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625A -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625A
KR20230134625A KR1020220031146A KR20220031146A KR20230134625A KR 20230134625 A KR20230134625 A KR 20230134625A KR 1020220031146 A KR1020220031146 A KR 1020220031146A KR 20220031146 A KR20220031146 A KR 20220031146A KR 20230134625 A KR20230134625 A KR 2023013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p
bottom plate
base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641B1 (ko
Inventor
장치원
Original Assignee
장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치원 filed Critical 장치원
Priority to KR102022003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64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11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64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지지몸체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을 접촉시킨 다음, 허리 또는 하체를 돌려 해당 근육이 지지몸체를 직접 눌려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자체를 딱딱한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몸체에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함으로써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buttoc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지지몸체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을 접촉시킨 다음, 허리 또는 하체를 돌려 해당 근육이 지지몸체를 직접 눌려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자체를 딱딱한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몸체에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함으로써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엉덩이의 근육발달 및 볼륨과 탄력성을 키워주는 운동 기구들에는 엉덩이의 집중적인 운동효과를 가지는 것보다 운동에너지가 하체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짐으로 엉덩이 부위에는 적은 운동에너지만이 전달되어져 엉덩이의 근육형성으로 인한 볼륨과 탄력성을 가지기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운동의 강도를 점차적으로 늘려주는 장치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2-0101872호에서는 자동차 페달모양을 가지며 운동기구에 설치되는 저항 장치로 인하여 바닥과 상부발판의 높이가 높아짐으로 기구사용 시 운동기구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상부 발판의 뒤에 부분을 위로 향하게 굴절되어지도록 구비하고 발판지지부 뒤에 부분이 아래로 굴절되어지도록 구비하여 운동 저항 장치부가 설치되어지고 발판 지지부에 충격, 소음 방지부가 설치되어지며 상부발판에 탈부착이 용이한 앞꿈치 높낮이 블록을 설치하여 기구사용시 엉덩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쉽고 빠르게 근육을 형성하여 탄력 있고 볼륨 있는 엉덩이를 만들어주며 앞꿈치 높낮이 블록을 탈착하여 하체운동과 발의 방향을 바꾸어 하는 운동으로 산에 등산 할 때의 운동효과를 가지게 되는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엉덩이 이외 다른 부위의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엉덩이 근육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18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30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지지몸체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을 접촉시킨 다음, 허리 또는 하체를 돌려 해당 근육이 지지몸체를 직접 눌려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자체를 딱딱한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몸체에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함으로써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는 사각형 구조의 밑판과; 상기 밑판의 상면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몸체와; 상기 밑판의 하면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밑판에 엉덩이를 올리고 누운 상태에서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좌우측에 배치된 지지몸체에 엉덩이를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하는 방식으로 엉덩이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있어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는 엉덩이 강화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좌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상기 좌측 받침대가 상기 밑판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는 상기 밑판의 후방부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지몸체에 좌측 엉덩이를 밀착시킬 때 상기 밑판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잇는 가상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측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우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상기 좌측 받침대가 상기 밑판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는 상기 밑판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있어서, 밑판의 하면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레일부에 각각 결합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구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있어서, 밑판의 상면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영역에 접하는 회동 보조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지지몸체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을 접촉시킨 다음, 허리 또는 하체를 돌려 해당 근육이 지지몸체를 직접 눌려지게 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자체를 딱딱한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몸체에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함으로써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로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로 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사용상태도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시 기구가 기울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과 다른 구조의 지지몸체를 가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과 달리 받침대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받침대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세로 방향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가로 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사용상태도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시 기구가 기울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과 다른 구조의 지지몸체를 가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100)는 크게 직사각형 구조의 밑판(101)과, 상기 밑판(101)의 상면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몸체(110a,110b)와, 상기 밑판(101)의 하면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몸체(110a,110b)를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120a,1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100)는 사용자가 밑판(101)에 엉덩이를 올리고 누운 상태에서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좌우측에 배치된 지지몸체(110a,110b)에 엉덩이를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하는 방식으로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와 맞닿는 지지몸체(110a,110b)의 내측 모서리 영역에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예를 들어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을 접촉시킨 다음, 허리 또는 하체를 돌려 해당 근육이 지지몸체의 상면 또는 내측 모서리 영역에 눌려지게 하는 방식이다. 상기 지지몸체(110a,110b)의 내측 모서리 영역은 엉덩이 근육과 직접 접촉되므로 모따기 작업 등을 통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측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몸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때에는 우측으로 몸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기존에 운동방식은 강화하고자 하는 근육에 기구나 신체의 다른 부분을 들어올리는 등의 방법으로 하중을 줌으로써 근육이 강화되었지만, 본 발명은 강화하고자 하는 엉덩이 근육 자체를 딱딱한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몸체에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함으로써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110a,110b)는 목재, 플라스틱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재나 세라믹 소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상기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120a,120b)는 엉덩이 강화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상기 좌측 받침대(120a)가 상기 밑판(101)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120b)는 상기 밑판(101)의 후방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지지몸체에 좌측 엉덩이를 밀착시킬 때 상기 밑판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잇는 가상선(127)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측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밑판에 2개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시키게 되면 엉덩이 강화운동시 밑판이 시소와 같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반대로, 우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받침대(120a)가 상기 밑판(101)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120b)는 상기 밑판(101)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좌측 및 우측 받침대가 없거나, 밑판 각 모서리마다 받침대를 설치하여 기울어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오른쪽 엉덩이의 대둔근 강화 운동시 왼쪽 허벅지 내전근이 많이 관여되었으나, 밑판이 오른쪽 하측 모서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한 경우 내전근과 같이 다른 근육의 간섭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엉덩이 근육만 독립적으로 자극할 수 있게 된다. 즉, 밑판이 시소처럼 움직이기 때문에 대둔근 자극 주기 전과 후의 동작에 과한 힘이 들어가지 않고 엉덩이 근육만을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가 운동 위치에 맞게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밑판(101)의 하면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120a,120b)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레일부(121)에 각각 결합하는 이동몸체부(123)와, 상기 이동몸체부(123)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구형의 받침부(125)와, 상기 받침부(125)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26)은 밑판(101)과 이동몸체부(123)에 형성된 홀(123a)에 끼워지는 고정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밑판(101)의 상면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영역에 접하는 회동 보조바(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보조바(13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몸을 오른쪽으로 틀고 난 후, 쉽게수평 자세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몸이 오른쪽에서 수평 상태로 원위치할 때 허리 부분이 회전 보조바를 눌러 기울어진 밑판이 수평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보조바는 전방이 높고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전체적으로 유선형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과 다른 구조의 지지몸체를 가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도 1과 대비할 때 측면 형태가 전방이 높고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의 지지몸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좌측으로 운동시 우측 밑판 및 바퀴가 약간 들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몸체를 유선형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는 엉덩이 밑살 강화운동도 가능한데, 이 경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모두 밑판의 상측(전방부, 사용자의 심장쪽)으로 위치시키고, 해당 엉덩이 밑살을 지지몸체 위에 올리고 힘을 주어 허리를 들어올리면 엉덩이 밑살 근육이 수축됨으로써, 처짐 방지 및 근육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과 달리 받침대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받침대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밑판의 모서리마다 승강가능한 구조의 받침대(12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받침대(125)는 전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각 받침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몸체에는 실린더 장치(150)가 삽입되어 있고, 실린더 장치의 로드(151)가 받침대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서는 실린더 장치의 구동원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고, 별도의 컨트롤러극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101 : 밑판
101a, 101b, 101c, 101d : 전후좌우면
110 : 지지몸체
120 : 받침대
121 : 레일부
123 : 이동몸체부
123a : 홀
125 : 받침부
126 : 고정수단
127 : 가상선
130 : 회동 보조바

Claims (5)

  1. 사각형 구조의 밑판과;
    상기 밑판의 상면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몸체와;
    상기 밑판의 하면 좌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밑판에 엉덩이를 올리고 누운 상태에서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좌우측에 배치된 지지몸체에 엉덩이를 밀착시키고 하중을 가하는 방식으로 엉덩이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받침대는 엉덩이 강화운동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좌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상기 좌측 받침대가 상기 밑판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는 상기 밑판의 후방부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지지몸체에 좌측 엉덩이를 밀착시킬 때 상기 밑판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를 잇는 가상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측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우측 엉덩이를 강화운동할 때에는 상기 좌측 받침대가 상기 밑판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받침대는 상기 밑판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하면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받침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레일부에 각각 결합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구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상면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영역에 접하는 회동 보조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모서리마다 승강가능한 구조의 받침대가 설치되고,
    각 받침대는 지지몸체에 마련된 실린더 장치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KR1020220031146A 2022-03-14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KR10267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46A KR102670641B1 (ko) 2022-03-14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46A KR102670641B1 (ko) 2022-03-14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625A true KR20230134625A (ko) 2023-09-22
KR102670641B1 KR102670641B1 (ko)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872A (ko) 2011-03-07 2012-09-17 박정민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
KR200466302Y1 (ko) 2009-04-30 2013-04-08 백수연 엉덩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02Y1 (ko) 2009-04-30 2013-04-08 백수연 엉덩이 운동기구
KR20120101872A (ko) 2011-03-07 2012-09-17 박정민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5853A1 (en) Randomly multidirectional devis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se
CN203539563U (zh) 一种便于康复病人起坐的轮椅
KR102670641B1 (ko)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KR20230134625A (ko) 엉덩이 근육 강화운동 기구
CN201848092U (zh) 麻将机底座
CN213432833U (zh) 一种腿部力量训练装置
KR102522850B1 (ko) 역기 운동장치
CN203750172U (zh) 一种台风体验平台
CN206621112U (zh) 一种学习书桌腿部支撑装置
CN215227163U (zh) 一种电动助力坐便架
CN211912615U (zh) 小腿前侧肌群坐式训练器
CN209679401U (zh) 一种体育活动器材
CN101172196B (zh) 运动器材
CN203016324U (zh) 一种做腰腹运动的座椅
CN107537138B (zh) 多功能韵律板
KR200451993Y1 (ko) 운동기구
CN2892173Y (zh) 小腿足部训练机
CA2194729C (en) Movable equipment, especially for medical exercise and treatment purposes
CN212416828U (zh) 一种高防护性学龄前儿童锻炼用腿部脚踏训练器材
CN217938644U (zh) 一种单腿辅助行走装置
CN211798576U (zh) 一种骨关节康复训练用训练椅
CN216319746U (zh) 一种多功能健身架
KR200400055Y1 (ko) 도립운동 테이블
CN210095130U (zh) 组合式学生桌椅
CN210096805U (zh) 一种辅助锻炼腹肌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