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192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192A
KR20230131192A KR1020237022269A KR20237022269A KR20230131192A KR 20230131192 A KR20230131192 A KR 20230131192A KR 1020237022269 A KR1020237022269 A KR 1020237022269A KR 20237022269 A KR20237022269 A KR 20237022269A KR 20230131192 A KR20230131192 A KR 2023013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tf
extra
additional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 미노타니
요시오 우라베
다카시 이와이
도모후미 다카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13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 회로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의 규격인 802.11ax(이하, "11ax"라고 부른다)의 후계 규격으로서, 태스크 그룹(TG, Task Group)에 있어서 802.11be(이하, "11be"라고 부른다)의 기술 사양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IEEE 802.11-20/486r0, "Decoupling Channel Training from NSTS", March, 2020 비특허문헌 2: IEEE 802.11-20/1375r2, "EHT LTF Design", October, 2020
그러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 개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각각 제공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하여 반드시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Extremely High Throughput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EHT PPDU)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EHT MU PPDU의 수신처 유저수가 1개인 경우(no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U-MIMO))의 U-SIG 및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EHT MU PPDU의 수신처 유저수가 1개보다 많은 경우(MU-MIMO)의 U-SIG 및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공간 스트림수마다의 Very High Throughput-Long Training Field(VHT-LTF)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IEEE 802.11n의 HT-SIG2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부의 공간 스트림수와 LTF수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확장 공간 스트림수와 HT-extended LTF(HT-ELTF)수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Extra-LTF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총 공간 스트림수를 바탕으로 결정한 LTF수에 Extra-LTF수를 가산한 LTF수로부터 매핑 매트릭스(P-matrix)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총 공간 스트림수를 바탕으로 결정한 LTF수로부터 구한 P-matrix를 복수 개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수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초기 EHT-LTF수의 배수로 Extra-LTF수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공통 정보에 있어서 Bitmap으로 Extra-LTF의 할당을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공통 정보에 있어서 유저 정보에 Extra-LTF 정보가 포함되는지 어떤지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Single User(SU)의 경우에 저차 변조와 Extra-LTF의 조합을 추가한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Multi-User(MU)의 경우에 고차 변조와 Extra-LTF의 조합을 추가한 MCS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Trigger frame User Info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Extra P-matrix를 포함하는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 P-matrix의 행 인덱스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2 유저에게 공간 스트림을 1개씩 할당하고, 2 유저 중의 하나에 추가의 P-matrix의 행 성분을 1개 할당한 경우의 LTF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Trigger frame User Info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Extra-LTF를 지시하기 위한 Trigger frame typ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공통 정보에 있어서 Bitmap으로 Extra-LTF를 통지하는 경우의 Trigger frame Common Info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공통 정보에 있어서 유저 정보에 Extra-LTF 정보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통지하는 경우의 Trigger frame Common info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Extra-LTF와 Midamble와 병용하는 경우의 PPDU forma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링크 어뎁테이션 제어 정보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1be에서는,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을 목적의 하나로,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SS))수로부터 결정되는 11ax의 High Efficient non-Legacy Long Training Field(이하, HE-LTF라고 부른다)보다 많은 Extream High Throuhput-LTF(EHT-LTF)를 송신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2).
도 1에, EHT-LTF를 통지하기 위한 EHT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EHT PPDU)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U-SIG field 및 EHT-SIG field를 포함하는 신호(SIG) 필드는, 제어 신호의 비한정적인 일례이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HT PPDU에는, 1개 이상의 EHT-LTF가 설정될 수 있다. EHT-LTF는, 추가의 참조 신호의 비한정적인 일례이다.
또, 도 2에, EHT MU PPDU의 수신처 유저수가 1개인 경우(no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U-MIMO) 혹은 SU(single user)라고 부른다)의 U-SIG 및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는, EHT MU PPDU의 수신처 유저수가 1개보다 많은 경우(MU-MIMO라고 부른다)의 U-SIG 및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HT-SIG 필드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수신처 유저에게 공통의 공통 필드(Common field)와, 수신처 유저별 유저 필드(User field)가 포함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on-MIMO의 경우, EHT-SIG 필드에는, 유저 필드가 1개 마련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U-MIMO의 경우, EHT-SIG 필드에는, 유저 필드가 수신처 유저수에 대응한 수만큼 마련된다.
11ax에 있어서의 HE PPDU 송신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E PPDUG의 유저 정보(User field라고도 부른다)에 포함되는 공간 스트림수(Number of Spatial Streams. 이하, NSTS라고 표기한다) 서브필드, 또는 공간 구성(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에 의하여 통지되는 공간 스트림수의 값에 근거하여 HE PPDU에 포함되는 HE-LTF수를 결정한다.
한편, 11be에 있어서 EHT PPDU 송신에서는, 예를 들면, U-SIG에 포함되는 Number of EHT-LTF Symbols subfield(이하, NEHT-LTF)로 EHT PPDU에 포함되는 EHT-LTF 심볼수를 통지한다. EHT PPDU에서는, 11ax와 동일하게 공간 스트림수에 근거하여 EHT PPDU에 포함되는 EHT-LTF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EHT PPDU에서는, NEHT-LTF로 공간 스트림수로부터 결정되는 EHT-LTF수보다 많은 EHT-LTF 심볼수를 통지함으로써, 통상의 EHT PPDU보다 많은 EHT-LTF를 포함하는 EHT PPDU를 실현할 수 있다.
통상의 EHT-LTF보다 많은 EHT-LTF를 송신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또는, "기지국"이라고도 부른다)는, 각 단말(Station(STA)이라고도 부른다)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EHT-LTF수의 2배의 EHT-LTF를 할당해도 된다. 예를 들면, 2대의 STA1, 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수를 각각 [2,1]로 할당하는 경우, EHT-LTF수는 [4,2]로 할당해도 된다.
HE-LTF보다 많은 EHT-LTF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STA는, 예를 들면, NEHT-LTF 서브필드에 의하여 통지되는 EHT-LTF수와, NSTS 서브필드 또는 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에 의하여 통지되는 공간 스트림수를 비교하여, EHT-LTF에 추가의 LTF가 포함되어 있는지 어떤지 판별하고, EHT-LTF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또한, NEHT-LTF는, U-SIG의 잉여 서브필드로서 EHT-SIG의 Common 필드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 IEEE 802.11n(이하, "11n"이라고 부른다)에 있어서, 송신기와 수신기의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기 위하여 송신되는 sounding PPDU가 있다. 도 5에, 11n에 있어서의 HT-SIG2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11n에서는, HT-SIG2에 포함되는 Not sounding 서브필드=0인 경우, Sounding PPDU로서 송신한다.
Sounding PPDU는, 예를 들면, 공간 스트림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LTF(Data LTF(DLTF)라고 부른다)와, 추가의 공간 스트림(확장 공간 스트림. 또는 Extention spatial stream(ESS)라고 부른다)을 송신하기 위한 LTF(Extention LTF(ELTF)라고 부른다)를 포함해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공간 스트림수(NSTS/NESS)와 LTF수(NHT-DLTF/NHT-ELTF)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공간 스트림수와 확장 공간 스트림수의 합곗값에는, 예를 들면, 4 이하 또한 송신 안테나수 이하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MU-MIMO에 있어서, 요구되는 채널 추정 정밀도는 유저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U-MIMO에 있어서,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한 공간 스트림수를 할당한 경우(환언하면, 1 유저당 송신 전력이 동일한 경우), 수신처 유저 사이에서 변조 방식(환언하면,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이 크게 상이할 수 있다. 수신처 유저 사이에서 MCS가 크게 상이한 경우, 고차 변조 신호는 저차 변조 신호와 비교하여 잡음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신호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공통 필드(또는 공통 정보)와 유저 필드(또는 유저 정보)를 갖는 제어 신호에, 유저별 추가의 LTF(Extra-LTF라고 부른다)에 관한 필드(또는 정보)를 포함시킴(혹은 설정함)으로써,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예를 들면, 유저별로 요구되는 채널 추정 정밀도에 따라, 유저별로 Extra-LTF의 할당을 결정하고, 복수의 채널 추정값을 최대비 합성함으로써, 채널 추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채널 추정 정밀도의 개선에 의하여, 예를 들면, 신호 오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또는, "기지국"이라고도 부른다), 및, 하나의 단말(Station(STA)이라고 부른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Down Link(DL) 통신에 있어서, AP는 "하향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고, STA는 "하향 무선 수신 장치"에 대응한다. 또, Up Link(UL) 통신에 있어서, AP는 "상향 무선 수신 장치"에 대응하고, STA는 "상향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STA는, "유저 장치" 혹은 간단히 "유저"라고 칭해져도 된다. "하향 무선 수신 장치"는, DL 통신에 있어서의 수신처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P는, 예를 들면, DL 통신에 있어서, STA에 대하여 Extra-LTF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PDU를 송신해도 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서는, 예를 들면, AP가, STA에 대하여 Extra-LTF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비한정적인 일례로서, 11be에 있어서 AP가 Extra-LTF를 포함하는 신호를 STA로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AP 및 STA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11be에 있어서 AP가 Extra-LTF를 포함하는 EHT PPDU를 STA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AP는, Extra-LTF에 관한 능력 정보(Capability라고 부른다)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capability 요구)를 STA(예를 들면, STA1, STA2)에 송신한다(S101). STA는, Capability 요구를 수신한 경우, 당해 STA의 Extra-LTF에 관한 Capability를 예를 들면 Capability 응답으로서 Capability 요구의 송신원 AP로 송신한다(S102).
Extra-LTF에 관한 Capability에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서포트의 가부(可否) 정보, non-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OFDMA) 싱글 유저 송신으로 수신 가능한 최대 LTF수, 멀티 유저 송신으로 수신 가능한 최대 LTF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된다.
AP는, 예를 들면, STA로부터 수신한 Capability 요구에 의하여 취득한 capability에 근거하여 Extra-LTF를 송신 가능한 STA를 선택하고, 주파수 리소스(Recourse Unit(RU)라고 부른다)나 공간 다중 방법, 변조 방법의 스케줄링을 행한다(S103). 또, AP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Extra-LTF를 포함하는 EHT PPDU를 생성한다(S104). 이때, AP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할당을 통지하는 정보(이하 "Extra-LTF 정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예를 들면 EHT PPDU에 포함시켜 STA에 송신해도 된다(S105).
AP로부터 Extra-LTF 정보를 수신한 STA는, 예를 들면, Extra-LTF 정보를 포함하는 EHT PPDU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S106). 예를 들면, STA는, EHT PPDU의 프리앰블부로부터 취득한 NSTS와 NEHT-LTF의 값과 Extra-LTF 정보에 근거하여, EHT PPDU에 Extra-LTF가 할당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별하고, LTF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또, STA는, 취득한 채널 추정값을 바탕으로, 예를 들면, EHT PPDU의 데이터부의 등화(等化)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부를 복조·복호한다. 또, STA는, 예를 들면, 복호한 데이터 신호의 오류 판정 결과에 따라, 응답 신호(Acknowledge(ACK라고 부른다))를 AP로 송신한다(S107).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Extra-LTF를 포함하는 EHT PPDU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Extra-LTF를 포함하는 EHT NDP PPDU에 대하여 상술한 동작예가 적용되어도 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AP)(1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AP(100)(예를 들면, 통신 장치에 상당)에 있어서, 제어부(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예를 들면, STA)별 추가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Extra-LTF)에 관한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송신부(예를 들면, 송신 회로에 상당)는, 당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STA(200)(예를 들면, 통신 장치에 상당)에 있어서, 수신부(예를 들면, 수신 회로에 상당)는, 수신처 장치(예를 들면, STA)별 추가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Extra-LTF)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에 이용하는 추가의 참조 신호를 결정해도 된다.
[실시형태 1의 하향 무선 송신 장치]
도 11은,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AP)(100)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101)와, 수신 신호 복호부(102)와, 스케줄링부(103)와, 데이터 생성부(104)와, 데이터 부호화부(105)와, 데이터 변조부(106)와, 프리앰블 생성부(107)와, 무선 송신부(108)를 포함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 스케줄링부(103), 데이터 생성부(104), 데이터 부호화부(105), 데이터 변조부(106), 및, 프리앰블 생성부(107)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108)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송신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101)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하여,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도 10 참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컨버트 및 Analog-to-Digital(A/D) 변환과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한다. 무선 수신부(101)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수신 신호를, 프리앰블부(프리앰블 신호라고도 부른다)와 데이터부(데이터 신호라고도 부른다)로 분할하여 수신 신호 복호부(102)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는, 무선 수신부(101)로부터 입력되는 프리앰블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각각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Fast Fourier Transform(FFT))과 같은 복조 처리를 행하고, 프리앰블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해도 된다.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폭(BW: bandwidth), MCS, 또는, 부호화 방법과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수신 신호 복호부(102)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신호로부터 취득한 제어 신호와 채널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푸리에 변환 후의 데이터 신호를 채널 등화하고, 복조·복호하여, Cyclic Redundancy Check(CRC)와 같은 오류 판정을 행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에 오류(환언하면, 복호 오류)가 없는 경우, 복호한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스케줄링부(103)로 출력한다. 한편, 수신 신호 복호부(102)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복호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스케줄링부(103)는, 예를 들면, 수신 신호 복호부(1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의 수신 품질 정보, 또는,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의 capability를 바탕으로,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수신 품질 정보에는, 예를 들면, Packet Error Rate(PER)나 RSSI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RU, MCS,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Extra-LTF 정보와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 생성부(104), 데이터 부호화부(105), 데이터 변조부(106), 및, 프리앰블 생성부(107)로 출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생성부(104)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부(103)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로 송신하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데이터 부호화부(105)에 데이터 계열을 출력한다.
데이터 부호화부(105)는, 예를 들면, 데이터 생성부(10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계열과, 스케줄링부(103)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이나 MCS)에 근거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부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변조부(106)로 출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변조부(106)는, 예를 들면, 데이터 부호화부(105)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스케줄링부(103)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면, 변조 방법)에 근거하여, 변조 및 역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IFFT))을 행한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 송신부(108)로 출력되어도 된다.
프리앰블 생성부(107)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부(103)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Extra-LTF 혹은 Extra-LTF에 관한 제어 정보(예를 들면, Extra-LTF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생성한다. 프리앰블 신호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생성부(107)에 있어서 변조 및 IFFT 처리가 실시되어, 무선 송신부(108)로 출력되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108)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변조부(10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에, 프리앰블 생성부(107)로부터 출력된 프리앰블 신호를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패킷 신호라고도 부른다)을 생성한다. 또, 무선 송신부(108)는,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Digital-to-Analog(D/A) 변환, 캐리어 주파수에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로 송신한다.
[실시형태 1의 하향 무선 수신 장치]
도 12는,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와, 프리앰블 복조부(202)와, Extra-LTF 판별부(203)와, 채널 추정부(204)와, 데이터 복조부(205)와, 데이터 복호부(206)와, 송신 신호 생성부(207)와, 무선 송신부(208)를 포함해도 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 Extra-LTF 판별부(203), 채널 추정부(204), 데이터 복조부(205), 데이터 복호부(206), 및, 송신 신호 생성부(207)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수신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하여,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AP)(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컨버트 및 A/D 변환과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 무선 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복조부(205)로 출력하고, 프리앰블 신호를 프리앰블 복조부(202)로 출력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로부터 출력된 프리앰블 신호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FFT)과 같은 복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데이터부의 복조 및 복호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이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BW나 MCS,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Extra-LTF 정보와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는, 예를 들면, 추출한 제어 정보를 데이터 복조부(205), 데이터 복호부(206), Extra-LTF 판별부(203), 및, 채널 추정부(204)로 출력해도 된다.
Extra-LTF 판별부(203)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복조부(202)로부터 출력된 Extra-LTF 정보를 바탕으로, 수신 신호의 프리앰블에 Extra-LTF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판별한 정보(이하, Extra-LTF 판별 정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예를 들면, 채널 추정부(204)로 출력되어도 된다.
채널 추정부(204)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예를 들면, LTF)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채널 추정부(204)는, Extra-LTF 판별부(203)로부터 출력된 Extra-LTF 판별 정보를 바탕으로, Extra-LTF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당해 하향 무선 수신 장치에 할당된 공간 스트림수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EHT-LTF(Original LTF로 한다)에 더하여, Extra-LTF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또, 채널 추정부(204)는, 예를 들면, Original LTF와 Extra-LTF를 이용하여 각각 추정한 채널 추정값을 최대비 합성하여, 합성 후의 채널 추정값을 데이터 복조부(205)로 출력한다. 또한, 합성 후의 채널 추정값과 데이터부의 전력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전력 보정값을 합성 후의 채널 추정값에 부여해도 된다. 또, 채널 추정부(204)는, Extra-LTF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Extra-LTF를 이용한 채널 추정은 행하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 복조부(205)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FFT)과 같은 처리를 행하고, 프리앰블 복조부(202)로부터 출력된 제어 정보와, 채널 추정부(204)로부터 출력된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 데이터 신호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복호부(206)로 출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복호부(206)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복조부(202)로부터 출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조부(205)로부터 출력된 복조 데이터 신호를 복호하여 CRC와 같은 오류 판정을 행하고, 판정 결과인 오류 판정 정보를 송신 신호 생성부(207)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207)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복호부로부터 출력된 오류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ACK 또는 Block ACK(BA라고 부른다))를 생성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7)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고, 무선 송신부(208)로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208)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 생성부(207)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D/A 변환, 캐리어 주파수로의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하향 무선 송신 장치(100)로 송신한다.
[동작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AP)(100) 및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향 무선 송신 장치(100)로부터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제어 정보라고도 부른다)에는, 복수의 유저에게 공통의 공통 정보와, 복수의 유저에게 개별의 유저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유저(예를 들면,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에게 개별의 Extra-LTF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EHT PPDU의 SIG 필드(U-SIG 또는 EHT-SIG) 혹은 Trigger frame이어도 된다. 또, Extra-LTF 정보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할당의 유무 및 Extra-LTF의 할당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된다.
[방법 1]
방법 1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 정보의 각각에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서브필드를 포함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HT-SIG의 개개의 유저 필드에 Extra-LTF의 할당을 통지하는 Extra-LTF 서브필드를 포함시켜도 된다. Extra-LTF 서브필드에 의한 통지 방법은, 방법 1의 구체예 1~3에 있어서 후술한다.
EHT-LTF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유무에 관계없이, 복수의 EHT-LTF 심볼을 다중하기 위하여 매핑 매트릭스(P-matrix라고 부른다)가 부가된다. 11ac/ax에서는, 예를 들면,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F수(NHE-LTF)에 따라 사용하는 P-matrix가 결정된다. 11n에서는, 예를 들면, P4×4의 P-matrix가 사용된다. P4×4는, 예를 들면 식 (2)에 의하여 나타난다. P-matrix의 열 성분은, 각 LTF 심볼에 대응한다. 한편, P-matrix의 행 성분은, 공간 스트림에 대응하고, 행 성분은 각 LTF 심볼에 다중화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Extra-LTF를 포함하는 EHT-LTF에 부가하는 P-matrix는, 예를 들면, EHT-LTF수에 근거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이 EHT-LTF수는, 예를 들면, MU-MIMO에 있어서 송신되는 총 공간 스트림수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EHT-LTF수에 Extra-LTF수를 가산함으로써 구해져도 된다.
도 14에, STA1과 STA2에 공간 스트림을 2개씩 할당하고, STA1에 Extra-LTF를 2개 할당한 경우의 EHT-LTF에 부가하는 P-matrix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AP는, 예를 들면, 6행 6열의 P-matrix(P6×6이라고 부른다)의 1~4행 1~4열의 요소를 Original LTF에 부가하고, P6×6의 1~4행 5~6열의 요소를 Extra-LTF에 부가한다.
STA1은, 예를 들면, Original LTF로부터 취득한 채널 추정값과, Extra-LTF로부터 취득한 채널 추정값의 최대비 합성을 행하여, 데이터부의 등화 처리에 사용한다.
Extra-LTF를 포함하는 EHT-LTF에 부가하는 P-matrix에는, 예를 들면, MU-MIMO에 의하여 송신되는 총 공간 스트림수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Original LTF를 복수 개 사용해도 된다. 도 15에, STA1과 STA2에 공간 스트림을 2개씩 할당하고, STA1에 Extra-LTF를 4개 할당한 경우의 EHT-LTF에 부가하는 P-matrix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AP는, 예를 들면, 4행 4열의 P-matrix(P4×4라고 부른다)를 Original LTF에 부가하는 것에 더하여, 또 하나의 P-matrix P4×4를 Extra-LTF에 부가한다.
STA1은, 예를 들면, Original LTF로부터 취득한 채널 추정값과, Extra-LTF로부터 취득한 2개의 채널 추정값의 최대비 합성을 행하여, 데이터부의 등화 처리에 사용한다.
방법 1과 같이, 특정 유저에 대하여 Extra-LTF를 할당함으로써, 종래보다 많은 LTF를 사용한 채널 추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최대비 합성에 의하여 채널 추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방법 1의 구체예 1]
방법 1의 구체예 1에 있어서, Extra-LTF 정보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한다. 도 16에,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Extra-LTF 서브필드는, 예를 들면, 1비트의 서브필드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Extra-LTF=1인 경우에, Extra-LTF를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고, Extra-LTF=0인 경우에 Extra-LTF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방법 1의 구체예 1에서는, 제1 STA는, 예를 들면, 다른 제2 STA에 보내는 유저 정보도 참조하여 제1 STA에 보내는 Extra-LTF수를 판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는, STA1과 STA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을 1개씩 할당하고, STA1에 Extra-LTF를 2개 할당한 경우의 예가 나타난다. 이 때의 LTF의 할당예를 도 17에 나타낸다.
STA1 및 STA2는, 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로부터, STA1과 STA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이 1개씩 할당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다(환언하면, 총 공간 스트림수=2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다).
이 경우, Original LTF는, STA1과 STA2에 각각 1개씩 할당된다. STA1은, 예를 들면, STA2의 User field의 Extra-LTF를 참조하여, STA2에 Extra-LTF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을 식별한다. 또, STA1은, 예를 들면, NEHT-LTF 서브필드로 통지된 EHT-LTF수(이 예에서는, NEHT-LTF=4)로부터, 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로 통지된 총 공간 스트림수(=2)를 감산함으로써, STA1에 할당된 Extra-LTF수를 결정하고, 참조하는 EHT-LTF index(1~3)를 도출한다.
한편, STA2는, 예를 들면, STA1의 User field의 Extra-LTF를 바탕으로 STA1에 Extra-LTF가 할당된 것을 식별한다. 또, STA2는, 예를 들면, STA1과 동일하게 EHT-LTF수와 총 공간 스트림의 차분으로부터, STA1에 할당된 EHT-LTF index를 계산하고, STA2가 참조하는 EHT-LTF index(4)를 도출한다.
[방법 1의 구체예 2]
방법 1의 구체예 2에 있어서, Extra-LTF 정보는, 예를 들면, Extra-LTF수를 통지한다. 도 18에,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수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8에서는, STA1과 STA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을 1개씩 할당하고, STA1에 Extra-LTF를 2개 할당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Extra-LTF수의 통지 방법은, 예를 들면, Extra-LTF수를 각 Extra-LTF 서브필드에 의하여 통지해도 된다. 또, Extra-LTF수의 통지 방법은, 사용 가능한 Extra-LTF수를 한정하여(예를 들면, Extra-LTF수는 [0, 2, 4, 8]로부터 선택한다) 통지해도 된다.
[방법 1의 구체예 3]
방법 1의 구체예 3에서는, 초기(혹은 Original) LTF수의 배수를 Extra-LTF 정보로서 통지한다. 도 19에,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초기 EHT-LTF수의 배수로 Extra-LTF수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에서는, STA1과 STA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수를 1개씩 할당하고, STA1에 Extra-LTF를 1개 할당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각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Extra-LTF 서브필드는 1비트의 서브필드로 하고, Extra-LTF=1인 경우에 초기 LTF수의 2배의 LTF를 할당하는(환언하면, Extra-LTF=0인 경우, Extra-LTF를 할당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Extra-LTF 서브필드는, 1비트의 서브필드에 한정되지 않고, 또, 통지하는 초기 LTF수의 배수는, Extra-LTF 서브필드의 비트수를 늘려, 3배 혹은 4배 이상으로 해도 된다.
[방법 2]
방법 2에서는, 예를 들면, Extra-LTF의 유무에 의하여 제어 정보의 구성(혹은 포맷)을 전환한다. 예를 들면, U-SIG에 Extra-LTF present 서브필드를 추가하여,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1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 Extra-LTF present=1을 통지하고,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Extra-LTF present=0을 통지한다. Extra-LTF의 유무는, 방법 1의 구체예 1~3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통지해도 된다.
방법 2와 같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EHT-SIG의 구성을 전환함으로써, Extra-LTF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방법 2의 구체예 1]
방법 2의 구체예 1에서는,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면, 공통 정보에 Extra-LTF bitmap을 추가하여, Extra-LTF bitmap에 의하여 각 유저의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해도 된다. 환언하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공통 정보에, Extra-LTF bitmap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도 20에, 공통 정보에 있어서 Bitmap에 의하여 Extra-LTF의 할당을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Extra-LTF bitmap은, 예를 들면, EHT-SIG에 포함되는 유저 정보의 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가변 길이의 bitmap으로 해도 된다. 또, Extra-LTF bitmap은, 예를 들면, MU-MIMO의 최대 다중 유저수에 근거하는 고정 길이의 bitmap으로 해도 된다.
Extra-LTF bitmap은, 예를 들면, 방법 1의 구체예 1과 같이, 1비트로 유저별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방법 1의 구체예 2와 같이, 최대 3비트로 유저별 Extra-LTF수를 통지해도 된다. 혹은, 방법 1의 구체예 3과 같이, NSTS에서 통지된 공간 스트림수의 배수의 LTF를 할당하는 것을 1비트로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방법 2의 구체예 1에 의하면, Extra-LTF bitmap을 참조함으로써 다른 유저로의 Extra-LTF의 할당을 판별할 수 있기(환언하면, 다른 유저의 유저 정보를 참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방법 2의 구체예 2]
방법 2의 구체예 2에서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는 경우, 유저 정보에 Extra-LTF 정보를 추가하여, 각 유저의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한다. 도 21에, 공통 정보에 있어서 유저 정보에 Extra-LTF 정보가 포함되는지 어떤지를 통지하는 경우의 EHT-SIG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는 경우, 각 유저 정보에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Extra-LTF 서브필드를 추가한다. 환언하면, 송신 신호에 Extra-LTF가 할당된 유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각 유저 정보에는, Extra-LTF 서브필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방법 2의 구체예 2에 의하면, 수신처 유저수가 적은 경우, 방법 2의 구체예 1과 같이 bitmap에 의하여 Extra-LTF의 할당을 통지하는 것보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방법 2의 구체예 3]
방법 2의 구체예 3에서는, 예를 들면, 수신처 유저수에 따라, Extra-LTF의 통지 방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공통 정보에 MU-MIMO의 최대 다중 유저수에 근거하는 고정 길이의 Extra-LTF Bitmap을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Extra-LTF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수신처 유저수가 MU-MIMO의 최대 다중 유저수와 동일한 경우, 방법 2의 구체예 1과 같이, Extra-LTF bitmap에서 각 유저의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해도 된다. 한편, Extra-LTF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수신처 유저수가 MU-MIMO의 최대 다중 유저수보다 적은 경우, 예를 들면, 방법 2의 구체예 2와 같이,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해도 된다.
방법 2의 구체예 3에 의하면, Extra-LTF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수신처 유저수에 따라 Extra-LTF의 통지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효율적인 시그널링 방법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어, 시그널링 방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방법 3]
방법 3에서는, 예를 들면, Extra-LTF 정보와 MCS를 조합하여 유저 정보에 의하여 Extra-LTF 정보를 통지한다. Extra-LTF와 MCS를 조합하여 통지하는 경우, 예를 들면, MCS index별로 변조 방법과 Extra-LTF수를 조합하여 통지해도 되고(예 1), MCS index별로 변조 방법과 Original LTF수의 배수를 조합하여 통지해도 된다(예 2).
예를 들면, 싱글 유저(SU) 보내의 송신의 경우,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차 변조와 Extra-LTF의 조합을 예 1 및 예 2별로 MCS 테이블에 추가해도 된다. 멀티 유저(MU)용 송신의 경우,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차 변조와 Extra-LTF의 조합을 예 1 및 예 2별로 MCS 테이블에 추가해도 된다.
또한, 도 22(예 1) 및 도 23(예 2)의 각각에 나타낸, Extra-LTF 정보와 MCS의 조합은 비한정적인 일례이며, 그 외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 Extra-LTF 정보와 MCS의 조합은, 예를 들면, 수신처 유저수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방법 3과 같이, Extra-LTF 정보와 MCS를 조합함으로써, Extra-LTF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늘리지 않고, Extra-LTF 정보의 통지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Extra-LTF를 포함하는 LTF의 시간 심볼별로 유저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했다. 실시형태 2에서는, 예를 들면, 부호 다중을 이용하여 1개의 공간 스트림에 P-matrix의 행 성분을 복수 할당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하향 무선 송신 장치]
도 2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에 예시한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예를 들면, AP) 100은,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101a)와, 수신 신호 복호부(102a)와, 스케줄링부(103a)와, 데이터 생성부(104a)와, 데이터 부호화부(105a)와, 데이터 변조부(106a)와, 프리앰블 생성부(107a)와, 무선 송신부(108a)를 포함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a), 스케줄링부(103a), 데이터 생성부(104a), 데이터 부호화부(105a), 데이터 변조부(106a), 및, 프리앰블 생성부(107a)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108a)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송신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101a)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하여,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컨버트 및 A/D 변환과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한다. 무선 수신부(101a)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수신 신호를 프리앰블부와 데이터부로 분할하여 수신 신호 복호부(102a)로 출력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a)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101a)로부터 입력되는 프리앰블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각각 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FFT)과 같은 복조 처리를 행하여, 프리앰블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해도 된다.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BW나 MCS, 또는, 부호화 방법과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수신 신호 복호부(102a)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신호로부터 취득한 제어 신호와 채널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푸리에 변환 후의 데이터 신호를 채널 등화하고, 복조·복호하여, CRC와 같은 오류 판정을 행해도 된다.
수신 신호 복호부(102a)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에 오류(환언하면, 복호 오류)가 없는 경우, 복호한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스케줄링부(103a)로 출력한다.
스케줄링부(103a)는, 예를 들면, 수신 신호 복호부(102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의 수신 품질 정보, 또는,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capability를 바탕으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수신 품질 정보에는, 예를 들면, PER나 RSSI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RU, MCS,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Extra-LTF 정보와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스케줄링 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 생성부(104a), 데이터 부호화부(105a), 데이터 변조부(106a), 및, 프리앰블 생성부(107a)로 출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생성부(104a)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부(103a)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로 송신하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데이터 부호화부(105a)에 데이터 계열을 출력한다.
데이터 부호화부(105a)는, 예를 들면, 데이터 생성부(104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계열과, 스케줄링부(103a)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이나 MCS)에 근거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부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변조부(106a)로 출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변조부(106a)는, 예를 들면, 데이터 부호화부(105a)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줄링부(103a)로부터 출력된 공간 웨이트 행렬을 부가하여, 공간 다중을 행한다. 또, 데이터 변조부(106a)는, 예를 들면, 공간 다중한 데이터에 대하여, 스케줄링부(103a)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면, 변조 방법)에 근거하여 변조 및 역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IFFT)을 행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 송신부(108a)로 출력한다.
프리앰블 생성부(107a)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부(103a)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한 P-matrix와 공간 웨이트 행렬을 LTF에 부가한다. 또, 프리앰블 생성부(107a)는, 예를 들면, LTF에 부가한 P-matrix에 관한 정보(P-matrix 정보라고 부른다)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생성하고, 변조 및 IFFT 처리를 행한 프리앰블 신호를 무선 송신부(108a)로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108a)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변조부(106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에, 프리앰블 생성부(107a)로부터 출력된 프리앰블 신호를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패킷 신호라고도 부른다)을 생성한다. 또, 무선 송신부(108a)는,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D/A 변환, 캐리어 주파수로의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하향 무선 수신 장치(200)로 송신한다.
[실시형태 2의 하향 무선 수신 장치]
도 2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에 예시한 하향 무선 수신 장치(예를 들면, STA)(200)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a)와, 프리앰블 복조부(202a)와, P-matrix 판별부(203a)와, 채널 추정부(204a)와, 데이터 복조부(205a)와, 데이터 복호부(206a)와, 송신 신호 생성부(207a)와, 무선 송신부(208a)를 포함해도 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a), P-matrix 판별부(203a), 채널 추정부(204a), 데이터 복조부(205a), 데이터 복호부(206a), 및, 송신 신호 생성부(207a)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201a)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수신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수신부(201a)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하여, 하향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AP)(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컨버트 및 A/D 변환과 같은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 무선 수신부(201a)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복조부(205a)로 출력하고, 프리앰블 신호를 프리앰블 복조부(202a)로 출력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a)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a)로부터 출력된 프리앰블 신호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예를 들면, FFT)과 같은 복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데이터부의 복조 및 복호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이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BW나 MCS,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P-matrix 정보와 같은 정보 혹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프리앰블 복조부(202a)는, 예를 들면, 추출한 제어 정보를 데이터 복조부(205a), 데이터 복호부(206a), P-matrix 판별부(203a), 및, 채널 추정부(204a)로 출력해도 된다.
P-matrix 판별부(203a)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복조부(202a)로부터 출력된 P-matrix 정보를 바탕으로, 수신 신호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LTF에 대하여 부가된 P-matrix의 종류(혹은 사이즈)나 P-matrix의 할당 정보를 판별한다. 판별한 정보(이하, P-matrix 판별 정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예를 들면, 채널 추정부(204a)로 출력되어도 된다.
채널 추정부(204a)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예를 들면, LTF)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채널 추정부(204a)는, P-matrix 판별부(203a)로부터 출력된 P-matrix 판별 정보를 바탕으로, 각 공간 스트림에 대응하는 P-matrix의 행 벡터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에 할당되어 있던 공간 스트림 하나에 복수의 P-matrix의 행 벡터가 부가되어 있던 경우, 채널 추정부(204a)는, 각 행 벡터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여, 최대비 합성한 채널 추정값을 데이터 복조부(205a)로 출력한다. 한편, 수신 신호에 할당되어 있던 공간 스트림 하나에 복수의 P-matrix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환언하면, P-matrix의 행 벡터가 각 공간 스트림에 각각 대응하고 있는 경우), 채널 추정부(204a)는, 예를 들면, 당해 행 벡터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여, 채널 추정값을 데이터 복조부(205a)로 출력한다.
데이터 복조부(205a)는,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201a)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FFT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프리앰블 복조부(202a)로부터 출력된 제어 정보와, 채널 추정부(204a)로부터 출력된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복호부(206a)로 출력한다.
데이터 복호부(206a)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복조부(202a)로부터 출력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조부(205a)로부터 출력된 복조 데이터 신호를 복호하여 CRC와 같은 오류 판정을 행하여, 오류 판정 정보를 송신 신호 생성부(207a)로 출력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207a)는, 예를 들면, 데이터 복호부(206a)로부터 출력된 오류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ACK 또는 Block ACK(BA라고 부른다))를 생성한다. 또, 송신 신호 생성부(207a)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고, 무선 송신부(208a)로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208a)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 생성부(207a)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D/A 변환이나 캐리어 주파수로의 업컨버트와 같은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하향 무선 송신 장치(100)로 송신한다.
[실시형태 2의 구체예]
실시형태 2의 구체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HT-SIG의 각 유저 필드에 P-matrix 정보(예를 들면, 추가의 P-matrix의 행 성분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서브필드(Extra P-matrix로 한다)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xtra P-matrix 서브필드는, Extra P-matrix 서브필드≠0인 경우, 추가로 할당하는 P-matrix의 행 인덱스를 통지한다. Extra P-matrix 서브필드=0은, 추가의 P-matrix는 할당하지 않는 것을 통지한다.
이 경우, LTF에 부가하는 P-matrix의 종류는, LTF수와 추가하는 P-matrix의 행 성분수의 합곗값을 바탕으로 결정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LTF에 부가하는 P-matrix의 종류는, LTF수만을 참조하여 결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1ax/11ac에서는 LTF수=4인 경우, LTF에 부가하는 P-matrix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나타낸 식 (1)을 참조하여, P4×4를 사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한편, 실시형태 2의 구체예에서는, LTF수(NEHT-LTF)=4이며, 또한, Extra P-matrix의 행 인덱스수(Nex-P index로 나타낸다)=1인 경우, LTF에 부가하는 P-matrix에는, 다음 식 (3)을 참조하여, P6×6을 사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수학식 3]
또, 1개의 공간 스트림에 복수의 P-matrix의 행 성분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공간 웨이트 행렬(Q-matrix라고 부른다)을 이용한다. 11ax/11ac에 있어서, Q-matrix는, 송신 안테나수×공간 스트림수로 이루어지는 중량 행렬이며, LTF 및 데이터부에 부가함으로써 공간 분할 다중이 실현된다.
단, 실시형태 2의 구체예에 있어서, Q-matrix는, 송신 안테나수×(공간 스트림수+Nex-P index)로 이루어지는 행렬이다. 그 때문에, Extra P-matrix를 사용하는 경우, EHT-SIG의 NSTS 서브필드 또는 Spatial Configuration 서브필드로 통지되는 공간 스트림수의 값과, Q-matrix에 포함되는 열수의 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ax/ac에서는, Q-matrix의 열수=공간 스트림수인 데 대하여, Extra P-matrix를 사용하는 경우, Q-matrix의 열수=(공간 스트림수+N_(ex-P index))이다.
1개의 공간 스트림에 복수의 P-matrix의 행 성분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당해 공간 스트림에 대응한 열 벡터에 복수의 "1"의 성분을 포함하는 Q-matrix를 사용한다. 도 28에, STA1과 STA2에 대하여 공간 스트림을 1개씩 할당하고, STA1에 추가의 P-matrix의 행 성분을 1개 할당한 경우의 예에 대하여 나타낸다.
이 경우, STA1에는 P4×4의 1행째가 할당되고, STA2에는 P4×4의 2행째가 원래의 P-matrix로서 할당된다(Original P-matrix components로 한다). STA1은, STA1에 보내는 User field에 포함되는 Extra P-matrix index 정보를 바탕으로, P4×4의 3행째가 추가의 행 성분으로서 할당되어 있는 것을 식별하고, P4×4의 1행째와 3행째를 이용하여, 각각 채널 추정을 행하여, 취득한 채널 추정값을 합성한다. STA2는, STA2에 보내는 User field에 포함되는 Extra P-matrix index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의 P-matrix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하고, P4×4의 2행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실시형태 2의 구체예에 의하면, Extra P-matrix 서브필드로 추가의 P-matrix의 행 성분을 이용하여 추가의 채널 추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최대비 합성에 의하여 채널 추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전체의 보충]
실시형태 1에서는, EHT PPDU를 이용하여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Trigger frame을 이용하여 Extra-LTF를 포함하는 Trigger base(TB) PPDU의 송신을 지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방법 1과 같이, Trigger frame의 각 유저 정보(User Info 서브필드)에 Extra-LTF 정보(Extra-LTF 서브필드)를 추가하여, 각 유저에게 송신하는 TB PPDU에 Extra-LTF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지시해도 된다. 도 29에, 각 유저 정보에 있어서 Extra-LTF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Trigger frame User Info format의 일례를 나타낸다.
혹은,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xtra-LTF를 지시하기 위한 Trigger frame type을 정의해도 된다. Extra-LTF를 지시하기 위한 Trigger frame을 이용하는 경우, 방법 2의 구체예 1과 같이, Trigger Dependent Common info를 Extra-LTF bitmap으로 해석하여, 각 유저의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의 Trigger frame의 Common Info format의 일례를 도 31에 나타낸다.
혹은, 예를 들면, 방법 2의 구체예 2와 같이, Trigger frame의 Common Info에 Extra-LTF present 서브필드를 추가하여, 각 User Info로 Extra-LTF의 유무를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의 Trigger frame format의 일례를 도 32에 나타낸다.
실시형태 1의 식 (1) 및 실시형태 2의 식 (3)에서는 LTF수가 8 이하인 경우에, LTF수에 근거하여 P-matrix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LTF수는 8 이하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11be에 있어서, LTF수가 16 이하인 경우에 LTF수에 근거하여 P-matrix의 종류가 결정되어도 된다.
또, Extra-LTF와 Midamble을 병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채널 fading에 의하여 채널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기 쉬운 것 같은 경우),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xtra-LTF를 포함시킨 LTF를 midamble로서 데이터부에 삽입해도 된다. 이 경우, AP는, 11ax와 동일하게,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Doppler field에 의하여, Midamble이 데이터부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STA에 통지해도 된다.
또, AP는, STA의 수신 안테나수에 근거하여, Extra-LTF의 할당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AP는, STA의 capability를 바탕으로 STA가 소정 수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식별한 경우, STA의 수신 안테나수보다 적은 공간 스트림수를 할당한 신호를 STA로 송신해도 된다.
STA의 수신 안테나수가 많을수록, 당해 STA에 있어서, Original LTF와 Extra-LTF의 정확한 채널 분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Original LTF와 Extra-LTF에서 각각 취득한 채널 추정값을 최대비 합성함으로써, 채널 추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 STA는, AP에 대하여 추천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링크 어뎁테이션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Extra-LTF를 포함하는 신호의 송신을 요구해도 된다. 도 34에, 링크 어뎁테이션의 제어 정보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STA는, 방법 3과 같이 Extra-LTF 정보와 MCS를 조합하여, 도 34에 예시한 HE-MCS 필드에 의하여 Extra-LTF를 포함하는 신호를 AP에 요구해도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DL 통신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DL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UL 통신, 또는, 사이드 링크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연계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된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하여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 장치라고 총칭)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부와 송신부, 또는 그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송신부, 수신부)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된다. RF 모듈은, 증폭기, RF 변조기/복조기, 또는 그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스틸/비디오·카메라 등), 디지털·플레이어(디지털·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카메라, 스마트워치, 트래킹 디바이스 등), 게임·콘솔, 디지털·북·리더, 텔레헬스·텔레메디슨(원격 헬스케어·약물 처방) 디바이스, 통신 기능이 있는 탈 것 또는 이동 수송 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휴대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패널 등), 자동 판매기, 그 외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 할 수 있는 모든 "사물(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 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되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것 같은,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거나, 혹은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그 외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공통의 공통 정보와 상기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필드를 설정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오리지널의 수의 배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구성을 전환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공통의 공통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를 상기 수신처 장치별로 나타내는 비트맵을 설정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수신처 장치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의 통지 방법을 변경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와,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대하여 부가하는 매핑 매트릭스의 행 성분의 할당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는,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에 이용하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에 이용하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를 결정한다.
2021년 1월 15일 출원된 특원 2021-005046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하향 무선 송신 장치
101, 101a, 201, 201a: 무선 수신부
102, 102a: 수신 신호 복호부
103, 103a: 스케줄링부
104, 104a: 데이터 생성부
105, 105a: 데이터 부호화부
106, 106a: 데이터 변조부
107, 107a: 프리앰블 생성부
108, 108a, 208, 208a: 무선 송신부
200: 하향 무선 수신 장치
202, 202a: 프리앰블 복조부
203: Extra-LTF 판별부
203a: P-matrix 판별부
204, 204a: 채널 추정부
205, 205a: 데이터 복조부
206, 206a: 데이터 복호부
207, 207a: 송신 신호 생성부

Claims (15)

  1.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공통의 공통 정보와 상기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필드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오리지널의 수의 배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구성을 전환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공통의 공통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의 유무를 상기 수신처 장치별로 나타내는 비트맵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가 있는 수신처 장치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한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의 통지 방법을 변경하는,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와,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Extremely High Throughput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EHT PPDU)의 SIG 필드, 또는, Trigger frame인,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신처 장치에 개별의 개별 정보에,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대하여 부가하는 매핑 매트릭스의 행 성분의 할당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13.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에 이용하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
  15. 통신 장치는,
    수신처 장치별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에 이용하는 상기 추가의 참조 신호를 결정하는, 통신 방법.
KR1020237022269A 2021-01-15 2021-07-09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30131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5046 2021-01-15
JPJP-P-2021-005046 2021-01-15
PCT/JP2021/026004 WO2022153579A1 (ja) 2021-01-15 2021-07-09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192A true KR20230131192A (ko) 2023-09-12

Family

ID=8244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69A KR20230131192A (ko) 2021-01-15 2021-07-09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0150A1 (ko)
EP (1) EP4280749A1 (ko)
JP (1) JPWO2022153579A1 (ko)
KR (1) KR20230131192A (ko)
CN (1) CN116746253A (ko)
WO (1) WO20221535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0778B2 (ja) 2019-06-27 2023-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制御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IEEE 802.11-20/486r0, "Decoupling Channel Training from NSTS", March, 2020
비특허문헌 2: IEEE 802.11-20/1375r2, "EHT LTF Design", October,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0150A1 (en) 2024-03-07
JPWO2022153579A1 (ko) 2022-07-21
CN116746253A (zh) 2023-09-12
WO2022153579A1 (ja) 2022-07-21
EP4280749A1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824B (zh) 在无线局域网中使用半正交多址接入的系统和方法
KR101096309B1 (ko) 코드 블록 자원 요소 경계를 유지하기 위한 레이트 매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1671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 signaling
JP572811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3009427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 signaling
KR20220154682A (ko) 복수의 리소스 유닛의 조합을 통하여 송신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20220240269A1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23238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source unit allocation signalling
US2022018227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ppdu format identification
KR20210094090A (ko) 준직교 다중 액세스 기반 wlan 시스템을 위한 공간 시간 블록 코드
WO2021020083A1 (ja) 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EP424335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30131192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12840613B (zh) 通信装置及通信方法
CN115280880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WO2023176523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3149229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3032771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35427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lexible resource unit (ru) allocation
US2023034457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s
KR20240008305A (ko)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
JP2023500042A (ja) 制御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