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724A -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724A
KR20230133724A KR1020220031067A KR20220031067A KR20230133724A KR 20230133724 A KR20230133724 A KR 20230133724A KR 1020220031067 A KR1020220031067 A KR 1020220031067A KR 20220031067 A KR20220031067 A KR 20220031067A KR 20230133724 A KR20230133724 A KR 2023013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naf
antibacterial
seed extract
varie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용
김영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3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724A/ko
Publication of KR2023013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재배 및 채종이 가능한 케나프 신품종 장대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범위 항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항균용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화장품 또는 동물 사료용 첨가물, 각종 세정제 및 각종 청결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은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액상, 크림,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될 수 있어 제약 산업, 식품 산업, 축산업, 보건 산업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KENAF SEED EXTRACT OF JANG-DAE CULTIVAR}
본 발명은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재배 및 채종이 가능한 케나프 신품종 장대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고, 식품 부패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항균제와 방부제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화학 항균제 및 방부제의 경우, 다양한 세균과 진균에 우수한 항균력을 보이는 반면, 장기간 사용시에는 알러지(allergy)에 의한 발적, 혈관성 부종, 골수 억제, 빈혈, 위염, 퇴행성 뇌질환 등의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실제 미국에서는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부작용이 심한 항생제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면서 장기간 사용 경험이 있는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제 개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U.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따르면, 병원 내 혈류 감염이 미국에서 주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피부 및 연조직을 통한 병원성 세균 및 진균의 감염은 보편적인 의학적 질병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주로 외상 또는 수술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많은 병원성 세균 및 진균의 감염은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그 처치 방법이 다르지만, 경구용 항미생물제 및 국소 청결로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근원적인 위험 인자(예를 들면, 혈관 혈류 이상, 당뇨) 및/또는 치료하기 어렵거나 다중-내성인 세균 및 진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을 갖는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보다 심하거나 복잡한 감염은 정맥 내 항미생물제 치료 및 침입성 외과적 조직 제거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실례로, 글라이코펩타이드계 항생물질인 반코마이신은 다중-약물-내성 그람-양성균, 특히 MRSA, 응고효소-음성 스태필로코커스 및 엔테로코커스에 의해 야기된 심한 병원 내 감염에 대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반코마이신에 대해 내성을 갖는 균주의 분리가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의 항생제로는 병원균 중 일부균에 의해 유발된 심한 감염에 대한 치료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점차 증가되고 있는 내성균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항생물질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는 서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무궁화과(Malvaceae)의 1년생 초본 식물로서, 척박한 건조 토양이나 습한 습지에서도 잘 자라며, 우수한 내염성, 내건성, 중금속 내성을 나타내어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광범위하게 재배되면서 토양 정화용 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빠른 생육과 함께 섬유로 이용 가능한 줄기의 특성으로 인해, 케나프는 아마, 대마, 황마와 함께 세계 4대 섬유작물로 알려져 있다. 섬유를 생산한 이후 케나프의 다양한 부위는 부산물로 생산되며, 잎과 줄기 분쇄물은 가축 사료로, 잎과 종자 오일은 해열, 진통, 항균 및 최음용의 식품 및 민간 처방으로 사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케나프를 이용한 다양한 친환경 산업소재, 사료 및 기능성 식의약품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국내 기후에 적합하면서 채종이 가능한 품종개량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왔으며, 마침내 2011년에 '장대' 품종을 개발하였다. 장대 품종은 외국산 케나프 품종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방사선 돌연변이 기술을 사용하여 육종한 신품종으로 수확량이 많고 국내 채종이 가능하여 201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을 출원(출원2011-26)하여 2013년 품종보호권이 등록(제4560호, 존속기간 2013. 6. 18 ~ 2033. 6. 17)되어 있다.
상기 장대 신품종은 기존 품종과 달리, 자엽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정도는 없거나 매우 약하고, 배축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정도는 없거나 매우 약하며, 줄기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 정도도 약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줄기 분지발생은 적고, 잎모양은 장상형이고, 결각의 깊이는 강하며, 잎 녹색정도는 중간이고, 꽃색은 노란색을 띈 흰색, 꽃 크기는 중간보다 크다. 삭과 크기는 중간, 삭과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 정도는 없거나 매우 약하고, 삭과 형태는 심장형이며, 국내에서 개화기는 9월 7일경, 성숙기는 10월 30일 경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종자의 경우 회색의 불규칙적인 모양을 나타내어, 기존 품종인 홍마의 붉은색의 불규칙적인 형태와 육안으로 쉽게 차별화된다.
케나프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줄기껍질을 이용한 섬유 제조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종자와 잎에 대한 연구가 알려져 있다. 국내 채종이 가능한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 신품종 '장대'(강시용 외, 2016. 한국 Korean J. Breed. Sci. 48: 349-354), 케나프 신육성 및 수집 품종의 생육과 사료적 특성 조사(이지연 외, 2012. 한국작물학회지 57: 132-136), 친환경 소재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이용수 외, 2021. 한국생명과학회지 31: 305-313), 캐나프 잎의 항산화 활성을 보고한 추출조건에 따른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의 기능성 소재 탐색(손지민, 2019,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등이 알려져 있으며, 케나프 종자 추출물 및 오일의 암세포 사멸 효과(Wong TH et al., 2014. Asian Pac J Trop Biomed. 4(Suppl 1): S510-S515; Abd Ghafar SA et al., 2013.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549705. doi: 10.1155/2013/549705), 케나프 종자의 고지혈증 억제효과(Kai NS et al., 2015. Asian Pac J Trop Med. 8: 6-13), 탈지 케나프 종자를 이용한 고지혈증 예방효과(Chan KW, 2018. Oxid Med Cell Longev. ;2018:6742571. doi: 10.1155/2018/6742571), 케나프 종자의 항산화 활성(Yusri NM, 2012, Molecules 17: 12612-12621), 케나프 오일 나노 이멀젼의 위궤양 억제활성(Cheong AM, 2018. Food Sci Biotechnol. 27: 1175-1184), 케나프 오일의 커피 음료 이용(Chew SC, 2020. J Food Sci Technol. 57: 2507-2515) 등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히비스커스 식물의 hydroxychloroquine이 COVID-19와 관련된 혈전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총설(Belizna C. et al., 2018. Autoimmunity Reviews, 17: 1153-1168)이 있으나, 케나프, 특히 장대와 관련성은 알려진 바 없다.
케나프와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8643호에 [케나프(kenaf)의 신품종 장대(jangdae)를 주원료로 한 초식가축용 사료첨가제인 생균제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0815476호에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용도], 등록특허 제10-0835710호에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식품으로의 용도], 등록특허 제10-0789737호에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0840558호에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케나프 추출물], 등록특허 제10-1844849호에 [헴프씨드 오일과 케나프씨드 오일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등록특허 제10-1293920호에 [나노케나프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0228호에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공개특허 제10-2021-0014256호에 [가용성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케나프 종자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물], 공개특허 제10-2010-0128946호에 [케나프 면사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매트], 공개특허 제10-2011-0092482호에 [원적외선 건조로 항균활성이 증가된 케나프 잎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케나프 종자, 특히 국내에서 생산되는 신품종 장대 종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대한 특허는 알려진 바 없다.
KR 10-226022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은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또는 진균에 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첨가물, 화장품 첨가물, 동물 사료용 첨가물, 세정제 및 청결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범위 항균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항균용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화장품 또는 동물 사료용 첨가물, 각종 세정제 및 각종 청결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은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액상, 크림,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될 수 있어 제약 산업, 식품 산업, 축산업, 보건 산업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케나프 종자의 품종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의 항균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품종별로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의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에서 광범위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분획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 활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및 진균 감염병에 대한 광범위 항균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케나프 종자 추출물에서 항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품종별 케나프 종자의 특성 분석에 이어, 상기 시료들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력한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은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은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또는 진균에 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첨가물, 화장품 첨가물, 동물 사료용 첨가물, 세정제 및 청결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품종별 케나프 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시료로부터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 평가 단계; 활성 추출물의 안정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성숙된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 종자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케나프 종자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에탄올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은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유기용매로 순차 또는 각각 분획하여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유기용매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을 추가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 ℃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병원성 세균의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되는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화장품, 동물 사료용 첨가물 및 각종 청결제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항균 활성을 갖는 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 우려가 높은 대상으로부터 감염의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이 우수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상기 활성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이 우수한 성분을, 예를 들어, 에센스, 영양크림, 바디로션, 린스, 샴푸, 바디클렌저, 로션, 스킨, 마스크팩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태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조 공정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성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게류 또는 해삼류와 같은 극피동물, 게, 새우, 대하 등의 갑각류를 포함하는 절지동물, 두족류, 복족류 또는 이매패류 등의 연체동물, 참돔, 도미, 대구, 가자미, 넙치 등의 어류, 꿩 또는 닭 등의 가금류를 포함하는 조류 또는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균 성분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곡물, 식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당분 또는 유제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은 구체적으로는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일 수 있고, 상기 식물성 단백질 사료는 구체적으로는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성 단백질 사료는 구체적으로는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일 수 있고, 상기 당분 또는 유제품은 구체적으로는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창 촉진제 또는 질병 예방제와 같은 성분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균 조성물은 사료의 사용목적 및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최종 생산된 사료 1kg을 기준으로 상기 항균성 조성물이 0.1g 내지 100g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조성물은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메쉬로 공급되거나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저장을 위해 펠렛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저장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과잉의 물을 건조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식품, 화장품 또는 동물 사료용 첨가제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사용되는 식품, 화장품 또는 동물 사료에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식품, 화장품 또는 동물용 사료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추가적인 여타의 첨가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은 세정제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가전제품 세척제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방용품 또는 식품세척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활용품의 세척이나 항균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중 항균성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성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항균성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은 청결제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청결제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감염되기 쉬운 병원성 미생물의 체내 감염을 예방 차원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손, 구강 또는 여성용 청결제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손, 구강, 여성용 청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청결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추가적인 여타의 첨가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청결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액상형의 경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청결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다양한 케나프 종자 확보 및 종자들의 특성 평가
사용된 케나프 종자는 2020년 전남 순천지역에서 재배된 '장대' 품종에서 채종한 종자와 외국산 8종 케나프 종자로 각각의 정보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외국산 품종 중, 홍마는 중국산 홍마 74-3 종자를 ㈜케나프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외 종자 7종(IT 181215 ~ IT 236176)은 국립농업과학원의 농업생명자원 분양 프로그램 지원으로 확보하였다(DT-22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자들의 크기는 0.48~0.53 cm로 유의성 있는 차이(p<0.05)가 없었으나, 백중립 무게는 종자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무거운 종자는 IT 207886 중국산 종자였으며, 가장 가벼운 종자는 IT 181220 미국산 종자로 나타났다.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는 2.72g/100 seeds로 쿠바산, 프랑스산 종자와 유사하였다. 종자의 무게는 구성성분 및 충실도를 반영하나, 종자 발아율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케나프 품종별 종자 무게 차이는 종자 구성 성분의 차이, 재배 및 수확시기의 차이 및 저장기간의 차이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특성으로 이해된다
[표 1] 다양한 케나프 품종별 종자의 특성
실시예 2: 다양한 케나프 종자 추출 제조 및 이의 성분 분석
확보된 케나프 종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절하여 추출에 사용하였으며, 케나프 종자 시료에 각각 20배의 95% ethanol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Korea)을 가한 후 상온에서 2일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고, 추출액은 filter paper (Whatsman No. 2, GE healthcare UK limited, UK)로 거른 후 감압 농축(Eyela Rotary evaporator N-1110S, Tokyo Rikakikai Co., Ltd. Japan)후 동결건조하였다. 종자들의 추출 수율은 9~11%로 나타났으며, 종자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분석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2] 다양한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성분 분석 비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장대 품종 케나프 종자를 제외한 외국산 종자는 모두 5.9~8.7 mg/g를 포함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에서는 14.4 mg/g으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에서도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5.3 mg/g을 나타내어 여타의 외국산 품종의 종자에서 나타나는 0.7~1.5 mg/g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적색을 나타내는 홍마 종자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8 mg/g으로 여타의 외국산 종자와는 차별화되었다. 한편, 총당 함량 분석 결과, IT 207884 (프랑스산), IT 181220 (미국산) 종자에서 각각 645.4 및 477.8 mg/g을 나타내어 다른 품종 종자와 차별화되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중국산 홍마 품종의 종자 추출물이 여타의 종자와 차별화되는 114.3 mg/g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국내 채종 가능한 장대 품종의 종자는 다른 종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어 우수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리라 예상되었다.
실시예 3: 다양한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다양한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세균으로는 그람 음성균으로 Escherichia coli KCTC 1682, Proteus vulgaris KCTC 2433, Pseudomonas aeruginosa KACC 10186,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6을 사용하였고, 그람 양성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Listeria monocytogenes KACC 10550, Bacillus subtilis KCTC 1924를 사용하였다. 한편, 항진균 활성 평가를 위해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IF0 0233 및 캔디다증 진균감염증 원인균 Candida albicans KCTC 1940을 사용하였다.
먼저, 항세균 활성 평가의 경우, Nutrient broth(Difco Co., USA)에 각각의 세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균주를 O.D.600 0.1로 조정하여 Nutrient agar(Difco Co., USA) 배지를 포함하는 멸균 petri dish(9015mm, 녹십자, 한국)에 100μl씩 도말하고, 각각의 시료 5μl를 멸균 disc-paper(지름 6.5mm, Whatsman No. 2)에 가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진균의 경우에는 Sabouraud dextrose(Difco Co. USA)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로는 항세균제인 엠피실린(ampicillin)과 항진균제인 마이코나졸(miconazole, Sigma Co., USA)을 각각 1g/disc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생육저지환의 크기는 육안으로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부분의 지름을 mm 단위로 측정하였고, 3회 이상 평가 후 대표 결과로 나타내었다.
[표 3] 다양한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항세균 활성대조구로 사용된 엠피실린(1g/disc)의 경우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해 11.0~35.0mm의 생육 억제환을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항진균제인 마이코나졸(1g/disc)의 경우 C. albicansS. cerevisiae에 대해 각각 14~15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었다.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케나프 품종의 종자 추출물은 시험균 모두에 대해 매우 약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 epidermidis, S. aureusB. subtilis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14~21.5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E. coliP. vulgaris의 일부 그람 음성균에 대해 8~9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었다. 특히,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여타의 케나프 품종의 종자 추출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S. cerevisiaeC. albicans에 대한 우수한 항진균 활성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광범위 항세균 및 항진균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4: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산 및 열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에 대한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료들은 100℃에서 1시간 열 처리, pH 2(0.01M HCl)에서 1시간 처리시 Staphylococccus aureus, P. vulgarisC. albicans에 대한 항균 활성의 심각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높은 열 및 산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의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은 다양한 식품가공 공정하에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개발과제]
주관기관: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연구기관: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과제명: 케나프 고부가가치화 및 이의 특허출원 지원 연구용역
기여율: 100%
연구기간: 2021. 10. 01. ~ 2021. 12. 31.
연구수행기관: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laims (4)

  1. 대한민국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4560호인 장대 품종의 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L.)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은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또는 진균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화장료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식품 첨가물, 화장품 첨가물, 동물 사료용 첨가물, 세정제 및 청결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220031067A 2022-03-11 2022-03-11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133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67A KR20230133724A (ko) 2022-03-11 2022-03-11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67A KR20230133724A (ko) 2022-03-11 2022-03-11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24A true KR20230133724A (ko) 2023-09-19

Family

ID=8819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067A KR20230133724A (ko) 2022-03-11 2022-03-11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7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28B1 (ko) 2019-07-29 2021-06-03 (주)케나프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28B1 (ko) 2019-07-29 2021-06-03 (주)케나프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3993A (ko)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43591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KR101715622B1 (ko)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0255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76201B1 (ko) 생강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54424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11847B1 (ko)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133724A (ko) 장대 품종의 케나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4868B1 (ko) 흰점박이꽃무지 코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54425B1 (ko) 백목련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69103B1 (ko) 대마줄기 인피의 초미립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87389B1 (ko)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87391B1 (ko)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72181B1 (ko)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31454B1 (ko) 윤농참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40021683A (ko) 대마 화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28964B1 (ko)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00113919A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240048145A (ko) 송화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