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682A - 차량용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682A
KR20230129682A KR1020220026586A KR20220026586A KR20230129682A KR 20230129682 A KR20230129682 A KR 20230129682A KR 1020220026586 A KR1020220026586 A KR 1020220026586A KR 20220026586 A KR20220026586 A KR 20220026586A KR 20230129682 A KR20230129682 A KR 2023012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vehic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052B1 (ko
Inventor
강윤수
유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22002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52B1/ko
Priority to US18/116,151 priority patent/US20230282988A1/en
Priority to CN202310200526.3A priority patent/CN116706513A/zh
Publication of KR2023012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37Particular feeding systems linear waveguide fed arrays
    • H01Q21/0043Slotted waveguides
    • H01Q21/005Slotted waveguides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4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horn or slot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8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side-mounted antennas, e.g. bumper-mounted, door-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안테나 장치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상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테나 장치{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억제할 수 있고 설계 자유도가 높은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Adaptive Cruise Control),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자율 운전 및 자율 주차 등 운전자를 위한 차량의 안전 및 편의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차량용 레이더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레이더에는 전파의 송수신을 위하여 전파 신호를 복사하는 배열 안테나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송수신 채널간의 간섭 효과를 억제할 수 있고, 넓은 빔 영역을 갖는 도파관 형태의 배열안테나에 대한 연구와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차량용 레이더에 도파관 배열 안테나를 적용하기 위하여, 금속판에 도파관 및 급전망을 성형한 후,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의 금속판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였다.
그런데, 전파의 송수신을 위한 도파관과 급전망은 인쇄회로기판의 일영역 상에만 배치되면 족함에도, 종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는 인쇄회로기판과 유사한 크기의 금속판들을 적층하여 제조되어 왔으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여 왔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안테나 제조에 요구되는 원자재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제조비용의 급격한 상승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금속판에 송신을 위한 도파관과 수신을 위한 도파관을 성형한 후 금속판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송수신 채널을 형성했으므로, 송수신 채널이 하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에 일체로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는 송수신 채널의 구조, 배치, 형상 및 두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어, 도파관 안테나 장치의 설계 자유도가 낮고,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가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에는 도파관 배열 안테나를 이루는 금속판들이 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한 크기로 제조되었으므로, 도파관이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과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그라운드(GND, ground)에 의하여 다량의 측면파(lateral wave, lateral radiation)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는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 또는 측면파를 억제하기 위하여 코어러게이티드 슬롯(corrugated slot) 또는 논라디에이팅 슬롯(Non-radiating Slot)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구조를 요구하여 왔다.
따라서,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설계 자유도를 갖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도파관 배열 안테나의 불필요한 구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측면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수신의 채널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레이더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안테나 장치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상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상기 안테나 모듈의 일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적보다 작은 제 2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의 두께는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의 두께차는 상기 전파가 갖는 파장(λ)의 2배(2λ)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은 송신용 안테나 모듈이고,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수신용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도파관; 및 상기 도파관과 상기 프로세서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급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파관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상호 나란하게 인접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되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상기 모듈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부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부에는 상기 급전망이 위치하고, 상기 내측부의 폭은 상기 외측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안테나 모듈이 송수신 채널의 배치가 요구되는 일영역에만 실장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구조, 배치, 형상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 채널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레이더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의 일면이 인쇄회로기판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인쇄회로기판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부 내측에 위치하므로,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레이더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두께가 다른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내측부와 내측부보다 인쇄회로기판에서 더 먼 거리에 위치되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외측부의 전 영역에 걸쳐 복수의 도파관이 형성되므로,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하우징은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하우징에 의하여 투시된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안테나 모듈 및 급전 회로의 사시도이다. 이때, 제 1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형성된 도파관 및 급전망이 보일 수 있도록 절단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안테나 모듈 및 급전 회로의 사시도이다. 이때, 제 2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형성된 도파관이 보일 수 있도록 절단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때, 프로세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한 제 1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모델링한 제 1 및 제 2 실험 모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 1 실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측면파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제 2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모델링한 제 3 실험 모델과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는 제 2 실험의 실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3차원 이미지이고, 도 10은 제 2 실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y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이라 규정하고 y축의 음의 방향을 후방이라 규정한다. z축의 양의 방향을 상측이라 규정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을 하측이라 규정한다. x축의 양의 방향을 우측이라 규정하고, x축의 음의 방향을 좌측이라 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레이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전파 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량 외부로 전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구조, 배치, 형상 및 두께 등에 특별한 제한이 없는 안테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 상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실장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높은 설계 자유도와 공간 활용성을 갖게 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도파관이 안테나 모듈 몸체의 외측부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이고, 측면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차량용 레이더는 차량의 ACC(Adaptive Cruise Control),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자율 운전 및 자율 주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움직이거나 정지해있는 다른 차량이나 물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차량용 레이더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이나 물체를 향하여 전파 신호를 송신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물체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송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상기와 같이 다른 차량이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레이더를 위한 안테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파 신호를 송수신 및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하우징은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하우징에 의하여 투시된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하우징(10), 인쇄회로기판(20), 프로세서(30), 급전회로(40) 및 안테나 모듈(50,60,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인쇄회로기판(20), 프로세서(30), 급전회로(40) 및 안테나 모듈(50,60,70)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하우징(10)의 형상은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구성들의 형상 및 배치와 차량용 안테나 장치(1)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에는 프로세서(30) 및 안테나 모듈(50,60,70)이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0)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0)은 프로세서(3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에는 급전회로(40)가 형성될 수 있다. 급전회로(40)는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프로세서(30)와 안테나 모듈(50,60,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전회로(40)는 양단이 각각 프로세서(30)와 안테나 모듈(50,60,7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30)로부터 안테나 모듈(50,60,70)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전회로(40)에는 회로기판 상의 급전선로에서 도파관으로 전기적 변환이 이루어지는 천이부, 전력 분배를 위한 수동소자들 및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50,60,70)은 소정의 두께를 갖되, 높이에 비하여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 모듈(50,60,70)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55,65,75)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50,60,70)은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급전회로(40)에 의하여 전달 및 발생되는 전파 신호를 복수의 슬롯(55,65,75)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복수의 슬롯(55,65,75)을 통하여 전파 신호를 수신받아 급전회로(40)와 프로세서(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 모듈(50,60,7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나, 인쇄회로기판(20)의 형상, 전파 신호의 성질 및 차량용 안테나 장치(1)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 등에 맞추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모듈(50,60,70)은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안테나 모듈(50,60,70)이 인쇄회로기판(20)의 일부분만을 커버하므로, 안테나 모듈(50,60,70)과 프로세서(30)가 인쇄회로기판(20)의 동일한 면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0)의 일면상에서 안테나 모듈(50,60,70)이 커버하지 않는 부분에 프로세서(30)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0)의 일면상에서 안테나 모듈(50,60,70)이 커버하지 않는 부분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인쇄회로기판(20)의 동일면 상에 안테나 모듈(50,60,70)과 프로세서(30) 및 다른 구성들을 함께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1)가 구비되는 차량용 레이더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안테나 장치(1)는 안테나 모듈(50,60,70)이 인쇄회로기판(20)의 일부분만을 커버하고, 인쇄회로기판(20)의 전영역을 커버하지 않으므로, 제조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안테나 모듈(50), 제 2 안테나 모듈(60) 및 제 3 안테나 모듈(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전회로(40)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전회로(40)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과 프로세서(30)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모듈(50,60,70)은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되는 일면이 인쇄회로기판(2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0)의 일면상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50,60,70)은 인쇄회로기판(20)의 측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20)의 테두리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안테나 모듈(50,60,70)을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가 설치되는 차량용 레이더 내부의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안테나 모듈 및 급전회로의 사시도이다. 이때, 제 1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형성된 도파관 및 급전망이 보일 수 있도록 절단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안테나 모듈 및 급전회로의 사시도이다. 이때, 제 2 안테나 모듈은 내부에 형성된 도파관이 보일 수 있도록 절단되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50,60,70)은 모듈 몸체(52,62), 도파관(54,64) 및 급전망(5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몸체(52,62)는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모듈 몸체(52,62)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 몸체(52,62)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판형 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안테나 모듈(50)의 모듈 몸체(52)와 제 2 안테나 모듈(60)의 모듈 몸체(6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안테나 모듈(50)의 모듈 몸체(52)는 제 1 층 내지 제 3 층(521,522,52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안테나 모듈(60)의 모듈 몸체(62)는 제 1 층 및 제 2 층(621,6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 몸체(52,62)의 각 층(521,522,523,621,622)에는 안테나 모듈(50,6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안테나 모듈(50)은 외부로 전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용 안테나 모듈일 수 있고, 제 2 안테나 모듈(60)은 외부로부터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안테나 모듈(50)의 제 3 층(523)에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슬롯(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모듈(50)의 제 2 층(522)에는 복수의 슬롯(55)과 연결되는 도파관(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파관(54)의 단면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층(523)의 복수의 슬롯(55)은 도파관(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파관(54)은 모듈 몸체(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파관(54)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도파관(54)은 모듈 몸체(52)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인접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슬롯(55) 및 도파관(54)은 공지의 슬롯 및 도파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슬롯(55) 및 도파관(54)의 형상과 배치는 안테나 장치의 구조, 형상 및 기능과 송수신하는 전파 신호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모듈(50)의 제 1 층(521)에는 급전망(56)이 형성될 수 있다. 급전망(56)은 급전회로(40)로부터 전파 신호를 급전받아 복수의 도파관(54)으로 전달 및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층(521)에 형성되는 급전망(56)은 공지의 급전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전 네트워크는 안테나 장치의 구조, 형상 및 기능과 송수신하는 전파 신호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들어, 급전망(56)과 도파관(54)은 급전망(56)이 도파관(54)의 측부로 급전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층(521,522)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급전망(56)에는 전파 신호의 전달과 분배를 위한 공지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듈 몸체(52)의 단면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모듈 몸체(52)는 인쇄회로기판(20)에 인접한 내측부(A1) 및 내측부(A1)보다 인쇄회로기판(20)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되는 외측부(A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부(A1)는 급전망(56)이 형성되는 제 1 층(521)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외측부(A2)는 복수의 슬롯(55)과 도파관(54)이 형성되는 제 2 및 제 3 층(522,523)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도파관(54)은 모듈 몸체(52)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부(A2)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모듈 몸체(52) 상면의 전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전파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외측부(A2)가 도파관(54)이 형성되지 않은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모듈 몸체(52)의 내측부(A1)의 폭은 외측부(A2)의 폭과 같을 수 있다. 물론, 내측부(A1)에 형성된 급전망(56)의 형상에 따라, 내측부(A1)의 폭은 외측부(A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내측부(A1)가 급전망이 형성되지 않은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안테나 모듈(60)의 모듈 몸체(62)는 제 1 및제 2층(621,6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층(622)에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슬롯(6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층(621)에는 복수의 슬롯(65)과 연결되는 도파관(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파관(64)의 단면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층(622)의 복수의 슬롯(65)은 도파관(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슬롯(65) 및 도파관(64)은 공지의 슬롯 및 도파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파관(64)은 모듈 몸체(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파관(64)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도파관(64)은 모듈 몸체(62)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인접 배열될 수 있다.
도파관(64)의 일측, 예를들어 도 5를 기준으로 도파관(64)의 하측은 급전회로(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수신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제 2 안테나 모듈(60)은 외부로 전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급전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안테나 모듈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1)는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다른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50,60,7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함으로써, 송수신 채널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모듈 몸체(52,62)의 각 층(521,522,523,621,622)은 동일한 두께 및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각 층(521,522,523,621,622)에 형성되는 구성들의 기능 및 형상에 따라 각 층(521,522,523,621,622)의 두께 및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안테나 모듈(50)은 송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더 복잡한 급전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안테나 모듈(50)의 제 1 층(521)은 내부에 더 복잡한 급전망 구조를 수용하기 위하여,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때, 프로세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한 제 1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모델링한 제 1 및 제 2 실험 모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 1 실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와 제 2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는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52)의 상하 방향 두께(t1)는 제 2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62)의 상하 방향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모듈 몸체(52,62)의 두께차(△t=t1-t2)는 소정의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몸체(52,62)의 두께차(△t)는 안테나 모듈이 송신하는 전파가 갖는 파장(λ)의 정수배(nλ)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모듈 몸체(52,62)의 두께차(△t)가 안테나 모듈이 송신하는 전파가 갖는 파장(λ)의 2배(2λ)와 같거나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제 1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은 제 1 실험을 위하여 각각 제 1 실험 모델(50’)과 제 2 실험 모델(60’)로 모델링 되었다.
이때, 제 1 실험 모델(50’)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되, 상면에 전파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슬롯(55’)이 형성되고, x축 방향 양단이 폐쇄된 도파관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실험 모델(60’)은 제 1 실험 모델(50’)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제 1 실험 모델(50’)의 상면이 위치하는 높이와 제 2 실험 모델(60’)의 상면이 위치하는 높이가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었다.
제 1 실험 모델(50’)의 상면이 위치하는 높이와 제 2 실험 모델(60’)의 상면이 위치하는 높이의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 1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와 제 2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의 두께 차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양 면의 높이차를 △t’라 한다.
제 1 실험 모델(50’)의 슬롯(55’)에서 76.5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가 방사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t’가 변화함에 따라 제 1 실험 모델(50’)에서 제 2 실험 모델(60’)의 내부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그래프상에 나타낸 결과는 도 7의 (b)의 선도 (1)과 같다.
제 2 실험 모델(60’)의 슬롯(65’)에서 76.5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가 방사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t’가 변화함에 따라 제 2 실험 모델(60’)에서 제 1 실험 모델(50’)의 내부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그래프상에 나타낸 결과는 도 7의 (b)의 선도 (2)와 같다.
이때, 도 7의 그래프에서 전달되는 전파의 에너지 양은 데시벨(dB, decibel) 단위로 표시되었으며, △t’는 슬롯(55’,65’)에서 방사되는 전파가 갖는 파장(λ)과 상수 k의 곱(kλ)으로 표현되었다. 제 1 및 제 2 실험 모델(50’,60’)의 크기(scale)는 도 7의 (a) 하단에 표시된 막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선도 (1)과 (2)는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t’가 λ에서 2λ로 증가하는 구간에서 전달되는 에너지양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t’가 2λ에서 4λ로 증가하는 구간에서 전달되는 에너지양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소정의 값으로 수렴하였다.
제 1 실험 모델(50’)에서 제 2 실험 모델(60’)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양이 적다는 것은 송신용 채널에서 수신용 채널로 전달되는 에너지양이 적어 간섭 효과가 줄어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상술한 제 1 실험의 취지와 내용에 비추어보면, 도 6에서 제 1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52)와 제 2 안테나 모듈의 모듈 몸체(62)의 두께차(△t)는 제 1 안테나 모듈에서 전파 신호가 외부로 송출되는 부분과 제 2 안테나 모듈에서 외부로부터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의 높이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측면파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제 2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모델링한 제 3 실험 모델과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는 제 2 실험의 실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3차원 이미지이고, 도 10은 제 2 실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살핀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도파관(54)은 제 1 모듈 몸체(52)의 외측부(A2)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급전망(56)이 형성되는 제 1 모듈 몸체(52)의 내측부(A1)의 폭은 외측부(A2)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제 2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 2 실험을 위하여 제 3 실험 모델(70’)로 모델링 되었다. 제 3 실험 모델(70’)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도파관으로 이루어진다. 도파관의 상면에는 전파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슬롯(75’)이 형성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 1 비교 모델(150’)은 제 3 실험 모델(7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도파관으로 이루어지되, 도파관 상측부에는 제 1 길이(L1)를 갖는 프레임(157’)이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157’)은 도파관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프레임(157’)의 상면은 도파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 2 비교 모델(250’)은 제 3 실험 모델(7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도파관으로 이루어지되, 도파관 상측부에는 제 2 길이(L2)를 갖는 프레임(257’)이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257’)은 도파관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프레임(257’)의 상면은 도파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제 2 길이(L2)는 제 1 길이(L1)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57’,257’)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150’,250’)을 이용하여 제 2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에서 도파관의 측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또는 그라운드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제 3 실험 모델(70’)의 슬롯(75’)에서 76.5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가 방사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 3 실험 모델(70’)의 슬롯(7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3 실험 모델(7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3차원 이미지는 도 9의 (a)와 같다. 제 3 실험 모델(70’)의 슬롯(7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3 실험 모델(7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에너지의 상대적인 양과 회전 각도에 관한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는 도 10의 선도 (3)과 같다.
제 1 비교 모델(150’)의 슬롯(155’)에서 76.5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가 방사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 1 비교 모델(150’)의 슬롯(15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1 비교 모델(15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3차원 이미지는 도 9의 (b)와 같다. 제 1 비교 모델(150’)의 슬롯(15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1 비교 모델(15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에너지의 상대적인 양과 회전 각도에 관한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는 도 10의 선도 (4)와 같다.
제 2 비교 모델(250’)의 슬롯(255’)에서 76.5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가 방사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 2 비교 모델(250’)의 슬롯(25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2 비교 모델(25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3차원 이미지는 도 9의 (c)와 같다. 제 2 비교 모델(250’)의 슬롯(255’)에서 전파가 방사됨에 따라 제 2 비교 모델(25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득 패턴을 에너지의 상대적인 양과 회전 각도에 관한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는 도 10의 선도 (5)와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실험 모델의 슬롯에서 방사되는 전파에 의하여 얻어진 이득 패턴(도 9의 (a)에 도시됨)과 선도 (3)(도 10에 도시됨)은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의 슬롯에서 방사되는 전파에 의하여 얻어진 이득 패턴(도 9의 (b) 및 (c)에 도시됨)과 선도 (4) 및 (5)(도 10에 도시됨)에 비하여 요철이 적은 매끄러운 형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의 슬롯에서 방사되는 전파에 의하여 얻어진 이득 패턴(도 9의 (b) 및 (c)에 도시됨)과 선도 (4) 및 (5)(도 10에 도시됨)를 비교하면, 도파관의 측부에 형성된 프레임의 길이가 길수록 이득 패턴이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 3 실험 모델은 도파관 측부에 폭방향으로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파 신호가 방사되는 과정에서 측면파에 의한 교란이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보다 적게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다시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도파관(54)이 모듈 몸체(52)의 외측부(A2)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고, 모듈 몸체(52)의 측부에 제 1 및 제 2 비교 모델(150’,250’)의 프레임(157’,257’)처럼 도파관(54)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모듈 몸체(52)의 내측부(A1)가 외측부(A2)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지므로, 종래의 도파관 배열 안테나와 같이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GND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안테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만을 커버하며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의 타부분을 커버하는 금속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안테나 장치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모듈이 실장되지 않는 영역에 다른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어, 레이더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배치, 형상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 채널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레이더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안테나 장치는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 채널을 구성함으로써, 송수신 채널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도파관이 모듈 몸체의 외측부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도파관이 형성되지 않은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장치는 모듈 몸체의 내측부가 외측부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가짐으로써, GND와 같이 모듈 몸체의 측부로 연장된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측면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차량용 안테나 장치 10: 하우징
20: 인쇄회로기판 30: 프로세서
40: 급전회로 50: 제 1 안테나 모듈
60: 제 2 안테나 모듈 70: 제 3 안테나 모듈

Claims (13)

  1.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안테나 장치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상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상기 안테나 모듈의 일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적보다 작은 제 2 면적을 갖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부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개인, 차량용 안테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모듈은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의 두께는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 모듈의 두께차는 상기 전파가 갖는 파장(λ)의 2배(2λ)보다 큰, 차량용 안테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은 송신용 안테나 모듈이고,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수신용 안테나 모듈인, 차량용 안테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도파관; 및
    상기 도파관과 상기 프로세서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급전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상호 나란하게 인접 배열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되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상기 모듈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부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에는 상기 급전망이 위치하고,
    상기 내측부의 폭은 상기 외측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차량용 안테나 장치.
KR1020220026586A 2022-03-02 2022-03-02 차량용 안테나 장치 KR10258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586A KR102586052B1 (ko) 2022-03-02 2022-03-02 차량용 안테나 장치
US18/116,151 US20230282988A1 (en) 2022-03-02 2023-03-01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 and radar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2310200526.3A CN116706513A (zh) 2022-03-02 2023-03-02 车辆用天线装置和包括其的雷达系统及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586A KR102586052B1 (ko) 2022-03-02 2022-03-02 차량용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682A true KR20230129682A (ko) 2023-09-11
KR102586052B1 KR102586052B1 (ko) 2023-10-06

Family

ID=8784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586A KR102586052B1 (ko) 2022-03-02 2022-03-02 차량용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2988A1 (ko)
KR (1) KR102586052B1 (ko)
CN (1) CN11670651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547A (ko) * 2009-09-04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이동 단말기
KR20150059392A (ko) * 2013-11-22 2015-06-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트립라인 급전 슬롯 배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4120A (ko) * 2017-07-03 2019-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547A (ko) * 2009-09-04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이동 단말기
KR20150059392A (ko) * 2013-11-22 2015-06-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트립라인 급전 슬롯 배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4120A (ko) * 2017-07-03 2019-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2988A1 (en) 2023-09-07
KR102586052B1 (ko) 2023-10-06
CN116706513A (zh)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3815B2 (ja) 合成樹脂製アンテナを備えた車両の周辺把握のためのレーダーシステム
EP3488495B1 (en) Antenna and radar system that include a polarization-rotating layer
EP3133694B1 (en) Integrated low profile phased array antenna system
KR102033311B1 (ko) 스트립라인 급전 슬롯 배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US6954177B2 (en) Microstrip antenna array with periodic filters for enhanced performance
US8786496B2 (en) Three-dimensional array antenna on a substrate with enhanced backlobe suppression for mm-wave automotive applications
JPH08114667A (ja) レーダーモジュール
US10516217B2 (en) Antenna apparatus
US11791542B2 (en) RF devices including conformal antenna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200259240A1 (en) Antenna-on-package integrated circuit device
US20220384959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ctive radiating and feed structure
CN113169459A (zh) 天线阵列、雷达和可移动平台
CN107819200B (zh) 一种宽扫描角度的折合式反射阵多波束天线
KR102586052B1 (ko) 차량용 안테나 장치
KR20180075043A (ko)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CN114649661B (zh) 用于不对称覆盖的具有辐射槽和寄生元件的波导
US20220271421A1 (en) Antenna module and vehicle roof with antenna module
US10749268B2 (en) Aperture-coupled microstrip antenna array
US20190081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ssive radiating and feed structure
CN217768784U (zh) 抗干扰阵列天线
US20220352638A1 (en) Dielectric Loaded Waveguide for Low Loss Signal Distributions and Small Form Factor Antennas
CN214957333U (zh) 一种角雷达和车辆
Xu et al. Low profile dynamic patch antenna array with high-intensity radiation fields (HIRF) protection
WO2023004549A1 (zh) 一种吸波结构、天线装置、探测装置及终端设备
KR102252950B1 (ko) 매칭 레이어를 갖는 광각 레이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