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301A - 인젝터 - Google Patents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301A
KR20230130301A KR1020220027270A KR20220027270A KR20230130301A KR 20230130301 A KR20230130301 A KR 20230130301A KR 1020220027270 A KR1020220027270 A KR 1020220027270A KR 20220027270 A KR20220027270 A KR 20220027270A KR 20230130301 A KR20230130301 A KR 2023013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haft
injector
nozzle
fuel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김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2002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301A/ko
Publication of KR2023013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7Details of the valve closing elements, e.g. valve seats, stems or arrangement of flow passages
    • F02M21/026Lift valves, i.e. stem operated valves
    • F02M21/0263Inwardly opening single or multi nozzle valves, e.g. needl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7Details of the valve closing elements, e.g. valve seats, stems or arrangement of flow passages
    • F02M21/0272Ball valves; Plate valves; Valves having deformable or flexible parts, e.g. membranes; Rotatabl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7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valve body having cylindrical guiding or metering portions, e.g. with fue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61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press-fit, i.e. interference or friction 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는,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과,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하단부가 막힌 중공 형상의 니들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때, 니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노즐의 내주면으로 배출하는 배출 홀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젝터{INJECTOR}
본 발명은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기 포트 분사(PFI; Port Fuel Injection) 인젝터와 같이 니들(Needle) 중심부를 통해 밸브 시트로 연료가 공급되는 구조의 인젝터는, 니들 샤프트 내 유로 홀의 영향으로 유체 저항 및 모멘텀(Momentum)이 발생한다.
특히, 해당 인젝터는 불안정한 힘의 분배로 니들이 흔들리거나 중심을 유지하지 못하여 연료 유량과 분사 형태가 불안정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인젝터는 니들의 흔들림과 더불어 센터링 확보 부족으로 인해, 볼과 밸브 시트의 접촉부가 균일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곧, 볼과 밸브 시트 간의 진원도가 악화돼 누설 및/또는 내구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니들의 흔들림 및 센터링을 개선하여 유량 및 분사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인젝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는,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과,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하단부가 막힌 중공 형상의 니들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때, 니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노즐의 내주면으로 배출하는 배출 홀을 갖는다.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니들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단 배치될 수 있다.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각도로 다단 배치되되, 니들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되, 니들 샤프트의 각 단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연료 배출 시 센터링이 가능하다.
니들 샤프트는 하단부의 중공을 밀폐하는 볼(ball)을 구비할 수 있다.
볼은 니들 샤프트가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 시, 노즐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볼은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의 측면에는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함몰되어 연료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는,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한 채로 상하로 왕복 이동하며 노즐의 배출 경로를 개폐하는 니들 샤프트; 니들 샤프트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전기자; 전기자의 상부에 위치하며, 니들 샤프트의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코어; 및 전기자와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니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노즐의 내주면으로 배출하는 배출 홀을 갖는다.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다단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는,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 및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한 채로 상하로 왕복 이동하며 노즐의 배출 경로를 개폐하는 니들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때, 노즐은 연료 배출 시, 니들 샤프트의 하단부와 일부 맞닿은 채로 니들 샤프트의 센터링 유지를 보조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시트는 노즐의 하단부측 내주면상에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하다.
밸브 시트는 일부 구간에 부분적으로 연료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는, 니들 샤프트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전기자; 전기자의 상부에 위치하며, 니들 샤프트의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코어; 및 전기자와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는 코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자기장을 통해 마그네틱 코어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니들 샤프트는 전기자와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젝터는 니들의 흔들림 및 센터링을 개선하여 유량 및 분사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니들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연료 배출 홀을 통해 최적의 유압을 적용하여 니들의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볼과 밸브 시트 간에 접촉되는 부위의 진원도가 초기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누설에 의한 필드의 품질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을 통해 도시한 인젝터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에 있어서, 니들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C-C 단면을 통해 도시한 니들 샤프트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D-D 단면을 통해 도시한 니들 샤프트의 기본 예시도.
도 7은 도 4에 표시된 D-D 단면을 통해 도시한 니들 샤프트의 변형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 분사 시스템(1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 분사 시스템(10)은 연료 레일(200)로부터 고압의 차량용 연료를 공급받는 인젝터(100)가 해당 연료를 연소실(미도시)로 분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즉, 인젝터(100)는 ECU(500;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고압의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 내로 분사한다.
이를 위하여 인젝터(100)는 연료 레일(200)에 체결되고, 고압센서(300)와 와이어 하네스(40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인젝터(100)는 연소실 내에 정확한 시간에 맞춰 정확한 양으로 연료를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연료는 기관(미도시)의 흡입 과정 중에 무화되면서 공기와 섞여 혼합기를 형성하고 연소실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혼합기의 형성 과정은 실린더(미도시) 내의 연소 현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연료의 기화, 공기와의 혼합 그리고 착화 및 연소의 전 과정은 거의 동시에 함께 진행된다.
혼합기 형성의 목표는 가능한 한 빠르게 기화된 연료를 자기착화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피크(peak)-연소온도를 피하면서 분사된 연료의 전부를 완전 연소시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기본조건이 충족되면, 과도한 압력상승, 높은 연소 소음 그리고 기계적/열적 부하를 피하면서도 유해배출물 수준이 낮은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인젝터(100)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을 통해 도시한 인젝터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100)는 전자석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니들 샤프트(150)가 노즐(130)의 내주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노즐(130)의 출측을 개폐하는 방식이다.
인젝터(100)는 크게, 커버(110), 하우징(120), 노즐(130), 전기자(140, armature) 및 니들 샤프트(150)를 포함한다. 해당 구성들은 차량용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호 연동되어 작동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커버(110)는 인젝터(100)의 상단부 외형을 이루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외형과 중공 사이에 전기 회로를 보호하는 터미널 서포터(111)를 내장한다. 커버(110)의 중공에는 연료를 전달하는 익스텐션 튜브(112)가 삽입된다. 해당 익스텐션 튜브(112)상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13)가 위치한다. 익스텐션 튜브(112)의 하단부에는 동적 유량을 조절하는 조정 튜브(114)가 위치한다. 조정 튜브(114)의 하단부 일부 구간에는 니들 샤프트(150)를 지정된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부재(115)가 위치한다. 커버(110)의 상단에는 연료 레일(도 1의 200)과 체결되는 부위이기에 해당 부위를 밀봉하는 어퍼 실링부재(116)가 위치한다. 그리고 커버(110)의 상단부 일부 구간에는 사양을 식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컬러로 표시된 클립(117)이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커버(110)의 하단부에 연장되고, 커버(110)와 연통하는 중공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120)에는 외형과 중공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121)가 내장된다. 그리고, 커버(110)와 하우징(120) 간의 결합면상에 위치한 중공에는 마그네틱 코어(122)가 삽입된다. 마그네틱 코어(122)는 조정 튜브(114) 및 탄성부재(115)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좁아지는 그 구간을 로어 실링부재(123)가 감싼다.
노즐(130)은 하우징(120)의 하단부와 연통하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즐(130)은 연료 레일(도 1의 200)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한다. 노즐(130)의 내경에는 밸브 시트(131), 오리피스 플레이트(132) 및 서포트 플레이트(133)가 위치한다.
밸브 시트(131)는 노즐(130)을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130)의 하단부를 기밀하게 한다. 이러한 밸브 시트(131)는 노즐(130)의 하단부측 내주면상에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 시트(131)는 일부 구간에 부분적으로 연료의 흐름을 안내한다. 여기서, 일부 구간이란 연료가 노즐(13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오리피스 플레이트(132)는 노즐(130)의 출측 내경부에 고정되고, 밸브 시트(131)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132)는 복수의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된 채로 구성되어, 연료의 유량 조절 및 분사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33)는 오리피스 플레이트(132)의 하단부를 받치는 형태로서 기능하고, 별도의 노즐부(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전기자(140)는 코일 어셈블리(121)의 흡인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출구인 오리피스 플레이트(132)를 개폐하여 제어실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140)는 코일 어셈블리(121)에 의한 자기력과 탄성부재(115)의 스프링력 및 압력차에 의한 힘이 작용한다.
즉, 전기자(140)는 코일 어셈블리(121)에 형성된 자기장을 통해 마그네틱 코어(122)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 샤프트(150)는 전기자(140)의 하단에 연결된 채로 전기자(140)와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자(140)는 회전 혹은 이동 운동에 의해서 전기-기계 에너지 변환 또는 회로의 개폐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특히, 전기자(140)는 지정된 위치에서 상하로 기 설정된 구간만큼 이동하면서 니들 샤프트(150)의 연료 배출 경로 개폐를 유도할 수 있다.
니들 샤프트(150)는 노즐(130)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centering)을 유지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고, 하단부가 막힌 중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니들 샤프트(150)는 배출 홀(151)과 볼(152)을 포함한다.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연료 레일(도 1의 200)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노즐(130)의 내주면으로 배출한다.
볼(152)은 니들 샤프트(150)의 하단부를 막는 형태로 연결되어, 니들 샤프트(150)의 중공을 구조적으로 밀폐한다. 볼(152)의 주된 기능은, 니들 샤프트(150)가 노즐(130)의 내주면상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 시, 노즐(130)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데 있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통해 인젝터(1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볼 수 있다. 인젝터(1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며 각 구성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니들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단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각도로 다단 배치되되, 니들 샤프트(1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각 단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연료 배출 시 니들 샤프트(150)가 노즐(130) 내에서 센터링(centering)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변형 예로서,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단층 배치되거나, 다단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볼(152)은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152a)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예로서, 측면(152a)은 직각이 아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152a)은 노즐(130)에서 연료가 배출될 시, 고속 및 고압의 연료 분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밸브 시트(131)는 볼(152)과 맞닿는 부위가 볼(152)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3을 통해 인젝터(1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보기로 한다.
전기자(140)는 니들 샤프트(150)의 상단에 고정되며, 마그네틱 코어(122)의 하단부와 L1 만큼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자기장 형성으로 전기자(140)가 마그네틱 코어(122)와 밀착할 시, 볼(152)과 밸브 시트(131) 간에 L1 만큼의 틈이 생긴다. 그 틈으로 연료가 외부로 분사된다. 해당 연료는 오리피스 플레이트(132)를 거쳐 다양한 방향으로 유량이 조절되며 분사될 수 있다.
배출 홀(151)을 통해 연료 배출 시, 니들 샤프트(150)는 노즐(130)의 내경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니들 샤프트(150)는 L2와 L3의 길이가 같은 형태로 센터링이 유지된 채로 연료를 분사하여, 니들 샤프트(150)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배분한다. 이는 곧, 니들 샤프트(150)가 흔들리지 않고 센터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뿐만 아니라, 밸브 시트(131)는 연료 배출 시, 니들 샤프트(150)의 하단부와 일부 맞닿은 채로 니들 샤프트(150)의 센터링 유지를 보조할 수도 있다.
도 4는 니들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C-C 단면을 통해 도시한 니들 샤프트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니들 샤프트(150)의 하단부에는 볼(152)이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152a)을 갖는다.
이때, 볼(152)의 측면(152a)에는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함몰되어 연료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볼(152)의 측면(152a)의 일부 구간에는 부분적으로 블레이드(미도시)가 돌출되어 연료의 흐름을 안내할 수도 있다.
니들 샤프트(1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관통된 슬릿(15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릿(153)은 기본적으로 볼(152)이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슬릿(153)은 니들 샤프트(150)의 일부 둘레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니들 샤프트(150)의 압축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D-D 단면을 통해 니들 샤프트의 기본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니들 샤프트의 변형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의 배출 홀(151)은 니들 샤프트(150)상에서 약 90도 간격으로 구현되어,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배출할 시, 90도 방향으로 연료가 배출됨으로써 니들 샤프트(150)에 작용하는 힘을 배분한다. 결국 배출 홀(151)이 위치하는 형태는 니들 샤프트(150)가 흔들리지 않고 센터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로는, 배출 홀(151)이 4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니들 샤프트(150)의 센터링을 확보하는 것으로 표시하지만, 이러한 배출 홀(151)의 형태는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령, 도 7에서의 니들 샤프트(150')는 도 6에서의 니들 샤프트(150)와 다르게, 니들 샤프트(150')의 배출 홀(151)을 기준으로 90도 면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볼텍스 유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니들 샤프트(150')의 형태는, 연료 배출 시 유체 흐름으로 인해 니들 샤프트(150') 주변에 스월(swirl) 흐름을 구현한다. 즉, 니들 샤프트(150)는 배출 홀(151)의 형태를 통해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셀프 센터링으로 니들 샤프트(150)가 항상 노즐(130)의 중심에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니들 샤프트(150')는 배출 홀(151)의 크기가 각 위치마다 상이하거나 간격이 다르게 배치된 채로, 설정에 따라 인젝터(도 1의 100)가 연료 분무 패턴 및 분사량 편차를 개선하는 형태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연료 분사 시스템 100: 인젝터
110: 커버 111: 터미널 서포터
112: 익스텐션 튜브 113: 필터
114: 조정 튜브 115: 탄성부재
116: 어퍼 실링부재 117: 클립
120: 하우징 121: 코일 어셈블리
122: 마그네틱 코어 123: 로어 실링부재
130: 노즐 131: 밸브 시트
132: 오리피스 플레이트 133: 서포트 플레이트
140: 전기자 150, 150': 니들 샤프트
151: 배출 홀 152: 볼
152a: 볼 측면 153: 슬릿
200: 연료 레일 300: 고압센서
400: 와이어 하네스 500: ECU

Claims (16)

  1.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 및
    상기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하단부가 막힌 중공 형상의 니들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상기 노즐의 내주면으로 배출하는 배출 홀을 갖는 것인 인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상기 니들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단 배치되는 것인 인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상기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각도로 다단 배치되되, 상기 니들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인 인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상기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되, 상기 니들 샤프트의 각 단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연료 배출 시 센터링이 가능한 것인 인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는
    하단부의 중공을 밀폐하는 볼(ball)을 구비하는 것인 인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니들 샤프트가 상기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 시, 상기 노즐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인 인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이 직각으로 형성된 것인 인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152)의 측면에는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함몰되어 연료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인 인젝터.
  9.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
    상기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한 채로 상하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의 배출 경로를 개폐하는 니들 샤프트;
    상기 니들 샤프트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니들 샤프트의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코어; 및
    상기 전기자와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마다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상기 노즐의 내주면으로 배출하는 배출 홀을 갖는 것인 인젝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상기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인 인젝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배출 홀은
    상기 니들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다단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인 인젝터.
  12.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 레일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되, 상기 인젝터의 하단부를 감싸는 중공 형상의 노즐; 및
    상기 노즐의 내주면상에서 센터링을 유지한 채로 상하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의 배출 경로를 개폐하는 니들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연료 배출 시, 상기 니들 샤프트의 하단부와 일부 맞닿은 채로 상기 니들 샤프트의 센터링 유지를 보조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것인 인젝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노즐의 하단부측 내주면상에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것인 인젝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일부 구간에 부분적으로 연료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인 인젝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샤프트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니들 샤프트의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코어; 및
    상기 전기자와 마그네틱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젝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코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자기장을 통해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니들 샤프트는 상기 전기자와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인 인젝터.
KR1020220027270A 2022-03-03 2022-03-03 인젝터 KR2023013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270A KR20230130301A (ko) 2022-03-03 2022-03-03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270A KR20230130301A (ko) 2022-03-03 2022-03-03 인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01A true KR20230130301A (ko) 2023-09-12

Family

ID=8801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270A KR20230130301A (ko) 2022-03-03 2022-03-03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3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712B1 (ko) 직접 분사 연료 분사기 및 이 분사기를 장착한 내연 기관
US7677478B2 (en) Fuel injection valve
US5996912A (en) Flat needle for pressurized swirl fuel injector
US7306173B2 (en) Fuel injection valve
JPS6325366A (ja) ガソリン噴射装置
US7383812B2 (en) Fuel injector
US20080006713A1 (en) Fuel injector having an internally mounted cross-flow nozzle for enhanced compressed natural gas jet spray
JPH04358764A (ja) 電磁燃料インゼクタのためのオリフィスディレクタプレート
KR20030007944A (ko) 연료 분사 밸브
EP2937553B1 (en) Vehicular high pressure direct injection type injector with valve seat body for fuel-atomization
EP0682179B1 (de) Brennstoffeinspritzventil
KR20230130301A (ko) 인젝터
US8215572B2 (en) Fuel injection system
US6824085B2 (en) Fuel injector
JP3572591B2 (ja) 流体噴射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式燃料噴射弁
US5666920A (en) Fuel supply system for us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034747A (ko) 공기압력하에서 연료를 분무하기 위하여 다공성요소를구비한 연료인젝터
JPH01100363A (ja) 燃料噴射器
JP4036175B2 (ja) 燃料噴射弁
WO2003069150A1 (en) Fuel injector flow director plate retainer
KR102180408B1 (ko) 차량용 연료 분사기
WO2004090323A1 (en) Spray pattern element and fuel injection valve with a spray pattern element
EP0718492B1 (en) Fuel injector
KR20130071909A (ko) 와류 분사형 노즐을 구비한 커먼 레일 인젝터
WO2007043820A1 (en) The injection nozzle structure of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