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061A -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061A
KR20230132061A KR1020220029098A KR20220029098A KR20230132061A KR 20230132061 A KR20230132061 A KR 20230132061A KR 1020220029098 A KR1020220029098 A KR 1020220029098A KR 20220029098 A KR20220029098 A KR 20220029098A KR 20230132061 A KR20230132061 A KR 2023013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ring
pipe
type
ty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뿔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뿔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뿔소
Priority to KR102022002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061A/ko
Publication of KR2023013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3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placed around the 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2013/145Too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방향에서 파이프를 물어주는 압착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C형 압착링을 이용하여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의 압력을 권장 사용압력은 32kN이하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 하여 부식이나 동결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파이프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C형 압착링; 고무링이 안쪽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무링의 바깥쪽에 상기 C형 압착링이 삽일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되는 대구경부를 갖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형 압착링의 여러곳에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된 2개 이상의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을 C형 압착링의 내부로 절곡시켜 이루어진 압착편;을 구비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Description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omitted}
본 발명은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방향에서 파이프를 물어주는 이빨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C형 압착링을 이용하여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에 의해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 하여 손상된 부분이 부식되거나 동파되지 않으면서도 파이프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연결될수 있도록 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링(c)와 고무링(d)이 위치하는 연결구(a)의 외경을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를 사용해 압착함으로써 스테인레스 링(c)이 파이프(b)의 외경을 찌그러뜨려 파이프(b)가 연결구(a)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테인레스 링(c)을 파이프(b)가 찌그러질 정도로 압착하기 위해서는 45kN 이상의 압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독일 클라우케사 또는 미국 리지드사 등의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 제품의 권장 사용압력은 32kN이기 때문에 45kN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할 경우 유압 전동 압착공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파이프가 찌그질 경우 어느정도의 손상과 변형으로 인한 잔류응력이 발생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파이프를 통과하는 액체가 스며들 경우 부식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파이프 내의 액체가 동결되어 부피가 늘어나게 되면 스테인레스 링과 파이프의 찌그러진 부분사이에서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식과 유격은 모두 누수 발생 및 연결장치의 체결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50054호, 미국특허 제7,316,429호와 같이 연결구의 대경부 압착시 그립링이 탄성 변형되면서 파이프를 가압 고정함으로써 적은 압력으로도 파이프와 연결구의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그립링은 다양한 슬릿과 홈 등을 구비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고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때문에 실제품으로 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구조적으로 그립링의 결속력이 약하여 외력에 의해 파이프가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가 회전할 염려가 크기 때문에 수격 현상(워터헤머 현상)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파이프의 배관 구조를 뒤틀리게 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미국특허 제7,316,429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8508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1543호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005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방향에서 파이프를 물어주는 압착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C형 압착링을 이용하여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의 압력을 권장 사용압력은 32kN이하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 하여 부식이나 동결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파이프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C형 압착링; 고무링이 안쪽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무링의 바깥쪽에 상기 C형 압착링이 삽일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되는 대구경부를 갖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형 압착링의 여러곳에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된 2개 이상의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을 C형 압착링의 내부로 절곡시켜 이루어진 압착편;을 구비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C형 압착링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평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교차하는 절개부의 중심에 압착편 모양에 대응하는 펀치를 프레싱 하여 압착편을 형성하고 평판을 C형으로 밴딩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압착편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의 압력을 권장 사용압력인 32kN 이하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 하여 부식이나 동결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압착편으로 여러방향에서 파이프를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물어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구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C형 압착링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착편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개부를 보인 실시예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C형 압착링(10); 고무링(20)이 안쪽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무링(20)의 바깥쪽에 상기 C형 압착링(10)이 삽일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되는 대구경부(31)를 갖는 연결구(30);를 포함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형 압착링(10)의 여러곳에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된 2개 이상의 절개부(11); 상기 절개부(11)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을 상기 C형 압착링(10)의 내부로 절곡시켜 이루어진 압착편(12);을 구비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착편(12)은 삼각형 모양이며 첨부가 파이프(40)를 물어주게 되는 것으로 압착편(12)이 압착링(10)의 내부로 절곡되는 절곡 각도가 15°~ 90°를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개부(11)와 압착편(12)은 파이프(40)의 직경과 내부 압력에 따라 4~20 곳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C형 압착링(10)은 일정한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재에 절개부(11)를 형성하고 펀치를 이용하여 압착편(12)을 원하는 각도로 형성한후 판재를 C형으로 구부리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와 압착편(12)은 펀칭 작업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C형 압착링(10)의 제작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C형으로 구부린 일정한 두께의 폭을 갖는 판재에 절개부(11)와 압착편(12)을 형성하거나, 절개부(11)가 형성된 판재를 C형으로 구부린후 압착편(12)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C형 압착링(10)에 한 번의 펀칭 작업 또는 절개후 이루어지는 펀칭 작업만으로 압착편(12)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화 되지 못하고 있는 선행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의 경우 곧 바로 제품화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상기 C형 압착링(10)에 형성된 상기 압착편(12)은 대구경부(31)를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권장 사용 압력인 32kN 이하로 압착하게 되면 파이프(40)를 여러방향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어주게 된다. 이때 C형 압착링(10)의 개구부(13)는 오므려지게 된다.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를 권장 사용 압력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고가인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압착시 파이프(40)의 손상 및 변형을 최소화 함으로써 액체가 손상된 부위에 침습하더라도 부식될 염려가 적으며, 파이프(40) 내부의 액체가 동결되어 파이프(40)가 팽창되더라도 압착편(12)이 파이프(40)와 연결구(30)사이의 유격을 보상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착편(12)이 절곡되기 전의 절개부(11)를 보인 실시예시도로서, (a)는 2개의 절개부(11)가 +모양 또는 ×모양으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4개의 압착편(12)이 파이프(40)를 사방에서 물어주도록 한 것이고, (b)는 3개의 절개부(11)를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압착편(12)의 첨부 각도가 60°가 되도록 교차되게 형성하여 6개의 압착편(12)이 파이프(40)를 물어주도록 한 것이며, (c)는 절개부(11)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연결구(30)의 대구경부(31) 내부에 고무링(20)과 C형 압착링(10)을 삽입하고 파이프(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권장 사용 압력인 32kN 이하로 대구경부(31)를 압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에 의해 이루어진 형성된 압착편(12)이 파이프(40)의 외경을 여러 방향에서 물어주게 된다.
종래와 달리 여러 방향에서 파이프(40)를 물어주는 압착편(12)은 파이프(4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동시에 파이프(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잡아주는 역활을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여러방향에서 파이프(40)를 물어주는 압착편(12)을 여러곳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C형 압착링(10)을 이용하여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의 압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40)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 하여 손상된 부분이 부식되거나 동파되지 않으면서도 파이프(4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히 연결될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압착링 11 : 절개부
12 : 압착편 13 : 개구부
20 : 고무링 30 : 연결구
31 : 대구경부 40 : 파이프

Claims (5)

  1.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C형 압착링(10); 고무링(20)이 안쪽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무링(20)의 바깥쪽에 상기 C형 압착링(10)이 삽일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되는 대구경부(31)를 갖는 연결구(30);를 포함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형 압착링(10)의 여러곳에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된 2개 이상의 절개부(11); 상기 절개부(11)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을 상기 C형 압착링(10)의 내부로 절곡시켜 이루어진 압착편(12);을 구비한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형 압착링(10)에 상기 절개부(11)와 압착편(12)을 4~20 곳이 배치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12)의 절곡 각도가 15°~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의 대구경부(31)을 유압 전동식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권장 사용 압력인 32kN 이하로 압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220029098A 2022-03-08 2022-03-08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230132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98A KR20230132061A (ko) 2022-03-08 2022-03-08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98A KR20230132061A (ko) 2022-03-08 2022-03-08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061A true KR20230132061A (ko) 2023-09-15

Family

ID=8802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098A KR20230132061A (ko) 2022-03-08 2022-03-08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06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08B1 (ko) 2013-08-29 2014-12-04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
KR101501543B1 (ko) 2014-08-28 2015-03-12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50054B1 (ko) 2018-11-26 2020-08-31 삼영금속 주식회사 압착식 배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08B1 (ko) 2013-08-29 2014-12-04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
KR101501543B1 (ko) 2014-08-28 2015-03-12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50054B1 (ko) 2018-11-26 2020-08-31 삼영금속 주식회사 압착식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989A (en) Pipe couplings
KR101182371B1 (ko) 주름관 연결구조
JP2012515304A (ja) パイプ把持リング
US4850096A (en) Method of joining pipes
CN105757367B (zh) 一种卡套接头装置
KR20230132061A (ko) 압착식 파이프 연결장치
US20110067469A1 (en) T-fitting manufacturing method and tool
KR101771314B1 (ko) 원터치 피팅 어댑터
KR101101752B1 (ko)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0394852B1 (ko) 압착식 관이음쇠의 체결구조
KR20120053691A (ko)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20100095055A (ko)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038987B (zh) 一种用于钩钉加工成型的冷镦机模具及其方法
JP2013148188A (ja) ワッシャ
CN113199278A (zh) 一种锯床夹具的改进型压板螺栓结构
KR20110094866A (ko) 파이프 연결구
CN217512587U (zh) 角钢校直工装
KR100478810B1 (ko) 슬리브 포인트 하이드로 테스트용 지그
KR200459293Y1 (ko) 관 연결구
JP4198429B2 (ja) 薄肉管継手用パイプ止め輪及びこれを用いた継手構造
CN216344458U (zh) 一种具备双重密封结构的卡压管件
KR20200061811A (ko) 압착식 배관 연결구
JPS6058415B2 (ja) 突合せ溶接継手の型曲げ方法及び装置
JPS5853507Y2 (ja) 管接手
KR20100061952A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