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447A -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447A
KR20230135447A KR1020220032956A KR20220032956A KR20230135447A KR 20230135447 A KR20230135447 A KR 20230135447A KR 1020220032956 A KR1020220032956 A KR 1020220032956A KR 20220032956 A KR20220032956 A KR 20220032956A KR 20230135447 A KR20230135447 A KR 2023013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ypress
properties
tree leaf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중
강유리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447A/ko
Priority to PCT/KR2022/020081 priority patent/WO2023177046A1/ko
Publication of KR2023013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cypress leaf extract using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은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 유래의 다양한 화학물질들은 항산화성, 항균성, 노화방지, 항 골다공증 작용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들을 나타내어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용한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운동 부족, 흡연, 음주 등에 의해 증가하고 있는 성인병은 노년기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생리활성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31983호는 (a) 편백나무 잎을 구리로 이루어진 증류솥에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편백나무 잎이 투입된 증류솥을 30 내지 10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포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켜 편백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소취성, 냄새제거특성, 항산화성, 항균성, 주름개선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편백나무 잎으로부터 소취성, 냄새제거특성, 항산화성, 항균성, 주름개선 등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3198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소취성, 노인냄새 제거특성, 항산화성, 항균성, 주름개선 등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및 물의 중량비는 20~50:50~8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득된 추출물은 30~80℃에서 65~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 및 30~80℃에서 40~55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소취성, 노인냄새 제거특성, 항산화성, 항균성, 주름개선 등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GC-MS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a) 추출물 A, (b) 추출물 B, (c) 추출물 C, (d) 추출물 D.
도 2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GC-MS에서 분석된 추출 성분별 Area peak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나타낸다.
도 4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다.
도 5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다.
도 6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a)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계 (a)는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로서, 채취된 편백나무 잎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편백나무 잎을 흐르는 물이나 스팀 분사법으로 세척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농약이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한 편백나무 잎은 건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수단에 투입하여 수분을 일정 함량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열풍건조, 냉풍건조, 동결건조, 상온건조, 진공건조 등이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을 가열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잎을 물, 알코올(에탄올, 메탄올, 주정, 발효주정 등), 아세톤 등의 용매로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2,000중량부를 가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매로서 에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탄올 및 물의 중량비는 20~50:50~8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매로서 에탄올, 메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탄올, 메탄올 및 물의 중량비는 40~70:10~30: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편백나무 잎을 용매로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는 10~50kHz의 주파수를 10~50℃에서 10분~2시간 동안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 대신에,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40~150℃의 온도 및 0.5~10MPa의 압력에서 30분~10시간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출액을 여과막 등으로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은 열을 가하면서 농축하거나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점도가 높은 상태의 추출물을 제조하거나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d)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추출물은, 40~150℃의 온도 및 0.5~10MPa의 압력에서 30분~10시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A); 30~80℃에서 20~3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B); 30~80℃에서 40~55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C); 및 30~80℃에서 65~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D)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출물 D 및 추출물 C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물 D 및 추출물 C의 중량비는 60~90: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물 D, 추출물 C 및 추출물 B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물 D, 추출물 C 및 추출물 B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추출물 D, 추출물 C, 추출물 B 및 추출물 A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물 D, 추출물 C, 추출물 B 및 추출물 A의 중량비는 100:30~50:10~30:2~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정제수로 수용화하여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추출물은 수용화 과정을 거치면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하고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감압 농축하여 정제수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 및 상기 수용성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 및 상기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항산화 특성 및 주름개선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소취성, 노인냄새 제거특성, 항산화성, 항균성, 주름개선 등의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절단한 후, 흐르는 물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0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온도 및 1MPa의 압력에서 3시간 가열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에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40:60 이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추출물 A).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절단한 후, 흐르는 물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0℃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20kHz의 초음파를 20℃에서 30분 동안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에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40:60 이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추출물 B).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절단한 후, 흐르는 물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0℃에서 48시간 침지한 후, 20kHz의 초음파를 20℃에서 30분 동안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에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40:60 이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추출물 C).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절단한 후, 흐르는 물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0℃에서 72시간 침지한 후, 20kHz의 초음파를 20℃에서 30분 동안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에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40:60 이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추출물 D).
(실시예 2)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절단한 후, 흐르는 물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50℃에서 72시간 침지한 후, 20kHz의 초음파를 20℃에서 30분 동안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에탄올, 메탄올 및 물의 중량비를 조절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혼합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 D 및 추출물 C를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혼합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 D, 추출물 C 및 추출물 B를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폴리페놀 함량 분석은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폴리페놀 표준시료 Gallic acid(대정화금(주), Siheung, Korea)와 추출물 시료를 100배율로 희석하여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LC는 ULTIMATE 3000 RSLC를 사용하였고, MS는 Q-EXACTIVE ORBITRAP PLUS MS를 사용하였다.
Injection Volume은 5㎕ 주입으로 설정하였으며, MS condition은 Negative mode로 진행하였다. Aux gas flow rate는 13, Capillary temp는 263℃, Auxgas heater temp는 425℃로 설정하여 정량분석을 진행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정량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플라보노이드 표준시료는 Quercetin(SIGMA, Missouri, USA)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폴리페놀 함량 분석과 동일한 장비 및 분석 조건하에서 진행하였다.
(항균성)
편백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ASTM E2149-20 SHAKE FLASK TEST로 측정하였다. 균(Staphylococcus aureus)이 배양된 배양액에 상기 추출물 100㎕을 넣고 24시간 배양 후 생존 균수를 측정한 후, 초기 균수 및 24시간 후 균수로부터 세균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특성)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평가는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Sigma, USA)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튜브에 DPPH 용액, 시료 및 에탄올을 6:3:1의 부피비로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다음 UV/Vis Spectrophotometer(KLAB, Deajeon, Korea)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저해율(IR)을 아래의 식으로부터 계산하였으며, 측정된 저해율로부터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결정하였다.
(2-노네날 제거효율)
표준용액 trans-2-nonenal(TOKYO CHEMICAL INDUSTRY, Tokyo, Japan)은 에탄올에 0.0075% 농도로 희석하였으며, 표준용액 1,000㎕에 시료 30㎕를 첨가한 후 500RPM으로 30분 분산시켰다. 분산 후 알데히드기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알데히드기나 환원당의 검출에 쓰이는 시약인 Fehling soulution A,B(대정화금(주), Siheung, Korea) 용액을 각 150㎕ 씩 첨가하여 오븐에 10분 방치시킨 후 상등액만 취하였다.
노네날 GC(Agilent 123-7063) 분석을 위해 오븐 온도는 초기온도 50℃로 3분간 유지시킨 후 최종온도 250℃까지 증가시킨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Collagenase 활성 억제율)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denosine(SIGMA, Missouri, USA)은 100㎍/㎖, 시료는 0.1㎍/㎖, 0.5㎍/㎖, 1.0㎍/㎖ 로 각각 희석하여 진행하였다. 60㎜ plate에 세포를 4×105(5 ㎖/plate)개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 교체 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양성대조군과 시료가 포함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회수하여 BCA protein assay reagent kit(Thermo Fisher Scientific, Massachusetts, USA)에 따라 수행 후 BSA 표준곡선에 따라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을 회수하여 Human MMP-1 ELISA Kit(SIGMA, Missouri, USA)에 따라 수행 후 Collagenase 표준곡선에 따라 Collagenase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세포 내 Collagenase 함량을 산출하였다.
도 1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주요 성분에 대한 GC-MS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초음파 추출법으로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B 내지 D)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Eudesmol의 함량이 증가하며, 추출물 A에서는 Elemol 성분이 검출되었지만, 추출물 B 내지 D에서는 Elemol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도 2는 GC-MS에서 분석된 추출 성분별 Area peak 결과를 나타낸다.
초음파 추출법으로 수득된 추출물(추출물 B 내지 D)은 Eudesmol 및 Terpinen-4-ol의 함량이 증가하며, Elemol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도 3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나타낸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특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IC50 값은 1.70, 추출물 A는 2.00, 추출물 B는 2.22, 추출물 C는 1.70, 추출물 D는 2.09 로서, 50℃에서 48시간 침지한 초음파 추출물 C 에서 ascorbic acid 와 동일한 결과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Gallic acid 를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D 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 5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Quercetin 을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초음파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추출물 D 에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 6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 대한 세균 감소율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 추출물에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도 7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추출물 D를 0.1㎍/㎖, 0.5㎍/㎖ 및 1㎍/㎖ 농도로 처리한 결과, 각각의 농도에서 Collagenase 활성이 113.15±5.03%, 91.38±4.97% 및 84.63±4.86% 으로 측정되었으며, 추출물을 1㎍/㎖ 처리한 농도군에서 최대 84.63±4.86% 의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 억제가 관찰되었다.
한편, 양성대조물질인 Adenosine 을 100㎍/㎖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81.10±1.62% 로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세포 내 Collage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0.5㎍/㎖ 및 1㎍/㎖ 의 시험 농도에서 Collagenase 활성을 각각 91.38±4.97% 및 84.63±4.86% 로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의 특성은 표 1에 제시된다.
세균 감소율
(%)
IC50 2-노네날 제거율
(%)
에탄올:메탄올:물
(50:5:100)
88.4 2.27 79.4
에탄올:메탄올:물
(50:20:100)
96.5 1.62 95.3
에탄올:메탄올:물
(50:40:100)
87.9 2.31 80.2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에탄올, 메탄올 및 물의 중량비가 40~70:10~30:100 인 경우, 추출물의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및 항산화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의 특성은 표 2에 제시된다.
세균 감소율
(%)
IC50 2-노네날 제거율
(%)
추출물 D:추출물 C
(50:50)
90.2 2.31 80.6
추출물 D:추출물 C
(70:30)
97.8 1.49 96.9
추출물 D:추출물 C
(95:5)
87.0 2.11 81.3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추출물 D 및 추출물 C의 중량비가 60~90:10~40 인 경우, 추출물의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및 항산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의 특성은 표 3에 제시된다.
세균 감소율
(%)
IC50 2-노네날 제거율
(%)
추출물 D:추출물 C:추출물 B
(100:40:5)
86.4 2.29 82.2
추출물 D:추출물 C:추출물 B
(100:40:20)
97.1 1.52 97.3
추출물 D:추출물 C:추출물 B
(100:40:40)
90.5 2.47 83.6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출물 D, 추출물 C 및 추출물 B의 중량비가 100:30~50:10~30 인 경우, 추출물의 냄새제거특성, 항균성 및 항산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a) 편백나무 잎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 잎 및 용매를 혼합하고, 30~80℃에서 20~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및 물의 중량비는 20~50:50~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득된 추출물은 30~80℃에서 65~80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 및 30~80℃에서 40~55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제조된 추출액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
KR1020220032956A 2022-03-16 2022-03-16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135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56A KR20230135447A (ko) 2022-03-16 2022-03-16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PCT/KR2022/020081 WO2023177046A1 (ko) 2022-03-16 2022-12-11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56A KR20230135447A (ko) 2022-03-16 2022-03-16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47A true KR20230135447A (ko) 2023-09-25

Family

ID=8802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956A KR20230135447A (ko) 2022-03-16 2022-03-16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5447A (ko)
WO (1) WO202317704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983A (ko) 2017-09-19 2019-03-27 신혜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690A (ko) * 2010-09-29 2012-04-06 최찬기 면역 효과에 의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73950B1 (ko) * 2018-01-09 2019-04-30 (주)셀트리온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2251854B1 (ko) * 2020-08-03 2021-05-13 최귀남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405B1 (ko) * 2020-10-19 2021-05-07 한국콜마주식회사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983A (ko) 2017-09-19 2019-03-27 신혜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46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084B2 (ja)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JP2015205906A (ja) ナツシロギク(タナセタム・パルテニウム(tanacetumparthenium))からのパルテノライドを含有しない生物活性成分及びその製造方法
Bi et al.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in konjac flying powder and assessment against wood decay fungi
WO2018214458A1 (zh) 一种富含可溶性多酚以及黄酮苷元的番石榴叶及制备方法与应用
Favaron et al. The role of grape polyphenols on trans-resveratrol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and of fungal laccase on the solubility of putative grape PR proteins
Hillis et al. The formation of phenolic substances in Eucalyptus gigantea and Eucalyptus sieberiana
EP2250908B1 (en) Method for fermenting natural materials with salt and fermented extracts prepared therefrom
KR102647395B1 (ko) 노인냄새 제거를 위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135447A (ko)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7960587A (zh) 一种燕麦蒽酰胺提取物及其提取方法与它的用途
KR102642555B1 (ko) 열수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621742B (zh) 一种蔷薇花茶、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569361B1 (ko) 저장기간을 향상시키는 천연항균제의 제조방법
CN109744540A (zh) 一种黑蒜中类黑精的提取方法
KR102647184B1 (ko)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금화규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39649B1 (ko) 감귤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04981A (ko)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어진향 추출물의 제조방법
Al-Hakimi et al. Thiamin and salicylic acid as biological alternatives for controlling broad bean rot disease
TWI632919B (zh) 具皮膚抗皺活性之紅藜粗萃液及其製造方法與應用
Hu et al.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ion from citrus vinegar during ageing: chemical constituents, formation mechanism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KR102111969B1 (ko) 비스코자임 엘을 처리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내 퀘르세틴을 수득하는 방법
WO2021243856A1 (zh) 一种杨梅叶原花色素的提取方法
CN113768151B (zh) 一种白沙绿茶中茶多酚的制备方法及其检测方法
KR20230059252A (ko) 마키베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Islam et al. Some Characteristics of Red Light‐induced Substance (s) against Botrytis cinerea Produced in Broad Bean Leaf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