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924A -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924A
KR20230133924A KR1020237029562A KR20237029562A KR20230133924A KR 20230133924 A KR20230133924 A KR 20230133924A KR 1020237029562 A KR1020237029562 A KR 1020237029562A KR 20237029562 A KR20237029562 A KR 20237029562A KR 20230133924 A KR20230133924 A KR 20230133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
layer
conductive layer
wire
contro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인 린
Original Assignee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문에서는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였다. 터치 제어 패널은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을 포함하고, 터치 제어 배선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제1 도전층과 제 도전층 사이에 제1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제어 배선은 적층 배치된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을 포함하며,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 사이에 제2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고,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전층과 제1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2 도전층과 제2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06월 30일자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110738467.6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제어 기술이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지만,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은 비교적 높다.
본 출원은 터치 제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터치 제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동 집적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IC)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은 터치 제어 패널을 제공하고, 해당 터치 제어 패널은,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을 포함하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에 제1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은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각 터치 제어 배선은 적층 배치된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을 포함하고,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 사이에 제2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터치 제어 배선의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도전층과 제1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2 도전층과 제2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본 출원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고, 해당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터치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터치 제어 패널 중의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은,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며, 각 터치 제어 배선의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터치 제어 배선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고, 터치 제어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동 IC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어 패널이 점용해야 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제1 도전층과 제1 배선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고, 제2 도전층과 제2 배선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함으로써,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C영역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8의 D영역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8의 CC'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도전층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2 도전층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5의 DD'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도면에는 본 출원과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결합하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100)은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4)을 포함하고, 터치 제어 배선(4)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을 포함하고,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 사이에 제1 절연층(20)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적층 배치된 제1 배선층(41)과 제2 배선층(42)을 포함하며, 제1 배선층(41)과 제2 배선층(42) 사이에 제2 절연층(30)이 배치되어 있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배선층(41)과 제2 배선층(42)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전층(2)과 제1 배선층(41)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2 도전층(3)과 제2 배선층(42)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제1 절연층(20)과 제2 절연층(3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제어 패널(100)은 발광 유닛의 출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제어 패널(100)은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제어 검출시, 구동 IC(600)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터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충전하며, 터치 제어 신호는 펄스 신호일 수 있고,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커패시턴스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손가락이 터치 제어 패널(100)에 접근할 때,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패널(100)에 접근하는 손가락 사이에 터치 제어 커패시턴스가 형성되고, 구동 IC(600)는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손가락 터치 제어 위치에 대한 검출을 구현할 수 있다.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이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면적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경우, 두 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단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을 비교하면, 적층 배치된 두 층의 도전층의 전기적 연결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두 층의 도전층이 병렬 연결된 것에 해당하므로, 두 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저항이 작아지고, 구동 IC(600)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킬 수 있고, 터치 제어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동 IC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어 패널이 점용해야 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도 1과 도 3을 결합하면, 터치 제어 배선(4)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터치 제어 배선(4)이 두 층의 배선층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배선층(41)과 제2 배선층(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폭의 터치 제어 배선(4)의 경우, 두 층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배선과 단층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배선을 비교하면, 적층 배치된 두 층의 배선층의 전기적 연결은 터치 제어 배선의 두 층의 배선층이 병렬 연결된 것에 해당하므로, 터치 제어 배선(4)의 저항이 감소되어,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켜, 터치 제어 구동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터치 제어 배선(4)은 작은 저항을 구비하여, 터치 제어 배선(4)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호 손실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감도를 향상시킨다.
도 1과 도 3을 결합하면, 제1 도전층(2)과 제1 배선층(41)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고, 제2 도전층(3)과 제2 배선층(42)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며, 제1 절연층(20)과 제2 절연층(30)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므로, 한편으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효과를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제1 도전층(2)과 제1 배선층(41)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고, 제2 도전층(3)과 제2 배선층(42)을 동일한 층에 배치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을 더 경박화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이 점용하는 공간이 더욱 작아지도록 하므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박화를 구현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은,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며, 각 터치 제어 배선의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터치 제어 배선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고, 터치 제어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동 IC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어 패널이 점용해야 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제1 도전층과 제1 배선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고, 제2 도전층과 제2 배선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여,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C영역의 확대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 도 4 및 도 5를 결합하면, 제2 방향(N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터치 제어 전극 열(10)을 구성하고,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열(10)은 제1 방향(N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여기서, 제2 방향(N2)과 제1 방향(N1)은 서로 교차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제2 방향(N2)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포함하며; 터치 제어 배선(4)은 제2 방향(N2)을 따라 연장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관통하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적어도 하나의 점퍼 와이어(6)를 포함하고; 점퍼 와이어(6)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개구(5)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제2 방향(N2)과 제1 방향(N1)이 서로 수직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는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적어도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기점으로 하여 연장되어 구동 IC(600)까지 연장된다. 터치 제어 배선(4)이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관통하도록, 즉 터치 제어 배선(4)이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영역과 배선 영역의 총 면적을 감소시켜, 터치 제어 패널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터치 제어 패널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점용하는 면적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모두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제어 배선(4)이 가장자리 영역을 점용할 필요가 없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의 배선 공간을 절약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좁은 가장자리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터치 제어 배선(4)은 제2 방향(N2)을 따라 연장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관통하여,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이 포함하는 개구(5)의 수는 동일하고,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4)이 관통하는 개구(5)의 수는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터치 제어 전극 열(10) 중의 첫 번째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서 마지막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까지 연장되고,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4)이 경과하는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수는 동일하며,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서 관통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수는 동일하다. 손가락으로 터치 제어 패널을 터치 제어할 경우, 터치 제어 배선(4)과 손가락의 상대적인 면적이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손가락의 상대적인 면적보다 훨씬 작더라도, 터치 제어 배선(4)과 손가락은 여전히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터치 제어 검출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데,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서 경과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수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터치 제어 배선(4)이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가져다주는 간섭 신호를 동일하게 하여, 추후 소음 처리 등을 통해 간섭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터치 제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점퍼 와이어(6) 측에서만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교차 중첩되어, 점퍼 와이어(6) 이외의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점퍼 와이어(6)와 제1 도전층(2)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2 배선층(4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2 배선층(42)만 포함한다. 또는,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도 4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기반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점퍼 와이어(6)와 제2 도전층(3)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1 배선층(4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1 배선층(41)만 포함한다.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배선층(41) 또는 제2 배선층(42)에 점퍼 와이어(6)를 위한 배선 공간을 미리 남겨둠으로써, 기타 필름 층을 배치할 필요 없이 개구(5) 양측 영역에서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제어 패널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구비하도록 보장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제1 배선층 및 제2 배선층은 각각 금속 격자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의 저항을 감소시켜,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에서의 신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은 금속 격자를 사용하고,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의 격자 위치는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출광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비하도록 보장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8의 D영역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8의 CC'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9와 도 10을 결합하면,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은 각각 제3 방향(N3)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 격자라인(7) 및 복수의 제1 격자라인(7)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격자라인(9)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의 복수의 제1 격자라인(7)은 비아 홀(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의 복수의 제2 격자라인(9)은 비아 홀(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제1 격자라인(7)은 제2 격자라인(9)을 통해 연결되며;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은 각각 제3 방향(N3)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 및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4 격자라인(60)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의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은 비아 홀(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의 복수의 제4 격자라인(60)은 비아 홀(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제3 격자라인(50)은 제4 격자라인(60)을 통해 연결된다.
제3 방향(N3)은 제1 방향(N1)과 동일할 수 있고, 제3 방향(N3)은 제1 방향(N1)과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격자라인(7) 및/또는 제3 격자라인(50)은 직선일 수 있고, 꺾은선이거나 곡선일 수도 있으며, 제1 격자라인(7)과 제3 격자라인(50) 전체가 제3 방향(N3)을 따라 연장되기만 하면 된다. 예시적으로, 제1 격자라인(7)과 제3 격자라인(50)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경계의 형상과 매칭될 수 있으며, 제1 격자라인(7)과 제3 격자라인(50)은 발광 유닛의 수직 투영과 교차 중첩되지 않는다. 제1 격자라인(7)과 교차된 제2 격자라인(9), 제3 격자라인(50)과 교차된 제4 격자라인(60)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경계의 형상과 매칭될 수 있으며, 발광 유닛의 수직 투영과 교차 중첩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격자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발광 유닛의 픽셀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결합하면, 굵은 실선과 굵은 점선은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을 나타낼 수 있고, 제3 방향(N3)을 따라 연장된 굵은 실선은 제1 격자라인(7)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인접한 제1 격자라인(7) 사이를 연결하는 굵은 실선은 제2 격자라인(9)을 나타낼 수 있고, 터치 제어 배선(4)은 가는 실선이며, 가는 실선 사이의 점선은 점퍼 와이어(6)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제2 격자라인(9)은 제1 도전층(2) 또는 제2 도전층(3)과 동일한 층이다. 제1 격자라인(7)과 제2 격자라인(9)은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 두 층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이 제1 격자라인(7)과 제2 격자라인(9)이 각각 두 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폭의 제1 격자라인(7)의 경우, 두 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제1 격자라인과 단층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제1 격자라인을 비교하면, 적층 배치된 두 층의 도전층의 전기적 연결은 제1 격자라인(7)의 두 층의 도전층이 병렬 연결된 것에 해당하므로, 제1 격자라인(7)의 저항이 작아지고, 마찬가지로, 제2 격자라인(9)은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 두 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2 격자라인(9)의 저항도 작아지므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저항이 작아진다.
도 10 내지 도 14를 결합하면,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은 각각 제3 방향(N3)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 및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4 격자라인(60)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의 복수의 제3 격자라인(50)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의 복수의 제4 격자라인(60)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제3 격자라인(50)은 제4 격자라인(60)을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3 격자라인(50)과 제4 격자라인(60)이 각각 두 층의 배선층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폭의 제3 격자라인(50)의 경우, 두 층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3 격자라인과 단층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3 격자라인을 비교하면, 적층 배치된 두 층의 제3 격자라인의 전기적 연결은 터치 제어 배선의 두 층의 배선층이 병렬 연결된 것에 해당하므로, 제3 격자라인(50)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4 격자라인(60)은 제1 도전층(41)과 제2 도전층(42) 두 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4 격자라인(60)의 저항도 작아지므로, 터치 제어 배선(4)의 저항이 작아지고,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켜, 터치 제어 구동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터치 제어 배선(4)은 작은 저항을 구비하여, 터치 제어 배선(4)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호 손실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감도를 향상시킨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1 도전층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제2 도전층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점퍼 와이어(6)와 제2 도전층(3)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도 15는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이 제1 배선층(41)만 포함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0 내지 도 16을 결합하면, 제2 방향(N2)을 따라 인접한 제1 격자라인(7)과 제2 격자라인(9)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5 격자라인(70)을 형성하고, 제1 방향(N1)을 따라 인접한 두 개의 개구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포함되며; 제2 방향(N2)을 따라 인접한 제3 격자라인(50)과 제4 격자라인(60)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6 격자라인(80)을 형성하고, 각 터치 제어 배선(4)은 적어도 두 개의 제6 격자라인(80)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에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5 격자라인(70)이 포함되는 배열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하여,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영역과 배선 영역의 총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터치 제어 패널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점용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을 모두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제어 배선(4)이 가장자리 영역을 점용할 필요가 없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의 배선 공간을 절약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좁은 가장자리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2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에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세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포함되는 배열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세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배열 상황에 비해,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커버 면적을 더욱 크게 하고, 인접한 세 개의 제5 격자라인(70)을 병렬 연결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13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에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네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포함되는 배열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네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배열 상황에 비해,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 사이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커버 면적을 더욱 크게 하고, 인접한 네 개의 제5 격자라인(70)을 병렬 연결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14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 제어 배선의 제6 격자라인(80)이 병렬 연결되어 한 그룹의 터치 제어 배선을 구성하고, 각각 인접한 두 그룹의 터치 제어 배선 사이에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두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포함되는 배열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각각 인접한 두 그룹의 터치 제어 배선 사이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두 개의 제5 격자라인(70)이 병렬 연결되도록 하는데, 도 11,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배열 상황에 비해, 터치 제어 배선의 두 개의 제6 격자라인(80)을 병렬 연결하게 되므로, 터치 제어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10, 도 11, 도 15 및 도 16을 결합하면,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1 격자라인(7)의 제1 도전층(2)과 제2 도전층(3)은 비아 홀(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격자라인(7)의 비아 홀(8)은 제1 격자라인(7)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터치 제어 배선(4)의 제1 배선층(41)과 제2 배선층(42)은 비아 홀(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이와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은 점퍼 와이어(6) 측에 비아 홀을 배치하여 연결된다. 점퍼 와이어(6)와 제2 도전층(3)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고, 터치 제어 배선(4)과 점퍼 와이어(6)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1 배선층(41)만 포함하여, 한편으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대향 면적이 단지 점퍼 와이어(6)의 영역이므로, 점퍼 와이어(6)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의 대향 면적을 대폭 감소시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기타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4)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점퍼 와이어(6)와 제2 도전층(3)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여,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제2 도전층(3)의 면적이 크게 되어, 터치 제어 전극 블록(1) 및 터치 제어 패널에 접근한 손가락 사이에 형성된 터치 제어 커패시턴스가 커지도록 하므로,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하여 도 8을 참조하면, 각 터치 제어 배선(4)과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제어 배선(4)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터치 제어 배선(4)과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터치 제어 배선(4)이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구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제어 검출시, 구동 IC(600)는 터치 제어 배선(4)을 통해 터치 제어 배선(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터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을 충전하며, 터치 제어 신호는 펄스 신호일 수 있고,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커패시턴스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손가락이 터치 제어 패널(100)에 접근할 때,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패널(100)에 접근하는 손가락 사이에 터치 제어 커패시턴스가 형성되고, 구동 IC(600)는 터치 제어 배선(4)을 통해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손가락 터치 제어 위치에 대한 검출을 구현할 수 있다. 각 터치 제어 배선(4)과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크로스토크를 방지하여,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제어 배선(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되,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하나의 터치 제어 배선(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두 개 또는 세 개의 터치 제어 배선(4)과 연결될 수도 있어,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1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터치 제어 패널(10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영역(300)을 포함하며,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의 도 15의 DD' 방향을 따른 단면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복수의 발광 유닛(50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의 수직 투영은 발광 유닛(500)과 교차 중첩되지 않는다.
터치 제어 배선(4)이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개구를 관통하기 때문에, 터치 제어 배선(4)과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배치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의 수직 투영은 발광 유닛(500)과 교차 중첩되지 않으므로, 터치 제어 전극 블록(1)과 터치 제어 배선(4)이 발광 유닛(500)의 출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구동 IC(600)를 더 포함하고, 구동 IC(6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구동 IC(600)는 터치 제어 패널(100)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고, 터치 제어 전극 블록(1)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제어 패널은,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고, 터치 제어 구동 IC에 대한 구동 능력 요구를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동 IC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제어 패널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어 패널이 점용해야 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Claims (20)

  1.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을 포함하고,
    각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적층 배치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제1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고, 각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은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각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은 적층 배치된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선층과 상기 제2 배선층 사이에 제2 절연층이 배치되어 있고, 각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의 상기 제1 배선층과 상기 제2 배선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1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배선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터치 제어 전극 열을 구성하고,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열은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여기서,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은 서로 교차되고;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터치 제어 배선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점퍼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퍼 와이어는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상기 개구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이 포함하는 개구의 수는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이 관통하는 개구의 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 와이어와 상기 제1 도전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제어 배선과 상기 점퍼 와이어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2 배선층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점퍼 와이어와 상기 제2 도전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제어 배선과 상기 점퍼 와이어가 교차 중첩되는 부분은 제1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 상기 제2 도전층,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은 각각 교차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선층은 금속 격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 격자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1 격자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격자라인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1 격자라인은 상기 제2 격자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각 터치 제어 배선의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은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3 격자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3 격자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4 격자라인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3 격자라인은 상기 제4 격자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복수의 제1 격자라인과 복수의 제2 격자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제어 배선의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의 복수의 제3 격자라인과 복수의 제4 격자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자라인과 상기 제3 격자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꺾은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자라인과 상기 제3 격자라인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경계의 형상과 매칭되며, 상기 제1 격자라인과 상기 제3 격자라인은 상기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수직 투영과 교차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자라인과 상기 제4 격자라인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경계의 형상과 매칭되며, 상기 제2 격자라인과 상기 제4 격자라인은 상기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유닛의 수직 투영과 교차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1 격자라인과 제2 격자라인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5 격자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 개의 개구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5 격자라인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3 격자라인과 제4 격자라인은 순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6 격자라인을 형성하고, 각 터치 제어 배선은 적어도 두 개의 제6 격자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5. 제 7 항에 있어서,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제1 격자라인의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비아 홀은 상기 제1 격자라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6. 제 7 항에 있어서,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 및 상기 각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 배선은 상기 점퍼 와이어 측에 비아 홀을 배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7. 제 1 항에 있어서,
    각 터치 제어 배선과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제어 배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패널.
  18.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제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제어 패널 중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상기 복수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과 상기 터치 제어 패널 중 복수의 터치 제어 배선의 수직 투영은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과 교차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집적회로 칩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는 상기 터치 제어 패널의 터치 제어 전극 블록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터치 제어 전극 블록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29562A 2021-06-30 2022-04-02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3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38467.6 2021-06-30
CN202110738467.6A CN113467639B (zh) 2021-06-30 2021-06-30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PCT/CN2022/084980 WO2023273485A1 (zh) 2021-06-30 2022-04-02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924A true KR20230133924A (ko) 2023-09-19

Family

ID=7787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562A KR20230133924A (ko) 2021-06-30 2022-04-02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09141A1 (ko)
JP (1) JP2024506725A (ko)
KR (1) KR20230133924A (ko)
CN (1) CN113467639B (ko)
WO (1) WO2023273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7639B (zh) * 2021-06-30 2023-05-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4020166B (zh) * 2021-10-27 2023-07-1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
CN114217702B (zh) * 2021-12-10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46B2 (en) * 2012-02-09 2016-08-1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panel substrate
CN105183259B (zh) * 2015-09-30 2018-11-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以及触控电子设备
CN105718128B (zh) * 2016-04-13 2019-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触控装置
US10372282B2 (en) * 2016-12-01 2019-08-06 Apple Inc. Capacitive coupling reduction in touch sensor panels
CN108614652B (zh) * 2016-12-13 2021-07-09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CN113467639B (zh) * 2021-06-30 2023-05-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3485A1 (zh) 2023-01-05
CN113467639A (zh) 2021-10-01
US20230409141A1 (en) 2023-12-21
CN113467639B (zh) 2023-05-23
JP2024506725A (ja)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3924A (ko) 터치 제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00535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6325608B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39472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641804B1 (ko) 정전 용량 인셀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4699357A (zh) 一种电子设备、触摸显示面板以及触控显示基板
CN104699348A (zh)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09062442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1788875A (zh) 电容式触控面板装置
US9389736B2 (en) Touch screen panel
CN106125424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84229B1 (ko) 지문인식가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5807979A (zh) 内嵌式触控显示面板
WO2017076209A1 (zh) 一种单层布线的电容式触摸传感器及触摸屏
EP3598278A1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CN107153474A (zh) 触控面板
CN103941914A (zh)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及触控信号的感测方法
CN116107456A (zh) 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KR101668964B1 (ko) 입력 장치
CN109725772B (zh) 一种触控面板和触控显示装置
EP3719621B1 (en) Touch panel, touch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CN111708466A (zh) 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543754B2 (ja) 入力装置
CN206610273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639704A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