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345A -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345A
KR20230135345A KR1020220032676A KR20220032676A KR20230135345A KR 20230135345 A KR20230135345 A KR 20230135345A KR 1020220032676 A KR1020220032676 A KR 1020220032676A KR 20220032676 A KR20220032676 A KR 20220032676A KR 20230135345 A KR20230135345 A KR 2023013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mounting housing
gea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드씨 filed Critical (주)제이앤드씨
Priority to KR10202200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345A/ko
Publication of KR2023013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하우징(11) 및 내면부위에는 단차진 안치홈(157)이 형성되어 일측부위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156)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1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5); 안치홈(157)에 하면부위가 밀착되는 수평판(22)이 마련되는 제1탑재하우징(21); 수평판(22) 단부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패드(24); 제3실린더(26) 및 결합바(27)가 마련되어, 일면부위는 제1탑재하우징(21)의 수직판(21) 타면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결합바(27)의 양측부위 각각은 제2하우징(15)의 연장단(156) 단부부위 및 제1하우징(11)의 일단부위 각각에 고정 결합되는 제2탑재하우징(25); 제3실린더(26)에 삽입되는 제3피스톤(28); 제3피스톤(28) 단부부위에 마련되어 고정패드(24)와 대향하는 제3가동패드(29); 타측 하면부위가 제2탑재하우징(25)의 상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3탑재하우징(31); 제3탑재하우징(3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33); 모터(33)의 구동축과 축 연결되는 제1기어(35); 제1기어(35)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제3피스톤(28)과 축 연결되어 제3탑재하우징(3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제2기어(37); 제1, 2기어(33, 35) 상호 간을 연결되는 탄성벨트(39);를 포함하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One body type of caliper Assembly for disc brake and electrical parking brake capable of operating independently}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있어 브레이크와 관련된 기구 자체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후 브레이크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차륜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된 차륜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는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켜 차륜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근자 하우징을 좌우 한 쌍으로 구성한 다음 하우징 각각에 복수 개의 피스톤을 상호 대향하도록 실린더에 삽입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실린더 각각으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피스톤 단부에 마련되는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키는 대향식 캘리퍼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와 달리,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다음 주차를 위해 차량의 이동 자체를 구속하는 별도 장치로서 주차용 브레이크가 있다. 종래 주차용 브레이크는 주차용 핸들 바를 당기거나 또는 주차용 페달을 밟으면 이와 연결된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하며 차륜을 구속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주차용 브레이크는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저하할 뿐 아니라 인위적인 외력을 가해야하는 등 조작 자체가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 근자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차륜을 구속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ical Parking Brake, 또는 EPB)가 장착되는 차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모터(5)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5)의 회전력이 모터(5)의 구동축과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어박스로 전달되고, 기어박스에 의해 감속된 구동력에 의해 기어박스의 말단부와 축 연결된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륜을 구속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제안되고 있는 이러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몇가지 단점을 안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용 브레이크와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를 별개 장치로 구성함에 있고, 다른 하나는 주차용 브레이크의 기어박스에 있다. 전자의 경우 제조단가가 증가할 뿐 아니라 점검이나 수리 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수리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작동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278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306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587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단일의 구조로서 차량의 속도 제어 및 차량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차 브레이크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캘리퍼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1실린더(111), 제1실린더(111) 각각에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1피스톤(113), 제1피스톤(113) 단부에 구비되는 제1가동패드(115)가 마련되는 제1하우징(11); 제1실린더(111)와 대향하며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2실린더(151), 제1피스톤(113)과 대향하며 제2실린더(151) 각각에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2피스톤(153), 제1가동패드(115)와 대향하며 제2피스톤(153) 단부에 구비되는 제2가동패드(115), 내면부위에는 단차진 안치홈(157)이 형성되어 일측부위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156)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1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5); 하면부위가 안치홈(157)에 밀착되는 수평판(22), 수평판(22)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수평판(22)의 타측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판(23)이 마련되는 제1탑재하우징(21); 수평판(22) 단부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패드(24);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제3실린더(26), 상부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결합바(27)가 마련되어, 일면부위는 제1탑재하우징(21)의 수직판(21) 타면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결합바(27)의 양측부위 각각은 제2하우징(15)의 연장단(156) 단부부위 및 제1하우징(11)의 일단부위 각각에 고정 결합되는 제2탑재하우징(25); 제3실린더(26)에 삽입되는 제3피스톤(28); 제3피스톤(28) 단부부위에 마련되어 고정패드(24)와 대향하는 제3가동패드(29); 타측 하면부위가 제2탑재하우징(25)의 상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3탑재하우징(31); 제3탑재하우징(3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33); 모터(33)의 구동축과 축 연결되는 제1기어(35); 제1기어(35)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제3피스톤(28)과 축 연결되어 제3탑재하우징(3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제2기어(37); 제1, 2기어(33, 35) 상호 간을 연결되는 탄성벨트(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피스톤(28)은, 내부에 삽입홈(282)이 형성되고 상측부위가 개구되는 제3피스톤부(281); 상측부위 내면에는 나사산(284)이 형성되고 하측부위에는 복수 개의 요철단(285)이 형성되어 제3피스톤부(281)의 삽입홈(282)에 삽입되는 수직이동부(283); 상측부위는 제2기어(37)와 축 연결되는 결합단(288)이 마련되고 하측부위에는 수직이동부(283)의 나사산(284)에 치합되는 가동단(289)가 마련되는 회전부(28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부위를 일정길이로 연장시킨 다음, 연장된 부위에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일체형으로 탑재하되, 주행 중의 차륜 제어 및 주차를 위한 차륜 구속을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에 있어 브레이크와 관련된 기구 자체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후 브레이크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서 생성되는 회전력을 감속시켜 피스톤으로 전달함에 있어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기어 및 피스톤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기어 사이를 탄성벨트로서 연결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차륜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된 차륜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주차용 브레이크 기구의 점검이나 수리 작업을 매우 편리하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어셈블리에 있어 제3피스톤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어셈블리에 있어 제1, 2기어 상호 간의 연결 구성도.
도 5는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로서, 제1, 2하우징(11, 15), 제1, 2탑재하우징(21, 25), 고정패드(24), 제3피스톤(28), 가동패드(29), 제3탑재하우징(31), 구동모터(33), 제1, 2기어(35, 37), 탄성벨브(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제1하우징(11)은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지지프레임이 되는 부분으로서, 제1실린더(111), 제1피스톤(113), 제1가동패드(115)가 마련된다. 제1실린더(111)는 제1하우징(11)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실린더(111) 각각에는 미도시된 내부유로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며, 제1실린더(111) 상호 간 역시 미도시된 별도의 중간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제1피스톤(113)은 제1실린더(111) 각각에 삽입되며, 제1실린더(111) 각각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제1가동패드(115)는 제1피스톤(113) 단부에 구비되며,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113) 각각이 일방향으로 작동되면 미도시된 디스크에 밀착된다.
제2하우징(15)은 본 발명에 있어 다른 하나의 지지프레임이 되는 부분으로서, 제1하우징(11)과 유사하게 제2실린더(151), 제2피스톤(153), 제2가동패드(155)가 마련된다. 제2실린더(151)는 제1실린더(111)와 대향하며, 제2하우징(15)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린더(151) 각각 역시 미도시된 내부유로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며, 제2실린더(151) 상호 간 역시 미도시된 별도의 중간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제2피스톤(153)은 제1피스톤(113)과 대향하며, 제2실린더(151) 각각에 삽입되며, 제2실린더(151) 각각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제2가동패드(155)는 제1가동패드(115)와 대향하며, 제2피스톤(153) 단부에 구비된다.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153) 각각이 타방향으로 작동되면 미도시된 디스크에 밀착된다.
이때, 제2하우징(15)에는 도 1 및 도 2 각각과 같이, 연장단(156)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연장단(156)은 제2하우징(15)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제2하우징(15)의 일측부위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그 내면부위에는 단차진 안치홈(157)이 형성된다.
제1탑재하우징(21)은 제2하우징(15)의 안치홈(157)에서 수직 상방으로 위치하며, 수평판(22) 및 수직판(23) 각각이 마련된다. 수평판(22)은 그 하면부위가 안치홈(157)에 밀착된다. 수직판(21)은 수평판(22)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수평판(22)의 타측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고정패드(23)는 수평판(22)의 단부부위에 마련된다.
제2탑재하우징(26)은 제3피스톤(28)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제3실린더(26) 및 결합바(27)가 마련된다. 제3실린더(26)는 제2탑재하우징(26)의 내측부위에 형성된다. 결합바(27)는 제2탑재하우징(26)의 상부 일측부위에 제2탑재하우징(26)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탑재하우징(26)의 일면부위는 제1탑재하우징(21)의 수직판(21) 타면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결합바(27)의 양측부위 각각은 제2하우징(15)에 있어 연장단(156)의 단부부위(158) 및 제1하우징(11)의 일단부위(118) 각각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탑재하우징(26)은 제1탑재하우징(21)과 일체화된다.
제3피스톤(28)은 제3실린더(26)에 삽입되며, 제3가동패드(29)는 고정패드(24)와 대향하며 제3피스톤(28) 단부부위에 마련된다. 제3가동패드(29)는 제3피스톤(28)이 작동하면 미도시된 디스크에 밀착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3피스톤(28)이 피스톤부(281), 수직이동부(283), 회전부(287)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피스톤부(281)의 내부에는 삽입홈(282)이 형성되고, 그 상측부위는 개구된다. 피스톤부(281)의 하측 외면부위에는 미도시된 원주홈이 형성되고, 이 원주홈에는 씰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이동부(283)는 피스톤부(281)의 삽입홈(282)에 삽입되며, 그 상측부위 내면에는 나사산(284)이 형성되고, 그 하측부위에는 복수 개의 요철단(285)이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부(281)의 삽입홈(282) 저면부위에는 수직이동부(283)의 홈(286)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돌출단(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직이동부(283)가 삽입홈(282)에 삽입되면, 돌출단 각각이 홈(286) 각각에 삽입되어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회전부(287)의 상측부위에는 결합단(288)이 마련되고, 그 하측부위에는 가동단(289)가 마련된다. 결합단(288)은 도 2와 같이 제2기어(37)와 축 연결되며, 가동단(289)는 수직이동부(283)의 나사산(284)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제2기어(3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피스톤(28)이 전진하고, 제2기어(3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피스톤(28)은 후퇴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3탑재하우징(31)은 주차용 브레이크의 구동부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타측의 하면부위가 제2탑재하우징(25)의 상면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3탑재하우징(31)은 제2탑재하우징(25)과 일체화된다. 모터(33)는 제3탑재하우징(3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한다. 모터(33)는 통상적인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어(35)는 모터(33)의 구동축과 축 연결되며, 제2기어(37)는 제3피스톤(28)과 축 연결되어 제3탑재하우징(3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제2기어(37)는 도 4와 같이, 제1기어(35)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제2기어(37)를 통한 회전력은 감속되며 제3피스톤(28)으로 전달된다. 탄성벨트(39)는 제1, 2기어(33, 35) 상호 간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부분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차량의 주행하는 운전자가 도중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체공급장치로부터 캘리퍼 어셈블리로 유체가 공급된다. 캘리퍼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유체는 제1, 2하우징(11, 15) 각각의 내부유로(미도시)를 통해 제1, 2하우징(11, 15) 각각의 제1, 2실린더(111, 151)로 공급되고,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 2피스톤(113, 153) 각각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작동한다.
제1, 2피스톤(113, 153) 각각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제1, 2피스톤(113, 153) 각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2가동패드(115, 155) 각각이 미도시된 디스크의 일면부위 및 타면부위 각각에 강하게 밀착되어 마찰되고, 이에 따라 차륜의 회전이 급속하게 또는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차량의 속도는 감속된다.
이후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캘리퍼 어셈블리로 공급된 유체가 유체공급장치로 회수된다. 캘리퍼 어셈블리에서 유체가 빠져나감에 따라, 제1, 2가동패드(115, 155) 각각에 의한 디스크에의 밀착은 해제되고, 더 이상 제1, 2가동패드(115, 155)의 마찰에 의한 차륜의 속도 감소는 없다.
다음으로, 차량의 장차 후 주차 과정 및 주차 후 출발 과정을 살펴본다. 차량이 정차하여 차륜의 회전이 멈추면, 운전자가 미도시된 주차 버튼을 ON 시킨다. 주차 버튼이 ON 되면,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터(33)에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도 2의 실선 참조). 모터(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33)의 회전력은 제1기어(35) 및 탄성벨트(39)를 통해 감속되며 제2기어(37)로 전달된다.
감속된 회전력이 제2기어(37)로 전달되면, 제2기어(37)의 축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288)로 전달된다. 이때, 회전부(288)의 가동단(289)은 수직이동부(283)의 상측부위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288)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직이동부(283)는 일방향으로 전진하며, 수직이동부(283)에 결합되어 있는 제3피스톤부(281)이 수직이동부(283)와 함께 일방향으로 전진한다(도 1에서 실선 참조).
제3피스톤부(281)가 일방향으로 전진하면, 제3피스톤(28)의 단부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제3가동패드(29)가 미도시된 디스크의 일면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차륜은 구속되고, 이에 따라 차량은 주차 상태를 이룬다. 이때, 디스크의 타면부위에는 고정패드(24)가 밀착된다.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회전부(288)와 수직이동부(283)는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 상태는 유지된다.
만일, 주차 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키고 하면 차량의 시동을 건 후 주차 버튼을 OFF 시킨다. 주차 버튼이 OFF 되면,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터(33)에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33)는 타방향으로 회전한다(도 2의 점선 참조). 모터(33)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33)의 회전력은 제1기어(35) 및 탄성벨트(39)를 통해 감속되며 제2기어(37)로 전달된다.
감속된 타방향 회전력이 제2기어(37)로 전달되면, 제2기어(37)의 축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288)로 전달되고, 회전부(288)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피스톤부(281)는 수직이동부(283)와 함께 타방향으로 후퇴하며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도 2의 점선 참조), 제3가동패드(29)에 의한 차륜의 구속 상태는 해제된다. 이후, 제3피스톤(28)에 의한 차륜에의 간섭은 없으며,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의 속도 감속은 유압에 의한 제1, 2피스톤(113, 153) 각각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에 일체형 구조로 탑재하되, 주행 중의 차륜 제어 및 주차를 위한 차륜 구속을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 기구 자체를 대폭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사후 점검이나 수리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가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력을 탄성벨트를 매개하여 감속시킨 다음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제안함으로써, 동력전달과정을 매우 단순화시켜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차용 브레이크 기구의 점검이나 수리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 제1하우징 111 : 제1실린더
113 : 제1피스톤 115 : 제1가동패드
15 : 제2하우징 151 : 제2실린더
153 : 제2피스톤 155 : 제2가동패드
156 : 연장단 157 : 안치홈
21 : 제1탑재하우징 22 : 수평판
23 : 수직판 24 : 고정패드
25 : 제2탑재하우징 26 : 제3실린더
27 : 결합바 28 : 제3피스톤
281 : 제3피스톤부 282 : 삽입홈
283 : 수직이동부 284 : 나사산
285 : 요철단 287 : 회전부
288 : 결합단 289 : 가동단
31 : 제3탑재하우징 33 : 모터
35 : 제1기어 37 : 제2기어
39 : 탄성벨트

Claims (2)

  1.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1실린더(111), 제1실린더(111) 각각에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1피스톤(113), 제1피스톤(113) 단부에 구비되는 제1가동패드(115)가 마련되는 제1하우징(11);
    제1실린더(111)와 대향하며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2실린더(151), 제1피스톤(113)과 대향하며 제2실린더(151) 각각에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2피스톤(153), 제1가동패드(115)와 대향하며 제2피스톤(153) 단부에 구비되는 제2가동패드(115), 내면부위에는 단차진 안치홈(157)이 형성되어 일측부위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156)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1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5);
    하면부위가 안치홈(157)에 밀착되는 수평판(22), 수평판(22)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수평판(22)의 타측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판(23)이 마련되는 제1탑재하우징(21);
    수평판(22) 단부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패드(24);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제3실린더(26), 상부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결합바(27)가 마련되어, 일면부위는 제1탑재하우징(21)의 수직판(21) 타면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결합바(27)의 양측부위 각각은 제2하우징(15)의 연장단(156) 단부부위 및 제1하우징(11)의 일단부위 각각에 고정 결합되는 제2탑재하우징(25);
    제3실린더(26)에 삽입되는 제3피스톤(28);
    제3피스톤(28) 단부부위에 마련되어 고정패드(24)와 대향하는 제3가동패드(29);
    타측 하면부위가 제2탑재하우징(25)의 상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3탑재하우징(31);
    제3탑재하우징(31)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33);
    모터(33)의 구동축과 축 연결되는 제1기어(35);
    제1기어(35)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제3피스톤(28)과 축 연결되어 제3탑재하우징(31)의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제2기어(37);
    제1, 2기어(33, 35) 상호 간을 연결되는 탄성벨트(39);를
    포함하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스톤(28)은, 내부에 삽입홈(282)이 형성되고 상측부위가 개구되는 제3피스톤부(281); 상측부위 내면에는 나사산(284)이 형성되고 하측부위에는 복수 개의 요철단(285)이 형성되어 제3피스톤부(281)의 삽입홈(282)에 삽입되는 수직이동부(283); 상측부위는 제2기어(37)와 축 연결되는 결합단(288)이 마련되고 하측부위에는 수직이동부(283)의 나사산(284)에 치합되는 가동단(289)가 마련되는 회전부(28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KR1020220032676A 2022-03-16 2022-03-16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KR20230135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76A KR20230135345A (ko) 2022-03-16 2022-03-16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76A KR20230135345A (ko) 2022-03-16 2022-03-16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345A true KR20230135345A (ko) 2023-09-25

Family

ID=8819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676A KR20230135345A (ko) 2022-03-16 2022-03-16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34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602A (ko) 2008-06-16 200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927856B1 (ko) 2016-11-21 2018-12-11 (주)제이앤드씨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의 캘리퍼 하우징 제조 방법
KR101985876B1 (ko) 2017-10-26 2019-06-07 계양전기 주식회사 브러시카드 일체형 하우징을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602A (ko) 2008-06-16 200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927856B1 (ko) 2016-11-21 2018-12-11 (주)제이앤드씨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의 캘리퍼 하우징 제조 방법
KR101985876B1 (ko) 2017-10-26 2019-06-07 계양전기 주식회사 브러시카드 일체형 하우징을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6401B2 (ja) 電動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
US8453803B2 (en) Brake actu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motor
US5348123A (en) Brake actu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7502230A (ja) 軸線方向のガイドレールを有する、ギヤによって駆動される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ドラムブレーキおよびブレーキ装置
KR20210072124A (ko) 소프트 스톱을 제공하는 스핀들/너트 어셈블리를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JP2002364687A (ja) 電子制御ブレーキ装置
KR20230135345A (ko)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어셈블리
US5788340A (en)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braking device using thereof
US20220314691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101548121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롤러 스크루
KR102017201B1 (ko) 차량용 공용 브레이크 장치
US20050034936A1 (en) Electric brake caliper having a ballscrew with integral gear carrier
KR101938107B1 (ko) 주차 브레이킹 기능이 포함된 모노블록 브레이크 캘리퍼
KR2017011075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EP4353985A1 (en) Brake device, brake system, and vehicle
KR200153668Y1 (ko)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KR100583661B1 (ko) 산업차량의 브레이크장치
KR100267646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101841008B1 (ko) 차량용 전동식 브레이크
CN115750624B (zh) 机电式制动器及具备其的车辆
KR101040936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35504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KR19990061293A (ko) 관성력 저감장치
KR0126499Y1 (ko) 브레이크 자동 록크장치
JP200112411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