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399A -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399A
KR20100071399A KR1020080130102A KR20080130102A KR20100071399A KR 20100071399 A KR20100071399 A KR 20100071399A KR 1020080130102 A KR1020080130102 A KR 1020080130102A KR 20080130102 A KR20080130102 A KR 20080130102A KR 20100071399 A KR20100071399 A KR 2010007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areer
user
information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오
이강근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399A/ko
Publication of KR2010007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무교육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업과 같은 조직에 속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에 관한 정보 및 현재 직무에 관한 정보 등에 따라 자신의 역량을 진단받아 커리어 로드맵을 구축하고, 이력 및 직무와 관련하여 기존의 성공모델로서 제시되는 타 사용자들의 커리어 패스 사례들과 비교평가하여 사용자의 현재 직무에 따라 차별된 가중치가 부여되는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업의 임직원들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무교육 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해당 기업에서의 직무수행을 평가받고, 이에 대응하는 추천되는 직무교육 일정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로드맵을 제공받음으로서, 임직원 개인이 효율적으로 경력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커리어 로드맵(career roadmap), 커리어 패스(career path), 직무교육, MBTI, 역량개발

Description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본 발명은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과 같은 조직에 속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에 관한 정보 및 현재 직무에 관한 정보 등에 따라 자신의 역량을 진단받아 커리어 로드맵을 구축하고, 이력 및 직무와 관련하여 기존의 성공모델로서 제시되는 타 사용자들의 커리어 패스 사례들과 비교평가하여 사용자의 현재 직무에 따라 차별된 가중치가 부여되는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기업과 같은 조직에 속해 있는 임직원들은 일관된 목표나 방향도 없이 오로지 기존에 배정받은 자신의 직무에만 몰입하여 이에 관련된 기업적 실적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업 또한 부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획일화되고 형식적인 직무관련 교육을 관습적인 형태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이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현 기업들에는 임직원 개인에게 자신의 직무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하도록 안내하고 도움을 주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현 기 업에서는 적재적소에 적절한 인재 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개인에게 있어서는 학습동기가 부여되지 않아 결국 다양한 직무수행의 기회가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경제적으로는 불필요한 교육훈련으로 인해서 비용이 가중되며, 국가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주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각종 직업적성검사, 흥미 검사등을 통하여 개인의 직무와 관련되어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문제해결의 처방책을 제시하고, 다양한 직무관련 정보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 제공되는 검사방법들은 피검사자인 임직원 개개인의 모든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전술한 검사 결과에 따라 피검사의 현재 상황에 적절한 교육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업에서 임직원들에게 제공하는 직무교육을 임직원의 개인역량이 고려된 커리어 로드맵에 기초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리어 로드맵에 대응하여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고, 선정된 커리어 패스를 커리어 로드맵과 관련되어 가중치를 가지는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은, 기업에서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기 저장된 다수의 정보(이하, "커리어 패스"라 한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기업에서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이하, "역량정보"라 한다)에 따라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이하, "커리어 로드맵"이라 한다)를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직무에 따라 소정개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련 커리어 패스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의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교육훈련 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역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리어 패스는, 기업에서의 직무수행에 있어 요구되는 직업경력, 지식이력, 사설교육, 및 특별활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는, (b1) 기업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직무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무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및, (b2) 상기 직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2) 이후, (b3) 상기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상기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소정 갯수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3) 이후, (b4) 상기 커리어 로드맵이 제시하는 목표 및 성취 절차와, 상기 관련 커리어 패스를 비교하여, 유사정도에 따라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는 직무교육 과목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직무분야에 따라 상기 직무교육 과목 중, 필수 이수과목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 이후, 컨텐츠 전문기관에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 말로 제공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직무교육 컨텐츠의 제공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공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장치는, 기업에서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기 저장된 다수의 정보(이하, "커리어 패스"라 한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기업에서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이하, "역량정보"라 한다)에 따른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로서,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추천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이하, "커리어 로드맵"이라 한다)를 생성하는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 상기 사용자의 직무와 관련하여 소정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 상기 관련 커리어 패스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비교평가 모듈;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 및, 상기 다수의 커리어 패스가 저장된 커리어 패스DB를 포함한다.
상기 직무교육 제공장치는, 기업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직무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핵심역량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은 상기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기 저장된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고, 소정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량평가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역량정보를 평가하기 위한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직무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교육 컨텐츠 제공서버에 상기 교육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임직원들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무교육 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해당 기업에서의 직무수행을 평가받고, 이에 대응하는 추천되는 직무교육 일정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로드맵을 제공받음으로서, 임직원 개인이 효율적으로 경력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업은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정보인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여 임직원 개인의 직무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이수시 취득점수가 높은 교육과목을 제공함으로서,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확실히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역량평가 및 교육훈련수단을 제공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장치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의 직무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서버(300)와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다수의 임직원들인 사용자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로 접속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라, 교육 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지 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정보처리 장치라도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C) 뿐만 아니라 양방향 정보전달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 회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폰, PDA 등의 정보통신 장치도 포함된다.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각 사용자의 개인역량을 판단하고, 상기 개인역량을 데이터화한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역량정보는 임직원인 사용자들이 과거에서 현재까지 거쳐온 기업 또는 사회에서 학업, 직업 및, 경험 등의 이력을 데이터화 것으로서, 기업에서는 직무상의 요구되는 기술, 지식 및, 책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커리어 로드맵은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중/단기 목표를 수립하는 것으로서, 직무 내지 사회활동의 교육훈련을 위한 총체적인 교육내용, 일정 등을 데이터화한 것이다.
이러한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전술한 기능 이외에도, 기 저장된 다수의 커리어 패스와 해당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기능은, 일예로서 사용자가 기업의 부장직급이라는 목표 및, 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소정의 절차를 커리어 로드맵에 의해 제시받는 경우,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다수의 커리어 패스 중, 전술한 목표인 부장직급의 성취를 위한 절차가 커리어 로드맵이 제시하는 절차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커리어 패스는 해당 기업에서 직무를 수행 또는 변동시에 요구되는 이전 다수의 임직원들의 직무교육에 대한 이수내용 및 바람직한 직무교육 수준 등의 사례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외에도 커리어 패스는 다수의 직무분야의 수행에 있어 요구되는 직업경력, 지식이력, 사설교육, 특별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업서버(300)는 일반 기업에서 운영하는 임직원 정보 관리서버로서, 해당 기업에 소속된 임직원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기업내에서 사용자의 직무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서버(300)는 직무교육 제공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전술한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직무정보에 대한 내용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업서버(300)는 보안상의 문제로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는 형태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직무교육 제공장치(200)와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기업내 부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해당 기업에 소속된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직무교육 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직무와 관련된 총체적인 교육훈련과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직무교육 제공장치(2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식별부호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205)과, 역량정보에 대응하는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210)과,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역량 평가모듈(220)과, 유사정도에 따라 관련 커리어 패스를 검색 및 선정하는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230)과, 선정된 관련 커리어 패스와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유사정도에 따라 평가하는 비교평가모듈(240)과, 평가결과에 따라 가중치가 다른값을 가지는 직무교육과목을 선정하는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290)과,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다수의 커리어 패스를 각각 저장하는 사용자DB(250) 및, 커리어 패스DB(260)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모듈(205)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직무교육훈련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승인 및, 개인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접속하여 직무교육을 요청하는 사용자들의 역량정보에 따른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역량정보는 임직원인 사용자들이 과거에서 현재까지 거쳐온 기업 또는 사회에서 학업, 직업 및, 경험 등의 이력을 데이터화한 것이다. 이러한 역량정보가 기업에서 활용되는 경우에는 직무상 요구되는 기술, 지식 및, 책임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무상의 능력 뿐만 아니라, 임직원들의 어학, 자격증 현황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전술한 역량정보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인의 성향을 더 고려할 수 있으며,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210)은 소정의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역량정보 평가수단으로는 MBTI 또는 35 competencies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4가지 선호지표를 토대로 16가지 성격유형을 알아내는 성격유형지표로서, 사용자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각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커리어 로드맵을 설계하는 데 기준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35 competencies는 인적자원개발(HRD) 분야에서 응용되는 개념으로서, 개인의 역량 및 성향 파악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 MBTI 또는 35 competencies 문항을 기입할 수 있는 성향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응답을 통해 성격유형을 판단하고, 커리어 로드맵 설계시 사용자의 성향정보 에 따라 교육훈련 선정시 참조하게 된다.
역량 평가모듈(220)은 사용자 개인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한다. 현재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하였거나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핵심역량 평가모듈(220)은 해당 기업의 기업서버(300)에 사용자의 직무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직무정보는 기업에서 임직원들이 현재 또는 과거에 수행하였던 직무의 종류, 내용, 수행기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핵심 역량 및 직무 평가시 상기 직무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기업서버(300)에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직무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는 기업 내부망을 통해 기업서버(300)와 정보요청을 송수신하는 연동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230)은 해당 기업에서 사용자에게 특히 중요하게 요구될 수 있는 핵심역량 및 핵심직무에 기초하여 소정 갯수의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는 모듈이다.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230)은 역량 평가모듈(220)로부터 평가된 해당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관련된 소정 갯수의 커리어 패스를 추출한다.
비교평가모듈(240)은 추출된 소정의 커리어 패스와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한다. 상세하게는,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230)로부터 추출된 커리어 패스는 사용자의 핵심역량 및 직무에 대한 정보를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비교평가모듈(240)을 통해 교육대상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과 추출된 커 리어 패스를 비교하고 목표 및 절차의 유사정도에 따라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한다.
전술한 커리어 패스는 해당 기업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전 다수의 임직원들의 직무교육에 대한 이수내용 및, 바람직한 직무교육 수준등의 사례를 포함하는 것이다. 커리어 패스DB(260)에는 다양한 직급, 직무 내지 경력을 갖는 임직원들에 대한 커리어 패스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커리어 패스는 해당 기업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전에 다른 다수의 임직원들이 이수한 직무교육의 내용 및 바람직한 직무교육 등급 등의 사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직무의 변동시에 반드시 요구되는 직무과목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리어 패스는 사용자의 직무변동시에 직무과목에 따른 필요도 또는 중요도 판단의 기준이 된다. 즉, 자신이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를 변동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직무변동의 조건으로 커리어 패스가 정의하는 필수 이수과목을 이수하도록 정책을 정할 수 있다.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290)은 선정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교육훈련과정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교육훈련과정에서는 직무교육 제공장치(200)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직무교육의 진행을 위해 외부 교육훈련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290)은 선정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는 교육과목을 선정하고 외부 교육훈련 전문기관에 요청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육훈련과정의 각 교육과목들은 사용자의 직무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야 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해당 기업에서 개인이 소속된 부서별로 상이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290)은 상이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에게 교육훈련과목의 이수시에 직무정보에 따라 과목당 배점을 차등적으로 부여하고 이수된 결과를 기업서버(300)에 알려준다.
사용자 DB(250)에는 전술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역량정보, 및 커리어 로드맵을 저장되고, 커리어 패스DB(260)에는 전술한 다수의 커리어 패스가 저장된다.
전술한 구조의 직무교육 제공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직무교육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은, 직무교육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단계(S310)와, 커리어 로드맵에 따라 기 저장된 다수의 커리어 패스에서 소정개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관련 커리어 패스 중,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S320)와, 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S3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S310 단계는, 특정 기업에 속해있는 임직원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육훈련을 요청하면, 직무교육 제공장치가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개인이력을 입력받아 평가하여 역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S320 단계는,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커리어 패스와, 전술한 단계에서 생성된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평가하여 소정개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 및 추천되는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해당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의 유사정도 등을 고려하여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커리어 로드맵과 관련 커리어 패스의 목표 및 이를 성취하기 위한 절차의 유사정도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한다.
S330 단계는, S320 단계에서 선정된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여 교육과목이 정의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후, 직무교육 컨텐츠의 이수결과를 기업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단계(도 3의 S310)는, 도 4에 도시한 S311 내지 S317 단계로 구체화된다.
S311 단계는 직무교육 제공장치의 사용자 관리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S312 단계는 사용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회원이 아닐 경우에는 S313 단계를 수행하고, 회원일 경우에는 S314 단계를 수행한다.
S313 단계는 사용자가 회원이 아닐 경우이며 사용자 관리모듈이 사용자 단말로 회원가입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 관리모듈은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S314 단계는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이 사용자 단말에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작성한 작성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역량정보 평가수단은, 예를 들어 MBTI 또는 35 competencies 문항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성격유형 등을 평가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S316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역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역량정보는 임직원인 사용자들이 기업에서 해당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요구되는 개인능력을 데이터화한 것으로서, 직무상의 요구되는 기술, 지식, 및 책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무 관련 능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회에서의 활동 능력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역량정보는 개인의 성향 및 직무관련 능력에 관한 정보가 고려된다.
이렇게 생성된 역량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 DB에 저장된다.
S317 단계는 상기 역량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커리어 로드맵은 개인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직무 내지 사회활동의 교육훈련에 대한 총체적인 교육내용 및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커리어 로드맵은 역량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수해야 하는 교육분야, 과목, 훈련 스케쥴 등의 추천정보를 담고 있다.
직무교육 제공장치는 전술한 단계를 거쳐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을 생성한다. 이후, 기 저장된 다수의 커리어 패스와 전술한 단계에서 생성된 커리어 로드맵에 대응하여 소정 갯수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도 3의 320)는 도 5에 도시한 S321 내지 S327 단계로 구체화 된다.
S321 단계는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핵심역량 평가모듈이 기업서버에 요청하여 직무정보를 수신하고, 직무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S323 및 S325 단계는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이 상기 평가된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커리어 패스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고 소정 갯수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S326 및 S327 단계는 비교평가 모듈이 관련 커리어 패스와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목표 및 성취절차의 유사정도에 따라 관련 커리어 패스를 평가하여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이후 수행하는,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선정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도 3의 S33)는 도 6의 S331 내지 S335 단계로 구체화된다.
S331 단계는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이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여 직무과목을 포함하는 교육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S332 단계는 추천 커리어 패스와 관련된 교육 컨텐츠 및, 추천 커리어 패스와 관련되지 않는 타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에 각각 상이한 점수를 취득하도록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IT관련 직무를 수행한다고 하면, 정보통신분야 과목이 포함된 교육 컨텐츠를 이수하는 경우 기타 금융관련 과목을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를 이수하는 경우 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은 사용자가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에 대한 교육과목을 이수하는 경우에는 추천 커리어 패스와 관련되지 않은 타 교육 컨텐츠를 이수하는 경우 보다 높은 점수를 취득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는 교육 컨텐츠를 선정한 후, 사용자의 직무분야에 따라 선정된 교육 컨텐츠의 교육과목 중, 필수 이수과목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업에서 사용자가 직무를 수행할 때 반드시 요구되는 교육과목이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 컨텐츠 선정단계에서 특정 교육과목에 대하여 반드시 이수해야 되는 과목을 지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이러한 필수 이수과목을 지정하는 과정은, 특히 사용자가 기업에서 직무을 변동할 경우에 유용하다.
S333 단계는 추천 커리어 패스와 관련된 교육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이수해야 할 직무교육과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S334 단계는 외부 교육훈련 전문기관에 선정된 직무교육과목을 해당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S334 단계는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이 별도로 구비되는 DB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교육훈련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35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제공된 교육 컨텐츠를 수행하면,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은 이를 평가하여 이수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이때 이수결과를 기업서버에 함께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리어 로드맵이 제시하는 목표 및 성취절차에 유사한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는 교육과목을 이수할 경우, 타 교육과목을 이수하는 것보다 높은 점수를 취득할 수 있어,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직무교육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직무 교육 제공장치 205 : 사용자 관리모듈
210 :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 220 : 핵심역량 평가모듈
230 :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 240 : 비교평가모듈
250 : 사용자 DB 260 : 커리어 패스 DB
290 : 교육컨텐츠 관리모듈

Claims (12)

  1. 기업에서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기 저장된 다수의 정보(이하, "커리어 패스"라 한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기업에서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이하, "역량정보"라 한다)에 따라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이하, "커리어 로드맵"이라 한다)를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직무에 따라 소정개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련 커리어 패스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의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교육훈련 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역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패스는,
    기업에서의 직무수행에 있어 요구되는 직업경력, 지식이력, 사설교육, 및 특별활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기업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직무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무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및,
    (b2) 상기 직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 이후,
    (b3) 상기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상기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소정 갯수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3) 이후,
    (b4) 상기 커리어 로드맵이 제시하는 목표 및 성취 절차와 상기 관련 커리어 패스를 비교하여, 유사정도에 따라 하나의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대응하는 직무교육 과목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직무분야에 따라 상기 직무교육 과목 중, 필수 이수과목을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
    컨텐츠 전문기관에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교육 컨텐츠의 제공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공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커리어 로드맵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방법.
  9. 기업에서 직무수행 또는 변동시 요구되는 직무교육 수준에 대한 기 저장된 다수의 정보(이하, "커리어 패스"라 한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회활동 능력 및 기업에서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이하, "역량정보"라 한다)에 따른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로서,
    사용자의 역량정보에 대응하여, 추천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이하, "커리어 로드맵"이라 한다)를 생성하는 커리어 로드맵 생성모듈;
    상기 사용자의 직무와 관련하여 소정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
    상기 관련 커리어 패스와 상기 커리어 로드맵을 비교하여, 목표 및 성취절차의 유사정도에 따라 추천 커리어 패스를 선정하는 비교평가 모듈;
    상기 추천 커리어 패스에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의 이수시 취득점수가 상기 관련된 교육 컨텐츠를 제외한 타 교육 컨텐츠보다 높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 및,
    상기 다수의 커리어 패스가 저장된 커리어 패스DB
    를 포함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업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직무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핵심 역량 및 직무를 평가하는 핵심역량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리어 패스 검색모듈은 상기 핵심 역량 및 직무에 따라 기 저장된 커리어 패스를 검색하고, 소정의 관련 커리어 패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평가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역량정보를 평가하기 위한 역량정보 평가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교육 컨텐츠 제공서버에 상기 교육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무교육 제공장치.
KR1020080130102A 2008-12-19 2008-12-19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00071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102A KR20100071399A (ko) 2008-12-19 2008-12-19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102A KR20100071399A (ko) 2008-12-19 2008-12-19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99A true KR20100071399A (ko) 2010-06-29

Family

ID=4236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02A KR20100071399A (ko) 2008-12-19 2008-12-19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139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06B1 (ko) * 2013-09-06 2014-04-29 (주)씨드젠 교육훈련시스템 및 그 교육훈련방법
KR102187444B1 (ko) * 2020-05-13 2020-12-07 안충호 It 전문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283466B1 (ko) * 2020-08-18 2021-07-28 이광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 쇼핑 시스템
KR20220074401A (ko) * 2020-11-27 2022-06-03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직무에 적합한 전공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2850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클레슨 사용자 특성 및 컨텐츠 분석을 통한 학습 경로 추천 시스템
KR102518136B1 (ko) * 2022-11-28 2023-04-04 조선형 시계주얼리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직무 역량 관리 시스템
WO2023171864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철도공사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1827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이니스트 역량 평가를 기초로 개인 맞춤형 전공 트랙을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KR102615206B1 (ko) * 2022-11-28 2023-12-19 조선형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06B1 (ko) * 2013-09-06 2014-04-29 (주)씨드젠 교육훈련시스템 및 그 교육훈련방법
KR102187444B1 (ko) * 2020-05-13 2020-12-07 안충호 It 전문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283466B1 (ko) * 2020-08-18 2021-07-28 이광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 쇼핑 시스템
KR20220074401A (ko) * 2020-11-27 2022-06-03 스퀘어네트 주식회사 직무에 적합한 전공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2850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클레슨 사용자 특성 및 컨텐츠 분석을 통한 학습 경로 추천 시스템
WO2023171864A1 (ko) * 2022-03-11 2023-09-14 한국철도공사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33761A (ko) 2022-03-11 2023-09-19 한국철도공사 공중(公衆)의 안전을 위하여 직원에 대한 철저한 교육관리가 요구되는 기업에서 법정직무교육대상자인 직원의 교육관리를 위한 사내교육용 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1827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이니스트 역량 평가를 기초로 개인 맞춤형 전공 트랙을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KR102518136B1 (ko) * 2022-11-28 2023-04-04 조선형 시계주얼리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직무 역량 관리 시스템
KR102615206B1 (ko) * 2022-11-28 2023-12-19 조선형 럭셔리 시계주얼리 산업의 직무별 구직자 직무 역량 체득 기술서를 포함한 학습활동 기록 기반 직무역량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o Factors determining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n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UTAUT model
Dello Russo et al. Reducing organizational politics in performance appraisal: The role of coaching leaders for age‐diverse employees
Ziegler et al. Short scales–Five misunderstandings and ways to overcome them
KR20100071399A (ko) 직무교육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eake et al. Chaotic careers: A narrative analysis of career transition themes and outcomes using chaos theory as a guiding metaphor
Downes et al. Individual profiles as predictors of expatriate effectiveness
Khasawneh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in Jordanian public universities: Developing a global workforce for the 21st Century
Akesson et al. Expert understandings of supervision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social service workforce: Results from a global Delphi study
Yang et al. Does cross-cultural experience matter for new venture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socio-cognitive traits
Kemer et al. Expert supervisors' priorities when working with easy and challenging supervisees
Troy et al. Leadership assessments: a history and overview of empir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Grantham et al. Female graduate students’ attitudes after leadership training: A case study
Nweke et al. Reliability analysis of complementary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eacher candidate dispositions
Ong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s of university middle-level managers and faculty engagement
Ingle et al. School leaders' preferences for teacher applicant characteristics in a large urban school district
Tetteh et al. An Analysis of Educational Portals' Implementation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McGuinness et al. Supporting reflection in the MLIS through a professionally-oriented capstone module
Subramanian Key to organisational effectiveness: Soci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Pattnaik et al. Challenges in assessment centres: Lessons from experience
Tsetim et al. Political skil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fresh graduates in Nigeria
Ghosh et al. Understanding hospitality employers’ perceptions of preemployment testing in determining successful hires
McCloskey et al. You’re hired! Applying the human resource selection process to team formation
Caligiuri et al. Developing Global Leadership Talent 1
Fennah Career coaching
George et al. Multiculturalism and social work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