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34A -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34A
KR20230132934A KR1020220029803A KR20220029803A KR20230132934A KR 20230132934 A KR20230132934 A KR 20230132934A KR 1020220029803 A KR1020220029803 A KR 1020220029803A KR 20220029803 A KR20220029803 A KR 20220029803A KR 20230132934 A KR20230132934 A KR 2023013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or
pump
diagnostic information
moto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원테크
Priority to KR102022002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34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3Testing, e.g. methods, components or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계측하여 진단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펌프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 및 펌프를 계측한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모터 진단 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펌프 진단 정보인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펌프의 복수 개의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베어링 진단 정보인 제3 정보를 생성하는 제3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모두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상기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1 진단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한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Motor-pum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계측하여 진단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펌프는 펌프와 모터가 일체로 구성된 펌프로, 펌프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진 모터가 구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체를 펌핑하는 임펠러가 펌프 케이스의 타측에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모터펌프는 소음과 진동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와 취급이 용이하여 상하수도, 급배수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모터펌프의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간격이 좁을수록 출력 향상에 유리한 반면, 모터펌프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고정자와 회전자의 팽창으로 인하여 고정자와 회전자가 접촉하면서 회전자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는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다.
그래서, 모터펌프에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팬 등의 냉각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냉각팬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고정자와 회전자가 급격하게 팽창하고, 결국 고정자와 회전자가 상호 밀착되어 회전자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면서 고정자와 회전자의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고열로 인하여 코일 등의 모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모터펌프는 노후화, 사용자 부주의, 설치 환경의 영향,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작동 중에 모터의 과부하, 코일 단락, 코일 단선, 고조파 이상 등과 같은 전기적 원인에 의한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2208830 B1호에서는 모터펌프의 모니터링 장치가 모터펌프에 장착되며, 모터펌프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모터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모터펌프의 가동명령이 입력되면, 모터펌프의 모터가 성능시험을 위한 테스트 구동을 하도록 모터제어부를 제어하고, 센서부를 통해 모터펌프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측정된 센서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테스트 결과 모터펌프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 및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부 및 모니터링 결과, 측정된 센서데이터가 정상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모터가 미리 설정된 운전조건에 따라 구동하도록 모터제어부를 제어하고, 모터펌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모터펌프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터펌프의 작동을 센싱하는 센서부의 결함이 있는 경우 모터펌프의 정확한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센서부를 통해 계측하여 모터펌프의 성능을 진단 함과 동시에, 센서부의 결함에 의한 센서부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계측하여 진단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펌프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 및 펌프를 계측한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모터 진단 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펌프 진단 정보인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펌프의 복수 개의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베어링 진단 정보인 제3 정보를 생성하는 제3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모두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상기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1 진단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한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센서부를 통해 계측하여 모터펌프의 성능을 진단 함과 동시에, 센서부의 결함에 의한 센서부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및 모터펌프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계측하여 진단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펌프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 및 펌프를 계측한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모터 진단 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펌프 진단 정보인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펌프의 복수 개의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베어링 진단 정보인 제3 정보를 생성하는 제3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모두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상기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1 진단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한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알림을 송신한 이후,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최초 제1 상태에서 전원이 OFF 된 제2 상태로의 제1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제3 상태로의 제2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에서, ON 상태인 상기 센서부의 전원을 OFF 로 제어한 후, 다시 OFF 에서 ON 이 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상태에서의 OFF 에서 ON인 상태로 제어된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인 상기 제3 진단 정보를 상기 제2 진단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3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관리자 단말로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2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 여부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이 되지 않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센서부의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인 제3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및 모터펌프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모터펌프의 판매자(렌탈 포함)와 모터펌프의 렌탈자 또는 구매자를 매개하고, 모터펌프의 렌탈자 또는 구매자는 시스템을 통해 구매한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판매자 또한 사후 관리를 위해 판매 또는 렌탈된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모터펌프라 함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모터(60)와 펌프(70)가 일체로 구성된 펌프를 의미할 수 있으며, 펌프(70)는 모터(6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 받아 회전력에 의해 유체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센서부(30)는 모터(60) 및 펌프(70), 펌프 내의 복수의 베어링(80)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30)에 의해 모터(60)와 펌프(70) 및 베어링(80)의 상태를 계측한다.
여기서 계측이라 함은, 상기 센서부(30)가 모터(60)와 펌프(70) 및 베어링(80)의 현재 상태를 센싱한다는 의미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센서부(30)에 의해 계측된 결과값을 기초로 모터(60)와 펌프(70) 및 베어링(80) 각각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진단하며, 계측된 값이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현재 상태가 정상임을 판단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30)를 구성하며, 상기 모터(6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제1 센서부(3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31)는 상기 모터(6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센서, 상기 모터(6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60)의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센서, 상기 모터(6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31)는 모터(60)의 전류 및 전압, 모터의 회전속도, 모터의 온도를 계측하여 모터 진단 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부(30)를 구성하며 상기 펌프(7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제2 센서부(32) 또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32)는 펌프(7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펌프(70)로부터 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펌프(7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펌프(70)로부터 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서, 펌프(70)의 압력 및 펌프(70)로부터 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계측하여 펌프 진단 정보인 제2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부(30)를 구성하며 상기 베어링(8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제3 센서부(33) 또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부(33)는 상기 베어링(8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베어링(8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베어링(8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베어링의 진동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서, 베어링(80)의 온도 및 압력을 계측하여 베어링 진단 정보 정보인 제3 정보를 생성한다.
다만, 도 3에서는 상기 제1 센서부(31) 내지 상기 제3 센서부(33)를 한 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면을 간략화 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 상기 제1 센서부(31) 내지 상기 제3 센서부(33) 각각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31) 내지 상기 제3 센서부(33)는 공지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진동 센서, 속도 센서, 전류 및 전압 센서로 구현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통신부(20)는 상기 센서부(30)로부터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메모리부(40)는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제어부(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일례로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3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며 점검이 필요한 경우, 상기 통신부(20)가 사용자 단말(P1) 및 관리자 단말(P2)로 점검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발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중앙 서버(5)를 더 포함하여, 일례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0), 상기 통신부(20), 상기 센서부(30), 상기 메모리부(40)는 하나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터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중앙 서버(5)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터펌프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의 사용자(모터펌프의 구매자 또는 모터펌프의 렌탈자)는 사용자 단말(P1, 스마트폰, 데스크탑, 태블릿PC)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중앙 서버(5)로 접속하여, 현재 사용하는 모터펌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모터펌프 각각에 대해, 고유의 식별 코드가 부여됨은 물론이다.
관리자(모터펌프의 판매자) 또한 사후 관리(after service)를 위해 판매자 단말(P2, 스마트폰, 데스크탑, 태블릿PC)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중앙 서버(5)으로 접속 하여, 렌탈 및/또는 판매된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수신된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모두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상기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1 진단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한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특정 모터펌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제1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특정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판단하고,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특정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특정 모터펌프에 대해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20)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S100단계)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센서부(30)를 통해 모터(60), 펌프(70), 베어링(80)의 현재 상태를 각각 독립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라도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특정 모터펌프에 대해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구매자 또는 렌탈자) 단말(P1) 및 관리자(판매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20)가 사용자 단말(P1)로 우선하여 모터(60), 펌프(70), 베어링(80) 중 이상이 있는 부분에 대해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는 특정 모터펌프에 대해, 상기 제2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서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펌프(70)의 압력 및 펌프(70)로부터 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계측한 펌프 진단 정보이며, 구체적으로 펌프(70)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펌프에 연결된 배관으로의 유체의 토출을 위한 밸브가 사용자 설정 기준보다 과도하게 닫혀 있어, 압력이 정상치 보다 높게 측정되거나 상기 밸브가 사용자 설정 기준보다 과도하게 열려 있어, 압력이 정상치 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모터펌프의 구동을 중지 시킨 후, 밸브를 열거나 닫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모터펌프의 정상적인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조작을 통해 모터펌프의 구동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10)는 특정 모터펌프에 대해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20)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모터펌프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5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알림을 송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알림에 따른 점검 위치 및 점검 방법에 대한 안내를 하기 위한 설명을 출력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모터펌프의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먼저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예시(펌프의 결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 뿐이며, 모터(60) 또는 베어링(80)에서 결함이 발생되더라도 상술한 예시와 동일하게 구현 될 수 있음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20)가 상기 제1 알림을 송신한 이후,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최초 제1 상태에서 전원이 OFF 된 제2 상태로의 제1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제3 상태로의 제2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에서, ON 상태인 상기 센서부의 전원을 OFF 로 제어한 후, 다시 OFF 에서 ON 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20)가 상기 제1 알림을 송신한 이후, 최초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상태(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점검을 위한 모터펌프의 전원을 OFF로 전환(제2 상태)됨을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30)는 모터펌프의 전원과 연동된 것이 아닐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센서부(30)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가 소정의 시간 동안 '0'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에서 OFF 로 전환된 제1 상태 변화를 인식한다.
이 후, 사용자가 모터펌프의 전원을 OFF 에서 ON으로 전환(제2 상태 변화)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센서부(30)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30)를 리셋(reset) 한다. (S110 단계)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전원이 ON으로 유지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ON 상태인 상기 센서부(30)의 전원을 OFF로 제어한 후, 다시 OFF 에서 ON이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30)를 리셋 하게 된다.
이는, 센서부(30) 자체의 결함에 의해 계측 값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터펌프를 점검 한 이후, 상기 센서부(30)를 리셋 하여 상기 센서부(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 또한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3 상태에서의 OFF 에서 ON인 상태로 제어된 상기 센서부(30)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인 상기 제3 진단 정보를 상기 제1 진단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30)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모터펌프가 사용자의 점검을 통해 정상적인 작동이 구현된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3 상태에서의 OFF 에서 ON인 상태로 제어된 상기 센서부(30)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인 상기 제3 진단 정보를 상기 제2 진단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 (S120 단계) 상기 제2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3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비교한다. (S140 단계)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동일한 경우, (S150 단계) 상기 센서부(30)의 이상이 없음을 판단하는 동시에, 모터펌프가 사용자에 의해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20)가 관리자 단말(P2)로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알림인 제2 알림을 발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사용자가 모터펌프의 이상에 대해 조치를 할 수 없어서, 판매자에 의해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부(10)가 상기 사용자 단말(P1)로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 여부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S170 단계)
이는, 상기 제어부(10)가 센서부(30)의 오작동을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모터펌프의 점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20)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이 됨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미숙한 조작으로 인해 모터 또는 모터와 연동된 펌프에서 또 다른 이상이 발생됨을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20)가 관리자 단말(P2)로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알림인 제2 알림을 발송하도록 제어한다. (S180 단계, S190 단계)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P1)로부터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이 되지 않음을 수신한 경우, (S180 단계) 상기 통신부(10)가 상기 관리자 단말(P2)로 상기 센서부(30)의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인 제3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점검이 되지 않음이란, 사용자가 모터펌프를 점검하기 위해 전원을 ON에서 OFF로 전환 (제1 상태 변화) 한 후, 모터펌프의 상태를 확인하였으나, 대처가 어려워 점검을 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부(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모터펌프의 전원이 사용자에 의해 OFF 에서 ON으로 전환(제2 상태 변화)되면, 리셋된 센서부(30)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3 진단 정보는 상기 제2 진단 정보와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모터펌프가 사용자에 의해 점검이 되지 않았음에도,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센서부(30)가 오작동 됨을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P1)로부터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이 되지 않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부(10)가 상기 관리자 단말(P2)로 상기 센서부(30)의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인 제3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1)은 모터펌프의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먼저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펌프에 결합된 센서부(30)의 이상 또한 판단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가 모터펌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5: 중앙 서버
10: 제어부
20: 통신부
30: 센서부
31: 제1 센서부, 32: 제2 센서부, 33: 제3 센서부
40: 메모리부
50: 디스플레이부
60: 모터
70: 펌프
80: 베어링

Claims (5)

  1.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계측하여 진단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펌프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모터 및 펌프를 계측한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모터 진단 정보인 제1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펌프 진단 정보인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펌프의 복수 개의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계측하여 베어링 진단 정보인 제3 정보를 생성하는 제3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모두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상기 모터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1 진단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아 점검이 필요한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진단 정보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중,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로 우선하여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알림을 송신한 이후,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최초 제1 상태에서 전원이 OFF 된 제2 상태로의 제1 상태 변화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터펌프의 전원이 ON 인 제3 상태로의 제2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에서, ON 상태인 상기 센서부의 전원을 OFF 로 제어한 후, 다시 OFF 에서 ON 이 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상태에서의 OFF 에서 ON인 상태로 제어된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인 상기 제3 진단 정보를 상기 제2 진단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3 진단 정보의 상기 제1 정보 내지 상기 제3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관리자 단말로 모터펌프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제2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상기 제2 진단 정보 중, 기 설정된 정상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 여부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터펌프의 점검이 되지 않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센서부의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인 제3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KR1020220029803A 2022-03-10 2022-03-10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KR20230132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03A KR20230132934A (ko) 2022-03-10 2022-03-10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03A KR20230132934A (ko) 2022-03-10 2022-03-10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34A true KR20230132934A (ko) 2023-09-19

Family

ID=8819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03A KR20230132934A (ko) 2022-03-10 2022-03-10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2471A1 (en) Device for real-time self diagnosis of a fan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102334507B1 (ko) 압력 조절기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7648A (ko) 산업용 박막 처리 전력 전달 시스템에 대한 오동작 예측설계
KR102208830B1 (ko) 모터펌프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30173186A1 (en) Self-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device
TW201812179A (zh) 泵總成、方法及電腦程式
WO2017124701A1 (zh) 具有故障监控功能的电气设备、电气系统以及终端设备
KR102208831B1 (ko) 모터펌프의 진단 장치 및 방법
JP4737551B2 (ja) フィールド機器システムと診断方法
JP6975679B2 (ja) 回転機診断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回転機診断方法
KR20230132934A (ko) 모터펌프 관리 시스템
KR101701315B1 (ko) 전자식 팽창밸브 고장진단 장치
KR102058088B1 (ko) IoT 네트워크 기반 모터밸브 불량검출 및 불량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CN108870641B (zh) 一种驱动故障检测方法、装置及空调器
KR100742964B1 (ko) 발전기 터빈의 리프팅 오일펌프 검사장치
CN113607445B (zh) 用于执行热管理系统的测试的方法
US101976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agnostics and monitoring a DC subsystem
CN110940032B (zh) 功率模块温度检测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器
KR102553701B1 (ko) 진공 펌프, 당해 진공 펌프에 적용되는 온도 조절용 제어 장치, 검사용 지그, 및 온도 조절 기능부의 진단 방법
KR100760404B1 (ko) 전자기기용 사전 진단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전 진단방법
KR102406874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어장치
JP7374011B2 (ja) エッジコンピュータ
JP2004031381A (ja) 半導体製造装置及びその診断装置ならびに半導体製造装置の運用システム
KR102537061B1 (ko) 터닝 기어의 동작 상태 진단 장치
US20240072716A1 (en) Monitoring circuit for electrical motor space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