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11A -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11A
KR20230132111A KR1020220029239A KR20220029239A KR20230132111A KR 20230132111 A KR20230132111 A KR 20230132111A KR 1020220029239 A KR1020220029239 A KR 1020220029239A KR 20220029239 A KR20220029239 A KR 20220029239A KR 20230132111 A KR20230132111 A KR 2023013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ket
user
agricultural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중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11A/ko
Priority to EP23160326.7A priority patent/EP4242956A1/en
Priority to US18/179,685 priority patent/US20230306453A1/en
Publication of KR2023013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시장 추천 장치가 수행하는 시장 추천 방법은,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정된 시장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PTIMAL MARKE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생산된 농수산물을 판매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장을 추천하여, 생산지로부터 추천 시장으로 농수산물을 바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은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므로, 생산자가 직접 농수산물의 판매나 운송, 보관 등의 유통과정까지 모두 담당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생산자가 직접 소비자에게 농수산물을 판매하는 소위, 직거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생산자들은 농수산물을 도매시장에서 도매상과 거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도매시장에서는 경매를 통해 농수산물의 가격이 결정된다. 그에 따라 경매 과정을 통해 결정된 경락가에 따라 농수산물이 도매상에게 판매되며, 매도인인 판매자들은 경락가에 대응하는 금액을 판매대금으로 수령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동종의 농수산물의 가격도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시장에 대한 농수산물의 공급과 그에 대한 수요는 매일 달라지며, 따라서 시장에서 결정되는 농수산물의 거래 가격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한편 농수산물의 판매로 인한 생산자의 수익은, 거래 가격뿐 아니라 농수산물을 시장까지 운반하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농수산물의 생산자들의 입장에서는 거래 가격이 높은 시장에 농수산물을 납품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해당 시장에 농수산물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 농수산물 생산자들에게는 이와 같은 시장별 거래가격의 차이를 모니터링하면서, 농수산물 납품 시점마다 거래가격이 높은 시장을 선택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사 결정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157680호 “수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및 수산물 견적 추천 방법”에는 소비자들이 구매시장과 소매점을 선택하고, 구매상품과 구매 옵션을 선택한 후 공동구매 팀을 결성하여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저렴한 가격에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일 뿐, 수산물의 생산자로 하여금 최적의 시장에 생산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더라도, 생산자로 하여금 최적의 시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생산자에게 농수산물을 공급할 최적의 시장을 추천하는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생산자에게 생산자가 생산한 농수산물을 좋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을 추천하는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각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거래 가격과 해당 시장까지의 농수산물 운반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산자가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 추천 장치가 수행하는 시장 추천 방법은,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정된 시장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 추천 장치는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장을 추천하는 입출력부; 주기적으로 상기 거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시장 추천 방법은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정된 시장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 추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시장 추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시장 추천 방법은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정된 시장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생산자에게 농수산물을 공급할 최적의 시장을 추천하는 시장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생산자에게 생산자가 생산한 농수산물을 좋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을 추천하는 시장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거래 가격, 시세 변화 추이, 거래 시간, 상품가치 하락과 해당 시장까지의 농수산물 운반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산자가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장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장 추천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서버(20)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서비스 서버(20)가 농수산물 시장들에서 일어나는 농수산물 거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들에게 농수산물을 판매할 시장을 선정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시장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농수산물의 생산자, 농수산물의 생산자로부터 농수산물을 인도받아 시장에 납품하는 운송업자, 또는 생산자로부터 농수산물을 현지에서 매수한 매수자 등, 농수산물을 시장으로 운송하여 시장에서 타인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자로서, 농수산물을 판매할 시장을 결정하는 결정권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되거나, 제3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서버(20)는 서로 협력하여, 하나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시장 추천 장치(100)를 구성하며, 시장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제공되는 시장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서드파티 서버(30)는 각각의 시장에서 발생한 거래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는 제3자의 장치로서, 서비스 서버(20)는 서드파티 서버(30)로 거래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제공받거나, 또는 서드파티 서버(30)가 웹페이지 형식으로 게시하는 거래정보를 크롤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드파티 서버(30)는 농림축산식품부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의 관련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로서, 도매시장법인별 품목별 경매 가격 정보나 정가 또는 수의 매매 결과 정보 등의 거래정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때 서드파티 서버(30)가 거래정보를 수집하는 시장들은, 전자경매가 이루어지는 도매시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래정보는 거래가 이루어진 시장의 식별정보, 거래된 농수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거래 가격정보, 거래 시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농수산물의 종류는 적어도 품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나아가 품종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는, '포도'와 같은 품목 정보를 포함하거나, 나아가 '샤인머스캣'과 같은 품종으로 세분화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거래정보는 선택적으로, 거래된 농수산물에 부여된 품질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위의 거래정보는, 경매시간, 거래 품목, 거래 규격, 경락가, 거래량, 도매시장 명칭, 도매법인 명칭, 생산자 또는 생산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로 구성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장 추천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 입출력부(120), 제어부(130), 그리고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저장부(110)에는 파일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에는 농수산물이 거래되는 복수의 시장 각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장의 명칭, 식별정보, 위치, 각 시장에서 취급되는 농수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등이 시장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정보가 저장되는 각각의 시장은 상술한 거래정보의 수집 대상이 되는 시장들이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서드파티 서버(30)로부터 수집된 각 시장별 거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농수산물을 판매할 시장을 추천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장을 선정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알고리즘은 농수산물의 종류와, 농수산물의 생산지 위치, 등급이나 수량 등의 생산정보를 입력 받으면, 그에 대한 출력으로서 최적의 시장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알고리즘으로서, 특정 함수를 포함하거나 인공신경망 등 머신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0)는 각각의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각 사용자의 식별자에 연관하여, 사용자의 주소나 위치정보, 사용자가 생산하는 농수산물의 종류, 사용자가 과거에 농수산물을 시장에서 거래한 거래이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시장을 추천하는 입출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시장 추천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2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시장에서 거래하고자 하는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등급 정보, 수량 정보 등을 생산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생산정보의 일부, 예를 들어 생산지의 주소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은 사용자의 계정정보에서 독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20)는 후술할 제어부(130)가 선정하는 추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농수산물을 판매할 시장을 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입출력부(120)는 제어부(130)가 추천 시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예측되는 특정 시장에 대한 농수산물 판매 시 발생될 운송 비용이나 거래 수익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시장 추천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알고리즘이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처리된 데이터를 다시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우선 서드파티 서버(30)가 보유하는 각 시장별 거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시장에서 발생한 거래정보는 누적하여 기간별 평균을 산출하거나, 특정 기간 동안의 거래정보의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간의 특정 종류의 농수산물에 대한 복수의 시장의 거래 가격정보를 각 시장별로 평균하여, 각 시장별 평균 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생산정보를 확인하고, 생산정보에 부합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시장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종의 농수산물에 대한 거래 이력이 있는 시장들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지 주소 또는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중 하나에 기초하여 파악된 사용자 위치와, 각 시장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운송 거리나 운송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장들을 선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시장별로 예측되는 운송 비용, 예를 들어 농수산물의 수량이나 무게, 운송 경로 등에 따라 예측되는 유류비, 통행료, 그리고 인건비 등을 합산한 예상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장들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운송 비용을 산출함에 있어서, 시장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운송 시간과 시장에 도달한 이후에 경매 등의 거래 시간까지의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예를 들어 콜드 체인 유지 비용이나 추가적인 인건비 발생 비용 등을 함께 고려하여 운송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더불어 각 시장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운송 시간과 경매 시간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에, 상품의 신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품 가치 하락을 고려하여, 제어부(130)는 운송 비용에 운송 시간이나 대기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하락하는 상품 가치에 대응하는 비용을 부가하여 최종적인 운송 비용을 예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운송 거리, 운송 시간,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순서에 따라 일정 순위에 속하는 시장이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농수산물에 대한 일정 기간 내의 거래정보를 갖는 시장을 사용자에 대한 추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에 대한 거래정보를 확인하여,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시장들을 추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포도' 품목에 대하여, A 시장과 B 시장이 비슷한 거리에 있을 때, 최근 A 시장에서 포도 1kg에 대해 10,000원의 거래정보가 기록되고 B 시장에서 12,000원의 거래정보가 기록되었다면, B 시장을 추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시장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시장과 생산정보에 포함된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각 시장까지의 운송 시간, 운송 거리,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산출한 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와 운송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하나 이상의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와 같이 가격정보를 참조하여 시장을 선정함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각 시장별 거래 시간에 따른 시세 변화 추이를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시장의 최근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장의 시세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농수산물이 각 시장에 도달하여 참여할 수 있는 경매 시간에 대응하는 농수산물 가격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시장의 최근 거래정보에 따른 농수산물의 평균적인 가격정보가 유사하지만,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경매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 예를 들어 오후장의 시세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이 있다면, 해당 시장을 추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최근으로부터 일정 기간 범위 내의 거래정보만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가격 정보는 농수산물의 단위 수량이나 무게, 부피 등에 따라 결정되므로, 제어부(130)는 각 시장마다 다른 단위에 따른 가격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이를 환산하여 통일된 단위 가격을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농수산물 생산지로부터 시장까지 농수산물의 운송이 용이하거나 운송 비용이 적게 드는 시장 중에서, 해당 농수산물에 대한 거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을 추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산출된 운송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시장 중 적어도 일부를 후보로 선정한 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후보로 선정된 시장 중에서 가격정보가 높은 순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최종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산지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시장을 일차적으로 후보로 선정한 후, 해당 시장들 중에서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종의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확인할 때 거래 가격이 높은 순으로 추천 순위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시장을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생산지로부터 운송 비용이 낮은 순으로 일부의 시장을 우선 후보로 선정한 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최종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시장에 대하여 운송 비용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시장에서의 사용자의 농수산물에 대한 가격정보와,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수량이나 무게 등을 참조하여 각 시장에서 사용자의 농수산물이 판매되었을 때의 예상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예측된 운송 비용과 예상 매출에 기초하여, 각 시장에 대해 기대되는 예상 거래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이와 같이 예측된 예측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예상 거래 수익이 높은 순으로 시장을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예상 거래 수익 외에도 시장까지의 운송 거리 등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일정 거리 내의 시장 중 예상 거래 수익이 높은 순으로 일부 시장만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운송정보와, 각 시장에서의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거래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선정된 시장의 위치나 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장을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추천된 시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장에서 수집된 거래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일한 종류의 농수산물의 최근 평균 거래가격 정보 등이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선택된 시장에 대하여 산출된 예측정보, 예를 들어 예상 운송 비용, 예상 운송 시간, 예상 운송 거리 등의 정보와, 예상되는 거래 수익에 대한 정보 등을 부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선택된 시장에 대한 추천 운송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된 시장에서 사용자의 농수산물이 거래되는 시간, 예를 들어 경매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적어도 몇 시에 출발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4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시장 추천 장치(100)가 타 장치, 예를 들어 서드파티 서버(30)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과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시장 추천 장치(100)가 수행하는 시장 추천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시장 추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시장 추천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각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 별 거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1). 시장 추천 장치(100)는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각 시장별 농수산물의 종류에 따른 거래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서드파티 서버(30)가 웹페이지 형식으로 게시하는 거래정보들을 크롤링하거나, 서드파티 서버(30)로 거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식으로 거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장 추천 장치(100)는 특정 품목 또는 품종의 농수산물에 대하여, 언제, 어떤 시장에서 단위 수량이나 무게, 등급 등에 따른 농수산물이 얼마에 거래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송이(일반) 품종에 대하여, 오늘 새벽 5시에 서울가락시장에서 도매법인 OO청과가 충남 논산시의 양송이 2kg 규격을 경락가 12,500원에 낙찰 받은 거래 정보를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지속적으로 거래정보를 수집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농수산물의 생산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2).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시장 추천이 요청되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생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정보는,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수량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등급별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 등급 23박스, '상' 등급 4박스, '중' 등급 3박스 등과 같이 박스 단위의 수량을 등급별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생산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입력필드는,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등록된 계정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들 중 해당하는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의해 자동 기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생산하는 농수산물의 종류가 '고구마' 한 가지이고,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사용자가 생산하는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로서 '고구마'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시장 추천 장치(100)는 생산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농수산물의 종류를 기입하도록 정해진 입력필드에 '고구마'를 자동 기입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생산지 주소나 위치 정보 또한 자동 기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시장 추천 장치(100)는 생산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입력된 생산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시장 추천 장치(100)는 입력 받은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S303).
이때 시장 추천 장치(100)는 생산지의 위치와 시장의 위치에 기초한 운송 거리, 운송 시간,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시장 선정을 위한 하나의 요소로서 고려할 수 있다. 즉, 시장 추천 장치(100)는 거리가 가깝거나, 운송 시간이 짧거나, 운송 비용이 저렴한 시장을 추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시장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일한 종류의 농수산물에 대한 최근 거래정보가 있는 시장인지 여부를 시장 선정을 위한 요소로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일한 종류의 농수산물에 대한 최근 거래정보가 있는 시장 각각에 대해, 최근 거래정보에 포함된 거래 가격정보를 시장 선정을 위한 요소로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시장 추천 장치(100)는 최근 한 달 내의 거래정보만을 참조하거나, 최근 일주일 내의 거래정보만을 참조하는 등, 최근 일정 기간 내의 거래정보만을 추천 시장 선정을 위해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시장 추천 장치(100)는 동일 종류의 농수산물에 대해 최근 일정 기간 내에 수집된 거래정보의 거래 가격정보를 평균한 평균 가격정보를 기준으로 추천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시장 추천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운송정보를 참조할 때 운송 거리가 짧거나 운송 시간이 짧거나, 운송 비용이 적게 드는 등 시장으로의 농수산물 운송이 용이하고, 각 시장에 대해 수집된 거래정보를 참조할 때, 단위 규격 당 거래 가격정보가 높은 시장을 우선적으로 추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일부 시장을 후보로 선정한 후, 가격정보를 참조하여 최종적으로 추천 시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역으로 가격정보를 참조할 때 가격이 높은 순으로 일부의 시장을 후보로 선정한 후, 이들 중 운송정보를 참조할 때 운송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하나 이상의 시장을 추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시장 추천 장치(100)는 각 시장에 대한 운송 비용을 예측하고, 거래 가격에 대응하여 판매 매출을 예측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시장별로 기대 가능한 거래 수익을 예상하여 예상되는 거래 수익이 높은 순으로 추천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시장 추천 장치(10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함께 고려하여 추천 시장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시장 추천 장치(100)는 선택적으로 생산정보로서, 운송 시작 시간을 추가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종 상품에 대한 각 시장의 경매 시작 시간과 운송 시작 시간을 고려하여, 일부의 시장은 추천 시장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는 시장 추천 장치(100)는 추천 시장의 경매 시작 시간을 참조하여 농수산물의 운송 시작 시간, 즉 출발시간을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시장 추천 장치(100)는 S303단계에서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농수산물을 거래할 시장을 추천할 수 있다(S304).
예를 들어, 시장 추천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화면(4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지도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1) 상의 생산지의 위치에 출발지 아이콘(402)을 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각 추천 시장의 위치에, 시장 아이콘(40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 아이콘(403) 상에는 추천 순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시장 아이콘(403) 내에는 추천 순위 대신에, 각 시장에서의 사용자의 농수산물과 동일한 종류의 농수산물의 최근 거래 가격정보가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시장 추천 장치(100)가 추천하는 하나 이상의 시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시장 추천 장치(100)는 추천 시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예측된 예측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05). 여기서 예측정보는, 예를 들어 운송 비용이나 판매 매출, 거래 수익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시장 추천 장치(100)는 예측 정보뿐 아니라 각 시장에 대한 각종 세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장 추천 장치(100)는 추천 시장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추천 1순위의 시장의 세부정보(404)를 화면 일측에 함께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시장 아이콘(403)에 대응하는 시장의 세부정보(404)를 화면 일측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세부정보(40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장까지의 이동거리, 소요시간, 유류비, 통행료 등의 예측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시장에 대해 수집된 거래정보에 기초한 농수산물의 최근 거래 가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시장 추천 장치(100)는 예상되는 거래 수익을 산출하여 세부정보(404)에 포함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시장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가 추천된 특정 시장을 선택하고, 운송을 개시하면, 해당 시장까지의 운송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장 추천 장치(100)에 의해 추천된 시장으로 자신의 농수산물을 운송하고 해당 시장에서 판매함으로써, 운송의 편의와 함께 판매 수익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장 추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장 추천 장치 110: 저장부
120: 입출력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0: 사용자 단말
20: 서비스 서버 30: 서드파티 서버

Claims (11)

  1. 시장 추천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정된 시장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장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된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거래가 이루어진 시장의 식별정보, 거래 가격정보, 거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시장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장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시장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시장과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각 시장까지의 운송 시간, 운송 거리,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운송정보와,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하나 이상의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장 추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장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시장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시장 과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상기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각 시장까지의 운송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운송 거리에 기초하여, 식별된 시장 중 적어도 일부를 후보로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후보로 선정된 시장 중에서 가격정보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최종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장 추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정된 시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장에 대하여, 각 시장과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운송 시간, 운송 거리,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와, 각 시장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래 수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장 추천 방법.
  6. 시장 추천 장치에 있어서,
    농수산물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시장에서의 농수산물의 종류별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수량 정보, 생산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장을 추천하는 입출력부;
    주기적으로 상기 거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생산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선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장 추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된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 거래가 이루어진 시장의 식별정보, 거래 가격정보, 거래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장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농수산물의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농수산물의 거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시장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시장과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각 시장까지의 운송 시간, 운송 거리,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운송정보와,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하나 이상의 시장을 선정하는, 시장 추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운송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시장 중 적어도 일부를 후보로 선정한 후, 검색된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후보로 선정된 시장 중에서 가격정보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시장을 최종 선정하는, 시장 추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시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장에 대하여, 각 시장과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생산지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운송 시간, 운송 거리, 운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송정보와, 각 시장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래 수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생성된 예측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장 추천 장치.
  10.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시장 추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29239A 2022-03-08 2022-03-08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30132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39A KR20230132111A (ko) 2022-03-08 2022-03-08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EP23160326.7A EP4242956A1 (en) 2022-03-08 2023-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ptimal market
US18/179,685 US20230306453A1 (en) 2022-03-08 2023-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ptimal mar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39A KR20230132111A (ko) 2022-03-08 2022-03-08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11A true KR20230132111A (ko) 2023-09-15

Family

ID=8551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39A KR20230132111A (ko) 2022-03-08 2022-03-08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6453A1 (ko)
EP (1) EP4242956A1 (ko)
KR (1) KR2023013211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11337A1 (en) * 2017-08-04 2019-02-21 AG Centre Australia Pty Lt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user interfaces for processing agricultural commodities
WO2019209947A1 (en) * 2018-04-24 2019-10-31 Indigo Ag, Inc. Interaction management in an online agricultural system
KR102403497B1 (ko) 2020-06-22 2022-05-31 주식회사 어상13호 수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및 수산물 견적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2956A1 (en) 2023-09-13
US20230306453A1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tent and sentiment data
Elfenbein et al. Market structure, reputation, and the value of quality certification
Liu et al. Optimal purchase and inventory retrieval policies for perishable seasonal agricultural products
US10657575B2 (en)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generated post-purchase content and navigation patterns
US9639886B1 (e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coding user interfaces configured to render stylist suggestions
US20180218430A1 (en)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tent and user-generated post-purchase content
US20110082703A1 (en) Internet Content Pricing Model
CN108765043A (zh) 产品推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86911A1 (en) Product re-pric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6560323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KR102308697B1 (ko) 리뷰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
US20150317653A1 (en) Omni-channel demand modeling and price optimization
US11410213B2 (en) Displaying listings based on listing activity
CA3044162A1 (en) Computing architecture for multi-source data aggregation and user-action inference and related methods
JP6831887B1 (ja) 電子商取引装置、電子商取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70879A (ko) 노출지수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88728B2 (en) Facilitated comparison of gemstones
US20130269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er interface, account management, and profile management
KR20230132111A (ko) 시장 추천 장치 및 방법
US202001517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digital advertisements
US202001517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digital advertisements
Filiopoulou et al. Last-mile delivery options: exploring customer preferences and challenges
KR20240064095A (ko) 산지 및 시장 간의 최적 배송을 위한 물류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2563130B1 (ko) 상품페이지 제공 장치 및 상품페이지 제공 방법
KR102563125B1 (ko) 최저가제공장치 및 최저가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