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761A -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761A
KR20230133761A KR1020230016509A KR20230016509A KR20230133761A KR 20230133761 A KR20230133761 A KR 20230133761A KR 1020230016509 A KR1020230016509 A KR 1020230016509A KR 20230016509 A KR20230016509 A KR 20230016509A KR 20230133761 A KR20230133761 A KR 2023013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employee
job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645B1 (ko
Inventor
박정훈
김남준
배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ublication of KR2023013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는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사내교육대상인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저장하는 교육대상정보 저장부; 직원들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교육대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예컨대, 철도차량정비자격 취득 등)과, 업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지는,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예컨대, 이수해야할 교육내용, 교육내용별 잔여 이수시간, 잔여 이수기한 등)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사내교육대상인 직원에게 대응된 교육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PLOYEE LEARNING IN COMPANY WHERE THOROUGH EDUCATION MANAGEMENT FOR EMPLOYEES IS REQUIRED FOR PUBLIC SAFETY}
본 발명은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의 증가로 인해, 최근의 기업에서는, 직원들의 직무능력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철도분야와 같이, 국민경제의 발전을 좌우하는 기간산업으로서 첨단기술이 집약되어 기술진입장벽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번 사고가 나면 피해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는 산업분야의 경우,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종사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특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산업분야의 관계 법령에서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의 직무, 자격 등에 따라 이수해야 할 교육의 종류,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 등을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철도안전법(이하, ‘법’이라 칭함)에서는 철도종사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실시/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법에 의하면, 철도종사자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교육을, 철도종사자에 대한 직무교육(이하, ‘철도직무교육’이라 칭함)과 철도차량정비교육훈련(이하, ‘정비교육훈련’이라 칭함)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하여 교육의 대상, 종류,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 등을 규정하고 있다. 즉, 상기 ‘철도직무교육’은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9가지 업무에 해당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의 종류, 이수기한, 이수시간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상기 ‘정비교육훈련’은 철도차량정비자격을 보유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의 종류,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법적 기준에 따라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종사자들 각각의 직무별로 교육의 종류,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 등이 서로 상이한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기업의 경우, 법에서 요구하는 교육의 조건이 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업무와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직무가 서로 상이함으로써, 종사자들 각각의 사내교육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직원 입장에서도, 자신이 언제,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시로 발생하는 인사변동, 자격사항의 변동, 또는 엽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중간에 직무가 변경되는 직원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관리가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사내교육 관리와 관련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1399호에는, 기업에서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기 저장된 다수의 정보(이하, "커리어 패스"라 한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기업에서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이하, "역량정보"라 한다)에 따라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이하, "커리어 로드맵"이라 한다)를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직무에 따라 소정개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련 커리어 패스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의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기업의 임직원들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무교육 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해당 기업에서의 직무수행을 평가받고, 이에 대응하는 추천되는 직무교육 일정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로드맵을 제공받음으로서, 임직원 개인이 효율적으로 경력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업은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여 임직원 개인의 직무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이수시 취득점수가 높은 교육과목을 제공함으로서,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확실히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법적기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법에서 요구하는 교육 조건의 복잡성 및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업무와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직무간의 차이점으로 인해 사내교육정보의 관리가 어려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즉, 종래에는, 법적 기준에 따라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직무별로 다르게 지정된 필수교육과정, 교육과정별 이수시간/잔여이수시간, 및 교육과정별 이수기한/잔여이수기한 정보 등 기업의 사내교육을 위한 각종 학습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없음으로써, 직원교육이 필요한 기업, 및 교육대상인 직원들이 이러한 학습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이로 인해, 법정직무에 따라 직원별로 서로 다르게 지정된 필수교육을 시의적절하게 이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예컨대, 철도안전법)에서는 열차운전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운전업무종사자’의 한 가지로 분류하는 반면, 기업(예컨대, 한국철도공사)에서는 ‘고속열차운전/일반열차운전/광역열차운전/전철전력유지보수작업관리(장비)/전철전력설비유지보수(장비)/시설장비유지보수(사무소)/시설장비유지보수(사업소)’의 일곱 가지로 세분화하여 운영/관리하는 등, 법(예컨대, 철도안전법)과 기업(예컨대, 한국철도공사)의 직무분류가 서로 다르다. 특히, 철도안전법에서는 철도종사자의 업무를 9가지의 법정직무로 분류하고 상기 법정직무별로 교육주기,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규정하고 있으나, 한국철도공사는 500개 이상의 직무를 운영하고 있음으로써, 500개 이상의 기업직무들 각각이 9가지 법정직무에 해당되는지, 해당되는 경우 어떠한 법정직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고, 결과적으로 500개 이상의 기업직무들 각각에 대하여 법에서 지정한 필수교육과정을 정확하게 선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사자의 직무가 변동되더라도 법정직무가 변동 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종사자의 교육정보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경전 직무에 대응한 법정직무명과 변경 후 직무의 법정직무명의 동일성 여부를 파악해서 교육정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방대한 기업의 직무명과 법정직무들 간에 연계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종사자들 각각에 대한 교육정보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업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예컨대, 철도차량정비자격 취득 등)에 따라 달라지는 종사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예컨대, 이수해야할 교육내용, 교육내용별 잔여 이수시간, 잔여 이수기한 등)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사자들의 인사변동, 또는 업무환경 변화의 발생으로 인해, 종사자의 직무가 변동된 경우 해당 종사자들 각각에 대한 교육정보를 변경 적용해야 하는데, 인사변동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이 수시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업무환경변화는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상기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대상자의 법정직무 변동여부 등을 파악하여 교육정보를 재설정하고 안내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불규칙하여, 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법적기준에 따라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종사자들 각각의 직무별로 교육의 종류, 이수시간, 및 이수시간 등이 서로 상이한 기업의 사내교육을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되,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고, 수시로 발생하는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정보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업무환경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를 적용하여 종사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를 제공하고, 그 학습이력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사내교육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13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예컨대, 철도차량정비자격 취득 등)과, 업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지는,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예컨대, 이수해야할 교육내용, 교육내용별 잔여 이수시간, 잔여 이수기한 등)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직원에게 대응된 교육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직원들이 언제,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정확하게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직원들이 직무 수행을 위한 기술변화를 용이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무별로, 대응된 직원들 각각에게 필수적인 필수교육컨텐츠 및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를 각기 차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전이 수반되어야 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에게 주기적으로 필요한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기업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인사/발령 정보를 반영하여 직원들의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간에 직무가 변경된 직원에게 새로운 직무를 위해 필요한 학습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직원들이 직무 수행을 위한 정보의 습득을 빠르게 하고, 운영자는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로부터 학습결과를 수집하여, 직원별 학습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직원들 각각의 사내교육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학습자 본인도 자신의 학습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직원들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되,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기업직무명을 상기 법정직무명에 매칭시킴으로써,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직무별로 법에서 지정한 필수교육과정을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상기 교육정보를 대상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며, 그 학습이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公衆)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는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사내교육대상인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저장하는 교육대상정보 저장부; 직원들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교육대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직원들 각각의 학습정보를 관리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킨 직무매칭정보를 등록하는 매칭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등록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등록하는 교육대상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무매칭정보,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및 상기 교육대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결정단계; 및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예컨대, 철도차량정비자격 취득 등)과, 업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지는,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예컨대, 이수해야할 교육내용, 교육내용별 잔여 이수시간, 잔여 이수기한 등)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직원에게 대응된 교육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이 언제,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정확하게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직원들이 직무 수행을 위한 기술 변화를 용이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무별로, 대응된 직원들 각각에게 필수적인 필수교육컨텐츠 및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를 각기 차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전이 수반되어야 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에게 주기적으로 필요한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기업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인사/발령 정보를 반영하여 직원들의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간에 직무가 변경된 직원에게 새로운 직무를 위해 필요한 학습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직원들이 직무 수행을 위한 정보의 습득을 빠르게 하고, 운영자는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로부터 학습결과를 수집하여, 직원별 학습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직원들 각각의 사내교육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학습자 본인도 자신의 학습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직원들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되,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기업직무명을 상기 법정직무명에 매칭시킴으로써,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직무별로 법에서 지정한 필수교육과정을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 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상기 교육정보를 대상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며, 그 학습이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公衆)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학습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이 철도공사에 적용된 경우, 직무별 학습정보의 변경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을 적용하여 철도관련 종사자의 학습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철도관련 종사자의 철도직무교육정보를 관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의 동작 화면에 대한 예시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학습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100)(이하, ‘학습관리시스템(100)’으로 약칭함)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컨텐츠 관리서버(200), 학습자 단말장치(300),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 및 인사정보 관리서버(500)와 연동하여 기업의 사내교육(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을 위한 학습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이를 위해,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컨텐츠 관리서버(200), 학습자 단말장치(300),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 및 인사정보 관리서버(500)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서버(200)는 사내교육을 위한 각종 컨텐츠들(이하, ‘교육컨텐츠’라 칭함)을 저장/관리하는 서버로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로 구현되어, 학습관리시스템(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거나, 학습관리시스템(100) 내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관리서버(200)는 상기 교육컨텐츠들 각각의 분류정보, 학습조건, 및 실행정보를 포함하는 서지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류정보는 교육컨텐츠의 내용, 또는 해당 교육컨텐츠의 학습이 필요한 직업군 등에 따라 상기 교육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조건은 해당 교육컨텐츠를 학습해야 하는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실행정보는 해당 교육컨텐츠의 실행파일 또는 해당 교육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연결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서버(200)가 학습관리시스템(100) 내에 탑재된 경우, 각 교육컨텐츠들의 실제 실행파일을 저장하거나, 해당 교육컨텐츠가 저장된 외부 데이터베이스(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의 연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관리서버(200)는 특정 기업의 직무(예컨대, 철도관련 분야의 기업의 철도직무, 또는 철도차량정비업무 등)에 국한된 교육컨텐츠 뿐만 아니라. 일반 직장인으로서의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양 교육컨텐츠(예컨대,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 및 개인정보보호교육 등)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장치(300)는 학습자(즉, 사내교육대상인 직원)들의 단말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학습관리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직원별 학습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학습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데스크탑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는 학습관리자(즉, 사내교육 관리자)의 단말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학습관리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사내교육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학습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는 사내교육 학습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데스크탑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사정보 관리서버(500)는 기업의 인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서버로서,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학습관리시스템(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거나, ‘그룹웨어’형태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학습관리시스템(10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룹웨어’란 기업의 인사정보를 비롯하여 직원들 간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인사정보는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특히, 업무 관련 자격사항 등), 및 근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관리시스템(100)은, 기업에 소속된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와, 해당 기업의 직무(특히, 법정직무와 연계된 기업의 직무, 즉, 법정직무)와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학습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정보들에 의해, 직원들(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인 직원) 각각에게 필요한 필수학습정보, 및 상기 직원들 각각이 선택 가능한 선택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학습정보는 학습내용(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교육컨텐츠 들) 뿐만 아니라, 그 직무별로 법으로 규정된 필수학습과정, 상기 필수학습과정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예컨대, 학습개시일로부터 이수완료일까지의 기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1 직무에 발령된 제1 직원에 대한 학습정보의 경우, 상기 제1 직무와 관련하여 법으로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필수학습과정, 상기 제1 필수학습과정에 대하여 법으로 규정된 총 이수시간(예컨대, 35시간) 및 이수기한(예컨대, 5년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수기한은 상기 제1 필수학습과정을 이수완료해야 할 시점을 법으로 규정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직원이 상기 제1 직무에 발령된 발령일로부터 5년, 또는 상기 발령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5년과 같은 형태로 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철도안전법에 의하면, 철도종사자들의 직무를 크게 9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9가지 분류에 해당되는 직무를 보유한 철도종사자는 직무의 변동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매 5년이 되는 날까지 철도직무교육을 수료해야 하도록 규정(법 제24조)하고 있으며, 철도종사자 중 철도차량정비경력증을 보유한 종사자는 발급일로부터 매 5년마다 철도차량정비교육을 수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법은 철도차량정비기술자의 정비 차종을 크게 3가지(예컨대, 고속/일반/광역)로 분류하여 차종이 바뀌는 날로부터 1년 내 해당교육을 이수하도록 규정(법 제24조의 4)하고 있다.
한편, 상기 직무별 학습정보는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별 필수학습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업별 직무와, 대응된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가 서로 상이할 경우,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해당 기업의 직무를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로 재분류한 후,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별 필수학습과정을 참고하여 직무별 학습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예에 의하면, 철도안전법에 의해, 철도종사자의 직무를 크게 9가지로 분류하고 있지만, 철도공사의 직무분류체계는 철도안전법에 의한 직무 분류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철도안전법에서 분류하는 철도종사자의 직무에는 철도차량점검/정비 업무 종사자, 및 운전업무종사자를 포함하지만, 철도공사는 고속차량 정비사를 고속차량경정비 및 고속차량중정비 직무로, 일반차량 정비사를 수송차량경정비 직무로, KTX 기관사를 고속열차운전 직무로, 무궁화 기관사를 일반열차운전 직무로, 지하철 기관사를 광역열차운전 직무로 각각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공사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철도공사의 직무 중 고속차량경정비/고속차량중정비/수송차량경정비 직무를 철도차량 점검, 정비 업무 종사자로 재분류하고, 철도공사의 직무 중 고속열차운전/일반열차운전/광역열차운전 직무를 운전업무종사자로 재분류하는 과정을 더 수행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인사정보 관리서버(5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인사정보수집주기(예컨대, 하루, 일주일 등) 마다 해당 기업의 인사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직원들(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인 교육대상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사정보수집주기는 기업의 발령주기(예컨대, 1년 등) 보다 짧은 주기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직원들(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라 직원들 각각의 학습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직원의 직무 변동에 따른 필수학습정보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철도공사의 예에서와 같이, 기업 내의 직무와 대응된 법령에 의한 직무가 서로 다른 경우, 기업 내의 직무가 변동했다하더라도, 대응된 법령에 의한 직무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철도공사는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직무별 학습정보를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철도공사의 직원 중 직무가 ‘고속차량경정비’에서 ‘수송차량경정비’로 변경된 경우, 철도안전법상 동일한 직무(즉, 철도차량 점검, 정비 업무 종사자)이므로, 철도공사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해당 직원의 직무가 변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된 필수학습정보를 변경적용하지 않는다. 반면, 철도공사의 직원 중 직무가 ‘고속차량경정비’에서 ‘고속열차운전’으로 변경된 경우, 철도안전법상 철도차량 점검, 정비업무 종사자에서 운전업무종사자로 그 직무가 변경된 것이므로, 철도공사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해당 직원의 직무가 변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된 필수학습정보(예컨대, 학습과정,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를 변경적용한다.
또한, 상기 수집된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철도차량 점검, 정비 업무 종사자로 그 직무가 분류된 임의의 철도공사 직원이 ‘철도차량정비경력증’을 취득한 것이 확인되면, 철도공사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해당 직원을 철도직무교육 대상자에서 철도차량정비교육대상자로 편입하고, 그에 따라 해당 직원의 직무별 학습정보를 변경적용한다. 이 때, 해당 직원의 직무가 철도안전법상 담당 차종이 변경된 경우에는 교육기간을 변경적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교육기간을 변경적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철도공사에서 KTX를 정비하는 직원 A는, 그 직무에 의해 철도직무교육 대상자(CASE 1)로 분류되나, 철도차량정비경력증을 취득하는 순간 철도차량정비교육 대상자(CASE 2)로 재분류되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학습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법적기준에 의해 종사자들의 직무교육을 수행하는 철도공사의 경우, 직원들 각각에 대하여, 발령정보, 자격취득 정보, 및 근태정보(예컨대, 휴직, 및 파견 등)의 변동 등 수시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반영하여 직원별 학습정보를 관리하여야 하는 데,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100)가 이를 대행할 수 있음으로써, 체계적인 학습관리가 가능하고, 교육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장치(300)의 학습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된 학습자(즉, 직원)의 학습정보(예컨대, 학습이력, 학습스케줄 등)를 해당 학습자(즉, 직원)에게 제공하고,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를 통한 학습관리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업의 사내교육 관리정보를 상기 학습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이 직무에 따라 관리하는 직원별 학습정보(필수학습과정,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 등)에 의거하여 직원별 학습스케줄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직원들 각각에게 대응된 학습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학습관리시스템(100)는 특정 교육컨텐츠 학습을 위한 학습자 단말장치(300)의 학습신청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교육컨텐츠를 학습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거나, 해당 교육컨텐츠의 연결정보를 학습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하여 학습자 단말장치(300)가 해당 교육컨텐츠로 연결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학습자 단말장치(300)의 학습신청에 대응된 교육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서버(200)로 해당 학습자의 요청을 전달하여, 컨텐츠 관리서버(200)가 학습자 단말장치(300)로 직접 교육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장치(300)가 요청한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습자 단말장치(300)의 연결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학습자별로 추천되거나,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필수교육컨텐츠 또는 선택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별 학습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대응된 학습자에게 미리 설정된 형태의 알림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상기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학습 일정이 임박한 학습자에게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100)(이하, ‘학습관리시스템(100)’으로 약칭함)은 저장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교육컨텐츠 선정부(140),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 학습결과 수집부(160), 교육대상정보 갱신부(170), 학습스케줄 설계부(180), 및 학습스케줄 알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기업의 사내교육을 위한 학습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 및 상기 학습정보의 관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들을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들(예컨대,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 컨텐츠 정보 관리 DB(40), 및 직무정보 관리 DB(50))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는 사내교육대상(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인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저장한다. 이러한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4a에 예시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는, 직원 식별정보 저장필드(11); 해당 직원의 입사일, 신상정보, 및 직위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저장하는 인사정보 저장필드(12); 해당 직원의 과거직무이력, 현재직무, 및 현재직무발령일을 포함하는 발령정보를 저장하는 발령정보 저장필드(13); 기업직무에 매칭된 법정직무명(14); 및 소정 기간(예컨대, 6개월) 이상의 휴직 또는 파견정보를 포함하는 근태정보(15)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는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상기 필수학습과정, 상기 이수시간, 및 상기 이수기한은 모두 법정직무별로 법령에 의해 규정된다.
예를 들어, 철도산업의 경우, 「철도안전법 시행규칙」별표 13이 3에서의 지정한 법정직무별로, 「철도안전법」제24조의 4에 의해 지정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철도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의 경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는 상기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별 필수학습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도공사와 같이, 기업별 직무와, 대응된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가 서로 상이할 경우, 해당 기업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직무정보 관리 DB(50)에 저장된 직무매칭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기업의 직무(즉, 기업직무명)를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즉, 법정직무명)로 재분류한 후,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 저장된(즉, 법령에 의해 지정된), 직무별 필수학습과정을 참고하여 직무별 학습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는 상기 직원들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한다. 즉,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는 직원들 각각에게 필요한 학습과정, 및 학습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4b에 예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는 직원 식별정보 저장필드(31); 해당 직원의 필수학습정보 저장필드(32); 해당 직원의 추천 교육컨텐츠(즉, 필수교육컨텐츠, 및 선택교육컨텐츠) 목록을 저장하는 추천 교육컨텐츠 목록 저장필드(33); 해당 직원의 학습스케줄을 저장하는 학습스케줄 저장필드(34); 해당 직원의 학습이력을 저장하는 학습이력 저장필드(35); 및 해당 직원의 잔여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잔여학습정보 저장필드(36)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필수학습정보 저장필드(32)는 해당 직원의 법정직무에 대응한 필수학습정보로서, 필수학습과정명,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함께 저장하고, 추천 교육컨텐츠 목록 저장필드(33)는, 후술될 교육컨텐츠 선정부(140)에서, 해당 직원의 필수교육컨텐츠 및 선택교육컨텐츠로 선정된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학습스케줄 저장필드(34)는 후술될 학습스케줄 설계부(180)에서 자동설계된 학습스케줄, 또는 해당 직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설계된 학습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학습스케줄은 상기 필수학습정보, 및 상기 추천 교육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교육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학습일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이력 저장필드(35)는 후술될 학습결과 수집부(160)에서 수집된 해당 직원의 학습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이력 저장필드(35)에는 해당 직원이 이전에 학습한 교육컨텐츠와, 상기 교육컨텐츠의 학습을 완료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잔여학습정보 저장필드(36)는 해당 직원이 학습해야 할 필수교육컨텐츠 중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육컨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직원이 이수해야 할 전체 교육이수시간 대비 잔여 교육이수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잔여학습정보 저장필드(36)는 상기 필수학습과정별로 잔여이수시간, 및 잔여이수기한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관리 DB(40)는 사내교육용으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육컨텐츠들, 및 상기 교육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서지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 관리 DB(40)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4c에 예시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컨텐츠 정보 관리 DB(40)는, 교육컨텐츠 식별정보 저장필드(41); 해당 교육컨텐츠의 분류정보 저장필드(42); 해당 교육컨텐츠를 학습해야 할 학습자의 조건을 저장하는 학습조건 저장필드(43); 및 해당 교육컨텐츠의 실행파일 또는 해당 교육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연결정보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교육컨텐츠 실행정보 저장필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 관리 DB(40)는 학습관리시스템(100) 내에 탑재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로 구현되어, 학습관리시스템(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정보 관리 DB(40)에 저장되는 정보들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컨텐츠 관리서버(200)의 설명시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직무정보 관리 DB(50)는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예를 들어, 500개 이상의 직무를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이러한 기업직무들 각각을 9가지 법정직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즉, 한국철도공사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의 경우, ‘고속열차운전/일반열차운전/광역열차운전/전철전력유지보수작업관리(장비)/전철전력설비유지보수(장비)/시설장비유지보수(사무소)/시설장비유지보수(사업소)’의 일곱 가지 기업직무들을, ‘운전업무종사자’의 법정직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직무정보 관리 DB(50)는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 발생시, 이를 반영하여 상기 기업직무명과 상기 법정직무명 간의 매칭정보인 직무매칭정보를 변경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무정보 관리 DB(50)는 후술될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통신부(120)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을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업의 인사정보 관리서버(5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주기(예컨대, 1일, 1주일 등) 마다 인사정보 관리서버(500)로부터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후술될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인사정보수집주기는 기업의 발령주기(예컨대, 1년 등) 보다 짧은 주기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직원들(특히,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라 직원들 각각의 학습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직원의 직무 변동에 따른 필수학습정보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신부(120)는 컨텐츠 관리서버(200), 학습자 단말장치(300), 및 학습관리자 단말장치(400)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들, 미리 설정된 제어알고리즘,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입력된 학습관리시스템(100) 제어명령, 및 각종 수집 정보들에 의거하여, 학습관리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후술될, 교육컨텐츠 선정부(140),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 학습결과 수집부(160), 교육대상정보 갱신부(170), 학습스케줄 설계부(180), 및 학습스케줄 알림부(190)와, 통신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교육컨텐츠 선정부(14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예컨대, 과거직무이력, 현재직무, 및 현재직무발령일 등)(특히, 법정직무명)와,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 저장된 직무별 필수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필수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필수교육컨텐츠 정보를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즉, 추천 교육컨텐츠 목록 저장필드(33))에 저장한다.
또한, 교육컨텐츠 선정부(14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직원들각각의 인사정보(예컨대, 입사일, 신상정보, 직위 정보 등)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택교육컨텐츠 정보를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즉, 추천 교육컨텐츠 목록 저장필드(33))에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 직무정보 관리 DB(50), 및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한 후, 그 결과를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로부터 법정직무교육이 필요한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의 인사정보(예컨대, 발령정보, 근태정보, 자격정보 등)를 도출하고, 직무정보 관리 DB(50)로부터 직원의 발령정보(예컨대, 기업직무명)에 대응한 법정직무명을 도출하고,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로부터 상기 법정직무명에 대응한 필수학습정보를 도출하여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법정직무교육이 필요한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의 필수학습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최근 정보를 반영하여 기 저장된 학습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의 변경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인사정보가 변경된 임의의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새로운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학습과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고, 그 결과를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저장한다.
이 때,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기업의 업무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직무별 이수기한설정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변경된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 또는 이수기한 개시일을 자동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직원의 발령정보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법정직무가 변경’된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새로운 법정직무에 따라 상기 제1 직원의 필수학습과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상기 법정직무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직원이 2022년 8월 1일자에 새로운 법정직무로 변경되었고, 상기 새로운 법정직무에 대한 필수학습과정의 이수기한이 5년인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제1 직원의 새로운 법정직무에 대한 필수학습과정의 이수기한을 2023년 1월 1일부터 5년 이내인 2027년 12월 31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기기의 정비업무를 담당하는 제2 직원의 자격사항이 변경된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자격사항의 변경에 의해 상기 제2 직원의 필수학습정보를 새로운 자격사항에 대한 필수학습과정들로 변경하되,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상기 자격사항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날로부터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직원이 한국철도 공사에서 근무하며 2021년 이전 부터 ‘고속차량경정비’직무를 수행한 경우 상기 제2 직원은 2021년 1월 1일부터 5년 이내(즉, 2025년 12월 31일 까지)에 철도직무교육을 35시간 이상을 이수해야 하는데, 상기 제2 직원이 ‘철도차량정비자격’을 취득하여 자격사항이 변경되었다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제2 직원을 정비교육훈련 대상으로 재분류하며, 해당 교육 이수기한은 철도차량정비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로 재설정한다. 이 때, 상기 제2 직원이 ‘철도차량 정비 업무 종사자’교육 중 ‘고속’교육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을 수료한 경우, 상기 제2 직원은 정비교육훈련을 정상적으로 수료하였으므로, 다음 정비교육훈련은 다음 교육기한(즉, 현재 교육기한 종료일의 다음날부터 5년간)에 학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2 직원이 정비교육훈련으로 지정된 교육과정을 학습하였더라도 해당 교육과정이 ‘고속’교육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철도직무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또한, 상기 제2 직원이 ‘고속차량경정비’직무가 아닌 ‘차량경정비’직무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이는 담당 차종의 변동이 발생한 것이므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제2 직원에 대하여, 새로운 직무에 대한 정비교육훈련을 1년 이내에 이수해야 하며, 다만, 이 경우에도 교육기한은 법에 따라 ‘자격을 취득한 날’로부터 5년 이내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2 직원이, 담당 차종이 동일한 ‘고속차량중정비’직무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이는 담당 차종의 변동이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제2 직원에 대하여 기존의 기준을 유지한다.
만약, 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6개월 이상의 휴직 또는 파견으로, 임의의 제3 직원에 대하여 직무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상기 제3 직원의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1년간 연장한다.
이와 같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의 변동에 따라, 직원별 학습정보를 변경적용하되, 대응된 법적직무의 필수학습정보를 반영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과정, 및 각각의 이수시간, 이수기한을 자동으로 변경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직원들이 각각의 직무별로 법에서 지정한 필수교육과정을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 발생으로 직무매칭정보가 변경적용되고, 그로 인해 법정직무가 변경된 제4 직원이 발생한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제4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상기 제4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을 새로운 법정직무에 대한 필수학습과정들로 변경하고,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상기 법정직무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산정한다.
또한, 후술될 학습결과 수집부(160)를 통해 직원들 각각의 학습결과를 수집한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학습결과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과정별로 잔여이수시간, 및 잔여이수기한을 산출하여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반영한다.
학습결과 수집부(160)는 사내교육을 실시한 직원들 각각의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를 위해, 학습결과 수집부(160)는 통신부(120)를 통해 학습자 단말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고, 학습자 단말장치(300)로부터 대응된 직원의 학습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교육대상정보 갱신부(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집된 기업의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기 저장된 교육대상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즉, 교육대상정보 갱신부(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인사정보수집주기(예컨대, 하루, 일주일 등) 마다 수집된, 기업의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직원들 각각의 최신 인사/발령정보에 의한 학습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직원들의 인사정보 및 발령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라 직원들 각각의 직무별 학습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직원의 직무 변동에 따른 필수학습정보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학습스케줄 설계부(180)는 교육대상정보 관리 DB(40), 및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기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을 자동 설계하고, 상기 학습스케줄을 대응된 직원과 매칭시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학습스케줄 설계부(180)는 미리 설정된 학습스케줄 설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을 자동으로 설계하거나, 해당 직원 또는 교육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직원의 학습스케줄을 수동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학습스케줄 설계부(180)는 상기 직원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대응된 직원의 학습스케줄을 변경 설계하고, 상기 변경된 학습스케줄을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반영할 수 있다.
학습스케줄 알림부(190)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의 내용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에게 학습정보를 안내한다. 특히, 학습스케줄 알림부(190)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즉, 학습스케줄 저장필드(34))에 저장된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학습시작 알림메시지를 대응된 직원의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즉, 학습스케줄 알림부(190)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즉, 학습스케줄 저장필드(34))에 저장된, 학습자별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대응된 학습자 단말장치(300)로 미리 설정된 형태의 알림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1,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킨 직무매칭정보를 등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망으로 수집된 정보, 또는 데이터 저장기기(예컨대, USB 등)에 저장된 정보의 형태로 상기 직무매칭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직무정보 관리 DB(5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등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망으로 수집된 정보, 또는 데이터 저장기기(예컨대, USB 등)에 저장된 정보의 형태로 상기 법정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직무정보 관리 DB(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정직무별 필수학습정보는 관련산업안전법(예컨대, 철도안전법 등)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상기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등록한다. 이를 위해, 단계 S310에서는, 통신부(120)가, 인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업의 인사정보 관리서버(500)로부터 상기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수집하고, 단계 S320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수집된 인사정보들로부터 법정직무교육대상자를 선정하고, 단계 S330에서는, 제어부(130)가 상기 법정직무교육대상자로 선정된 직원의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한다. 이 때, 단계 S320에서는, 제어부(130)가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기업직무를 식별한 후, 단계 S100에서 등록된 직무매칭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의 법적직무를 식별하고, 상기 법적직무에 의거하여 해당 직원이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기업의 인사정보 관리서버(500)로부터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수집한 후, 그 수집된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육대상정보를 최근정보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직무정보 관리 DB(50)에 저장된 직무매칭정보,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 저장된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및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교육대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단계 S405에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교육대상정보의 변경 여부를 분석하고, 그 결과 학습정보 변경요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교육대상이 최초로 등록될 때에는 교육대상정보가 변경된 것이 아니므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10에서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로부터 직원별 필수학습과정을 선정하고, 단계 S415에서는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별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매칭하여,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20)에 법정직무별로 필수학습과정,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이 매칭시켜 저장된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10 및 단계 S415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가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를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 DB(30)에 저장한다.
단계 S600에서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가 상기 저장된 직원별 학습정보에 변경요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교육대상정보 관리 DB(10)에 저장된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의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인사정보가 변경된 직원에 대하여 학습정보 변경요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학습정보 변경요건 발생에 응답하여,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20 내지 단계 S465에서, 상기 학습정보 변경요건의 종류에 따른 학습정보 변경과정을 수행하되, 새로운 인사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학습과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상기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고, 기업의 업무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직무별 이수기한설정조건(예컨대, 5년 이내 등)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 또는 이수기한 개시일을 자동 설정한다.
먼저,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20에서, 변경요건의 종류를 확인한다.
그리고 그 종류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변경요건의 종류가 ‘인사정보의 변경’인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25에서, 상기 인사정보의 변경에 의해 교육대상자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430 내지 단계 S455에서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가 상기 변경된 인사정보의 종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변경된 인사정보가 발령정보의 변경 또는 자격요건의 변경인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35 및 단계 S440에서, 상기 발령정보 또는 자격요건의 변경에 의해 결정된 법적직무에 따라 해당 직원의 필수학습과정을 변경한 후 그 이수기한 개시일을 자동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변경된 인사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예컨대, 6개월)의 휴직 또는 파견의 발생인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현재의 학습정보를 유지하되, 단계 S455에서, 해당 학습과정에 대한 이수기한만을 자동으로 연장한다. 예컨대,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휴직 또는 파견 발생시, 상기 이수기한을 1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20에서 확인된, 변경요건의 종류가 ‘업무환경변화’인 경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단계 S460에서, 매칭정보를 갱신한다. 즉, 단계 S460에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직무매칭정보를 변경 적용한다.
단계 S465에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직무매칭정보의 변경적용에 의해, 특정 직원의 법정직무가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직무매칭정보의 변경적용에 의해 법정직무가 변경된 직원이 있는 경우, 단계 S435 및 단계 S440에서 해당 직원의 필수학습과정을 변경하고, 및 이수기한 개시일을 재설정한다. 예컨대, 단계 S440에서,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 개시일을 상기 법정직무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로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학습결과의 수신에 의한 직원별 학습정보의 변경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단계 S710에서는, 학습결과 수집부(160)가, 사내교육을 실시한 직원들 각각의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단계 S720에서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가 상기 학습결과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과정별로 잔여이수시간, 및 잔여이수기한을 산출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8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직원별 필수 교육컨텐츠, 또는 직원별 선택 교육컨텐츠를 추천한 후, 이를 확인한 직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직원의 학습과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S810에서는, 교육컨텐츠 선정부(140)가, 직원들 각각의 법정직무명 및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필수교육컨텐츠를 선정하거나, 또는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 각각을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그 결과에 의해 해당 직원에게 상기 필수/선택 교육컨텐츠를 추천한다. 단계 S820 및 단계 S830에서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가 상기 추천 컨텐츠에 대한 대상 직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900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이 직원의 학습스케줄을 설계한 후, 그 결과에 대상 직원에게 학습스케줄을 통보한다. 이를 위해, 단계 S910에서는, 학습스케줄 설계부(180)가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을 자동설계한다. 그러면,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학습스케줄을 대응된 직원과 매칭시켜 해당직원의 학습정보에 반영한다. 단계 S920에서는, 학습스케줄 알림부(190)가,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에게 학습정보를 안내하되,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학습시작 알림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학습시작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각 단계별로, 대응된 장치들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을 적용하여 철도관련 종사자의 학습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들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이, 철도관련업체(예컨대, 한국철도공사 등)의 그룹포털 시스템으로부터 철도관련종사자의 데이터(예컨대, 발령, 직무, 자격, 학력 등) 일체를 수신한 후, 철도관련 종사자의 속성정보 변경에 따른 철도직무교육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이, 철도관련업체(예컨대, 한국철도공사 등)의 그룹포털 시스템으로부터 철도관련종사자의 데이터(예컨대, 발령, 직무, 자격, 학력 등) 일체를 수신한 후, 철도직무교육/정비교육훈련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수신된 철도관련종사자의 데이터를 점검한다. 단계 S12에서는, 상기 점검결과 특정 종사자의 직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13에서는, 상기 특정 종사자의 변경된 직무가 철도직무교육대상직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14에서는, 변경된 직무가 철도직무교육대상직무인 경우 법상 업무 분류(예컨대, 운전업무종사자, 관제업무종사자 등)가 달라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법상 업무 분류가 달라졌다는 것은, 상기 특정 종사자의 법적직무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법상 업무 분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철도관련업체(예컨대, 한국철도공사)의 직무가 변경되더라도 법상 분류가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종사자의 학습정보를 기존과 동일하게 관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계 S15에서는, 상기 특정 종사자의 변경된 직무가 철도직무교육대상직무임과 동시에 법상업무분류가 변경된 경우, 상기 특정 종사자의 학습 내용에 새로운 기준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단계 S15에서, 상기 특정 종사자의 필수학습과정을, 변경된 직무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변경하고, 상기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직무가 변경된 날이 포함된 해의 다음년도 1월 1일부터로 새롭게 설정한 후, 상기 특정 종사자가 관련된 철도직무교육을 이수하도록 안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6 내지 단계 S18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특정 종사자가 철도직무교육을 정상적으로 수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특정 종사자가 해당 철도직무교육을 정상적으로 수료한 경우 기간 내 정상수료 처리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학습안내 알림 방송을 수행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특정 종사자가 수료한 학습과정(즉, 철도직무교육)의 법상 업무 분류와, 상기 특정 종사자의 직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고, 상기 학습과정의 법상 업무 분류와, 상기 특정 종사자의 직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종사자를 해당 학습과정에 대한 정상 수료자로 관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수신된 철도관련종사자의 데이터를 점검하고, 단계 S22에서는, 상기 점검결과 특정 종사자가 철도정비경력증 보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철도정비경력증을 보유한 종사자의 경우,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상 정비교육훈련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함이다.
단계 S23에서는, 상기 특정 종사자에 대하여 직무변경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철도정비경력증 소지 종사자의 직무 변경 여부만을 판단하고, 법상 업무 분류가 달라지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데, 이는, 상기 철도정비경력증 소지 종사자의 경우, 입사 후 철도차량정비와 관련된 업무에만 종사하기 때문이다.
단계 S24에서는, 상기 특정 종사자의 담당 차종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철도차량 기술기준에 따르면, 차량정비관련 종사자의 담당차종은 고속/일반/광역/기타로 구분하며, 담당차종이 고속/일반/광역에서 기타로 변경된 경우, 해당 종사자의 학습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나, 담당차종이 기타에서 고속/일반/광역으로 변경되거나, 고속/일반/광역간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그 변경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변경된 차종과 관련된 교육을 추가로 이수해야 한다.
따라서 단계 S25에서,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특정 종사자의 담당 차종이 기타에서 고속/일반/광역으로 변경되거나, 고속/일반/광역간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종사자의 학습 내용에 새로운 기준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단계 S25에서, 상기 특정 종사자의 담당차종이 변경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변경된 차종과 관련된 교육을 추가로 이수하도록 그 학습내용을 변경적용하고, 그 결과를 안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6 내지 단계 S28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특정 종사자가 철도직무교육 또는 정비교육훈련을 정상적으로 수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종사자가 해당 철도직무교육 또는 정비교육훈련을 정상적으로 수료한 경우 기간 내 정상수료 처리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학습안내 알림 방송을 수행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특정 종사자가 수료한 학습과정(즉, 철도직무교육)의 법상 업무 분류 및 담당차종과, 상기 특정 종사자의 직무 및 담당차종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고, 상기 학습과정의 법상 업무 분류 및 담당차종과, 상기 특정 종사자의 직무 및 담당차종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종사자를 해당 학습과정에 대한 정상 수료자로 관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철도관련 종사자의 철도직무교육정보를 관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역무(수송) 직무를 보유한 종사자 A의 직무 및 인사정보의 변경에 따라,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종사자 A의 학습내용을 변경 관리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종사자 A는 법에서 정한 철도직무교육 규정에 의해, 상기 철도직무교육 개시일인 2021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 까지의 기간(블랙 점선 표시구간) 내에 21시간 이상 철도직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종사자 A가 2023년 2월 1일부터 6개월간 휴직(예컨대, 육아휴직)을 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휴직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종사자 A의 철도직무교육 이수기한을 2026년 12월 31일까지(오렌지색 점선 표시구간)로 1년 연장 설정한다.
한편, 2023년 8월 1일부터 상기 종사자 A의 직무가 로컬관제로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직무의 변경이 법상업무분류의 변경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종사자 A의 학습정보를 변경적용한다.
이 때, 역무(수송) 직무에서 로컬관제 직무로의 직무변경은 법상업무분류의 변경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종사자 A의 학습정보를, 상기 종사자 A의 직무가 변경된 다음해인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5년 이내)(초록색 점선 표시구간), 로컬관제와 관련된 철도직무교육을 이수하도록 변경하여 관리한다.
만약, 상기 종사자 A의 직무가 로컬관제 직무가 아닌, 법에서 정한 업무 구분 외의 직무로 변경된 경우, 본 발명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상기 종사자 A를 더 이상 철도직무교육 관리 대상자로 관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법적기준에 의해 종사자들의 직무교육을 수행하는 기업의 사내 교육을 관리하되, 직원들 각각에 대하여, 발령정보, 자격취득 정보, 및 근태정보(예컨대, 휴직, 및 파견 등)의 변동 등 수시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반영하여 직원별 학습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체계적인 학습관리가 가능하고, 교육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의 동작 화면에 대한 예시도들로서, 철도관련 종사자의 학습을 관리하기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의 동작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a는 철도직무교육 관리 페이지의 예를 도시하고, 도 11b는 정비교육훈련 관리 페이지의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사변동(예컨대, 담당 업무의 변경, 및 휴직/승진과 같은 근태의 변경 등) 또는 자격사항의 변동(예컨대, 철도차량정비자격 취득 등)과, 업무환경의 변화(예컨대, 업무의 신설/폐지로 인한 직무의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지는,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예컨대, 이수해야할 교육내용, 교육내용별 잔여 이수시간, 잔여 이수기한 등)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직원에게 대응된 교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이 언제,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정확하게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직원들이 직무 수행을 위한 기술 변화를 용이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되,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기업직무명을 상기 법정직무명에 매칭시킴으로써,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들 각각의 직무별로 법에서 지정한 필수교육과정을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公衆)의 안전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 대상자인 직원들 개개인의 교육정보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상기 교육정보를 대상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며, 그 학습이력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公衆)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110: 저장부
10: 교육대상정보 관리 DB 20: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관리 DB
30: 직원별 학습정보관리 DB 40: 컨텐츠 정보 관리 DB
50: 직무정보 관리 DB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교육컨텐츠 선정부
150: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 160: 학습이력 관리부
170: 교육대상정보 갱신부 180: 학습스케줄 설계부
190: 학습스케줄 알림부 200: 컨텐츠 관리서버
300: 학습자 단말장치 400: 학습관리자 단말장치
500: 인사정보 관리서버

Claims (16)

  1.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켜 관리하는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상기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저장하는 교육대상정보 저장부;
    직원들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직무정보 관리부,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저장부, 및 상기 교육대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업의 인사정보 관리서버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사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된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육대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교육대상정보를 최근정보로 업데이트하는 교육대상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는
    상기 최근의 교육대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사정보가 변경된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새로운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학습과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고,
    기업의 업무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직무별 이수기한설정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변경된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 또는 이수기한 개시일을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정보 관리부는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기업직무명과 상기 법정직무명 간의 매칭정보인 직무매칭정보를 변경적용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는
    상기 직무매칭정보의 변경적용에 의해, 법정직무가 변경된 제2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상기 제2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을 새로운 법정직무에 대한 필수학습과정들로 변경하고,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상기 법정직무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사내교육을 실시한 직원들 각각의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학습결과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관리부는
    상기 학습결과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과정별로 잔여이수시간, 및 잔여이수기한을 산출하여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원들 각각의 법정직무명 및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필수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필수교육컨텐츠 정보를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교육컨텐츠 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 선정부는
    상기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택교육컨텐츠 정보를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추가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의 내용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에게 학습정보를 안내하는 학습스케줄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의 내용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을 자동 설계하고, 상기 학습스케줄을 대응된 직원과 매칭시켜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부에 추가 저장하는 학습스케줄 설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스케줄 알림부는
    상기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학습시작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9.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직원들 각각의 학습정보를 관리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기업에서 운영/관리하는 기업직무명과 법에서 분류/지정하는 법정직무명을 매칭시킨 직무매칭정보를 등록하는 매칭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법정직무별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하여,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를 등록하는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들 각각의 발령정보, 자격사항, 및 근태정보를 포함하는 인사정보를 교육대상정보로서 등록하는 교육대상정보 등록단계;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무매칭정보,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 및 상기 교육대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육과정인 필수학습과정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에 대한 이수시간, 및 이수기한을 포함하는 직원별 학습정보를 결정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결정단계; 및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직원별 학습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인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업의 인사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직원들 각각의 인사정보를 수집하는 인사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수집된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육대상정보를 최근정보로 업데이트하는 교육대상정보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결정단계는
    상기 최근의 교육대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사정보가 변경된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새로운 인사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학습과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고,
    기업의 업무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직무별 이수기한설정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 또는 이수기한 개시일을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정보 등록단계는
    업무의 신설/폐지와 같은 업무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직무매칭정보를 변경적용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결정단계는
    상기 직무매칭정보의 변경적용에 의해, 법정직무가 변경된 제2 직원의 학습정보를 변경하되, 상기 제2 직원의 학습정보에 포함된 필수학습과정들을 새로운 법정직무에 대한 필수학습과정들로 변경하고,
    변경된 필수학습과정들 각각의 이수기한을 상기 법정직무의 변경이 발생한 다음해 1월 1일부터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사내교육을 실시한 직원들 각각의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학습결과 수집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 결정단계는
    상기 학습결과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필수학습과정별로 잔여이수시간, 및 잔여이수기한을 산출하여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들 각각의 법정직무명 및 상기 직무별 필수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필수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필수교육컨텐츠 정보를 대응된 직원의 학습정보에 반영하는 교육컨텐츠 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 선정단계는
    상기 인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직원들 각각이 선택 가능한 선택교육컨텐츠를 차별적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택교육컨텐츠 정보를 대응된 직원의 학습정보에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에게 학습정보를 안내하는 학습스케줄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이,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의거하여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을 자동설계하고, 상기 학습스케줄을 대응된 직원과 매칭시켜 상기 직원별 학습정보에 반영하는 학습스케줄 설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스케줄 알림단계는
    상기 직원들 각각의 학습스케줄에 의거하여, 학습시작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교육용 학습관리 방법.
KR1020230016509A 2022-03-11 2023-02-08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963 2022-03-11
KR20220030963 2022-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61A true KR20230133761A (ko) 2023-09-19
KR102588645B1 KR102588645B1 (ko) 2023-10-12

Family

ID=879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09A KR102588645B1 (ko) 2022-03-11 2023-02-08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8645B1 (ko)
WO (1) WO20231718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399A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20076519A (ko) * 2010-11-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2843A (ko) * 2011-10-19 2013-04-29 서울대학교병원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에 따른 구성원 역량 관리 시스템
KR20200087037A (ko) * 2019-01-10 2020-07-20 (주)스마트소셜 기업 표준 직무 분류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836A (ja) * 2002-11-07 2004-06-03 Nec Corp 教室予約/変更システム、教室予約/変更サーバ、プログラム
KR20120027963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399A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20076519A (ko) * 2010-11-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2843A (ko) * 2011-10-19 2013-04-29 서울대학교병원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에 따른 구성원 역량 관리 시스템
KR20200087037A (ko) * 2019-01-10 2020-07-20 (주)스마트소셜 기업 표준 직무 분류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645B1 (ko) 2023-10-12
WO2023171864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Almeida et al. Lean thinking: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Endsley et al. Situation awareness in aircraft maintenance teams
Besterfield et al. Total Quality Management Revised Edition: For Anna University, 3/e
Ward et al. A performance improvement case study in aircraft mainten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hazard identification
Kermanshachi et al. Project scoping process model development to achieve on-time and on-budget delivery of highway projects
Ibáñez et al. Maping gendered social closure mechanisms through examination of seven male‐dominated occupations
Baha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process
KR102588645B1 (ko)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Timbang et al.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and management commitment in process safety management
Hunter et al. Doing more with less in the public sector
Riaz et al. Data flow analysis of plant and equipment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Robinson et al. Practical innovation in government: How front-line leaders are transforming public-sector organizations
Ludwig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Airports: Guidebook
Stevens Predictive Safety Analytics: Reducing Risk Through Modeling and Machine Learning
Houe Competence management for business integration
Parmenter The new thinking on KPIs
Denis et al. A BASE (ic) course on job analysis
Smart Ready, set, implement: A road map for SMS success
DRUGGE et al. Digitalization within Logistics Management An increased use of digital tools on the construction site
LYTELL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ir Force Enlisted Skills Management System
Mangual Challenges to Implementing an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n Aerospace Service Center: A Case Study
Nasution et 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Company Employees
Jans Safety culture TDGI
Lu Managing safety risks in international companies: establishing a proactive safety culture
Palawongs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capability in knowledge transfer: the case of the Airports of Thailand Public Company Limited (A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