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940A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0940A KR20230130940A KR1020220028170A KR20220028170A KR20230130940A KR 20230130940 A KR20230130940 A KR 20230130940A KR 1020220028170 A KR1020220028170 A KR 1020220028170A KR 20220028170 A KR20220028170 A KR 20220028170A KR 20230130940 A KR20230130940 A KR 202301309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agnetized
- hydrogen
- space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7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2 bio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에서 사용하는 입구가 넓은 물병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자화수소수기를 물병에 입구에 체결하여 물병에 담긴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생수 대신에 자화수 및 수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자화수소수기는 하측으로 물병의 입구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편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수직 공간으로 양분하여 수소수공간과 자화수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수소수공간의 하측에는 통수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상측에는 방수가 이루어지는 마개로 막아주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소수공간에는 희토류가 포함되어 생수를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세라믹볼을 채우고, 상기 자화수공간에는 결합부가 물병에 체결될 때 생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세워주되 상기 배출관은 바디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배출관에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에 끼워져 나사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생수를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자석뭉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입구는 마개를 막아주고, 상기 바디의 외측은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 자력이 내부 자석뭉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고무덮개를 씌움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수가 담긴 입구가 넓은 휴대용 물병의 입구에 체결되어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화란 물체가 자성을 가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자화수는 물 자체가 자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자화수는,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 통상의 물과 다른 분자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물 분자는 1000억분의 1초로 분해 결합을 하는데, 이때 자기장에 의하여 극성(H+/OH-)을 가진 물 분자가 특이한 구조로 변형된 물을 지칭한다.
한편,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N극으로부터 나와 S극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자기장을 물이 직각 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 엄청나게 많은 자기력선 방향에 의해 직각으로 기전력이 생겨 미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물 분자는 보통 서로 붙어서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중첩 자기장이 형성되면, 물 분자는 플러스 극성을 가진 수소이온과 마이너스 극성을 가진 수산화 이온이 서로 붙어서 회전 및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며 미립자화 및 이온 활성화 된다.
일반적으로 자화수 생성장치는, 물이 자기장을 통과할 때 수소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물 분자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자화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물을 자석의 자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 구조가 이온 활성화되어 육각 구조를 가지는 자화수로 변하게 되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자화수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특정된 물병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수소수를 동시에 생성하여 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기능성 항균 물병은 자석을 통해 자화수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수를 마그네슘볼, 알칼리볼, 칼슘볼, 바이오 세라믹볼, 맥반석, 자철광볼, 토르말린볼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접촉시켜 수소수를 생성할 수는 있으나, 자화수 및 수소수를 동시에 생성하여 이용할 수 없었으며, 특히, 준비된 물병을 이용할 수밖에 없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PET병을 이용하여 자화수나 수소수를 생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자화수 또는 수소수를 생성시키는 장치는 특정의 물병을 사용하는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식당에서 생수를 담아 마시게 되는 입구가 넓은 물병을 사용할 때는 간편하게 자화수나 수소수를 만들어 먹을 수 없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생수를 자화수나 수소수로 변환시켜서 마시기 위해서는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킬 수 있는 특별한 구조의 물병을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수를 담아 마시게 되는 입구가 넓은 물병을 사용할 때는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의 구조를 갖춘 물병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휴대용 물병의 입구에 체결함으로써,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식당에서는 입구가 넓은 물병에 생수를 담아주기 때문에 생수를 자화수나 수소수로 변환시켜 마실 수 없기 때문에 생수를 자화수나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특별한 물통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입구에 체결하여 물통의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당에서 사용하는 입구가 넓은 물병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자화수소수기를 물병에 입구에 체결하여 물병에 담긴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생수 대신에 자화수 및 수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자화수소수기는 하측으로 물병의 입구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편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수직 공간으로 양분하여 수소수공간과 자화수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수소수공간의 하측에는 통수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상측에는 방수가 이루어지는 마개로 막아주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소수공간에는 희토류가 포함되어 생수를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세라믹볼을 채우고, 상기 자화수공간에는 결합부가 물병에 체결될 때 생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세워주되 상기 배출관은 바디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배출관에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에 끼워져 나사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생수를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자석뭉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입구는 마개를 막아주고, 상기 바디의 외측은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 자력이 내부 자석뭉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고무덮개를 씌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병의 입구에 자화수소수기를 체결한 후 물병의 생수를 자화수소수기로 이동시키면 생수는 세라믹볼에 접촉되면서 수소수로 변환되는 한편 자석뭉치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자화수로 변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화수 및 수소수의 음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석뭉치는 원통형 자석을 적층시키되 강력한 자력을 갖도록 동일 극성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적층시키고, 상기 원통형 자석의 상하측에는 원통형 받침을 설치한 후 원통형 받침과 원통형 자석을 고정나사로 고정시키는 한편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받침의 내측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배출관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에 결합부가 결합되면서 자석뭉치가 결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공간에 채워지는 세라믹볼과 자화수공간에 설치되는 원통형 자석은 수소에 빠르게 반응하는 희토류를 포함시킴으로써 세라믹볼에 생수가 접촉할 때 수소수로 변환되게 하는 한편 생수가 자석뭉치의 자기장을 통과할 때 자화수로 변환되게 함으로써,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된 음용수를 마시게 된다.
본 발명의 바디 상측에는 세라믹볼의 투입과 교체를 위한 투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투입구는 방수가 이루어지는 마개를 씌워주고, 바디의 외측도 고무덮개를 씌워주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자화수소수기를 식당에서 사용되는 입구가 넓은 물병의 뚜껑을 대신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켜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조립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석뭉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디 내부에 세라믹볼과 자석뭉치가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디에 고무덮개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병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석뭉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디 내부에 세라믹볼과 자석뭉치가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디에 고무덮개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병 단면도
본 발명은 물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자화수소수기에 관한 것으로, 물병의 뚜껑을 분리한 후 자화수소수기의 결합부를 끼우면, 물병의 생수는 자화수소수기를 통하여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된 다음 배출되는 것이어서, 간편하게 자화수 및 수소수를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화수소수기는 물병의 입구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물병에 담긴 생수는 바디의 수소수공간에 채워진 희토류가 포함된 세라믹볼에 접촉되어 수소수로 변환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편 원통형의 자석뭉치가 끼워진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생수는 세라믹볼에 접촉되면서 수소수로 변환되는 한편 자석뭉치의 강력한 자기장에 물이 직각 방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자화수로 변환시키게 되는 것으로, 생수를 자화수 및 수소수로 변환시켜 음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화수소수기를 교체하여 다른 물병에 체결한 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당에서 사용되는 입구가 넓은 물병(1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하측에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0)를 구비하되 상기 바디(2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격벽(22)을 설치하여 바디(20)의 내부공간을 수소수공간(23)과 자화수공간(24)으로 분리하고, 상기 수소수공간(23)의 바닥에는 생수가 흐르게 되는 통수구멍(25)을 형성하는 한편 수소수공간(23)의 상측에는 투입구(41)를 형성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는 마개(42)로 막아주게 하며, 상기 자화수공간(24)에는 물병(10)의 생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0)을 세워지게 형성하되 상기 배출관(30)의 상부는 바디(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바디(20)의 결합부(21)를 물병(10)의 입구에 끼우면, 물병(10)의 생수는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된다.
물병(10)의 생수는 통수구멍(25)을 통하여 바디(20)의 수소수공간(23)에 채워진 세라믹볼(40)과 접촉이 이루어진 후 통수구멍(25)을 통하여 물병(10)으로 흐르게 되거나, 배출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30)에는 자석뭉치(50)가 체결되는 나사결합부(31)를 형성하고, 배출관(30)의 입구는 마개(33)를 끼워 막아준다,
본 발명의 바디(20)에 형성된 수소수공간(23)에는 희토류를 포함하는 세라믹볼(40)을 채워서 통수구멍(25)을 통하여 생수가 세라믹볼(40)과 접촉하거나, 세라믹볼(40)에 접촉된 생수가 물병(10)으로 흐르게 되며, 세라믹볼(40)은 희토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수에 포함된 수소에 빠르게 반응하여 생수를 수소수로 변환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자화수공간(24)에서 배출관(30)에 외삽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자석뭉치(50)는 수 개의 원통형 자석(51)(52)과 상하측을 받치는 원통형 받침(53)(54)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통형 자석(51)(52)을 적층시키되 강력한 자력을 갖도록 동일 극성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적층시키고, 상기 원통형 자석(51)(52)의 상하측에는 원통형 받침(53)(54)을 위치시킨 후 원통형 받침(53)(54)과 원통형 자석(51)(52)을 고정나사(55)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자석뭉치(50)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받침(53)은 내측으로 배출관(3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31)에 결합되는 결합부(53a)를 형성하여 자석뭉치(50)의 결합부(53a)를 나사결합부(31)에 끼워서 자석뭉치(5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부(53a)가 나사결합부(31)에 끼워져 견고히 결합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받침(53)(54)은 티타늄 소재로 제작하여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강력한 자력을 갖도록 하고, 원통형 자석(51)(52)은 서로 인접되는 자석끼리 동일 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자기장을 띄도록 하여 배출관(30)으로 흐르는 생수를 자화수로 변환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화수소수기(100)는 바디(20)의 하측 일부와 측면 및 상측을 덮어주는 형태로 고무덮개(60)로 씌워서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외부 자력이 내부 자석뭉치(5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고무덮개(60)의 표피를 이용하여 아름다운 무늬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출관(30)은 자석뭉치(50)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무덮개(60)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위에는 마개(33)를 끼워주도록 하고, 상기 마개(33)는 배출관(30)에 끼웠을 때 누수가 방지됨은 물론 개방하였을 때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실 방지띠로 바디(20)와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물병(10)의 뚜껑을 열고, 바디(20)의 결합부(21)를 물병(10) 입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준비가 완료되는 것으로, 물병(10)을 기울여 생수가 통수구멍(25)을 통하여 바디(20)의 수소수공간(23)에 채워진 세라믹볼(40)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물병(10)을 세우면, 세라믹볼(40)과 접촉된 생수가 물병(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생수는 희토류가 포함된 세라믹볼(40)로 인하여 빠르게 수소와 반응하여 수소수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수소수는 마개(33)를 열고 배출시키게 되면, 자석뭉치(50)의 강한 자기장에 의해 자화수로 변환된 후 배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물병(10)의 생수가 통수구멍(25)을 통하여 바디(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세라믹볼(40)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생수를 수소수로 변환시키게 되고, 이와는 달리 생수가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될 때 자석뭉치(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 자화수로 변환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자화수 및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병(10)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고, 생수는 통수구멍(25)을 통하여 세라믹볼(40)과 접촉된 후 배출관(30)을 흐르기 때문에 결국 생수는 세라믹볼(40)에 의해 수소수로 변환되는 한편 자석뭉치(50)에 의해 자화수로 변환된 후 배출되며, 마개(33)를 열고 닫음에 따라 자화수 및 수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볼(40)은 바디(2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채우는 것보다, 70~80%의 공간에만 채우는 것이, 생수를 만났을 때 빠르게 융해되면서 수소와의 반응이 이루어지고, 세라믹볼(40)에 희토류를 포함시키는 것이, 수소와의 반응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10 : 물병
20 : 바디
21 : 결합부 22 : 격벽
23 : 수소수공간 24 : 자화수공간
25 : 통수구멍 30 : 배출관
31 : 나사결합부 33 : 마개
40 : 세라믹볼 50 : 자석뭉치
51,52 : 원통형 자석 53,54 : 원통형 받침
60 : 고무덮개 100 : 자화수소수기
21 : 결합부 22 : 격벽
23 : 수소수공간 24 : 자화수공간
25 : 통수구멍 30 : 배출관
31 : 나사결합부 33 : 마개
40 : 세라믹볼 50 : 자석뭉치
51,52 : 원통형 자석 53,54 : 원통형 받침
60 : 고무덮개 100 : 자화수소수기
Claims (2)
- 하측으로 입구가 넓은 물병(10)의 입구에 체결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는 한편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20)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20)의 내부 공간을 수직으로 양분하여 수소수공간(23)과 자화수공간(24)으로 구분하는 격벽(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소수공간(23)의 하측에는 통수구멍(25)을 형성하는 한편 상측에는 방수가 이루어지는 마개(42)로 막아주는 투입구(41)를 형성하고,
상기 수소수공간(23)에는 희토류가 포함되어 생수를 수소수로 변환시키는 세라믹볼(40)을 채우고,
상기 자화수공간(24)에는 결합부(21)가 물병(10)에 체결될 때 생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30)을 세워주되 상기 배출관(30)은 바디(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배출관(30)에는 나사결합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30)에 끼워져 나사결합부(31)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생수를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자석뭉치(5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30)의 입구는 마개(33)로 막아주고,
상기 바디(20)의 외측은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 자력이 내부 자석뭉치(50)에 영향을 주지 않게 고무덮개(60)를 씌워서 자화수소수기(1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자석뭉치(50)는 수 개의 원통형 자석(51)(52)을 적층시키되 강력한 자력을 갖도록 동일 극성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적층시키고,
상기 원통형 자석(51)(52)의 상하측에는 원통형 받침(53)(54)을 위치시킨 후 원통형 받침(53)(54)과 원통형 자석(51)(5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55)로 고정하고,
상기 자석뭉치(50)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받침(53)은 내측으로 배출관(3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31)에 결합되는 결합부(53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170A KR20230130940A (ko) | 2022-03-04 | 2022-03-04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170A KR20230130940A (ko) | 2022-03-04 | 2022-03-04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0940A true KR20230130940A (ko) | 2023-09-12 |
Family
ID=8801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8170A KR20230130940A (ko) | 2022-03-04 | 2022-03-04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094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947B1 (ko) | 2023-10-20 | 2024-09-19 | 안진우 | 자화 증폭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469B1 (ko) | 2014-12-31 | 2015-08-28 | 지병욱 | 기능성 항균 물병 |
KR20160121025A (ko) | 2015-04-09 | 2016-10-19 | 박병기 | 정수기능이 구비된 육각수 생성장치 |
KR101670202B1 (ko) | 2016-02-24 | 2016-10-27 | 지병욱 |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
KR20170136172A (ko) | 2016-06-01 | 2017-12-11 | 양체영 | 물병용 고정형 캡슐 |
-
2022
- 2022-03-04 KR KR1020220028170A patent/KR202301309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469B1 (ko) | 2014-12-31 | 2015-08-28 | 지병욱 | 기능성 항균 물병 |
KR20160121025A (ko) | 2015-04-09 | 2016-10-19 | 박병기 | 정수기능이 구비된 육각수 생성장치 |
KR101670202B1 (ko) | 2016-02-24 | 2016-10-27 | 지병욱 |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
KR20170136172A (ko) | 2016-06-01 | 2017-12-11 | 양체영 | 물병용 고정형 캡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947B1 (ko) | 2023-10-20 | 2024-09-19 | 안진우 | 자화 증폭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81316B2 (ja) | 機能水生成装置 | |
KR101670202B1 (ko) |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 |
KR20230130940A (ko)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
US7718059B2 (en) | Apparatus for producing magnetized water | |
KR101566872B1 (ko) | 미네랄 자화수 및 알칼리수 생성 장치 | |
KR20230130932A (ko) | 자화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 |
US6171490B1 (en) | Water purifier with a rotating magnet | |
KR20170136172A (ko) | 물병용 고정형 캡슐 | |
WO2006073240A1 (en) | Structure of cup for magnetized active water | |
KR200479296Y1 (ko) |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 |
KR102505055B1 (ko) | 휴대용 자화수기 | |
KR200408986Y1 (ko) |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 |
KR20240124056A (ko) | 휴대용 자화수기 | |
KR102445435B1 (ko) | 휴대용 자화수기 | |
JPH09309561A (ja) | 液体容器の注ぎ口キャップ | |
KR101836764B1 (ko) |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 |
CN209081593U (zh) | 直饮型水质处理装置 | |
KR20170131087A (ko) | 자화수 생성물병 | |
JPH06233984A (ja) | 六角水製造装置 | |
KR102082823B1 (ko) | 인체에 유익한 회전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자화수 생성 용기 | |
KR20090009110U (ko) | 자화 육각수 제조장치 | |
CN109998339A (zh) | 一种旋磁水杯 | |
KR101440199B1 (ko) | 휴대용 정수기 | |
KR102638289B1 (ko) | 자동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 | |
KR20090012765U (ko) | 휴대용 캔타입 자화수 생성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