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143A -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143A
KR20230131143A KR1020230028364A KR20230028364A KR20230131143A KR 20230131143 A KR20230131143 A KR 20230131143A KR 1020230028364 A KR1020230028364 A KR 1020230028364A KR 20230028364 A KR20230028364 A KR 20230028364A KR 20230131143 A KR20230131143 A KR 2023013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la
polylactic acid
vaporiz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호
이창석
김정현
윤기철
장로빈
이상윤
김민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23013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1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기화도(V10w)가 50% 이상인 조성물,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촉진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현저히 가속화시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생분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우수한 물성과 함께 환경 보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POLYLACTIC ACID RESIN VAPORIZATION PROMOTOR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수지의 기화(vaporization)를 촉진시키는 기화 촉진제(vaporization promotor)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범용 플라스틱은 그 물성이 뛰어나고, 안정적인 공급과 가격으로 인해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로 인한 폐 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생활 전반에 걸쳐 대두되고, 해양, 토양 등과 같은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고,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분해되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 수지는 전통적인 석유화학계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고, 또한 그 용도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는 재생 가능한 고분자 소재이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는 특정 비료화(composting) 조건하에 빠르게 분해되어 이산화탄소(CO2)를 재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긴 하나, 폴리락트산 수지가 분해되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기까지 요구되는 특정 비료화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락트산 수지는 50℃ 이상의 고온과 약 40%의 높은 습도 조건, 및 미생물이 많은 흙에서 자연분해되어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기 때문에, 상온 조건에서는 생분해가 매우 어렵고, 해양, 토양 등과 같은 자연상태에서는 분해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생분해 환경을 만들 수 있지만, 상기 특정 비료화(생분해)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발생하고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폴리락트산 수지의 분해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큰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4-01122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도를 향상시켜, 상온에서도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생분해 효과(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화도(V10w)가 50% 이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상기 식 1에서,
(CO2)S는 퇴비와, 시료 및 상기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3 중량%의 시료가 담긴 시험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고,
(CO2)B는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며,
(CO2)THV는 상기 시험 용기에서의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으로서,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식 2]
상기 식 2에서,
Cw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의 질량(g)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중량비는 10:90 내지 90:1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가 1% 이상일 수 있다:
[식 3]
ΔVID10W (%) = V10w - VTHV10w
상기 식 3에서,
V10w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VTHV10w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며,
[식 4]
상기 식 4에서,
x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중량%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하기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45℃ 내지 80℃의 유리전이 온도(Tg),
60℃ 내지 120℃의 결정화 온도(Tc), 및
100℃ 내지 170℃의 용융 온도(Tm).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상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총 몰을 기준으로 1 몰% 내지 80 몰%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몰비는 40:60 내지 99: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포함하면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의 기화도가 특정 범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므로, 상온에서 우수한 생분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현저히 가속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우수한 물성과 함께 환경 보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조성물의 30℃의 상온에서 시간에 따른 기화도(V10w)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물성 값,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 범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호기성 퇴비화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적용하여 산출된 기화도(V10w)가 특정 범위 이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되어, 상온(예컨대, 25±5 ℃)에서 생분해가 어려운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포함하더라도 상온에서 생분해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조성물(기화 조성물, 또는 생분해성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화도(V10w)가 50% 이상이다:
[식 1]
상기 식 1에서,
(CO2)S는 퇴비와, 시료 및 상기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3 중량%의 시료(조성물 시료)가 담긴 시험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고,
(CO2)B는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며,
(CO2)THV는 상기 시험 용기(퇴비(a)와, 시료 및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의 14.3 중량%에 해당하는 시료(b)가 담긴 시험 용기(a+b))에서의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으로서,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식 2]
상기 식 2에서,
Cw는 상기 시료(시료의 건조 중량(x)과 퇴비의 건조 중량(y)을 합한 중량(x+y)의 14.3 중량%에 해당하는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탄소 원소)의 질량(g)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Cw는 상기 시료를 원소분석했을 때, 측정된 탄소 원소의 함량(g)을 의미한다.
상기 (CO2)S 및 상기 (CO2)B 측정을 위해 사용된 퇴비의 중량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퇴비의 건조 중량은 수분의 열 중량 측정원리인 LOD(Loss on Drying)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즉, 퇴비의 건조 시 무게손실의 차를 측정하고, 건조 오븐이나 할로겐 수분측정기(Halogen Moisture Analyzer, HMA)를 이용한 수분분석을 통해 건조 중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화도(V10w)는 상기 조성물이 작은 조각이나 분자들로 분해되는 생붕괴 정도(생붕괴 효과)가 아닌, 상기 조성물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고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되어 기화될 때 측정된 값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도(V10w)는 ISO 14855 고시 규정(구체적으로 ISO 14855-1 호기성 생분해도 평가법)에 따라 상기 조성물의 최종 분해산물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상기 식 1 및 2에 적용하여 산출된 값으로서, 이는 30℃의 상온에서 상기 조성물의 생분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기화도(V10w)가 50%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도(V10w)는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생분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즉, 상기 기화도(V10w)는 평가군으로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특정 함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를 퇴비와 혼합하여 시험 용기에 담은 후, 측정평가 장치(ECHO 社의 Respir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30℃ 및 호기성 퇴비 조건에서 10주 동안 조성물 시료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CO2)S)을 구하고, 비교군으로서 상기 조성물 시료가 혼합되지 않은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CO2)B)을 상기 평가군과 동일한 조건으로 구한 후, 상기 평가군과 상기 비교군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인 (CO2)S 및 (CO2)B의 차를 구하고, 이를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CO2)THV)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환산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포함하면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특정 범위 이상의 기화도(V10w)를 나타내므로, 30℃의 상온 및 호기성 퇴비 조건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포함하더라도 상온에서 우수한 생분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호기성 퇴비 조건에서 압력 조건은 상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기화도(V10w)가 예컨대, 50.1% 이상, 50.2% 이상, 50.4% 이상, 55% 이상, 60% 이상, 63% 이상, 65% 이상, 70% 이상, 72% 이상, 또는 75%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CO2)S는 예컨대, 35g 이상, 40g 이상, 45g 이상, 50g 이상, 55g 이상, 또는 60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CO2)S와 (CO2)B의 차는 시료(조성물 시료) 자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CO2)의 실측 누적 발생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5g 이상, 10g 이상, 10g 내지 60g, 15g 내지 50g, 또는 15g 내지 40g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CO2)THV는 퇴비와 시료(조성물 시료)가 담긴 시험 용기에서 상기 시료가 완전 산화되는 경우(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가 이산화탄소(CO2)로 100% 전환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이론적 최대 누적 발생량(g)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CO2)THV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탄소 원자)의 질량(Cw)과 이산화탄소의 분자량(44)과 탄소 원자의 원자량(12)의 비율(44/12)을 곱한 값일 수 있다. 상기 (CO2)THV는 예컨대, 10g 이상, 15g 이상, 20g 이상, 20g 내지 60g, 25g 내지 50g, 또는 30g 내지 45g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가 1% 이상일 수 있다:
[식 3]
ΔVID10W (%) = V10w - VTHV10w
상기 식 3에서,
V10w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VTHV10w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며,
[식 4]
상기 식 4에서, x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중량%이다.
상기 식 4에 있어서, 3.6%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PLA 단독 조성물)을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상기 식 1에 의해 산출된 기화도(V10w)이고, 93.5%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PLA 수지 기화 촉진제 단독)을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상기 식 1에 의해 산출된 기화도(V10w)이다.
상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실제 측정된 조성물의 기화도(V10w)에서 이론적인 조성물의 기화도(VTHV10w)를 뺀(V10w - VTHV10w) 값으로, 폴리락트산(PLA) 수지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에 의해 기화 촉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상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예컨대, 2% 이상, 3%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8% 이상, 또는 3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함량, 또는 물성에 따라 달라지거나,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 성분, 또는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가 50:50인 경우, 상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예컨대,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또는 28%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가 75:25인 경우, 상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예컨대, 20% 이상, 22% 이상, 23% 이상, 또는 24%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 3에 있어서, 상기 이론적인 조성물의 기화도(VTHV10w)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도(VTHV10w)는 예컨대,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0% 내지 60%, 25% 내지 55%, 또는 25% 내지 5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가 50:50인 경우, 상기 이론적인 조성물의 기화도(VTHV10w)는 예컨대,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20% 내지 60%, 30% 내지 55%, 또는 35% 내지 5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가 75:25인 경우, 상기 이론적인 조성물의 기화도(VTHV10w)는 예컨대,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0% 내지 60%, 20% 내지 50%, 또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대표적인 표준 생분해성 물질인 셀룰로오스의 기화도와 비교할 때, 셀룰로오스의 기화도와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수준에 해당하는 기화도(V10w)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포함하면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의 기화도(V10w)가 특정 범위 이상(예컨대, 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므로, 상온에서 우수한 생분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우수한 물성과 함께 환경 보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락트산(PLA) 수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석유기반의 수지와 달리 바이오매스(biomass)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재생자원의 활용이 가능하고, 매립 시 수분 및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L-락트산, D-락트산, D,L-락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L-락트산 및 D-락트산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예컨대, 10,000 내지 1,000,000 g/mol, 30,000 내지 500,000 g/mol, 100,000 내지 300,000 g/mol, 또는 100,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용융 온도(Tm)가 100℃ 내지 300℃, 110℃ 내지 280℃, 120℃ 내지 250℃, 또는 12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내지 100℃, 30℃ 내지 80℃, 40℃ 내지 80℃, 또는 45℃ 내지 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100 중량% 미만, 98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또는 8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 10 중량% 내지 95 중량%, 30 중량% 내지 95 중량%, 40 중량% 내지 90 중량%, 또는 5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함량이 100 중량%인 경우, 30℃의 상온에서의 기화도가 매우 낮아, 목적하는 생분해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상기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기화도(V10w)가 예컨대, 5% 이하, 4.5% 이하, 4.0% 이하, 3.6% 이하, 3.0% 이하, 또는 2.7% 이하로 나타나, 상온에서의 생분해 효과가 매우 미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후술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가속화시켜 생분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30℃의 상온에서 기화도가 낮은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100 중량% 미만, 90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내지 100 중량% 미만, 0 중량% 초과 내지 90 중량%, 0 중량% 초과 내지 70 중량%, 5 중량% 내지 90 중량%, 5 중량% 내지 80 중량%, 10 중량% 내지 70 중량%, 20 중량% 내지 60 중량%, 25 중량% 내지 6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가 효율적으로 가속화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1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도 30℃의 상온에서 우수한 생분해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이하, 'PHA'로 표기함)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특정 물성(예컨대, 특정 결정 구조, 특정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성분 등)을 가져,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효율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석유기반의 수지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S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PBSA) 등과 같은 합성 수지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면서, 완전한 생분해성을 보이며, 생체 적합성 또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미생물 세포 내에 축적되는 열가소성의 천연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로서, 생분해성을 가져 퇴비화가 가능하고, 유독성 폐기물 발생도 없으면서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 물 및 유기 폐기물로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PHA 수지는 토양 및 해양에서 생분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상기 PHA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토양 및 해양 등 어떠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분해되어 환경 친화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PHA 수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상기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기화도(V10w)가 예컨대, 90% 이상, 91% 이상, 91.5% 이상, 또는 92% 이상을 나타내어, 상온에서의 생분해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PHA 수지는 살아있는 세포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효소 촉매 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공중합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이하, 'PHA 공중합체'로 표기함)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개 이상의 상이한 단량체들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들이 중합체 사슬에 불규칙하게(randomly) 분포되어 있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A 수지는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PHA 수지는 구조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기하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구조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A 수지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락트산, 글리콜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이하, '3-HB'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이하, '3-HP'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이하, '3-HV'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이하, '3-HH'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헵타노에이트(이하, '3-HHep'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옥타노에이트(이하, '3-HO'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노나노에이트(이하, '3-HN'으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데카노에이트(이하, '3-HD'로 표기함), 3-하이드록시도데카노에이트(이하, '3-HDd'로 표기함),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이하, '4-HB'로 표기함), 4-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이하, '4-HV'로 표기함), 5-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이하, '5-HV'로 표기함), 또는 6-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이하, '6-HH'로 표기함)일 수 있으며, 상기 PHA 수지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3-HB, 4-HB, 3-HP, 3-HV, 3-HH, 4-HV, 5-HV 및 6-H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1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PHA 수지는 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PHA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면서, 상기 4-HB 단량체와 상이한 1종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2종, 3종, 4종, 5종, 6종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PHA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면서, 3-HB 단량체, 3-HP 단량체, 3-HV 단량체, 3-HH 단량체, 4-HV 단량체, 5-HV 단량체 및 6-HH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1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PHA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이하, '3-HB 반복단위'로 표기함) 및 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이하, '4-HB 반복단위'로 표기함)를 포함하는 수지(PHA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이하, 'P3-HB-co-4-HB'로 표기함)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 및 해양에서 조성물의 생분해성을 증진시키면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PHA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3-HB 반복단위와 상기 4-HB 반복단위의 함량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3-HB 반복단위 및 상기 4-HB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PHA 수지에 있어서, 상기 3-HB 반복단위와 상기 4-HB 반복단위의 몰비는 20:80 내지 99:1, 30:70 내지 99:1, 40:60 내지 99:1, 50:50 내지 95:5, 50:50 내지 94:6, 50:50 내지 92:8, 55:45 내지 92:8, 또는 55:45 내지 90:10일 수 있다. 상기 3-HB 반복단위와 상기 4-HB 반복단위의 몰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생분해 효과를 구현하는 데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4-HB 반복단위의 함량은 상기 3-HB 반복단위 및 상기 4-HB 반복단위의 총 몰을 기준으로, 1 몰% 내지 80 몰%, 2 몰% 내지 70 몰%, 3 몰% 내지 60 몰%, 5 몰% 내지 50 몰%, 8 몰% 내지 45 몰%, 또는 10 몰% 내지 45 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4-HB 반복단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PHA 수지는 상기 4-HB 반복단위의 함량에 따라 상기 PHA 수지의 결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PHA 수지는 결정성이 조절된 PHA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상기 4-HB 반복단위의 함량에 따라 반결정성 PHA(scPHA) 공중합체이거나 비정질성 PHA(aPHA) 공중합체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결정성이 조절된 PHA 수지는 분자 구조상 비규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결정성과 비정질성이 조절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단량체의 종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비율, 또는 이성질체의 종류 및/또는 함량에 따라 결정성과 비정질성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는 상기 4-HB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비정질성 PHA(aPHA)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정질성 PHA(aPHA) 공중합체를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포함함에 따라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PHA 수지는, 유리전이 온도(Tg)가 예컨대, -45℃ 내지 80℃, -35℃ 내지 80℃, -30℃ 내지 80℃, -25℃ 내지 75℃, -20℃ 내지 70℃, -35℃ 내지 5℃, -25℃ 내지 5℃, -35℃ 내지 0℃, -25℃ 내지 0℃, -30℃ 내지 -10℃, -35℃ 내지 -15℃, -35℃ 내지 -20℃, -20℃ 내지 0℃, -15℃ 내지 0℃, 또는 -15℃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결정화 온도(Tc)가 예컨대, 측정되지 않을 수 있거나, 60℃ 내지 120℃, 70℃ 내지 120℃, 75℃ 내지 120℃, 75℃ 내지 115℃, 75℃ 내지 110℃, 또는 90℃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용융 온도(Tm)가 예컨대, 측정되지 않을 수 있거나, 100℃ 내지 170℃, 105℃ 내지 160℃, 110℃ 내지 150℃, 115℃ 내지 155℃, 또는 120℃ 내지 140℃일 수 있다.
상기 PHA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예컨대, 10,000 g/mol 내지 1,20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A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g/mol 내지 1,200,000 g/mol, 100,000 g/mol 내지 1,200,000 g/mol, 50,000 g/mol 내지 1,000,000 g/mol, 100,000 g/mol 내지 1,000,000 g/mol, 200,000 g/mol 내지 1,200,000 g/mol, 250,000 g/mol 내지 1,150,000 g/mol, 300,000 g/mol 내지 1,100,000 g/mol, 350,000 g/mol 내지 1,000,000 g/mol, 350,000 g/mol 내지 950,000 g/mol, 100,000 g/mol 내지 900,000 g/mol, 200,000 g/mol 내지 800,000 g/mol, 200,000 g/mol 내지 700,000 g/mol, 250,000 g/mol 내지 650,000 g/mol, 200,000 g/mol 내지 400,000 g/mol, 300,000 g/mol 내지 800,000 g/mol, 300,000 g/mol 내지 600,000 g/mol, 500,000 g/mol 내지 1,200,000 g/mol, 500,000 g/mol 내지 1,000,000 g/mol, 550,000 g/mol 내지 1,050,000 g/mol, 550,000 g/mol 내지 900,000 g/mol, 또는 600,000 g/mol 내지 900,000 g/mol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특정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는 예컨대, 10:90 내지 90:10, 15:85 내지 90:10, 20:80 내지 90:10, 25:75 내지 90:10, 30:70 내지 90:10, 40:60 내지 90:10, 45:55 내지 85:15, 50:50 내지 85:15, 50:50 내지 80:20, 50:50 내지 75:25, 또는 50:50 내지 70:3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함량비(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현저히 가속화시킬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중량제, 기핵제, 용융강도 증강제 및 슬립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목적하는 효과 및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 중량% 이상일 수 있고, 30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목적하는 효과 및 용도에 따라 통상적으로 공지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4032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aPHA)(CJ사, 한국)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4032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aPHA)(CJ사, 한국)를 75:25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2003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aPHA)(CJ사, 한국)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2003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aPHA)(CJ사, 한국)를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2003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aPHA)(CJ사, 한국)를 6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4032D)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 사용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수지(P3-HB-co-4-HB, scPHA)(CJ사, 한국)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과 같이 폴리락트산(PLA) 수지(네이쳐웍스, 4032D)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PHBV)(Tianan사, 중국)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예 1
표준 생분해성 물질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은 조성물의 함량 및 물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에서 비교예 1의 Tg 및 Tm은 비교예 1에서 사용된 PLA 수지의 Tg 및 Tm을 측정한 값이다.
구분 PLA 수지: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중량비
PLA 수지
제품명
PLA 수지 기화 촉진제(PHA 수지)의 조성 및 물성
3-HB 반복단위
(중량%)
4-HB 반복단위
(중량%)
Tg(℃) Tm(℃) Tc(℃)
실시예 1 50:50 4032D 55 45 -30 - -
실시예 2 75:25 55 45 -30 - -
실시예 3 50:50 2003D 91.4 8.6 -17 99.55 -
실시예 4 70:30 69 31 -16 및 57 151 -
실시예 5 60:40 69 31 -16 및 58 152 -
비교예 1 100:0 - - - 57.25 167.43 -
비교예 2 0:100 90 10 -5 145 101
비교예 3 50:50 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PHBV 사용
평가예
평가예 1: 기화도(V 10w )
ISO 14855에 의거하여 호기성 퇴비화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하여 기화도(V10w)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가군으로서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조성물 시료 각각을, 조성물 시료 및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3 중량%로 취하고, 이를 퇴비(㈜에이비넥소)와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이 담긴 시험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퇴비는 HMA나 건조 오븐을 이용한 LOD 수분 측정을 통해 초기 수분 함량을 확인하였고, 여기에 수분을 추가로 첨가하여 최종 50%의 함수율을 조정하여 건조 중량을 맞춰주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ISO 14855 고시 규정에 기반한 시료:퇴비 = 1:6 비율의 조정을 위해 함수율이 50%로 맞춰진 퇴비 240g(건조 중량: 120g)에 건조 조성물 시료(함수율 0%) 20g을 균일하게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군으로서 상기 조성물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후, 온도 30℃, 상압 및 호기성 조건에서 10주 경과 후, 각 용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ECHO 社의 Respir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포집하고, 장비 내 시스템을 통한 NIR(Near infrared, 근적외선 센서)로 적정함으로써, 각 용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누적 발생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화도(V10w)를 산출하였다:
[식 1]
상기 식 1에서,
(CO2)S는 퇴비와, 시료 및 상기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3 중량%의 시료가 담긴 시험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고,
(CO2)B는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며,
(CO2)THV는 상기 시험 용기에서의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으로서,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식 2]
상기 식 2에서,
Cw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의 질량(g)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Cw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탄소 원소의 함량(g)이다.
평가예 2: 기화 촉진 개선도(ΔVID 10W )
폴리락트산(PLA) 수지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에 의해 기화 촉진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는 평가예 1의 기화도(V10w) 및 이론적인 기화도(VTHV10w)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상기 이론적인 기화도(VTHV10w)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식 4]
상기 식 4에서,
x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중량%이다.
상기 평가예 1 및 2에서 얻은 결과를 하기 표 2, 표 3 및 도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시료의 총 질량(g)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의 질량
(Cw, g)
CO2 전환상수
(44/12)
대조예 1
(셀룰로오스)
20.0 8.72 3.67
실시예 1 20.0 10.58 3.67
실시예 2 20.0 10.28 3.67
실시예 3 20.0 10.57 3.67
실시예 4 20.0 10.32 3.67
실시예 5 20.0 10.44 3.67
비교예 1 20.0 10 3.67
비교예 2 20.0 11.14 3.67
비교예 3 20.0 10.57 3.67
구분 (CO2)S (g) (CO2)B
(g)
(CO2)S - (CO2)B
(g)
100% 전환 시, 이론적인 CO2 누적 발생량
((CO2)THV, g)
10주 경과 후의 실제 기화도
(식 1의 V10w, %)
10주 경과 후의 이론적 기화도
(식 4의 VTHV10w, %)
기화 촉진 개선도
(식 3의 ΔVID10W, %)
대조예 1
(셀룰로오스)
54.552 31.426 23.1 32.0 72.3 - -
실시예 1 61.116 31.426 29.7 38.8 76.6 48.6 28.1
실시예 2 50.438 31.426 19.0 37.7 50.4 26.1 24.3
실시예 3 66.637 36.878 29.8 38.8 76.8 48.6 28.2
실시예 4 61.830 37.850 23.98 37.9 63.2 30.57 32.63
실시예 5 65.500 37.850 27.65 38.3 72.1 39.56 32.54
비교예 1 32.762 31.426 1.3 36.7 3.6 3.6 0
비교예 2 69.630 31.426 38.2 40.8 93.5 93.5 0
비교예 3 54.791 36.878 17.9 38.8 46.2 48.6 -2.4
상기 표 3 및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실제 평가된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의 기화도(V10w)는 모두 50% 이상으로, 이들 모두 대표적인 표준 생분해성 물질인 셀룰로오스의 기화도 수준을 달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기화도(V10w)인 3.6% 보다 현저히 향상된 기화도(V10w)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락트산(PLA) 수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기화도(V10w)에 비해,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가 5% 이상, 구체적으로, 20% 이상으로 현저히 향상되었다.
특히,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50:5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완전 산화(100% 전환) 시,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CO2)THV)이 38.8g으로서, 폴리락트산(PLA) 수지가 상온에서 기화되지 않는다고 가정 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이 상기 (CO2)THV 값의 절반인 19.4g으로 예측되었으나, 10주 경과 후 실제 발생한 이산화탄소(CO2)의 양((CO2)S - (CO2)B)은 29.7g으로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가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에 의해 촉진되는 기화 촉진 효과가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실제 발생한 이산화탄소(CO2)의 양((CO2)S - (CO2)B)과 예측된 (CO2)THV 값의 절반 값의 차인 약 10g의 초과분은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에 의해 기화가 촉진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이산화탄소(CO2)의 발생량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는 자체적으로 기화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기화를 현저히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서 PHBV를 폴리락트산(PLA) 수지와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교예 3의 조성물은 기화 촉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특정 물성을 갖는 본 발명의 PHA 수지를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로 적용함으로써 특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내지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ISO 14855에 의거하여 30℃에서 10주 경과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을 측정할 때,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화도(V10w)가 50% 이상인, 조성물:
    [식 1]

    상기 식 1에서,
    (CO2)S는 퇴비와, 시료 및 상기 퇴비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3 중량%의 시료가 담긴 시험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고,
    (CO2)B는 퇴비만 담긴 접종원 용기에서의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이며,
    (CO2)THV는 상기 시험 용기에서의 이론적인 이산화탄소(CO2)의 누적 발생량(g)으로서,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식 2]

    상기 식 2에서,
    Cw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기 탄소의 질량(g)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의 중량비가 10:90 내지 90:10인,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화 촉진 개선도(ΔVID10W)가 1% 이상인, 조성물:
    [식 3]
    ΔVID10W (%) = V10w - VTHV10w
    상기 식 3에서,
    V10w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VTHV10w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며,
    [식 4]

    상기 식 4에서,
    x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락트산(PLA) 수지의 중량%이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하기 특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만족하는, 조성물:
    -45℃ 내지 80℃의 유리전이 온도(Tg),
    60℃ 내지 120℃의 결정화 온도(Tc), 및
    100℃ 내지 170℃의 용융 온도(Tm).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3-HP), 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3-HV), 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3-HH), 4-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4-HV), 5-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5-HV) 및 6-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6-H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상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가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상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총 몰을 기준으로 1 몰% 내지 80 몰%로 포함하는, 조성물.
  9.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상기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의 몰비가 40:60 내지 99:1인, 폴리락트산(PLA) 수지 기화 촉진제.
KR1020230028364A 2022-03-04 2023-03-03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131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8381 2022-03-04
KR1020220028381 2022-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143A true KR20230131143A (ko) 2023-09-12

Family

ID=8788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364A KR20230131143A (ko) 2022-03-04 2023-03-03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1143A (ko)
WO (1) WO20231675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200A (ko) 2013-03-13 2014-09-23 최면천 폴리락트산의 개질방법, 개질된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을 이용한 신발용 발포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6001B2 (ja) * 2010-03-31 2015-01-21 東洋製罐株式会社 生分解性多層容器
JP6365811B2 (ja) * 2013-09-10 2018-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多孔質構造を有する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表面処理方法
JP2022533481A (ja) * 2019-05-24 2022-07-22 メレディア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種子、肥料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用のpla/pha生分解性コーティング
KR20210111186A (ko) * 2021-07-30 2021-09-10 씨제이제일제당 (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제품
KR20210116363A (ko) * 2021-08-31 2021-09-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생분해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200A (ko) 2013-03-13 2014-09-23 최면천 폴리락트산의 개질방법, 개질된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을 이용한 신발용 발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547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niyasamy et al. Mineralization of poly (lactic acid)(PLA), poly (3-hydroxybutyrate-co-valerate)(PHBV) and PLA/PHBV blend in compost and soil environments
Salomez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degradation mechanisms of PHBV and PBSA under laboratory-scale composting conditions
Sedničková et al.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of PLA-based blends during early stage of biodegradation in compost
Garcia‐Garcia et al. Plasticization effects of epoxidized vegetable oil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3‐hydroxybutyrate)
Luinstra et al. Material properties of poly (propylene carbonates)
Corre et al. Morpholog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ommercial polyhydroxyalkanoates: A comprehensive and comparative study
Witt et al. Biodegradation behavior and material properties of aliphatic/aromatic polyesters of commercial importance
Plackett et al. Polyhydroxyalkanoates (PHAs) for food packaging
US5883199A (en) Polyactic acid-based blends
Musioł et al. (Bio) degradable polymers as a potential material for food packaging: studies on the (bio) degradation process of PLA/(R, S)-PHB rigid foils under industrial composting conditions
Tachibana et al. Cellulose acetate butyrate as multifunctional additive for poly (butylene succinate) by melt blending: Mechanical properties, biomass carbon ratio, and control of biodegradability
Moura et al. Biodegradability assessment of aliphatic polyesters‐based blends using standard methods
Ding et al. Bio-based poly (butylene furandicarboxylate-co-glycolate) copolyesters: synthesis, properties, and hydrolysis in different aquatic environments for water degradation application
CA2557697A1 (en) Biodegradabl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lactic polymers, adipat copolymers and magnesium silicate
Lambert Bio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 as biodegradable plastics
Liu et al. Improvement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poly (butanediol sebacate-butanediol terephthalate)(PBSeT) composites based on the dispersion of PCaCO3@ tannic acid formed by complexation of tannic acid and Ti
Arrieta Influence of plasticizers on the compostability of polylactic acid
KR101502051B1 (ko) 친환경적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H04168150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
KR20230131143A (ko) 폴리락트산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12429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20230141636A (ko)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계 수지 기화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5162789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成形物及び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
Jin et al. Biodegradation behaviors of poly (p-dioxanone) in different environment media
JP2022157778A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