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963A -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963A
KR20120027963A KR1020100089873A KR20100089873A KR20120027963A KR 20120027963 A KR20120027963 A KR 20120027963A KR 1020100089873 A KR1020100089873 A KR 1020100089873A KR 20100089873 A KR20100089873 A KR 20100089873A KR 20120027963 A KR20120027963 A KR 2012002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rriculum
unit
educatio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Priority to KR102010008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963A/ko
Publication of KR2012002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다양한 단체의 교육 담당자를 회원으로 하여 교육 기획에서 실적 평가까지의 모든 교육과정 관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 없이도 교육 담당자들의 간단한 가입을 통해서 각 교육 담당자가 관리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표준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각 교육과정 진행에 필요한 항목과 설정 내용들에 대한 표준적인 템플릿을 제공하여 쉽고 간단하게 교육과정을 생성 및 등록하고 그에 따른 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적 확인 및 유의미한 통계적 자료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교육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Web-based business management syste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본 발명은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다양한 단체의 교육 담당자를 회원으로 하여 교육 기획에서 실적 평가까지의 모든 교육과정 관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HRD)은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 훈련, 육성, 역량개발, 경력관리와 같이 직무교육을 포함하는 인재경영 및 인재육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HRD 업무 중 주요업무가 교육과정의 수립 및 지원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curriculum)이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 조직한 계획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학습 과정과 활동 자체를 간단히 교육과정이라 하기도 하지만, 실제 교육과정은 다양한 시각과 관심 및 철학적 기반 위에서 결정되는 쉽지 않은 작업으로, 적어도 교육과정은 그 사회의 이념과 맞아야 하는 철학적 기초,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사회적 기초, 학습자들의 발달단계에 적합해야 하는 심리적 기초 등의 토대 위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많은 교육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전문 교육기관에서의 교육계획은 사고력 등 인지능력을 중시하는 인지과정중심 교육과정, 개인의 의미를 중요시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 몇 개의 교과목을 통합하여 주제나 경험중심으로 구성하는 통합교육과정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과정 중에서 학습 내용에 적절하게 선택되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 교육기관이 아닌 일반 회사에서 사내 교육을 진행하는 경우나, 타업체 혹은 관련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와 같이 사내 교육센터 등에서 특정한 주제나 학습 대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 학습 내용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부터 구체적인 계획안과 이를 진행하기 위한 각종 관련 내용을 구성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사내 교육 담당자가 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기는 쉽지 않으며, 이러한 교육 담당 업무를 전업으로 실시할 수 없는 환경인 경우라면 이러한 교육 관리 작업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학습자에게 최고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학적 의미에서의 교육과정 설정의 어려움을 제외한다 하더라도 실제 복수의 교육과정을 만들고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 많은 고려 사항들과 관리해야할 항목이나 대상들에 대한 설정부터 난관을 만나게 된다. 더하여, 타업체나 관련자에게 교육을 제공할 경우 고용보험 환급 관련 서류를 작성해야 하거나, 강사에 관한 관리를 해야 하거나, 학습자에 관한 등록과 진행 상황 파악 및 그에 따른 실적 확인을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매 차수마다 반복 실시해야 하는 등 대단히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이 수반되게 된다.
그에 따라, 일정한 규모 이상의 업체에서는 사내 교육이나 사외 교육 시 교육에 관련된 관리 작업을 지원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전문 개발 업체에 의뢰하여 활용하고 있다.
즉, 대기업이나 공기업, 교육을 빈번하게 실시하는 중소기업 혹은 공공기관 등에서는 자체적 혹은 전문 개발 업체를 통해서 교육 과정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교육 전문가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 내용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며, 이러한 교육과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부분은 자동화를 실시하는 등의 전용 프로그램을 자사나 교육 내용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하여 이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전문 인력과 오랜 시간 및 시행 착오 기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 교육 담당자는 이러한 작업을 범용 사무 프로그램 등을 통해 수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회적 분위기가 변화되거나 교육과정에 변화가 필요할 때마다 새롭게 프로그램을 개선하기가 쉽지 않아 효율성이 높지 않고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한편, 교육과정의 경우 그 내용은 달라질 수 있지만 그 과정에 관한 구성이나 계획은 유사 교육내용의 경우 유사할 수 있으나 전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이나 항목 등은 표준화되지 않아 전용 프로그램마다 유사한 내용을 독립적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게 된다. 또한, 사내 교육이나 사외 교육의 경우 최신 기술이나 동향 등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의 교육과정 관리 방식은 개별 회사별로 폐쇄적 구성을 가지므로 교육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교육과정을 생성 및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과정의 효율을 높이고 교육담당자의 부담을 줄임과 아울러,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 없이도 교육 담당자들의 간단한 가입을 통해서 각 교육 담당자가 관리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표준적인 교육과정(curriculum)을 제시하고, 각 교육과정 진행에 필요한 항목과 설정 내용들에 대한 표준적인 템플릿을 제공하여 쉽고 간단하게 교육과정을 생성 및 등록하고 그에 따른 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적 확인 및 유의미한 통계적 자료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효과적인 교육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교육내용에 따른 표준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교육과정 생성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복수 회원들의 다양한 커스텀 교육과정들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표준 교육과정 템플릿을 추가하도록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대한 표준 교육과정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필요한 대부분의 교육과정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회원으로 가입한 교육담당자를 소속사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등급을 설정하여 접근 가능한 정보를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동일 소속사의 회원 간 공동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효율을 높이고 소속이 다른 회원 간의 정보는 일부 공개된 정보만 공유 혹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교육에 관련된 동향이나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 및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교육담당자를 회원으로 하여 교육관련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입력 정보의 오류를 다양한 종류와 항목을 기준으로 확인하여 제공하도록 하여 교육담당자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은 복수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을 회원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으로서, 회원이 제공하는 교육과정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회원의 요청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는 회원 단말과; 상기 회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별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기 설정된 항목에 따른 정보를 등록받아 과정 및 차수별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관련 실적을 등록받아 교육 계획이나 실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요청 시 상기 회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회원 단말의 가입 시 소속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동일 소속 회원에 대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등록한 과정 및 차수 정보를 포함한 교육과정 내용을 표준 포맷으로 공유하도록 한 교육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회원 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소속을 기준으로 등록하여 계정 및 작업 공간을 생성하며 접속시 인증과 정보 교환을 중계하는 접속 관리부와; 상기 회원 단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과정과 차수를 등록하고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등록받아 교육계획을 자동 생성 및 제공하고 실적을 등록받아 실적 평가와 통계적 성과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기획부와; 상기 교육과정 템플릿 관련 정보와 기 등록된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내부 혹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파싱하는 교육 운영 데이터부와;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등록되는 정보를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과정 기획부와 접속 관리부를 통해 상기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를 검증하여 오류를 판별하는 등록 정보 검증부와;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를 통해 파싱되는 정보에서 요청 회원의 소속이나 등급 혹은 정보의 공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파싱정보 검증부를 구비한 공유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정보 관리부는 동일 소속 회원의 경우 소속 회원의 공유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생성된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소속 공유 제공부와; 요청된 정보에 대한 등급을 쿼리에 포함시키고, 파싱되는 데이터에서 필요한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일반 공유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은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 없이도 교육 담당자들의 간단한 가입을 통해서 각 교육 담당자가 관리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표준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각 교육과정 진행에 필요한 항목과 설정 내용들에 대한 표준적인 템플릿을 제공하여 쉽고 간단하게 교육과정을 생성 및 등록하고 그에 따른 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적 확인 및 유의미한 통계적 자료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교육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은 교육내용에 따른 표준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교육과정 생성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복수 회원들의 다양한 커스텀 교육과정들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표준 교육과정 템플릿을 추가하도록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대한 표준 교육과정 정보를 확보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교육과정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은 회원으로 가입한 교육담당자를 소속사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등급을 설정하여 접근 가능한 정보를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동일 소속사의 회원 간 공동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효율을 높이고 소속이 다른 회원 간의 정보는 일부 공개된 정보만 공유 혹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교육에 관련된 동향이나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 및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교육담당자를 회원으로 하여 교육관련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입력 정보의 오류를 다양한 종류와 항목을 기준으로 확인하여 제공하도록 하여 교육담당자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관리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정 기획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정보 관리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운영 데이터부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소속이 다른 다양한 교육 담당자들(1~4)이 회원으로서 교육 관리 서버(10)에 원격 접속하여 자신의 필요에 따른 교유과정을 생성하고, 관련 정보를 기 설정된 항목이나 설정 내용에 따라 등록하면 자동적으로 교육계획이나 실적 혹은 성과 등이 제공되도록 한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교육 관리 서버(10)에 교육적 측면에서 고려되고 분류된 교육과정 분류체계에 따라 기 설정된 다양한 표준 템플릿(소정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 계획과 필요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일련의 인터페이스와 입력폼을 제공하는 구성들을 통칭)을 접속한 회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므로, 교육 담당자는 해당 템플릿의 내용을 조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교육과정을 차수별로 생성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항목과 설정 내용들을 안내 혹은 차례에 따라 입력하는 것만으로 교육과정 생성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고민 없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성 및 등록된 교육 과정은 필요 시 호출되어 일부 내용만 변경하는 것으로 다음 차수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등록된 소정 차수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적을 회원이 등록하면, 자동적으로 실적 통계나 분석 자료가 제공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다양한 성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소속사의 교육담당자들의 정보를 상기 교육 관리 서버가 통합 관리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통계 정보를 얻을 수도 있어 실적이나 성과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복수 소속의 회원들은 각각 다양한 교육과정을 표준 템플릿을 기준으로 변형하여 생성하게 되므로 이러한 변형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표준 템플릿을 갱신하거나 새로운 교육 내용의 경우 템플릿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는 반복적으로 실시될 경우 점차 교육 담당자들의 요구에 부응한 다양하고 정확한 템플릿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시스템의 운영 시간에 비례하여 회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반복적인 정보 누적에 의해서 기존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여 원하는 목표에 다가가도록 하는 방식을 학습 알고리즘이라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교육관리 서버(10)에서 복수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의 교육과정 생성 및 관리 작업을 대행하여 처리하게 되면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과 도입 시간 만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 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새로운 사회적 분위기나 교육과정 변형 혹은 추가가 필요한 경우에도 신속한 도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표준 포맷의 교육과정 정보를 이용하게 되어 그 공유나 관리, 전달 등이 자유로우며, 다양한 소속을 가진 회원들 간의 정보 공유나 이러한 회원들의 교육과정 정보들의 통계 자료를 통해 객관적 성과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앞서 살펴본 개념적인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의 좀 더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한 구성은 다양한 기능부로 분리되어 나타나 있으나 이러한 분리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리 구성될 수도 있음에 주의한다. 예를 들어, 각 기능부의 핵심 기능은 소정의 기능 모듈로 구성되고 제어루틴이나 메시지 제공에 따라 호출되는 방식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혹은 가입하고자 하는 복수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이 이용하는 복수의 회원 단말들(210~230)이 교육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교육과정을 생성 및 등록하고 관련 정보를 관리하거나 이러한 작업을 위해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교육관리 서버(100)는 상기 회원 단말(210~230)의 요청에 따라 선별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기 설정된 항목에 따른 정보를 등록받아 과정 및 차수별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관련 실적을 등록받아 교육 계획이나 실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요청 시 상기 회원 단말(210~230)에 제공하며, 상기 회원 단말(210~230)의 가입 시 소속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동일 소속 회원에 대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등록한 과정 및 차수 정보를 포함한 교육과정 내용을 표준 포맷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교육 관리 서버(100)는 회원 단말(210~230)의 등록 요청에 따라 소속을 기준으로 등록하여 계정 및 작업 공간을 생성하며 접속시 인증과 정보 교환을 중계하는 접속 관리부(110)와, 상기 회원 단말(210~230)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과정과 차수를 등록하고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등록받아 교육계획을 자동 생성 및 제공하고 실적을 등록받아 실적 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하나 이상의 성과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기획부(120)와, 상기 교육과정 템플릿 관련 정보와 기 등록된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내부 혹은 외부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하고 파싱하는 교육 운영 데이터부(140)와, 상기 과정 기획부(120)를 통해 등록되는 정보를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14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과정 기획부(120)와 접속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회원 단말(210~230)에 제공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교육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과정 기획부(120)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를 검증하여 오류를 판별하거나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140)를 통해 파싱되는 데이터 중에서 공개 수준에 따라 일정 정보를 필터링하며, 상기 표준 포맷의 교육과정을 적어도 일부를 기 설정된 수준의 회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정보 관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교육 관리 서버(100)는 다양한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을 회원으로 하여 각 교육 담당자들이 체계적인 교육과정 수립을 간단한 순차적 정보 입력만으로 가능토록 하며, 그 관리 역시 메뉴 선택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동적으로 혹은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체계적 교육과정 관리가 신속하고 낮은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동일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예를 들어, 회원 단말(211, 212))은 작업 공간을 공유하거나, 기 생성 및 등록된 표준 교육과정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입력 오류나 제한 정보에 대한 필터링 등에 의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작업 및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 공유는 등급 설정 등에 의해서 다양한 수준의 회원 간 정보 공유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의 정보 동향을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교육관리 서버(100)가 다양한 소속에서 다양한 교육대상 및 교육내용을 기준으로 하는 교육과정 정보들을 관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통계가 유의미하게 수집될 수 있고, 새로운 요구, 신규한 교육과정의 추가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공유는 다양한 인센티브나 보상의 제공, 비공개 정보의 자동적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조성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접속 관리부의 구성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접속 관리부(310)는 내부적으로, 회원 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소속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등록받아 소속을 기준으로 등록하는 등록부(314)와, 상기 등록부(314)의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후 해당 회원의 접속 시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부(312)와, 상기 인증부(314)로부터 제공되는 등록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해당 회원의 소속사를 기준으로 관리하여 소속사별 회원의 등급 등을 관리하는 소속 관리부(313)와, 상기 등록부(314)의 등록 정보에 따라 계정을 생성하는 계정 생성부(314)와, 상기 계정 생성부(314)에 의해 계정을 생성하면서 상기 인증부(312)를 통해 소속 관련 정보를 얻어 동일 소속 회원이 공유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공간 관리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공간 관리부(315)는 동일 소속 회원이라 하더라도 상기 인증부(312)를 통해 인증하는 과정에서 소속 관리부(313)를 통해 확인한 접속 회원의 등급에 따라 작업 공간 내 공유 정보를 일부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312)는 회원이 인증하는 과정에서 소속 관리부(313)를 통해 소속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회원의 공유 등급 등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회원의 등급에 따라서 동일 소속사의 회원이라 하더라도 공유할 수 있는 정보를 제한할 수 있고, 추후 다른 회원들과의 정보공유 시에도 공유 등급에 따라 공유할 수 있는 정보를 일부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작업공간 관리부(315) 및 계정 생성부(314)에 의해 생성된 작업 공간과 계정을 통해서 과정 기획부에 접속하여 원하는 교육과정 관리를 실시할 수 있고, 공유정보 관리부를 통해 등급에 맞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속 관리부(310)는 회원의 등록, 인증, 소속 확인, 계정 관리, 작업 공간 관리 및 교육과정 관리를 위한 실질적 작업과 그 결과 확인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정 기획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과정 기획부(320)는 실질적으로, 회원에게 표준 템플릿에 따른 교육과정 생성 및 등록 메뉴를 제공하고 회원의 설정에 따라 자신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간단한 메뉴 선택과 제공되는 항목에 대한 정보 입력 등으로 과정과 차수를 생성 및 등록하도록 하고, 실적을 등록하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기능부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서 교육계획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고, 기 등록된 실적 내용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유의미한 통계적 결과로서 실적이나 성과를 제공하는 관리 결과 출력 기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시된 구성에서 점선으로 나누어진 상부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부이고, 그 하부는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회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다양한 교육과정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입력 내용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과정 및 차수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관련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차수 관리부(321)와, 상기 과정 및 차수 관리부(321)의 하부 기능 블록으로, 과정이나 차수를 회원 선택에 따라 설정하여 생성 및 등록하는 과정/차수 등록부(322)와, 생성된 과정/차수에 대한 강사와 학습자 등의 실제 운영 정보를 등록하는 강사/학습자 등록부(323)와, 고용보험 환급에 관련 서류를 생성하거나 기타 제출용 서류를 소정의 순차적 입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신고 서류 제공부(324)와, 해당 과정 및 차수에 대한 학습자 학습 결과(수료자, 출석률 등)나 만족도, 강사에 대한 만족도 등의 정보를 등록받는 실적 등록부(325) 등이 구성된다.
상기 과정/차수 등록부(322)는 소정의 메뉴 체계에 따라서 교육과정 분류 페이지를 제공하여, 회원이 선택하는 항목에 따른 세부 교육과정들을 제공하여 회원이 자신의 목적에 맞는 새롭거나 혹은 자신이나 동일 소속 회원이 기 등록한 교육과정 정보를 기준으로 얻어진 표준형태의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표준 템플릿은 교육 내용의 특성에 따라 교육적 체계에 맞추어 제공되는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관리하는 메뉴와 입력 항목, 설정 내용 등이 미리 마련된 일련의 입력폼을 의미할 수 있다.
회원은 상기 제공되는 입력폼이 요구하는 각종 입력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및 차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템플릿 입력폼의 일부로서, 강사/학습자 등록부(323)가 동작할 수 있는데, 상기 강사/학습자 등록부(323)는 기본적으로 강사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차수를 수강할 학습자 정보를 등록받는다. 이때, 고용보험 등과 같은 신고 서류 생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해당 학습자 정보는 명단 형태로 등록할 수 있으며, 엑셀 등의 표준 포맷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된 학습자 정보의 경우 신고 서류가 필요한 학습자에 대한 서류는 신고 서류 제공부(324)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 서류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물론, 온라인으로 필요한 곳으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서식을 출력하는 운영서식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적 등록부(325)는 회원이 기 등록된 과정 및 차수를 선택하여 해당 교육과정에 대한 실적을 원하는 주기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강사 만족도, 학습 만족도, 수료자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회원이 등록한 등록 데이터는 다양하게 가공되어 회원이 필요로 하는 정보로 자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정 및 차수 관리부(321)를 통해 등록 및 관리되는 정보를 통해서 교육계획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실적을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다양한 유의미한 통계적 자료 및 보고서를 생성하여 성과로서 제공하는 교육 계획 및 실적 관리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 계획 및 실적 관리부(326)는 하부 기능 블록으로, 회원이 선택한 과정 및 차수에 대한 교육계획을 자동적으로 정리하여 계획서나 보고서로 제공하는 교육계획 제공부(372)와, 기 등록된 실적 정보를 통해서 주간/월간 리포트나 수료자 실적, 혹은 각종 과정이나 강사 만족도를 다양한 포맷으로 정리하여 제공하는 실적 제공부(328)와, 상기 실적을 강사별, 과정별, 해당년도 평균 만족도, 교육 형태별 통합 운영 성과 등의 다양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원하는 기준에 맞추어 생성하는 성과 제공부(32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성과 제공부(329)는 동일 소속 회원들의 정보를 통합하여 통계자료로서 활용하거나, 상기 교육 관리 서버의 모든 회원들의 실적이나 성과 등에 따른 통계적 정보를 활용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통계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 및 차수 관리부(321)는 상기 교유과정에 관한 표준 템플릿의 내용으로서 기 수집되는 다양한 회원들의 교육과정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거나 기 등록된 내용을 갱신하는 등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교육 관리 서버의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회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방대해질 수 있다. 물론, 보안을 고려하여 이러한 정보의 수집은 회원의 동의를 얻거나 개인적 정보는 필터링한 정보 만을 수집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동일 소속 회원들만 공유할 수 있는 템플릿 만을 소속 단위로 누적 갱신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교육과정 정보는 표준 포맷을 가지며, 이러한 표준 포맷은 상기 교육 관리 서버 내에서 호환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등록된 교육과정 내용의 전부 혹은 일부가 포함된 표준 포맷의 정보는 이를 생성한 회원이나 소속사의 공개 설정 등급에 따라 소속이 다른 회원에게 공개될 수도 있으며, 지정된 회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정보 관리부의 구성을 보인 예로서, 도시된 공유정보 관리부(330)는 과정 기획부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를 검증하여 오류를 판별하는 등록 정보 검증부(331)와, 교육 운영 데이터부를 통해 파싱되는 정보에서 요청자의 소속이나 등급 혹은 정보의 공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파싱정보 검증부(332)와, 동일 소속 회원의 경우 소속 회원의 공유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생성된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소속 공유 제공부(323)와, 요청된 정보에 대한 등급을 쿼리에 포함시키고, 파싱되는 데이터에서 필요한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일반 공유 제공부(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 일부 기능은 생략되거나 다른 기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등록 정보 검증부(331)는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 중 과정 및 차수의 스케줄과 강사 스케줄, 학습자 정보를 기 등록된 동일 소속 혹은 전체 회원의 기 등록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되거나 통계적 수치와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로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정 정보를 검증하거나, 강사의 일정을 검증하거나 학습자를 검증하는 등의 검증부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등록한 교육과정에서 동일 강사가 시간이 겹치게 스케줄이 작성되는 경우나, 장소와 같이 스케줄 상 중첩이 불가능한 부분이 겹치는 경우나, 동일 학습자가 동시에 서로 다른 교육에 참가하는 경우 등을 정보 입력 시 확인할 수 있어 회원의 실수를 방지하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싱정보 검증부(332)는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자를 인증하여 해당 요청자의 등급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정보 중에 포함된 제한 등급 정보를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일부 정보만 필터링하면 공개 가능한 정보의 경우 폭넓은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정보 공개에 따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파싱되는 데이터에는 등록 시 해당 정보를 등록한 회원에 의해 설정된 공개 등급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파싱 데이터를 다양한 등급의 회원에게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반 공유 제공부(334)는 회원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경우 자신의 원하는 정보의 등급을 설정하거나, 혹은 해당 회원에게 허가된 등급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회원의 등급을 요청 쿼리에 자동적으로 포함시키고, 파싱되는 데이터에서 해당 등급에서는 제한된 정보는 필터링한 상태로 공유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일종의 게시판이나 검색창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소속이 같은 회원 간의 정보 공유, 소속이 다른 회원과의 정보 공유, 혹은 유료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공유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정보 관리부는 교육과정에 관련된 표준 포맷의 정보에 대해 설정하는 등급(공개 등급) 중 판매 등급을 두어 교육과정 내용의 표준 포맷을 유료 판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일종의 장터 게시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공개되는 공유 정보 중 일부는 상기 교육관리 서버를 통해 교육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사에서 제공하여 이러한 정보 공유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운영 데이터부의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를 통해 과정 기획부로부터 제공되는 등록 정보를 해당 회원 계정이나 작업 공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190)의 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41)와, 상기 제어부나 공유정보 관리부를 통해 요청되는 쿼리에 따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90)에서 선별 혹은 검색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파싱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41)는 상기 등록 정보를 관련 계정이나 작업 공간에 저장하면서 해당 회원의 등급이나 해당 등록 데이터의 공개 등급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검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교육 관리 서버 110: 접속 관리부
120: 과정 기획부 130: 공유정보 관리부
140: 교육 운영 데이터부 150: 제어부
190: 데이터베이스 210~230: 회원 단말
310: 접속 관리부 320: 과정 기획부
330: 공유 정보 관리부 340: 교육 운영 데이터부

Claims (9)

  1. 복수 소속의 교육 담당자들을 회원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으로서,
    회원이 제공하는 교육과정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회원의 요청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는 회원 단말과;
    상기 회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별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기 설정된 항목에 따른 정보를 등록받아 과정 및 차수별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관련 실적을 등록받아 교육 계획이나 실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요청 시 상기 회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회원 단말의 가입 시 소속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동일 소속 회원에 대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등록한 과정 및 차수 정보를 포함한 교육과정 내용을 표준 포맷으로 공유하도록 한 교육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상기 교육과정 내용의 전부 혹은 일부가 포함된 표준 포맷을 공개 설정 여부에 따라 소속이 같은 회원에게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회원 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소속을 기준으로 등록하여 계정 및 작업 공간을 생성하며 접속시 인증과 정보 교환을 중계하는 접속 관리부와;
    상기 회원 단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과정과 차수를 등록하고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등록받아 교육계획을 자동 생성 및 제공하고 실적을 등록받아 실적 평가와 통계적 성과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기획부와;
    상기 교육과정 템플릿 관련 정보와 기 등록된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내부 혹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파싱하는 교육 운영 데이터부와;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등록되는 정보를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과정 기획부와 접속 관리부를 통해 상기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정 기획부가 제공하는 교육과정 템플릿은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누적 증가 및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정 기획부는 차수별로 학습자를 등록받아 고용보험 환급서류를 포함하는 관련기관 제출 서류를 자동 생성하는 신고서류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를 검증하여 오류를 판별하는 등록 정보 검증부와;
    상기 교육 운영 데이터부를 통해 파싱되는 정보에서 요청 회원의 소속이나 등급 혹은 정보의 공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파싱정보 검증부를 구비한 공유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 관리부는
    동일 소속 회원의 경우 소속 회원의 공유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생성된 작업 공간에 제공하는 소속 공유 제공부와;
    요청된 정보에 대한 등급을 쿼리에 포함시키고, 파싱되는 데이터에서 필요한 일부 정보를 필터링하는 일반 공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과정 기획부는 강사 및 학습자 정보를 더 등록받으며,
    상기 공유정보 관리부의 등록 정보 검증부는 상기 과정 기획부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과정 정보 중 과정 및 차수의 스케줄과 강사 스케줄, 학습자 정보를 기 등록된 동일 소속 혹은 전체 회원의 기 등록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되거나 통계적 수치와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서버는 상기 교육과정 내용의 표준 포맷 중 회원이 설정한 공개 등급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의 회원에게 해당 내용을 전부 혹은 일부 내용을 필터링한 상태로 공개하는 공유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KR1020100089873A 2010-09-14 2010-09-14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KR20120027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73A KR20120027963A (ko) 2010-09-14 2010-09-14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73A KR20120027963A (ko) 2010-09-14 2010-09-14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963A true KR20120027963A (ko) 2012-03-22

Family

ID=4613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73A KR20120027963A (ko) 2010-09-14 2010-09-14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9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42B1 (ko) * 2018-09-18 2020-01-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육 장치 및 방법
KR102487014B1 (ko) * 2022-03-10 2023-01-10 한국철도공사 기업교육용 강좌별 교육과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교육용 강좌의 교육과정 설계서비스 제공방법
WO2023171864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철도공사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42B1 (ko) * 2018-09-18 2020-01-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육 장치 및 방법
KR102487014B1 (ko) * 2022-03-10 2023-01-10 한국철도공사 기업교육용 강좌별 교육과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교육용 강좌의 교육과정 설계서비스 제공방법
WO2023171863A1 (ko) * 2022-03-10 2023-09-14 한국철도공사 기업교육용 강좌별 교육과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교육용 강좌의 교육과정 설계서비스 제공방법
WO2023171864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철도공사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dhani et al. The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s in software design for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Behind No child left behind
Ishijima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effective adoption of HRH information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national rollout of HRHIS and TIIS in Tanzania
Elhoseny et al.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to ensur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wards an automated e-university
EP3789952A1 (en) Talent and work experience-centered credit recognition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using same
Foo et al. Stakeholder engagement and compliance culture: an empirical study of Scottish private finance initiative projects
Tako et al. Can we learn from simplified simulation models? An experimental study on user learning
Roberts-Gray Managing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s
García-Navarro et al. Using action research to implement an operating efficiency initiative in a local government
Rubio et al. Evaluation metrics for biostatistical and epidemiological collaborations
Mengesha The role of technological frames of key groups in open source software implementation in a developing country context
KR20120027963A (ko) 웹기반 인적자원개발 업무관리 시스템
Raines The Digital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ct of 2011 (DATA): Using open data principles to revamp spending transparency legislation
Ryan et al. The engineering learning portal for problem solving: experience in a large engineering economy class
KR20200059705A (ko)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Tiwari Impact of cbl o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An experience report
Moore et al. A Hunger for Information: California's Options to Meet Its Statewide Education Data Needs. California Education Policy, Student Data, and the Quest to Improve Student Progress, Part IV. Policy Brief.
Hajdinjak et al. A Practical Guide
Capella et al. 11 Evolution of a Project: The DNP as Project Manager
Kontzinos et al. CombiningBlockchain, Semantics And Data Analytics for University Process Optimisation
Wundenberg Requirement Engineering for Knowledge-Intensive Processes: Reference Architecture for the Selection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Hoyle et al. The Student Resilience and Well-Being Project: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Lessons Learned
TASATANATTAKOOL et al. E-PORTFOLIO FOR DIGITAL UNIVERSITIES USING SMART CONTRACTS ON INTELLIGENCE BLOCKCHAIN TECHNOLOGY
Welime Assesment Of The National Intergrated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In Kenya
Fiofanova et al. Integration and data portability in the programming of digital analytical services of the edu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23

Effective date: 2013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