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960A -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960A
KR20230135960A KR1020220033576A KR20220033576A KR20230135960A KR 20230135960 A KR20230135960 A KR 20230135960A KR 1020220033576 A KR1020220033576 A KR 1020220033576A KR 20220033576 A KR20220033576 A KR 20220033576A KR 20230135960 A KR20230135960 A KR 2023013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s
storage space
current
unit
ser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151B1 (ko
Inventor
이승현
오재경
유영창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아이라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라자스(주) filed Critical 아이라자스(주)
Priority to KR102022003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1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Liquid cooling with phase change
    • H05K7/20818Liquid cooling with phase change within cabinets for removing heat from server bla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2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electrical distribution arrangements, e.g. power supply or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를 부가하지 않고 복수의 서버가 수납되는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을 개시한다.
서버장치는 서버 혹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루는 복수의 디지털기기, 복수의 디지털기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및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수납공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Server dec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트 플랫폼을 형성하는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반의 원격교육, 가상현실(VR) 기반 게임, 화상회의 및 OTT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근래에는 인터넷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즉, 대규모 인터넷 네트워크 플랫폼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인터넷 네트워크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서버 랙(Server rack)의 내부에 고가의 서버 디바이스들을 밀집시켜 서버장치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서버장치는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를 서버 랙의 내부에 과밀하게 밀집시키므로, 각각의 서버 디바이스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발열현상과 각종 전자회로의 전자파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술한 발열현상과 전자파 간섭으로 인해, 서버 디바이스에 기능상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에, 서버 디바이스의 교체 주기가 짧아지게되므로, 인터넷 네트워크 플랫폼 운용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는 문제가 발생하었다.
또한, 서버장치가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가 발생시킨 열기를 냉각시킴에 있어서, 서버 장치의 내부를 균일하게 냉각시키기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서버장치의 내부를 균일하게 냉각하고, 고가의 서버 디바이스들을 저가의 기타 장비로 대체할 수 있는 서버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20053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를 부가하지 않고 복수의 서버가 수납되는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서버 디바이스를 저가의 기타 장비로 대체할 수 있는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는 서버 혹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루는 복수의 디지털기기;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기기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나누어 구획한다.
상기 냉장기기는, 상기 수납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는, 그 돌출되는 길이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길이의 1/10 초과 내지 1/8 미만으로 형성되고, 일 격벽플레이트와 타 격벽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두께의 1 초과 내지 1.3 미만이다.
상기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와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류가 통전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열적 변화를 조절하는 펠티어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기기는, AC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주류냉장고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냉장기기의 전원부로 공급된 AC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기는,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변환부; 상기 전류변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변환부로부터 제1 전압으로 공급된 DC 전류을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해당하는 제2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부; 상기 전압조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으로 조절된 DC 전류를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분배하는 전류분배부; 및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류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연결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는, 배터리가 내장된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의 구동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 및 상기 판단기가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배터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동작 온도에 대한 히트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도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컨트롤러는, 복수의 브랜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브랜치로 인가된 온도 신호들에 응답하여 복수의 검출 온도를 발생시키기 위한 온도신호 감지부;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상기 복수의 검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검출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키도록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트랙킹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냉각부에 전달하여 상기 냉각부의 구동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브랜치는, 각각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을 통하여 이전 발생시킨 복수의 검출 온도 범위와 이후 발생시킬 검출 온도 범위가 겹쳐지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내부 정보를 포맷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하기 위한 서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랜포트는,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고, 연동된 프로파일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 망에 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제작방법은 수납공간과 도어를 구비하고 냉장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를 수납공간에 설치하는 과정;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전자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를 수납공간에 설치하는 과정과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냉장기기의 냉장기능에 따른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상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적어도 일부가 분리된 공간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버장치 제작방법.
상기 냉장기기는, 폐기된 주류냉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기기는, 폐기된 노트북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기기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폐기된 냉장고를 재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폐기된 노트북컴퓨터를 재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되는 복수의 디지털기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 냉기를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매유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장치가 별도의 추가적인 냉각장비를 부가하지 않고 서버장치 내부의 수납공간을 자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서버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네트워크를 이루는 서버 디바이스를 재활용된 디지털기기(예컨데, 노트북)로 대체하여, 상대적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서버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네트워크를 이루는 재활용된 디지털기기를 세로로 배치하여, 냉장기기로부터 분사된 냉기가 복수의 디지털기기 사이를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서버장치에서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원부 및 수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원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원공급기로부터 복수의 디지털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랜포트와 디지털기기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는 네트워크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는 서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는 별도의 추가적인 냉각장비를 부가하지 않고,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예컨데, 재활용된 디지털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자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서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냉장기기가 AC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재활용된 주류냉장고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서버 디바이스를 이루는 디지털기기가 노트북 컴퓨터 혹은 포터블 디바이스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냉장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를 자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기능을 가지는 어떠한 기기로도 마련될 수 있고, 서버 디바이스를 이루는 디지털기기는 내부를 포맷하여 서버 및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는 어떠한 기기로도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서버장치에서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전원부 및 수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전원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서로 접속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100)는 서버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냉장기기(110) 및 냉장기기(110)에 수납되어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로 형성되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장치(100)는 서버 혹은 네트워크 장비로 구현되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130),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140) 및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11a)과 수납공간(111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를 구비하고 수납공간(111a)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버장치(100)는 온도 컨트롤러(150) 및 서버 컨트롤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기기(110)는 서버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냉장기기(110)는 냉각기능을 가지며, 수납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방출하는 열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기기(110)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수납되도록 내부의 수납공간(111a)을 복수개로 나누어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장기기(110)는 하우징(111), 도어(112), 냉각부(113), 전원부(114) 및 수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전면이 배면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고, 함몰된 부분에 수납공간(111a)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상하방향(즉, 도면상 서버장치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그 내주면을 이루는 내상(111')과, 그 외주면을 이루는 외상(11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상(111')이 형성하는 공간이 수납공간(111a)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그 하부(구체적으로, 수납공간(111a)의 하부)에 보조수납공간(111b)을 가질 수 있다. 즉, 보조수납공간(111b)은 하우징(111)에서 수납공간(111a)과 분리된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1)에는 후술되는 도어(112), 냉각부(113), 전원부(114) 및 수납부(1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에는 상술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랜포트(130), 전원공급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수납공간(111a)을 서로 분리된 영역인 복수의 챔버(111a',111a'',111a''')로 구획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는 수납공간(111a)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1)의 내상(111')과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가 이루는 소정 영역이 챔버(111a',111a'',111a''')들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가 3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챔버(111a',111a'',111a''')가 3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하우징(111)의 하측을 기준으로, 최하단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1 챔버(111a')이고, 최상단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3 챔버(111a''')이고, 제1 챔버(111a')와 제3 챔버(111a''')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2 챔버(111a'')일 수 있다.
제1 챔버(111a') 내지 제3 챔버(111a''')에는 수납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1)의 내상(111')과 함께 제1 챔버(111a') 내지 제3 챔버(111a''')를 형성하는 제3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의 상부에 후술되는 수납부(115)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상술한 랜포트(130)와 서버 컨트롤러(16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와의 사이(즉, 제1 챔버와 제2 챔버의 사이 및 제2 챔버와 제3 챔서 사이)에 소정의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보조 지지플레이트(111d)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보조 지지플레이트(111d)가 2개로 마련되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납공간(11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보조 지지플레이트(111d)는 지지플레이트(111c)와의 사이에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술한 소정의 영역들에 각각 랜포트(130)와 서버 컨트롤러(160)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데, 하우징(111)의 수납공간(111a)에는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랜포트(130),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서버 컨트롤러(160),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챔버(111a')에 수납부(115)와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배치되고, 제1 챔버(111a')와 제2 챔버(111a'') 사이에 서버 컨트롤러(160)가 배치되고, 제2 챔버(111a'')에 수납부(115)와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배치되고, 제2 챔버(111a'')와 제3 챔버(111a''') 사이에 랜포트(130)가 배치되고, 제3 챔버(111a''')에 수납부(115)와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12)는 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납공간(111a)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시킬 수 있다. 도어(112)는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납공간(111a)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어(112)는 그 테두리에 실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도어(112)가 수납공간(111a)을 폐쇄한 상태에서, 냉장기기(110)(즉, 후술되는 냉각부(113))가 수납공간(111a)으로 공급하는 냉기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냉각부(113)는 하우징(111)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조수납공간(111b)에 수납될 수 있다. 냉각부(113)는 수납공간(111a)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부(113)는 후술되는 온도 컨트롤러(150)에 연결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냉각부(113)가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증발기(미도시) 및 냉매유로(미도시)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시키고,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고, 증발기는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형성하고, 냉매유로는 수납공간(111a)에 냉기를 공급하는 통로일 수 있다. 여기서, 냉매유로는 예컨데 하우징의 배면측에 설치되며, 수납공간(111a)의 상부에서 냉기를 공급(분사)할 수 있다. 즉, 수납공간(111a)에서 냉기는 중력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수직하게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사이의 틈새로 냉기가 더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수납부(115)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냉각부(113)는 냉기공급장치(113)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공급장치(113)는 냉각부(113)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이며, 그 용어만 다르게 표현된다.
전원부(114)는 보조 수납공간(111a)에 수납되고, 냉각부(113)에 연결되며, 냉각부(113)가 구동할 수 있도록, 냉각부(11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14)는 AC 전류를 냉각부(113)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원부(114)는 후술되는 펠티어 소자(115c)와 연결되어, 펠티어 소자(115c)에 AC 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부(114)는 전원공급기(140)와 서로 연결되며, 전원공급기(140)에 AC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전원공급기(140)를 설명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납부(115)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서로 일렬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할 수 있다. 즉, 수납부(115)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수납부(115)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각각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수납공간(111a)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부(115)는 가이드플레이트(115a) 및 격벽플레이트(115b)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수납부(115)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부(115) 중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즉, 1단에 배치된) 수납부(115)를 기준으로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115a)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115a)가 한쌍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5a',115'')는 상하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5a',115'') 중 일 가이드플레이트(115a')는 지지플레이트(111c)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 가이드플레이트(115a'')는 보조 지지플레이트(111d)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일 가이드플레이트(115a')와 타 가이드플레이트(115a'') 사이의 간격은 디지털기기(120)가 연장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수납공간(111a)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가이드플레이트(115a')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타 가이드플레이트(115a'')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는 각각의 격벽플레이트(115b) 사이의 틈새에 교차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삽입되며, 복수의 디지털기기기(120)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가 디지털기기(120)의 상부 양측면 및 하부 양측면을 지지하며, 디지털기기(120)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즉,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서로 이격 배치되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냉기가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사이의 틈새로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의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양측으로 배출되는 열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즉, 온도가 더 신속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중 일 디지털기기(120)로부터 방출된 열기가 그 옆에 연접하게 배치된 타 디지털기기(12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디지털기기(120)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한편, 일 가이드플레이트(115a')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의 상단부와 타 가이드플레이트(115a'')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의 하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소정 간격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틈새로 디지털기기(120)의 열기가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 사이의 간격은 디지털기기(120)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는 그 돌출되는 길이가 디지털기기(120)의 길이의 1/10 초과 내지 1/8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 사이의 간격은 디지털기기(120) 두께의 1 초과 내지 1.3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가 그 사이 틈새에 디지털기기(120)를 원활하게 수납하고,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의 양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와 디지털기기(120)가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디지털기기(120)가 방출하는 열기가 밀착된 격벽플레이트(115b)에 의해 방출되지 못하고, 열기의 열이 디지털기기(120)로 열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와 접촉하거나 혹은 인접되는 양측면에 설치되는 펠티어 소자(Peltier element)(1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펠티어 소자(115c)는 전원부(114)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열적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펠티어 소자(115c)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발출하는 열기를 흡인하여 그 열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납부(115)는 수납 트레이(115)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트레이(115)는 수납부(115)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이며, 그 용어만 다르게 표현된다.
디지털기기(120)는 서버(즉, 서버 디바이스) 혹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룰수 있다. 하기에서는, 디지털기기(120)가 재활용된 노트북 컴퓨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기기(120)는 중앙처리장치(미도시), 메인보드(미도시), IO 모듈(미도시), 시스템 버스(미도시) 및 DC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기기(120)는 그 하부에 배출통로를 구비하며, 배출통로를 통해 중앙처리장치, 메인보드, I/O 모듈, 시스템 버스 및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기기(120)는 포맷되어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디지털기기(120)가 로컬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포맷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구현하는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의 집합체가 네트워크 플랫폼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기기(120)는 후술되는 전원공급기(140)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공급기(14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전원공급기(140)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랜포트(130)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랜포트(130)는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고, 연동된 프로파일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 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랜포트(130)는 이더넷 장비(Ethernet device)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전원공급기로부터 복수의 디지털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공급기(140)는 전원부(114)에 연결되며,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기(140)는 전원부(114)에서 공급된 AC 전류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에 DC 전류를 공급하여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기(140)는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 및 전원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변환부(141)는 냉장기기(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원부(114)로부터 공급되는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변환부(141)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조절부(142)는 전류변환부(141)에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류변환부(141)로부터 제1 전압으로 공급된 DC 전류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에 해당하는 제2 전압(즉, 정격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압조절부(142)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수납공간(111a)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압조절부(142)는 수납공간(111a)의 복수의 영역에서 수납부(115)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조절부(142)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분배부(143)는 전압조절부(142)와 디지털기기(120)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전압으로 조절된 DC 전류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로 분배할 수 있다. 전류분배부(143)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각각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1c)의 전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분배부(143)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분배부(143)는 커런트 디바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4)는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 및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배터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4)는 감지기(144a), 판단기(144b) 및 제어기(144c)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144a)는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에 각각 연결되며,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 각각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판단기(144b)는 감지기(144a)에 연결되며,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기(144b)는 판단된 정보를 제어기(144c)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44c)는 전류변환부(141), 전압조절부(142), 전류분배부(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디지털기기(120)의 배터리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전원공급기(14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임시로 구동될 수 있다.
온도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동작 온도에 대한 히트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이용하여 냉각부(11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컨트롤러(150)는 온도신호감지부(151), 트래킹신호 발생부(152) 및 제어 회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신호감지부(151)는 복수의 브랜치(미도시)를 구비하고, 복수의 브랜치로 인가된 온도 신호들에 응답하여 복수의 검출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온도신호감지부(151)는 온도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온도 신호를 소정 배수 증폭시키며, 증폭된 온도 신호를 디지털 수치 데이터(즉, 검출 온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수치 데이터를 트래킹신호 발생부(15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신호감지부(151)는 고유식별주소와 통신속도를 설정하여 FND를 통해 디지털 수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브랜치는 각각 저항을 포함하며, 저항을 통하여 이전 발생시킨 복수의 검출 온도 범위와 이후 발생시킬 검출 온도 범위가 겹쳐지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트래킹신호 발생부(152)는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온도신호감지부(151)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검출 온도를 비교하여 복수의 검출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키도록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트래킹신호 발생부(152)는 검출 온도를 상승시키라는 트래킹 신호를 제어 회로부(153)에 전달하거나, 검출 온도를 하강시키라는 트래킹 신호를 제어 회로부(153)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53)는 트래킹신호 발생부(152)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발생된 제어 신호를 냉각부에 전달하여 냉각부의 구동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냉각부(113)가 수납공간(111a)을 기 설정된 온도로 조성할 수 있다.
도 6은 랜포트와 디지털기기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컨트롤러(160)는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내부 정보를 포맷하여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쿠버네티스 환경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디플로이(deploy) 및 스케일링(scaling) 등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기반 플랫폼일 수 있다. 이에, 서버 컨트롤러(160)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작업의 자동화를 지원할 수 있고,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확장하는데 있어 수동화된 프로세스가 필요하지 않으며,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컨트롤러(160)는 마이크로 라우터, 마이크로 게이트웨이, 마이크로 MS룰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서버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위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각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은 제작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제작방법은 상술한 서버장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방법은 수납공간(111a)과 도어(112)를 구비하고 냉장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110)를 마련하는 과정(S110), 수납공간(111a)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수납부(115)를 형성하고 수납부(115)를 수납공간(111a)에 설치하는 과정(S120),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S130) 및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전자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115)를 수납공간(111a)에 설치하는 과정(S120)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S130)과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S140)은, 냉장기기(110)의 냉장기능에 따른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수납공간(111a)과 도어(112)를 구비하고 냉장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110)를 마련할 수 있다(S110). 여기서, 냉장기기(110)는 에컨데 폐기된 주류냉장고일 수 있고, 냉장기기(110)를 마련하는 과정은 폐기된 주류냉장고를 재활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후, 수납공간(111a)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수납부(115)를 형성하고, 수납부(115)를 수납공간(111a)에 설치할 수 있다(S120). 즉,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115a)와 복수의 격벽플레이트(115b)로 이루어지는 수납부(115)를 제작하고, 제작된 수납부(115)를 수납공간(111a)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111a)에 복수의 영역을 가지며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S130). 즉,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부(115)에 형성된 복수의 영역에 교차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수납공간(111a)에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수납 및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기기(120)는 에컨데 폐기된 노트북컴퓨터일 수 있고, 디지털기기(120)를 설치하는 과정은 폐기된 디지털기기를 재활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후,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전자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서버 컨트롤러(160)가 복수의 디지털기기(120)의 내부 정보를 포맷하여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를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120)들을 서로 연결시켜 동기화할 수 있다.
이후, 도어(112)를 회전시켜 수납공간(111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루는 서버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서버장치가 별도의 추가적인 냉각장비를 부가하지 않고 서버장치 내부의 수납공간을 자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서버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네트워크를 이루는 서버 디바이스를 재활용된 디지털기기로 대체하여, 상대적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서버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네트워크를 이루는 재활용된 디지털기기를 세로로 배치하여, 냉장기기로부터 분사된 냉기가 복수의 디지털기기 사이를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장치 110: 냉장기기
120: 디지털기기 130: 랜포트
140: 전원공급기 150: 온도 컨트롤러
160: 서버 컨트롤러

Claims (16)

  1. 서버 혹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루는 복수의 디지털기기;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기기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나누어 구획하는 서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장기기는,
    상기 수납공간을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는, 그 돌출되는 길이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길이의 1/10 초과 내지 1/8 미만으로 형성되고,
    일 격벽플레이트와 타 격벽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두께의 1 초과 내지 1.3 미만인 서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와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류가 통전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열적 변화를 조절하는 펠티어 소자;를 구비하는 서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기기는, AC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주류냉장고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냉장기기의 전원부로 공급된 AC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서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기는,
    AC 전류를 DC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변환부;
    상기 전류변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변환부로부터 제1 전압으로 공급된 DC 전류을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해당하는 제2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부;
    상기 전압조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으로 조절된 DC 전류를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분배하는 전류분배부; 및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류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연결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는, 배터리가 내장된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의 구동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 및
    상기 판단기가 상기 전류변환부와 상기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류분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배터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동작 온도에 대한 히트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 컨트롤러는,
    복수의 브랜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브랜치로 인가된 온도 신호들에 응답하여 복수의 검출 온도를 발생시키기 위한 온도신호 감지부;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상기 복수의 검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검출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키도록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트랙킹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온도 트랙킹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냉각부에 전달하여 상기 냉각부의 구동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랜치는, 각각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을 통하여 이전 발생시킨 복수의 검출 온도 범위와 이후 발생시킬 검출 온도 범위가 겹쳐지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서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내부 정보를 포맷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하기 위한 서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랜포트는,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고, 연동된 프로파일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 망에 접속시키는 서버장치.
  13. 수납공간과 도어를 구비하고 냉장기능을 가지는 냉장기기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를 수납공간에 설치하는 과정;
    쿠버네티스 환경의 클라우드 클러스터 노드로 변환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전자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를 수납공간에 설치하는 과정과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냉장기기의 냉장기능에 따른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되는 서버장치 제작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적어도 일부가 분리된 공간으로 나누어 구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버장치 제작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장기기는, 폐기된 주류냉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기기는, 폐기된 노트북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기기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폐기된 냉장고를 재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폐기된 노트북컴퓨터를 재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버장치 제작방법.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되는 복수의 디지털기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 각각의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랜포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 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 냉기를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매유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디지털기기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장치.
KR1020220033576A 2022-03-17 2022-03-17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64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576A KR102644151B1 (ko) 2022-03-17 2022-03-17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576A KR102644151B1 (ko) 2022-03-17 2022-03-17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960A true KR20230135960A (ko) 2023-09-26
KR102644151B1 KR102644151B1 (ko) 2024-03-06

Family

ID=8819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76A KR102644151B1 (ko) 2022-03-17 2022-03-17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45B1 (ko) * 2010-10-13 2010-11-29 에스피산업기술주식회사 서버랙
JP2016119813A (ja) * 2014-12-22 2016-06-30 Hpc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サーバ排熱発電システムおよびラックマウントサーバ
KR101991416B1 (ko) * 2017-10-01 2019-06-20 김건민 서버용 쿨링랙 장치
KR20190111493A (ko) * 2018-03-23 2019-10-02 세론시스 주식회사 빅데이터용 서버
KR102200539B1 (ko) 2020-03-02 2021-01-11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45B1 (ko) * 2010-10-13 2010-11-29 에스피산업기술주식회사 서버랙
JP2016119813A (ja) * 2014-12-22 2016-06-30 Hpc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サーバ排熱発電システムおよびラックマウントサーバ
KR101991416B1 (ko) * 2017-10-01 2019-06-20 김건민 서버용 쿨링랙 장치
KR20190111493A (ko) * 2018-03-23 2019-10-02 세론시스 주식회사 빅데이터용 서버
KR102200539B1 (ko) 2020-03-02 2021-01-11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151B1 (ko)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830B2 (en) Cooling system
CN106572616B (zh) 数据中心中的电子机柜的液体辅助底部空气冷却
CN102550141B (zh) 数据中心的模块化系统
CN112804854A (zh) 用于浸入式冷却it设备的冷却系统
US9476649B2 (en) Real-time individual electronic enclosure cooling system
US10206311B2 (en) Cooling circuit system, in particular to be used in a data cen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168059A1 (en) Pumped Refrigerant Cooling System With 1+1 To N+1 And Built-In Redundancy
US11692744B2 (en) External cooling unit design for a data center with two phase fluid thermal loops
EP3192339A1 (en) Cooling control for data centers with cold aisle containment systems
KR101132808B1 (ko)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용 냉각장치
WO2013080356A1 (ja) 電子機器用ラック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40273792A1 (en) Container-type data ce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ainer-type data center
CN110414028B (zh) 使用间接蒸发冷却单元的数据中心建筑物的联接设计
WO2014059909A2 (zh) 数据中心模块及由微模块组成的数据中心
Cho et al. Development of modular air containment system: Thermal performance optimization of row-based cooling for high-density data centers
CN112117510A (zh) 用于电池组的自激活热量管理系统
US2011024477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KR101470584B1 (ko)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44151B1 (ko) 서버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JP5492716B2 (ja) データセンター用空調システム
WO2014117133A1 (en) Modular data center
Patel et al. Energy flow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tack: Introducing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the ensemble
CN116266980A (zh) 用于数据中心的电子设备机架、装置和数据中心系统
EP2561735A1 (en) Method and cabinet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the cabinet
CN115515368A (zh) 多相多系统架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