 생검 채널 도입부(A)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생검 채널 도입부(A)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겸자(F)는 상기 제1공간(S1)을 통해 최초로 인입되어 상기 제2공간(S2)에 인입된 후 상기 내시경 장치의 삽입부(210)에 형성된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겸자(F)가 상기 제1공간(S1)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겸자(F)와 각각 접촉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겸자(F)가 상기 제2공간(S2)을 통해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1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핸들부(130)에 의해 그 동작이 조절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겸자(F)와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실리콘(silicon)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1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13)는 상기 롤러부(112)와 베벨기어(bevel gears)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롤러부(1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베벨기어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체결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롤러부(112)와 상기 모터부(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하우징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핸들부(1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롤러부(112)가 상기 겸자(F)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핸들부(1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부(113)가 상기 롤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겸자(F)의 지시선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겸자(F)에는 인입 한계선을 나타내는 지시선이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공간(S1) 또는 상기 제2공간(S2)에 설치된 후 상기 겸자(F)의 상기 지시선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롤러부(112)가 자동으로 멈추도록 상기 모터부(11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겸자(F)가 과도하게 인입되어 겸자(F) 또는 내시경 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100)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잇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하우징부(111)의 상기 제2공간(S2)이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형성된 생검 채널 도입부(A)에 연통되도록,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제어부(114)를 통해 상기 롤러부(112)의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생검 채널(C)로의 상기 겸자(F)의 인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30)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되어 인입된 상기 겸자(F)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어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된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인입된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130)에 인가되는 외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롤러부(112)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30)에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112)가 빠르게 회전되어 상기 겸자(F)가 상기 생검 채널(C)로 빠르게 인입될 수 있고, 상기 핸들부(130)에 약한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112)가 느리게 회전되어 상기 겸자(F)의 인입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1)의 외면에는 상기 겸자(F)의 인입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130)의 파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와 이격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겸자(F)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겸자(F)는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130)가 파지되어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외측으로 밀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부(112)는 상기 제1공간(S1)에 인입된 상기 겸자(F)의 양측에서 각각 접촉된 후,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와 달리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생검 채널(C)로 인입된 상기 겸자(F)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F : 겸자
C : 생검 채널
110 : 가이드부
111 : 하우징부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A : 생검 채널 도입부
112 : 롤러부
113 : 모터부
114 : 제어부
120 : 체결부
130 : 핸들부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210 : 삽입부
220 : 조절부
230 : 연결부

Claims (5)

  1.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겸자(forcep)가 내시경 장치의 생검 채널(biopsy channel)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더에 있어서,
    상기 겸자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시경 장치의 조절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겸자의 인입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공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도입부와 상기 제1공간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겸자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겸자가 상기 제1공간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겸자와 각각 접촉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겸자가 상기 제2공간을 통해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핸들부가 파지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 인입된 상기 겸자와 접촉되어 상기 겸자를 고정하고, 상기 핸들부가 파지된 후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 인입된 상기 겸자와 접촉된 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핸들부의 파지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 인입된 상기 겸자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5. 단부에 장기 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생검 채널(biopsy channel)이 형성되고, 장기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영상처리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조절부에 설치되고, 내시경 검사 도중 생검(biopsy)이 필요한 경우, 겸자(forcep)가 상기 생검 채널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0220034486A 2022-03-21 2022-03-21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64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86A KR102646101B1 (ko) 2022-03-21 2022-03-21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86A KR102646101B1 (ko) 2022-03-21 2022-03-21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961A true KR20230136961A (ko) 2023-10-04
KR102646101B1 KR102646101B1 (ko) 2024-03-11

Family

ID=8829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486A KR102646101B1 (ko) 2022-03-21 2022-03-21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A (ja) * 1995-06-21 1997-01-0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挿抜装置
JP2003265406A (ja) * 2002-03-19 2003-09-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処置具進退装置
JP2005110846A (ja) * 2003-10-06 2005-04-28 Olympus Corp 内視鏡
JP2005168882A (ja) * 2003-12-12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処置具システム
JP2008036393A (ja) * 2006-08-09 2008-02-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A (ja) * 1995-06-21 1997-01-0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挿抜装置
JP2003265406A (ja) * 2002-03-19 2003-09-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処置具進退装置
JP2005110846A (ja) * 2003-10-06 2005-04-28 Olympus Corp 内視鏡
JP2005168882A (ja) * 2003-12-12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処置具システム
JP2008036393A (ja) * 2006-08-09 2008-02-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101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3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ing an interior surface of a corporeal cavity
US7951068B2 (en)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system,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insertion assisting tool, and method for technique of inserting endoscope insertion portion into small intestine using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system
JP5313068B2 (ja) 側視内視鏡装置
CA2309151C (en) Video rectoscope
US5984860A (en) Pass-through duodenal enteroscopic device
JP4416990B2 (ja) 生体内で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10288374A1 (en) Method and endoscopic device for examining or imaging an interior surface of a corporeal cavity
US8088065B2 (en) Medical instrument
CN105188506B (zh) 内窥镜下外科手术装置
WO2014157479A1 (ja) 内視鏡下外科手術装置
EP2107882A2 (en) Diagnostic or treatment tool for colonoscopy
KR102646101B1 (ko) 내시경 장치를 위한 가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EP3811842A1 (en) Endoscope
JP5318762B2 (ja) 内視鏡手技用ファイバースコープ連結装置
JP2010502311A5 (ko)
JP2010502311A6 (ja) 内視鏡手技用ファイバースコープ連結装置
CN113143171A (zh) 一种多点观察内窥镜探头
CN219048416U (zh) 十二指肠镜
CN215584080U (zh) 一种多点观察内窥镜探头
JP4505445B2 (ja) 医療用カプセル内視鏡
CN115363506A (zh) 转向控制机构、内窥镜和医用检查装置
CN116195956A (zh) 超大视场宫腔镜
WO2022156872A2 (en) Flexible endoscopes
WO2007110620A1 (en) Endoscope with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means
EP3311728A1 (en) Insertion apparatus and inser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