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41A -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41A
KR20230132141A KR1020220029297A KR20220029297A KR20230132141A KR 20230132141 A KR20230132141 A KR 20230132141A KR 1020220029297 A KR1020220029297 A KR 1020220029297A KR 20220029297 A KR20220029297 A KR 20220029297A KR 20230132141 A KR20230132141 A KR 2023013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p
blood
separation
container body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호
Original Assignee
문상호
주식회사 엑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호, 주식회사 엑셀바이오 filed Critical 문상호
Priority to KR102022002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41A/ko
Publication of KR2023013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분리용기와 연결관 및 주사기부재로 구성된 분리키트를 이용하여 주사시 통증을 유발하는 혈구(적혈구)의 혼입을 최소화하면서 혈액에 함유된 PRP를 간편하게 분리 및 추출할 수 있으며, PRP의 추출중에 분리키트에 마련된 볼록부를 이용하여 혈액의 각 분리물질의 경계부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Kit for Separating Blood and Concentrating PRP and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분리용기와 연결관 및 주사기부재로 구성된 분리키트를 이용하여 주사시 통증을 유발하는 혈구(적혈구)의 혼입을 최소화하면서 혈액에 함유된 PRP를 간편하게 분리 및 추출할 수 있으며, PRP의 추출중에 분리키트에 마련된 볼록부를 이용하여 혈액의 각 분리물질의 경계부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PRP는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의 약자로 자가혈 치료라고도 한다. 이 치료는 자신의 피를 주사기로 뽑아서 원심분리기로 혈액의 성분을 분리하여 혈소판이 풍부한 부분만을 채취하여 치료에 활용하는 방법으로 PRP를 피부에 주사기로 직접 주입할 수 있다.
혈소판은 혈액에 존재하는 지혈에 관여하는 세포로 PRP에는 일반적인 혈액에 존재하는 혈소판보다 2~6배 높은 농도의 혈소판이 함유되어 있고 혈소판은 수많은 단백질, 싸이토카인 및 기타 생물학적 활성 인자를 포함하고 있어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노화된 피부를 회복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PRP는 피부 재생 등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료를 위하여 기존에는 전혈을 주사기로 채취하고 원심분리 튜브에 담고 원심분리기로 혈액 성분을 분리한 후 PRP 성분만 주사기에 채집하여 PRP 주입 치료를 위하여 주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PRP 성분은 혈액에서 아주 소량이고 전혈에서 성분 분리를 했을 때 가벼운 혈청, PPP(Platelet Poor Plasma)는 상부층, 무거운 혈구는 하부층, PRP는 중간층으로 분리되므로 중간층에서 채집가능하도록 중간 부분의 단면적이 작은 분리키트에서 주사기로 채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혈액의 손실을 일으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모든 과정이 무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PRP 제조를 함에 있어 숙달한 직원이 필요하고 환경 관리도 철저히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PRP 혈액 성분 분리를 하는 과정에 있어서 PRP 혈액 성분 분리가 용이한 장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623호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등록일자 : 2014.07.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다단으로 결합관이 형성되고, 끝단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고무패킹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기밀접촉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력이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피스톤; 상기 결합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사바늘; 로 구성되어 환자에게 입침되는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는 혈액의 성분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결합관이 형성된 지점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실린더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044호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등록일자 : 2012.10.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는 (a) 상부 저장부, 하부 저장부 및 상기 상부 저장부와 하부 저장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로 구성된 본체; (b) 상기 상부 저장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덮개; (c) 상기 하부 저장부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 저장부를 밀폐시키는 내부 마개; (d) 상기 내부마개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관통하면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통로부를 밀폐시키는 폐쇄용 조절나사; 및 (e) 원심분리시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어 있는 폐쇄용 조절나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저장부 하단 외부 및 상기 내부마개 외부와 결합되는 하부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를 이용하고,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PRP의 추출방법: (a) 채취된 혈액을 상부덮개를 통하여 본체에 주입하는 단계; (b) 혈액이 주입된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적혈구층과 혈장층을 분리시키는 단계; (c) 하부 저장부에는 적혈구층, 상부 저장부에는 혈장층이 위치하도록 폐쇄용 조절나사를 이동시키는 단계; (d) 하부덮개를 하부 저장부 하단 외부 및 내부마개 외부와 결합시켜, 상기 폐쇄용 조절나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e)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를 다시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상부 저장부에 위치한 혈장층을 PRP와 PPP로 분리하는 단계; 및 (f) 주사기 바늘을 삽입하여 PRP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기존 RPR층이 혈액에 미세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주사기를 이용한 분리 및 추출작업시 PRP층 만을 별도 분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추출 효율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623호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등록일자 : 2014.07.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044호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등록일자 : 2012.10.1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심분리용기와 연결관 및 주사기부재로 구성된 분리키트를 이용하여 혈액에 함유된 혈구(적혈구)의 혼입을 최소화하면서 PRP를 간편하게 분리 및 추출할 수 있으며, PRP의 추출중에 분리키트에 형성된 볼록부를 통하여 혈구와 PRP의 경계부분을 확대 확인하면서 추출하도록 하여 혈구(적혈구)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혈액 내 PRP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는,
채혈된 혈액이 담겨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몸체보다 직경이 작은 주입구와, 상기 용기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혈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구비하며,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상기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수용하는 원심분리용기와;
상기 원심분리용기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밀어 올려서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을 상기 주입구측으로 밀어올리는 승강캡과;
하단이 상기 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의 일부가 유입되는 연결관과;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한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에 유입된 혈액을 수용하는 주사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용기는 하단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캡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캡의 나사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가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하부에 상기 용기 몸체의 주입구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하부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혈액이 수용되는 중간연결부와, 상기 중간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부재의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주입구의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1볼록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볼록부를 통해 상기 중공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추출되는 혈액을 시각적으로 확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연결관은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2볼록부와, 상기 제2볼록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통공측으로 빛을 비추는 조명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은,
상기 원심분리용기에 채취한 혈액을 수용시키고, 혈구, PRP, PPP로 원심분리시키는 원심분리단계와;
상기 승강캡을 회전동작시켜 상기 승강부재를 용기 몸체의 중공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PPP를 개방된 주입구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혈구와 PRP를 상기 중공 내에 잔존시키는 가압분리단계와;
상기 연결관의 상단부와 상기 주사기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를 상기 주입구에 결합시키는 분리키트 조립단계와;
상기 승강캡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부재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RP를 상기 연결관으로 이동시키는 PRP 분리단계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원심분리용기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연결관 내의 PRP를 상기 주사기부재로 유입시켜서 PRP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1볼록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PRP 분리단계에서 상기 제1볼록부를 통해 상기 PRP와 혈구의 경계부분을 확대하여 확인하면서 PRP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분리키트 조립체 및 추출방법은 가늘고 긴 연결관(200)을 이용함으로써, 주사기부재(300)로 추출되는 PRP(12)에 혈구(13)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제1볼록부(140) 및 제2볼록부(240)에 의해서 PRP(12)와 혈구(13)의 경계부분을 확대된 상태로 관측가능하게 함으로써, 혈구(13)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세째, 본 발명은 연결관(200)에 조명램프(250)를 배치함에 따라 보다 선명한 관측으로 PRP(12)의 분리 및 추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원심분리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원심 분리된 혈액의 분리작업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관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PRP의 분리 및 추출작업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나타낸 샘플 사진,
도 8 및 도 9는 연결관없이 주사기부재에 직접 PRP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본 출원인의 실험사진.
본 발명에 따른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나타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웜심분리용기(100), 연결관(200) 및 주사기부재(30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심분리용기(100)는 채혈된 혈액(10)이 담겨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112)이 형성된 용기몸체(110)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몸체(110)보다 직경이 작은 주입구(111)와, 상기 용기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혈액(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재(125)를 구비하며,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장착되어 혈액(10)을 원심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부재(125)를 밀어 올려서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10)을 상기 주입구(111)측으로 밀어올리는 승강캡(120)이 결합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원심분리된 혈액(10)은 하부로부터 혈구(13;적혈구), PRP(12;Platelet Rich Plasma)), PPP(11; Platelet Poor Plasma)로 분리된다.
참조번호 130은 캡부재로서, 원심분리시 혈액(10)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관(200)은 하단이 상기 주입구(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125)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10)의 일부(PRP; 12)가 유입된다.
상기 원심분리용기(100)는 하단부 외주면에 수나사산(11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캡(120)은 상기 수나사산(11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24)가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캡(120)의 나사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125)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10)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주입구(111)의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1볼록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볼록부(140)를 통해 상기 중공(112)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추출되는 혈액(10)을 시각적으로 확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200)은 하부에 상기 용기 몸체(110)의 주입구(111)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210)와,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혈액(10)중 PRP(12)가 수용되는 중간연결부(220)와, 상기 중간연결부(2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부재(300)의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연결부(220)는 소경이면서 길게 형성되어 혈액(10)중 소량의 PRP(12)가 혈구(13)와의 경계부분에서 최대한 분리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200)은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2볼록부(240)와, 상기 제2볼록부(2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통공(202)측으로 빛을 비추는 조명램프(250)를 구비한다.
상기 주사기부재(300)는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한 피스톤(31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200)에 유입된 혈액(10)중 PRP(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연결부(210)는 상기 상부 주입구(111)의 상단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주입구(111)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중간연결부(220)의 통공(202)이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통공(202)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후의 PRP(12) 추출작업시 연결관(200) 내부의 가느다란 통공(202)을 통해 적혈구층(13)과 분리된 상태의 PRP(12)의 분리 및 추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00)은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볼록부(240)가 더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볼록부(240)를 통해 상기 통공(202) 내부에서 상측의 주사기부재(300)측으로 추출되는 PRP(12)를 시각적으로 확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1볼록부(140)는 용기 몸체(110)의 상부 주입구(111) 상부측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혈액(10)의 각 분리 물질 경계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2볼록부(240)는 중간연결부(220)와 하부연결부(210)의 연결부위에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PRP(12)의 추출과정에서 상기 PRP(12)과 적혈구층(13)의 경계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제2볼록부(2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통공(202)측으로 빛을 비추는 조명램프(250)를 더 구비하여서, PRP(12)의 추출작업시 상기 통공(202)측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게 되어 PRP(12)의 분리 및 추출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원심 분리된 PPP(11)의 분리작업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도 4a는 혈액(10)이 원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승강캡(120)의 회전동작시 승강부재(125)가 중공 내에서 상승동작되면서 혈액(1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PPP(11)가 용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고 중공내에 PRP(12)과 혈구(13)가 잔존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이용한 혈액 내 PRP 추출방법은 다음과같다.
[원심분리단계]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에 채취한 혈액(10)을 수용시키고, 원심분리기(미도시)에 장착하여 혈구(13), PRP(12), PPP(11)로 원심분리시킨다.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10)은 밀도차이에 따라 최하부로부터 혈구(13), PRP(12), PPP(11)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분리된다.
[가압분리단계]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캡(12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부재(125)를 용기 몸체(110)의 중공(112)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PPP(11)를 개방된 주입구(111)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혈구(13)와 PRP(12)만 상기 중공(112) 내에 잔존시킨다.
[분리키트 조립단계]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200)의 상단부와 상기 주사기부재(300)를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관(200)의 하단부를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의 주입구(111)에 결합시킨다.
[PRP 분리단계]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캡(120)을 나사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부재(125)를 상부측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상기 PRP(12)를 상기 연결관(20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310)은 상기 승강부재(125)의 상승압력에 의해서 주사기부재(300) 내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PRP(12)가 연결관(2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혈구(13)와 PRP(12)의 경계부분에서는 상기 제1볼록부(140)와 제2볼록부(240)를 통하여 확대하여 관측하면서, 상기 승강캡(120)의 회전을 미세조절하여 혈구(13)가 연결관(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후 혈구(13)가 혼입된 PRP(12)를 피부에 주사하게 되면 통증을 유발한다.
한편,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에 주사기부재(300)를 직접 연결하고, 피스톤을 후퇴하여 PRP(12)를 직접 주사기부재(300) 내부로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의 후퇴시 흡입 압력이 발생할때 원심분리용기(100)내의 밀도가 RPP(1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혈구(13)가 주사기부재(300) 내부로 먼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에 주사기부재(300)를 직접 연결하고, 상기 승강캡(120)을 회전시키면서 PRP(12)를 주사기부재(300) 내부로 유입시킬때 PRP(12)와의 경계부분의 혈구(13)가 주사기부재(300) 내부로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원심분리용기(100)와 주사기부재(300) 사이에 직경이 작고 길게 형성된 연결관(200)을 결합하여 PRP(12)를 원심분리용기(100)로부터 분리시켰다.
즉, 피스톤(310)을 후퇴 압력이나 상기 승강부재(125)의 상승압력에 의해서 원심분리용기(100) 내의 PRP(12)외에 경계부분의 혈구(130)의 극히 일부가 연결관(200)에 혼입되더라도 주사기부재(300)에 혈구(13)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원심분리용기 분리 및 PRP 추출단계]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원심분리용기(100)를 분리시킨다. 이때 연결관(200)으로부터 PRP(12)는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 피스톤(31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연결관(200) 내의 PRP(12)를 상기 주사기부재(300)로 유입시켜서 PRP(12)를 추출한다.
이때 밀도가 높은 혈구(13)의 일부가 연결관(200)에 혼입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200)을 하측에 주사기부재(300)를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피스톤(310)을 이동시켜 PRP(12)를 주사기부재(300) 내부로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분리키트 조립체 및 추출방법은 가늘고 긴 연결관(200)을 이용함으로써, 주사기부재(300)로 추출되는 PRP(12)에 혈구(13)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볼록부(140) 및 제2볼록부(240)에 의해서 PRP(12)와 혈구(13)의 경계부분을 확대된 상태로 관측가능하게 함으로써, 혈구(13)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200)에 조명램프(250)를 배치함에 따라 보다 선명한 관측으로 PRP(12)의 분리 및 추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혈액 11...PPP
12...PRP 13...혈구
100...원심분리용기 110...용기 몸체
111...주입구 112...중공
114...수나사산 120...승강캡
124...암나사 125...승강부재
130...캡부재 140...제1볼록부
200...연결관 202...통공
210...하부연결부 220...중간연결부
230...상부연결부 240...제2볼록부
250...조명램프 300...주사기부재
310...피스톤

Claims (6)

  1. 채혈된 혈액(10)이 담겨지며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112)이 형성된 용기몸체(110)와, 상기 용기몸체(1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몸체(110)보다 직경이 작은 주입구(111)와, 상기 용기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혈액(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재(125)를 구비하며,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상기 혈액(10)을 원심분리하여 수용하는 원심분리용기(100)와;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125)를 밀어 올려서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10)을 상기 주입구(111)측으로 밀어올리는 승강캡(120)과;
    하단이 상기 주입구(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통공(20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125)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심분리된 혈액(10)의 일부가 유입되는 연결관(200)과;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한 피스톤(31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200)에 유입된 혈액(10)을 수용하는 주사기부재(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용기(100)는 하단부 외주면에 수나사산(11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캡(120)은 상기 수나사산(114)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24)가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캡(120)의 나사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125)가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하부에 상기 용기 몸체(110)의 주입구(111)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210)와,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혈액(10)이 수용되는 중간연결부(220)와,
    상기 중간연결부(2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부재(300)의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주입구(111)의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1볼록부(14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볼록부(140)를 통해 상기 중공(112)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추출되는 혈액(10)을 시각적으로 확대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연결관(200)은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21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볼록렌즈를 구성하는 제2볼록부(240)와, 상기 제2볼록부(2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상기 통공(202)측으로 빛을 비추는 조명램프(2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5. 청구항 3의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용기(100)에 채취한 혈액(10)을 수용시키고, 혈구(13), PRP(12), PPP(11)로 원심분리시키는 원심분리단계와;
    상기 승강캡(120)을 회전동작시켜 상기 승강부재(125)를 용기 몸체(110)의 중공(112)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PPP(11)를 개방된 주입구(111)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혈구(13)와 PRP(12)를 상기 중공(112) 내에 잔존시키는 가압분리단계와;
    상기 연결관(200)의 상단부와 상기 주사기부재(300)를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관(200)의 하단부를 상기 주입구(111)에 결합시키는 분리키트 조립단계와;
    상기 승강캡(12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부재(125)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RP(12)를 상기 연결관(200)으로 이동시키는 PRP 분리단계와;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원심분리용기(100)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피스톤(31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연결관(200) 내의 PRP(12)를 상기 주사기부재(300)로 유입시켜서 PRP(12)를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10)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1)의 외주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제1볼록부(140)를 형성하여서,
    상기 PRP 분리단계에서 상기 제1볼록부(140)를 통해 상기 PRP(12)와 혈구(13)의 경계부분을 확대하여 확인하면서 PRP(12)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20220029297A 2022-03-08 2022-03-08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20230132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97A KR20230132141A (ko) 2022-03-08 2022-03-08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97A KR20230132141A (ko) 2022-03-08 2022-03-08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41A true KR20230132141A (ko) 2023-09-15

Family

ID=8801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97A KR20230132141A (ko) 2022-03-08 2022-03-08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44B1 (ko) 2011-12-29 2012-10-24 (주) 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416623B1 (ko) 2012-09-05 2014-07-08 김윤성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44B1 (ko) 2011-12-29 2012-10-24 (주) 알메디카 혈액 분리 및 prp 농축을 위한 일체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KR101416623B1 (ko) 2012-09-05 2014-07-08 김윤성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6812A1 (en) Cell concentration devices and methods
CN103566629B (zh) 一种血液富血小板分离提取方法和装置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US20130011311A1 (en) Blood Component Separator
TWI720658B (zh) 脂肪幹細胞分離裝置
KR101406574B1 (ko) 혈액의 혈소판 농축 혈장 분리용 수집용구
KR101306455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416623B1 (ko) Prp 혈액 성분 분리를 위한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KR20230132141A (ko) 혈액 분리키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prp 추출방법
CN209790967U (zh) 一种用于抽取血液内单个核细胞的装置
KR200269465Y1 (ko) 채혈 주사기
KR20190010176A (ko) 피알피와 버피 코트의 믹싱이 가능한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102223877B1 (ko) 원심분리용기 조립체
KR20030064491A (ko) 혈청분리용 주사기
CN218589740U (zh) Prp制备组件
KR101433821B1 (ko) 항응고제 자동 주입형 혈소판 농축세트
CN117126716B (zh) 一种一次性使用富血小板血浆专用离心管及其附件
CN215540992U (zh) 一种prp分离提取装置
CN218167377U (zh) 一种prp制备装置
KR102661299B1 (ko) 혈소판 풍부 혈장(prp)추출키트
CN215839082U (zh) 一种真空采血管
CN217962597U (zh) 一种医用检测离心管
KR102161356B1 (ko) 재사용 여부 확인이 가능한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KR200492392Y1 (ko) 버피코트 추출용 원심 분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