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840A -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840A
KR20230136840A KR1020220034307A KR20220034307A KR20230136840A KR 20230136840 A KR20230136840 A KR 20230136840A KR 1020220034307 A KR1020220034307 A KR 1020220034307A KR 20220034307 A KR20220034307 A KR 20220034307A KR 20230136840 A KR20230136840 A KR 2023013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management system
terminal
present
dange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윤식
김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플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플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플릿
Priority to KR102022003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840A/en
Publication of KR2023013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84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은 위험 하중을 모니터링하는 유압센서, 상기 위험 하중 발생 시 경고기능을 제공하는 경고장치, 상기 위험 하중 발생 시 지게차의 작업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장치, 상기 위험 하중 모니터링을 위하여 설치되며, 진동 및 속도 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비에 대한 충격량 및 위험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상기 지게차에 설치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단말기와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로그인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모뎀을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PC 기반의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앱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장비의 작업효율, 안전사항 등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의 효율적인 활용 및 안전사고의 증가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며, 다수의 지게차를 운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통계적인 기법에 기반한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1차~3차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초설비로서 중요한 지게차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aulic sensor that monitors a dangerous load, a warning device that provides a warning function when the dangerous load occurs, a stopping device that stops the operation of the work equipment of the forklift when the dangerous load occurs, and the dangerous load. A terminal is installed for monitoring and enables calculation of vibration and speed to enable monitoring of the amount of impact and dangerous speed on the equipment. The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forklift to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martphone carried by the driver. It enables the login function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transmits data to the server through the modem of the smartphone. The transmitted data can be checked through a PC-based web and a smartphone-based app,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possible. It consists of a system that provides analysis on efficiency, safety,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forklifts and a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and when operating multiple forklifts, it is possible to collect comprehensive data, thereby creating 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atistical techniques. By providing this,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afer and more efficient use of forklifts, which are important as basic equipment used across primary to tertiary industries.

Description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지게차의 안전을 위한 전복방지용 위험하중 모니터링 시스템과 지게차의 운영효과 극대화를 위한 관제 시스템 기능의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하중 모니터링을 로드셀 방식이 아닌 유압센서 방식으로 적용하며, 이를 통하여 지게차의 상,하차 현황 및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하중 발생 시 함께 설치된는 장치(알람, 지시등)를 통한 경고기능 및 자동으로 작업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위험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단말기내에 가속도 센서를 설치하여 진동 및 속도 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비에 대한 충격량 및 위험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ystem of a hazardous load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overturning for the safety of forklifts and a control system function to maximize the operating effectiveness of forklifts. More specifically, hazardous load monitoring is applied using a hydraulic sensor method rather than a load cell method. Through this, the status and number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forklift are monitored, and when a hazardous load occurs, a warning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 device (alarm, indicator light) installed together and the operation of the work equipment is automatically stopped, and a terminal for hazardous load monitoring is provided. It relates to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monitoring of the amount of impact and dangerous speed on the equipment by installing an acceleration sensor within it to calculate vibration and speed.

지게차는 1차~3차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초설비에 해당한다. 이러한 지게차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게차의 주요 재해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안전대책 관련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Forklifts are basic equipment used across primary to tertiary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se forklifts efficiently, and safety accidents may occur,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atus of major disasters in forklifts and develop related safety measures.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지게차들에 대하여 과하중에 의한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스템 장착이 미비한 경우가 많으므로, 대규모 지게차를 보유한 경우에 지게차의 사용실적, 운전자 관리 등 지게차 사용전반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 요구가 현재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Forklifts used in actual fields are often not equipped with safety systems to prevent rollover accidents due to overload, so in case of having a large forklift,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the overall forklift use, including forklift usage history and driver management, is required. Demand is currently increasing.

무게측정, 관제시스템, 안전장치 등 별도의 기능으로 구성된 제품이 여러 개 사용되기에는 지게차에 구비된 공간이 협소하고, 이를 운용하기도 쉽지 않으므로, 지게차에 안전을 위한 전복방지용 ‘위험하중 모니터링 시스템’과 지게차의 운영 효과를 위한 ‘관제 시스템’ 기능의 통합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space provided in a forklift is too small to use multiple products with separate functions such as weight measurement, control system, and safety devices, and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m, so forklifts are equipped with a 'hazardous load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tipping over for safety. There is a need to configure an integrated system of 'control system' functions for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forklifts.

한국등록특허 제10-1869480호(등록일: 2018.06.14)Korean Patent No. 10-1869480 (registration date: 2018.06.14)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08732호(공개일: 2021.09.0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8732 (Publication Date: 2021.09.03)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센서를 구비하여 지게차의 상하차 현황 및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하중 발생 시 함께 설치된 장치를 통한 경고기능 및 자동으로 작업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위험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가속도 센서를 설치하여 진동 및 속도 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비에 대한 충격량 및 위험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고, 지게차에 설치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와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로그인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폰의 모뎀을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PC기반의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앱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에 통계적 분석 기법을 통하여 장비의 작업효율, 안전사항 등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aulic sensor to monitor the status and number of loading and unloading of a forklift, provide a warning function through a device installed together when a hazardous load occurs, and automatically stop the operation of the work equipment, and provi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onitoring the hazardous load. By installing a vibration and speed calcula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amount of impact and dangerous speed on the equipment, and a login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installed on the forklift to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martphone carried by the driver.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smartphone's modem, and the transmitted data can be checked through PC-based web and smartphone-based apps. These programs can be used to analyze equipmen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t provides a system that provides analysis of work efficiency, safety issues, etc.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위험 하중을 모니터링하는 유압센서, 상기 위험 하중 발생 시 경고기능을 제공하는 경고장치, 상기 위험 하중 발생 시 지게차의 작업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장치, 상기 위험 하중 모니터링을 위하여 설치되며, 진동 및 속도 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비에 대한 충격량 및 위험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상기 지게차에 설치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단말기와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로그인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모뎀을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PC 기반의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앱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장비의 작업효율, 안전사항 등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ydraulic sensor that monitors a dangerous load, a warning device that provides a warning function when the dangerous load occurs, and a working device of the forklift when the dangerous load occurs. A stopping device that stops operation, a terminal installed to monitor the dangerous load and enables calculation of vibration and speed to monitor the amount of impact and dangerous speed to the equipment, and a terminal installed on the forklift to collect information. It enables the login function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martphone owned by the driver, transmits data to the server through the modem of the smartphone, and sends the transmitted data to the PC-based web and smartphone-based apps.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ystem, and it consists of a system that provides analysis of the equipment's work efficiency, safety issues, etc.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는 지게차의 효율적인 활용 및 안전사고의 증가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하며, 다수의 지게차를 운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통계적인 기법에 기반한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1차~3차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초설비로서 중요한 지게차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use of forklifts and active response to the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and enables the collection of comprehensive data when operating multiple forklifts, through which By providing 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atistical techniques,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afer and more efficient use of forklifts, which are important as basic equipment used across primary to tertiary industr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위험하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로그인 사용율을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운전 분포 도표를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위험 하중 기록을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진동(충격량) 기록을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장비 운행 시간 효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및 운전자 관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안전 분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서 유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서 전기/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zardous load monitoring system i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vehicle login usage rate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presenting a vehicle operation distribution diagram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presenting dangerous load records i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vibration (impact amount) recording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quipment operation time efficiency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afety analysis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present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ydraulic system i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al/electronic system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unit i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bers are merely example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지게차의 위험하중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통적 기계, 유압기술 기반인 지게차와 IoT & IcT(센서, 컨트롤러, 판단알고리즘, 네트워크 통신, 텔레매틱스, 웹/앱)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Figure 1 schematically presents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hazardous load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of the forklift, forklift and IoT & ICT (sensor, controller, judgment algorithm, network communication, telematics, web/app) technology based on traditional mechanical and hydraulic technology are appli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위험하중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유압센서 입력을 통한 무게측정, 단말기내 디스플레이를 통한 무게 및 정보 표시, 위험하중 경고 부저 울림, 작업 장치 차단 기능 등을 제공한다. Figure 2 schematically presents a hazardous load monitoring system that constitutes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weight measurement through hydraulic sensor input, weight and information display through the display in the terminal, dangerous load warning buzzer sound, and work device blocking function.

이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법으로 구동된다.It operates in the following way:

가) 지게차의 리프팅 유압회로와 연결된 유압센서를 통하여 유압을 측정하며, 설정된 유압실린더의 단면적에 따라 계산하여 무게 산출a) Hydraulic pressure is measured through a hydraulic sensor connected to the lifting hydraulic circuit of the forklift, and the weight is calculated based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t hydraulic cylinder.

나) 산출된 무게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설정된 무게를 초과할 경우 단말기 출력단을 통하여 알람, 유압회로차단 솔레노이드 밸브 등에 작동신호를 주어 해당기능을 활성화B) The calculated we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and if the set weight is exceeded, an operation signal is sent to the alarm and hydraulic circuit blocking solenoid valv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terminal to activate the function.

다) 실제 하중을 기반으로 산출된 압력을 입력하여 비례법칙을 적용하하여 정확한 무게측정의 세팅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방식 추가c) Addition of a calibration method to set accurate weight measurement by applying the law of proportion by inputting the pressure calculated based on the actual load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개략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3 to 9 schematically present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 로그인, 사용정보 기록 및 통계 기능, 단말기-스마트폰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로그인 및 정보전달 기능, 차량 정보 관리 및 검색 기능, 운전자 정보 관리 및 검색 기능, 차량 효율 분석 기능, 차량 및 운전자 안전사항(충격량, 속도 등) 모니터링 분석 기능, 강종 정보를 웹 또는 앱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This management system includes vehicle login, usage information recording and statistics functions, login and information transfer functions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smartphones,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arch functions, driv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arch functions, vehicle efficiency analysis functions, vehicle and It includes a function to monitor and analyze driver safety issues (impact amount, speed, etc.) and display steel grade information on the web or app.

도 3에서는 차량 로그인 사용율이 제시되어 있는데, 등록 차량 중 오늘 실시간 시동/미시동(시동은 App 에서 운행 시작 버튼 누르는 것을 의미) 수량을 그래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시: 원형그래프)In Figure 3, the vehicle login usage rate is presented, and can be presented in a way that shows the real-time starting/non-starting (starting means pressing the start driving button on the app) quantity among registered vehicles today by dividing it into a graph. (Example: circular graph)

도 4에서는 차량 운전 도표가 제시되어 있는데, 당일 동안(0시~24시) 각 시간대별 실시간 시동 장비 수량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시: 막대그래프 또는 꺾은선그래프)In Figure 4, a vehicle operation diagram is presented, which can be presented in a way that shows the real-time starting equipment quantity for each time zone during the day (00:00 to 24:00). (Example: bar graph or line graph)

도 5에서는 위험 하중 기록이 제시되어 있으며, 단말기에서 올라오는 "부하물무게"를 바탕으로 "위험등급"을 2단계(위험,주의)로 설정 및 표시 할 수 있는 UI와 단말기에서 올라온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위험등급 발생을 감지하고, 발생시간 등을 실시간 리스트에 표현하는 기능을 제시할 수 있다.In Figure 5, the dangerous load record is presented, and the UI that can set and display the "risk level" into 2 levels (danger, caution) based on the "load weight" uploaded from th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data uploaded from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sent a function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risk level and displays the occurrence time, etc. in a real-time list.

도 6에서는 진동(충격량) 기록이 제시되어 있는데, 진동등급으로 단말기에서 올라오는 "전후가속도", "좌후가속도" 를 바탕으로 "진동심각도"를 2단계(위험,주의)로 설정 및 표시 할 수 있는 UI와 단말기에서 올라온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위험 및 주의 수준의 심각도가 발생한 시점의 시간, 운전사, 치수등을 실시간으로 리스트에 표현하는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Figure 6, the vibration (impact amount) record is presented, and the "vibration severity" can be set and displayed in 2 levels (danger, cau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acceleration" and "left and rear acceleration" that come from the terminal as the vibration grade. It can be configured with a function that displays the time, driver, size, etc. when the severity of the risk and caution level occurred in a list in real time using the relevant data uploaded from the UI and terminal.

도 7에서는 장비 운행 시간 효율 레포트가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운행시간(hour)이란 "운행시작" 부터 "운행종료" 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상하차시간(hour)은 단말기에서 올라오는 "부하물무게"를 바탕으로 "상차","하차" 를 판단하고 "상차"~"하차" 시간을 계산하여 표기하는 것을 의미하고, 작업률(%)은 (상하차시간의 합)/(운행시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In Figure 7, an equipment operation time efficiency report is presented, where the operation time (hour) refers to the time from “operation start” to “operation end”,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time (hour) refers to the “load weight” uploaded from the terminal. This means judging “loading” and “unloading” based on “loading” and “unloading” and calculating and displaying the “loading” to “unloading” time, and the work rate (%) is calculated as (sum of loading and unloading time)/(sum of operating time). It can be expressed.

도 8에서는 차량 및 운전자 관리가 제공되고 있는데, 새로 추가된 차량/운전자, 차량 모델 추가, 차량/운전자 검색, 차량/운전자 리스트, 차량/운전자 정보 등을 제시할 수 있다.In Figure 8, 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is provided, and newly added vehicles/drivers, vehicle model addition, vehicle/driver search, vehicle/driver list, vehicle/driver information, etc. can be presented.

도 9에서는 안전 분석이 제공되고 있는데, 선택 기간동안의 운전자별 경도진동/중도진동 횟수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FIG. 9, safety analysis is provided, which can be provided by graphically displaying the number of mild/moderate vibrations for each driver during a selected period.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작동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이 제시될 수 있다. A method of operating a fork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ented as follows.

가) 지게차에 장착된 단말기와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간의 근거리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하여 로그인 기능이 구현A) The login function is implemen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etc.) between the terminal mounted on the forklift and the smartphone owned by the driver.

나) 지게차 관제정보(로그인, 사용시간, 센서데이터)등은 운전자의 스마트폰과의 근거리통신 및 모뎀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되어 데이터 저장함B) Forklift control information (login, usage time, sensor data), etc.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stored as data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s smartphone and modem.

다) 저장된 데이터는 컴퓨터의 웹, 스마트폰내의 앱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통계기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게차 및 운전자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c) Stored data can be checked through the computer's web or smartphone app, and forklift and driver usage information can be checked through a program that applies statistical techniques.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품이 대략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In Figure 10,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that specifically implement the system are roughly disclosed.

FMS 시스템 구성품은 크게 유압시스템과 전기/전자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FMS system components can largely be composed of a hydraulic system and an electrical/electronic system.

가) 전체 시스템 구성A) Entire system configuration

▷ FMS 단말기▷ FMS terminal

▷ 솔레노이드 온/오프 밸브를 구비한 매니폴더▷ Manifold equipped with solenoid on/off valve

▷ 유압 센서▷ Hydraulic sensor

▷ 포크 상/하 작동 감지센서▷ Fork up/down operation detection sensor

▷ 구성품 연결 와이어링▷ Component connection wiring

▷ 기존의 지게차 구성품(유압탱크/유압펌프/마스트작동밸브 등)▷ Existing forklift components (hydraulic tank/hydraulic pump/mast operating valve, etc.)

▷ 옵션구성품(인디케이터/경광등/스피커 등)▷ Optional components (indicator/warning light/speaker, etc.)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에서의 유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ydraulic system i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유압시스템은 지게차 마스트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유압탱크로부터 유압펌프를 거쳐 마스트 작동밸브와 연결된 지게차 레버를 동작시켜서 작동시킨다. 이는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서 마스트 작동밸브와 마스트의 리프트 실린더 사이에 유압센서를 설치하여 측정된 압력값을 FMS 단말기로 전송한다.In order to operate the forklift mast, this hydraulic system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forklift lever connected to the mast operating valve through a hydraulic pump from the hydraulic tank. To detect the load, a hydraulic sensor is installed between the mast operating valve and the mast's lift cylinder, and the measured pressur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FMS terminal.

위험 하중 시 유압의 차단을 위해서 유압펌프와 유압밸브 사이에 유압차단 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탑재된 매니폴더 밸브를 설치한다.To block hydraulic pressure during hazardous loads, a manifold valve equipped with a solenoid valve with a hydraulic blocking func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hydraulic pump and the hydraulic valve.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시스템이 이하와 같이 제시되어 있다. In Figure 12, an electrical/electron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s follows.

FMS 단말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입력 라인이 구성되며 지게차의 배터리와 키스위치를 거쳐 단말기로 연결할 수 있으며, 지게차의 Key on시 단말기에서 상태를 감지하며, 단말기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를 통하여 실제 지게차가 움직이는데 시간을 별도로 측정할 수 있다. The power input line to operate the FMS terminal is configure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forklift battery and key switch. When the forklift key is turned on, the terminal detects the status, and the actual time it takes for the forklift to move is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installed in the terminal. can be measured separately.

유압센서로부터 하중에 대한 압력 데이터 값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며 단말기내의 로직을 거쳐서 하중값으로 표시하며, 마스트의 포크 상/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리미트스위치, 근접센서, 마그네트 센서 등을 통하여 포크의 상,하 움직임을 확인하고, 단말기 내에서는 유압센서의 데이터 값을 활용하여 실제 부하(화물)의 유/무 상태를 확인하여 포크의 상/하 작동 카운팅을 산출할 수 있다.It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sure data for the load from a hydraulic sensor and displays it as a load value through logic within the terminal. It is a sensor that can detect the up/down movement of the mast's fork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cluding a limit switch, The up/down movement of the fork is checked through proximity sensors, magnet sensors, etc., and within the terminal, the presence/absence of the actual load (cargo) is checked by using the data value of the hydraulic sensor to count the up/down movement of the fork. It can be calculated.

또한, 부가적으로 라이트를 통한 인디케이터의 설치가 가능하며, FMS 단말기에서 지게차 Key-on상태, 실제주행상태, 포크 상/하 작동상태 등 다양한 모드에 따라 인디케이터에 신호를 송출하여 외부에서 지게차의 FMS시스템 로그인 유/무, 작동상태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부가적으로 경광등/스피커 등도 설치하여 위험 상태에 대한 외부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FMS 단말기에서 관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install an indicator through a light, and the FMS terminal sends signals to the indicator according to various modes such as forklift key-on status, actual driving status, and fork up/down operation status, so that the forklift's FMS can be monitor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absence of system login, type of operating status, etc. Additionally, warning lights/speakers, etc. can be installed to provide external warning of dangerous conditions,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related signals from the FMS terminal.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제시되어 있는데, 동작상태에서는 ST옆에 구비된 LED가 위험하중의 경우 적색, 무게 측정중인 경우 노란색, 적정하중의 경우 녹색으로 점멸될 수 있다.In Figure 13,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In an operating state, the LED provided next to the ST may flash red for a dangerous load, yellow for a weight measurement, and green for an appropriate load.

운전자인식 상태에서는 Dr옆에 구비된 LED가 운전자가 단말기에 접속하여 운행 시작시 파란색으로 점등된다.In the driver recognition state, the LED next to Dr lights up in blue when the driver connects to the terminal and starts driving.

장비체크 상태에서는 Ch옆에 구비된 LED가 운전자가 운행 시작 시 장비체크를 진행하면 파란색으로 점등된다. In the equipment check state, the LED next to Ch lights up in blue when the driver performs an equipment check at the start of driving.

이밖에 Pw옆에 구비된 LED가 전원입력시 점등된다.In addition, the LED provided next to Pw lights up when power is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게차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또한 지게차 관리 시스템에서 유압 라인 과 전기 라인간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between hydraulic lines and electric lines in the forklift management system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5)

FMS 단말기, 솔레노이드 온/오프 밸브를 구비한 매니폴더, 유압 센서 및 포크 상/하 작동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전도 위험을 평가하고, 이에 관한 경보를 제공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
It includes an FMS terminal, a manifold with solenoid on/off valve, hydraulic pressure sensor, and fork up/down operation detection sensor.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that uses the hydraulic sensor to evaluate the risk of a forklift tipping over and provides an alert regarding th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를 운용 시에 지게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that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orklift when operating the forklif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지게차 로그인 사용율, 상기 지게차 운전 분포, 상기 지게차의 위험 하중 기록, 상기 지게차의 진동 기록, 상기 지게차의 운행 시간 효율, 새로 추가된 상기 지게차 및 운전자 정보, 및 안전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지게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the forklift login usage rate, the forklift operation distribution, the dangerous load record of the forklift, the vibration record of the forklift, the operation time efficiency of the forklift, the newly added forklift and driver information, and safety analysis information. In, forklift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경광등, 스피커 및 인디케이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경보장치가 더 포함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larm device consisting of one of a warning light, a speaker, and an indic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위험이 발생 시 상기 지게차의 운전을 중지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A forklift management system that stops operation of the forklift when the risk of falling occurs.
KR1020220034307A 2022-03-18 2022-03-18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301368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07A KR20230136840A (en) 2022-03-18 2022-03-18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07A KR20230136840A (en) 2022-03-18 2022-03-18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840A true KR20230136840A (en) 2023-09-27

Family

ID=8818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07A KR20230136840A (en) 2022-03-18 2022-03-18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84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80B1 (en) 2017-11-21 2018-06-20 주식회사 영신 Safety Control System Using an Electronic Controller for Forklift
KR20210108732A (en) 2020-02-26 2021-09-03 김태형 Apparatus for automatic attaching and detaching of forklift fork for safe and efficient forklift op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80B1 (en) 2017-11-21 2018-06-20 주식회사 영신 Safety Control System Using an Electronic Controller for Forklift
KR20210108732A (en) 2020-02-26 2021-09-03 김태형 Apparatus for automatic attaching and detaching of forklift fork for safe and efficient forklift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1725B (en) Jib type crane operating status record and security protection system
CN102417129B (en) Dynamic safety monitoring device of brake and monitoring method
KR100936120B1 (en) Safety Control System of Crane Using Three Roller Tensiometer
CN203411294U (en) Forklift for measuring weight of cargoes
CN102773921B (en) Concrete mixer truck an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by matching concrete mixer truck with concrete pumping equipment
US10877060B2 (en) Omni-directional anemometer
CN106408491B (en)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211479B1 (en) Stacker Cran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CN203793261U (en) Intelligent safety energy-saving hydraulic control system of dump truck
CN105427544A (en) Mixing truck, bolt looseness early-warning device and method
CN103471755A (en) Cantilever crane safety pre-war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201999642U (en) Operating network security monitoring device for crane
CN104943627A (en) Intelligent safety energy-saving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dumper
KR20230136840A (en) Forkl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7204208A (en) Crane work evalu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108400A (en) Stress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pplied to forklift truck body structure
US10430057B2 (en) Operator interface for wireless sensing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05442423U (en) Control and control management system of hoist
KR102115699B1 (en) High place works vehcles managemaent system
JP2002326784A (en) Safety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mobile crane
EP2096453B1 (en) Battery status assessment
CN101628694A (en) Novel moment limiter for crane
KR101716140B1 (en)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633197A (en) Torque limitation alarm device for straight-arm-type lorry-mounted crane
KR101299396B1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