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343A - 낚시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343A
KR20230129343A KR1020230112942A KR20230112942A KR20230129343A KR 20230129343 A KR20230129343 A KR 20230129343A KR 1020230112942 A KR1020230112942 A KR 1020230112942A KR 20230112942 A KR20230112942 A KR 20230112942A KR 20230129343 A KR20230129343 A KR 2023012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wire
connecting member
tube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만
정경아
Original Assignee
변재만
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정경아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23011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343A/ko
Publication of KR2023012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의 균형을 이용하여 어류를 낚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부재가 연결될 때, 연결부재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 채비{PREPARATION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의 균형을 이용하여 어류를 낚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낚시 채비는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의 균형을 이용하여 어류를 낚는 찌올림 낚시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채비는 봉돌, 낚시 바늘, 목줄, 낚시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낚시 채비는, 낚시찌의 부력과 그에 상응하는 봉돌의 침력을 일치시켜 어류가 낚시바늘을 물고 봉돌의 무게를 일정부분 분담하였을때, 부력과 침력의 균형이 깨짐으로써, 낚시찌가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한 장비이다. 이러한 낚시 채비는 찌올림 낚시에 사용된다.
위와 같이,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낚시 채비의 무게를 조절하게 되며, 그 방법의 일례로써,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38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같이, 하중조절링을 탈부착하여 낚시 채비의 무게를 조절하고 있다.
종래의 낚시 채비들은 특허문헌 1의 하중조절링 뿐만 아니라 낚시 채비의 하부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222호(이하, '특허문헌 2' 라 한다)와 같이, 편대 낚시 채비 등 다양한 무게를 갖는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낚시 채비의 무게를 조절함과 동시에 여러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양한 부재가 결합될 경우, 각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꼬임으로 인해, 부력과 침력의 균형이 깨지는 미세한 차이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해, 어류가 미끼를 물더라도 낚시찌가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위의 꼬임에 의해 낚시 바늘이 연결된 목줄이 서로 엉키게 되어, 목줄이 끊어지게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38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2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부재가 연결될 때, 연결부재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 채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낚시 채비는, 제1부재; 제1고리부재 몸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튜브; 및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삽입되는 제1연결부재측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에 삽입된 채,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는,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보다 외주 방향으로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부분의 타측 일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의 내주면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연결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1연결부재측 홈의 내주면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 및 목줄에 의해 상기 제1고리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더 포함하는, 낚시 채비.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낚시 채비는, 제2부재 몸체; 상기 제2부재 몸체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좌측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 튜브; 및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측 홈이 우측에 구비된 제2고리부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제1와이어측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우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우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부재 몸체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의 우측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 튜브; 및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측 홈이 좌측에 구비된 제3고리부재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제2와이어측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2와이어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기 제1와이어측 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우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기 제1와이어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보다 외주 방향으로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고리; 및 목줄에 의해 상기 제2고리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낚시 채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고리부재의 제1고리가 제1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제1연결부재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고리부재의 제4고리가 제2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제2연결부재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목줄 및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제3고리 및 제4고리 각각이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함으로써, 목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줄이 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부재에 링형 추 및 봉돌을 결합시킴으로써, 낚시 채비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민감하게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제1연결부재 튜브의 제2부분을 통해 제1연결부재가 휘어져 접혀지거나, 제1연결부재의 회전의 반복으로 인해, 제1연결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
도 3(a) 및 도 3(b)은 도 2(a)의 제1부재에 봉돌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고리부재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5(a)는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5(b)는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 및 제4고리부재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제2부재와 제4고리부재의 분해도.
도 7(a)는 도 6(a)의 제2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7(b)는 도 6(a)의 제3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8은 도 6(a)의 제4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제2부재와 봉돌의 분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의 제1연결부재(810) 및 제2연결부재(820)는 그 길이가 생략되는 절단선이 도시되어 있다. 절단선에 의해 절단된 제1연결부재(810) 및 제2연결부재(820)의 길이는 1㎜ 이상 300㎜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3(a) 및 도 3(b)은 도 2(a)의 제1부재에 봉돌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1고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5(a)는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5(b)는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제2부재 및 제4고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제2부재와 제4고리부재의 분해도이고, 도 7(a)는 도 6(a)의 제2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7(b)는 도 6(a)의 제3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도 6(a)의 제4고리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1부재(100);와, 제1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고리부재(300);와, 제1부재(100)와 제1고리부재(3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200);와, 제1고리부재(300)와 제2부재(20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820)와, 제2연결부재(820)와 제2부재(200)를 연결하는 제4고리부재(600);와, 제1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돌(700);과, 봉돌(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낚시찌;와, 제2부재(200)의 제2고리부재(400) 및 제2부재(200)의 제3고리부재(500)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100)
이하, 제1부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는 낚시 채비(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부재(1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10)가 구비된다.
제1부재(100)는 제1돌출부(110)를 통해, 제1부재(100)의 상부에, 봉돌, 낚시찌 등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돌출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일 수 있다.
수나사인 제1돌출부(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돌(7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구멍(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제1부재(100)의 상부에 봉돌(7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멍은 수나사인 제1돌출부(110)가 체결되는 암나사이다.
봉돌(700)은 다양한 무게를 갖으며, 일종의 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봉돌(700)에는 추가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의 탈부착을 통해 봉돌(700)의 미세한 무게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봉돌(700)에 탈부착되는 추는 제1부재(100)의 추 결합부(130) 및 링형 추와 같이, 나사산과 링형 추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부재(100)의 하부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추 결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추 결합부(130)에는 링형 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링형 추는 다양한 무게를 갖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한 제1돌출부(110)에 봉돌(700)이 결합되고, 제1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한 추 결합부(130)에 링 형상의 링형 추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부재(100)의 무게를 더 무겁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낚시 채비(10)의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a)는 다른 실시 예를 갖을 수 있다. 제1부재(100a)의 제1돌출부(110a)는 체결부(150a)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돌출부(110a)는 봉돌의 하부에 형성된 제1구멍에 삽입되고, 체결부(150a)가 제1구멍에 구비된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부재(100a)와 봉돌이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50a)가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돌출부(110a)는 제1구멍에 단단히 고정되어 삽입(또는 결합)된다.
이 후, 봉돌에 구비된 해제장치(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체결부(150a)가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를 통해, 제1돌출부(110a)가 제1구멍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부재(100a)와 봉돌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봉돌(700)의 상부에는 낚시찌(미도시)가 결합된다. 낚시찌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낚시 채비(10)가 수중에 있을 때, 낚시찌는 수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제1연결부재(810)는 제1부재(100)의 하부와 제1고리부재(300)의 상부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제1연결부재(810)는 와이어,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써, 제1연결부재(810)가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810)는 탄성복원력이 높은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와이어일 수 있다.
제1고리부재(300)
이하, 제1고리부재(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리부재(300)는 제1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제1고리부재(300)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고리부재(300)는, 그 상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고리부재(300)의 상부 단부는 제1연결부재(810)와 연결되고, 제1고리부재(300)의 하부 단부는 제1고리(3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고리(330)에는 제2연결부재(820)의 상부 단부가 제1고리(330)에 걸린 채, 결합되어 있다.
제2연결부재(820)는 와이어,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써, 제2연결부재(820)가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고리(330)에는 체인인 제2연결부재(820)가 연결된다.
제1고리(330)는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써, 제1고리(330)는 그 상부 단부가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고정 결합되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고리(330)가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에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이 형성되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는 제1고리측 홈(313)이 형성된다.
제1고리(330)의 상부 단부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고리측 홈(313)에 삽입되고,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삽입된다.
제1고리(330)의 상부 단부는 제1고리측 홈(313)에 의해 압착된다. 따라서, 제1고리(300)의 상부 단부의 외주면은 제1고리측 홈(313)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1고리(330)는 제1고리측 홈(31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에는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재 튜브(811)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삽입되는 제1부분(813)와, 제1부분(813)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8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부분(813)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2부분(815)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2부분(815)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1부분(813)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1연결부재 튜브(811)는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의 링 형상이 연결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두껍게 돌출된 제1부분(813)과, 상기 제1부분(813)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1부분(813)보다 얇게 돌출된 제2부분(815)이 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형상이 형성된다.
제1연결부재 튜브(811)(즉, 제1부분(813) 및 제2부분(815))는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에 압착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내주면(즉, 제1부분(813)의 내주면 및 제2부분(815)의 내주면)은 제1연결부재(8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 튜브(811)는 제1연결부재(8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측 홈(311)은 그 내주면의 직경이 제1부분(813)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810) 및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삽입되면, 벤치 등의 기구를 통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를 가압하여 축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외주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제1부분(813)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내주면은 제1연결부재(810) 및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고리부재 몸체(310)와 제1연결부재(810)는 상대 회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제1부분(813)을 통해,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가 걸림에 따라,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제2부분(815)의 외주면의 상부 일부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2부분(815)의 외주면의 상부 일부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부분(815)의 외주면 또한,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 즉, 축관된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상부 단부의 내주면과 밀착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제1고리부재 몸체(310)와 제1연결부재(810)가 용이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제2부분(815)의 외주면의 상부 일부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제1연결부재(810)에서 제2부분(815)이 형성된 영역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300)가 연결되는 영역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과 같이, 제1연결부재(311)가 탄성복원력이 높은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제1연결부재(311)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으며, 쉽게 휘어지게 된다.
만약,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300)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 영역에서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면, 제1고리부재(300)의 무게로 인해 제1고리부재(300)가 접혀지게 되어 와이어는 와이어의 탄성복원력으로도 복원이 안될 정도로 더욱 크게 휘어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300)가 연결되는 영역에 제2부분(815)이 구비될 경우, 상기 영역에 강도가 보강되어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영역에 휘어짐이 발생되어 와이어인 제1연결부재(810)가 완전히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810)의 회전될 때,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가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에 접촉될 수 있는데, 제1연결부재(810)의 회전이 반복되면, 제1연결부재(810)가 와이어일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제1연결부재(8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부분(815)에 의해 제1연결부재(810)와 제1고리부재(300)가 연결되는 영역이 커버되므로, 제2부분(815)이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에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8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제1연결부재(810)와 상대 회전하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제1고리(330)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고리(330) 또한,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에 고정 결합되고, 제1고리(330)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경우,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가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압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고리(330)의 경우, 제1고리(330)의 상부 단부에 제1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고리측 홈(313)에 상기 제1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1고리측 홈(313)이 축관됨으로써, 제1고리(330)가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고리(330) 또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경우, 제1연결부재(810)의 하부 단부에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구비되어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삽입되고, 제1연결부재측 홈(311)이 축관됨으로써,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제1연결부재(8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고리(330)의 경우, 제1고리(330)의 상부 단부에 제1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제1고리측 홈(313)에 상기 제1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1고리측 홈(313)이 축관됨으로써, 제1고리(330)가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a) 및 제1고리부재(300a)
전술한 제1연결부재(810) 및 제1고리부재(300)는 다양한 변형 예를 갖을 수 있다. 이하, 도 5(a)를 참조하여,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a) 및 제1고리부재(300a)에 대해 설명한다.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a)는, 그 상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810a)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3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고리(330a) 또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a)는 제1고리(330a)에 제1고리 튜브(331a)가 구비되어 제1고리(330a)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상대 회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고리부재(300)와 차이가 있다. 또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a)는 그 하부 단부에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연결부재(81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a) 및 제1연결부재(810a)의 설명에서,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설명이 대체될 수 있다.
제1고리(330a)의 상부 단부에는 제1고리 튜브(331a)가 구비된다.
제1고리 튜브(331a)는 제1고리측 홈(313)에 삽입된다. 이 후, 제1고리측 홈(313), 즉,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 단부가 축관되면,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 단부가 제1고리 튜브(331a)에 걸리게 되어 제1고리(330a)는 제1고리측 홈(3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고리(330a)는 그 형상이 'Ω' 형상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의 상부 단부 양측에 제1고리 튜브(331a)가 압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리(330a)가 회전될 때, 제1고리 튜브(331a) 또한, 같이 회전한다.
제1연결부재(810a)는 그 하부 단부에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구비된다.
제1연결부재(810a)의 하부 단부에서,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 상부에는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810a) 및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삽입된다. 이 후, 제1연결부재측 홈(311) 즉,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가 축관되면,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가 제1연결부재 튜브(811)에 걸리게 되어 제1연결부재(810a)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810a)의 외주면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다.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하면에 걸리게 되어 제1연결부재(810a)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결합은 해제 되지 않는다.
제1연결부재(810a)가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삽입되면,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의 하부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a)에 위치하게 된다. 바닥 영역(311a)은 'V'자 형상을 갖게되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으로 인해,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a)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810a)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a) 및 제1연결부재(810a)는 전술한 제1고리부재(300) 및 제1연결부재(810)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제1연결부재(810a)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압착 등에 의해 밀착되지 않더라도 제1연결부재(810a)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결합을 유지시켜주게 되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810a)의 회전 시 제1연결부재(810a) 자체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 자체가 따로 따로 회전할 수 있어, 더욱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베어링 기능을 하므로, 제1연결부재(810a)의 회전 시 발생되는 제1연결부재(810a) 및 제1연결부재 튜브(811)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의 하부가 'V'자 형상의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a)에 위치함에 따라,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이 바닥 영역(311a)에 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a)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연결부재(810a)의 부드러운 회전이 달성될 수 있다.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b) 및 제1고리부재(300b)
이하, 도 5(b)를 참조하여,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b) 및 제1고리부재(300b)에 대해 설명한다.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b)는, 그 상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810b)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부재 몸체(310);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3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리부재 몸체(310)는 제1연결부재(810B)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고리(330b) 또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b)는 제1고리(330b)에 제1고리 튜브(331b)가 구비되어 제1고리(330b)와 제1고리부재 몸체(310)가 상대 회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고리부재(300)와 차이가 있다. 또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b)는 그 하부 단부에 제연결부재 플랜지(819b) 및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연결부재(81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b) 및 제1연결부재(810b)의 설명에서,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설명이 대체될 수 있다.
제1고리(330b)의 상부 단부에는 제1고리 튜브(331b)가 구비된다.
제1고리 튜브(331b)는 제1고리측 홈(313)에 삽입된다. 이 후, 제1고리측 홈(313), 즉,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 단부가 축관되면,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하부 단부가 제1고리 튜브(331b)에 걸리게 되어 제1고리(330b)는 제1고리측 홈(3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고리(330b)는 그 형상이 'Ω' 형상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의 상부 단부 양측에 제1고리 튜브(331b)가 압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리(330b)가 회전될 때, 제1고리 튜브(331b) 또한, 같이 회전한다.
제1연결부재(810b)는 그 하부 단부에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 및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이 구비된다.
제1연결부재(810b)의 하부 단부에서,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 상부에는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가 구비되고,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의 상부에는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하부에는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가 구비되고,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의 하부에는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이 구비된다.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제1연결부재(810b) 및 제1연결부재 튜브(811)가 삽입된다. 이 후, 제1연결부재측 홈(311) 즉,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가 축관되면, 축관된 제1고리부재 몸체(310)의 상부 단부가 제1연결부재 튜브(811)에 걸리게 되어 제1연결부재(810b)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고리부재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810a)의 외주면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다.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하면에 걸리게 되어 제1연결부재(810b)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결합은 해제 되지 않는다.
제1연결부재(810b)가 제1연결부재측 홈(311)에 삽입되면,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의 하부는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b)에 위치하게 된다. 바닥 영역(311b)은 'V'자 형상을 갖게되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으로 인해, 제1연결부재측 홈(311)의 바닥 영역(311b)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810b)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b) 및 제1연결부재(810b)는 전술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고리부재(300a) 및 제1연결부재(810a)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의 상부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하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연결부재(810a)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결합을 유지시켜주게 되므로, 제1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a)의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a)과 비교하여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의 상부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제2변형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810b)는 제1연결부재 플랜지(819b)가 제1연결부재(810a)와 제1연결부재 튜브(811)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은 부드러운 회전을 위한 베어링 기능만을 담당하게 됨으로써,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817b)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2부재(200)
이하, 제2부재(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는 제1고리부재(3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부재(200)는 제2부재(200)의 상부가 제2연결부재(820)에 의해 제1고리부재(3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2부재(200)는, 제1고리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8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연결부재(820)와 연결되는 제2부재 몸체(210);와, 제2부재 몸체(210)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와이어(230, 250);와,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고리부재(400);와,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3고리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부재 몸체(210)는 제1고리부재(300), 제2연결부재(820) 및 제4고리부재(6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부재 몸체(210)는 제4고리부재(600)에 의해 제2연결부재(82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제2부재 몸체(21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11)가 구비된다.
제2돌출부(211)는 제4고리부재(6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구멍(611)에 삽입됨으로써, 제2부재 몸체(210)와 제4고리부재(600)가 결합된다.
제2돌출부(21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멍(611)은 수나사인 제2돌출부(211)가 체결되는 암나사일 수 있다.
제1와이어(230)는 제2부재 몸체(210)의 좌측에 구비되며,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는 제2고리부재(400)가 구비된다.
제2고리부재(400)
이하, 제2고리부재(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리부재(400)는, 그 우측이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고리부재 몸체(410)와,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2고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고리(430)는 제1와이어(23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써, 제2고리(430)는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가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고정 결합되고, 제2고리부재 몸체(410)는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고리부재 몸체(410)가 제1와이어(230)를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고리(430)가 제1와이어(23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우측에는 제1와이어측 홈(411)이 형성되고,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좌측에는 제2고리측 홈(413)이 형성된다.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는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2고리측 홈(413)에 삽입되고,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는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1와이어측 홈(411)에 삽입된다.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는 제2고리측 홈(413)에 의해 압착된다. 따라서,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의 외주면은 제2고리측 홈(413)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2고리(430)는 제2고리측 홈(41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는 제1와이어 튜브(231)가 형성된다.
제1와이어 튜브(231)는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와이어 튜브(231)는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압착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 튜브(231)의 내주면은 제1와이어(23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1와이어 튜브(231)는 제1와이어(23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1와이어측 홈(411)에 제1와이어 튜브(23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와이어측 홈(411)은 그 내주면의 직경이 제1와이어 튜브(231)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와이어측 홈(411)에 제1와이어(230) 및 제1와이어 튜브(231)가 삽입되면, 벤치 등의 기구를 통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축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외주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와이어 튜브(231)가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우측 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230)와 제2고리부재 몸체(41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와이어측 홈(411)의 내주면은 제1와이어(230) 및 제1와이어 튜브(231)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고리부재 몸체(410)와 제1와이어(230)는 상대 회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제1와이어 튜브(231)를 통해, 제1와이어측 홈(411)에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가 걸림에 따라 제2고리부재 몸체(410)는 제1와이어(23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와이어(230)와 제2고리부재 몸체(410)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고리부재 몸체(410)가 제1와이어(230)와 상대 회전하고,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제2고리(430)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고리(430) 또한, 제1와이어(23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제2고리부재 몸체(410)는 제1와이어(230)에 고정 결합되고, 제2고리(430)는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경우,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가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1와이어측 홈(411)에 압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고리(430)의 경우,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에 제2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2고리측 홈(413)에 상기 제2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2고리측 홈(413)이 축관됨으로써, 제2고리(430)가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고리부재 몸체(410)는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고리(430) 또한,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경우,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제1와이어 튜브(231)가 구비되어 제1와이어측 홈(411)에 제1와이어 튜브(231)가 삽입되고, 제1와이어측 홈(411)이 축관됨으로써, 제2고리부재 몸체(410)가 제1와이어(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고리(430)의 경우, 제2고리(430)의 우측 단부에 제2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2고리측 홈(413)에 상기 제2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2고리측 홈(413)이 축관됨으로써, 제2고리(430)가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와이어 튜브(231)는 전술한 제1연결부재 튜브(811)와 같이, 제2고리부재 몸체(410)의 제1와이어측 홈(411)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의 우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1와이어 튜브(231)는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의 링 형상이 연결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두껍게 돌출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1부분보다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이 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제1와이어 튜브(231)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부분은 제2고리부재 몸체(410)보다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1와이어(230)를 감싸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가 휘어져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관된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의해 제1와이어(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와이어(250)는 제2부재 몸체(210)의 우측에 구비되며,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는 제3고리부재(500)가 구비된다.
제3고리부재(500)
이하, 제3고리부재(5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리부재(500)는, 그 좌측이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3고리부재 몸체(510)와,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3고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고리(530)는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써, 제3고리(530)는 제3고리(530)의 좌측 단부가 제3고리부재 몸체(510)에 고정 결합되고, 제3고리부재 몸체(510)는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3고리부재 몸체(510)가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제3고리(530)가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좌측에는 제2와이어측 홈(511)이 형성되고,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우측에는 제3고리측 홈(513)이 형성된다.
제3고리(530)의 좌측 단부는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3고리측 홈(513)에 삽입되고,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는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2와이어측 홈(511)에 삽입된다.
제3고리(530)의 좌측 단부는 제3고리측 홈(513)에 의해 압착된다. 따라서, 제3고리(330)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은 제3고리측 홈(513)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3고리(530)는 제3고리측 홈(51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는 제2와이어 튜브(251)가 형성된다.
제2와이어 튜브(251)는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의 외주면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와이어 튜브(251)는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압착된다. 따라서, 제2와이어 튜브(251)의 내주면은 제2와이어(25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제2와이어 튜브(251)는 제2와이어(25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2와이어측 홈(511)에 제2와이어 튜브(2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와이어측 홈(511)은 그 내주면의 직경이 제2와이어 튜브(251)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와이어측 홈(511)에 제2와이어(250) 및 제2와이어 튜브(251)가 삽입되면, 벤치 등의 기구를 통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축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외주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2와이어 튜브(251)가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좌측 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2와이어(250)와 제3고리부재 몸체(51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제2와이어측 홈(511)의 내주면은 제2와이어(250) 및 제2와이어 튜브(251)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고리부재 몸체(510)와 제2와이어(250)는 상대 회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제2와이어 튜브(251)를 통해, 제2와이어측 홈(511)에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가 걸림에 따라 제3고리부재 몸체(510)는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와이어(250)와 제3고리부재 몸체(510)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고리부재 몸체(510)가 제2와이어(250)와 상대 회전하고, 제3고리부재 몸체(510)에 제3고리(530)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고리(530) 또한,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제3고리부재 몸체(510)는 제2와이어(250)에 고정 결합되고, 제3고리(530)는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경우,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가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2와이어측 홈(511)에 압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고리(530)의 경우, 제3고리(530)의 우측 단부에 제3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3고리측 홈(513)에 상기 제3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3고리측 홈(513)이 축관됨으로써, 제3고리(530)가 제3고리부재 몸체(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고리부재 몸체(510)는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고리(530) 또한,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경우,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제2와이어 튜브(251)가 구비되어 제2와이어측 홈(511)에 제2와이어 튜브(251)가 삽입되고, 제2와이어측 홈(511)이 축관됨으로써, 제3고리부재 몸체(510)가 제2와이어(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고리(530)의 경우, 제3고리(530)의 우측 단부에 제3고리 튜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3고리측 홈(513)에 상기 제3고리 튜브가 삽입되고, 제3고리측 홈(513)이 축관됨으로써, 제3고리(530)가 제3고리부재 몸체(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와이어 튜브(251)는 전술한 제1연결부재 튜브(811)와 같이, 제3고리부재 몸체(510)의 제2와이어측 홈(511)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의 우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2와이어 튜브(251)는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의 링 형상이 연결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두껍게 돌출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우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1부분보다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이 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제1와이어 튜브(231)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부분은 제2고리부재 몸체(410)보다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1와이어(230)를 감싸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1와이어(230)의 우측 단부가 휘어져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관된 제2고리부재 몸체(410)에 의해 제1와이어(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고리부재(600)
이하, 제4고리부재(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고리부재(600)는 제2연결부재(820)의 하부 및 제2부재(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제4고리부재(600)는 제2연결부재(820) 및 제2부재(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연결부재(820)와 제2부재(200)를 연결한다.
제4고리부재(600)는, 그 하부가 상기 제2부재(2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4고리부재 몸체(610);와, 고리가 형성된 상부가 제2연결부재(820)와 결합되고, 그 하부가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4고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상부에는 제4고리측 홈(613)이 형성되며,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하부에는 제2부재 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11)가 삽입되는 제2구멍(611)이 형성된다.
제2부재 몸체(21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11)가 구비되며, 제2돌출부(21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제2구멍(611)은 수나사인 제2돌출부(211)가 체결되는 암나사이며, 이를 통해, 제2부재 몸체(210)와 제4고리부재 몸체(610)는 상하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고리(630)는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4고리(630)의 하부 단부에는 제4고리 튜브(631)가 구비되고,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제4고리측 홈(613)에 제4고리 튜브(631)가 삽입됨으로써, 제4고리(630)가 제4고리부재 몸체(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고리 튜브(631)는 제4고리(630)의 하부 단부에서 상기 하부 단부보다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4고리 튜브(631)는 제4고리(630)의 하부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제4고리 튜브(631)의 상부는 제4고리측 홈(613)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615)에 의해 걸리게 되어, 제4고리(630)가 제4고리측 홈(613)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턱(615)은 제4고리측 홈(613)의 상부를 축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4고리(630)는 제2연결부재(82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제4고리부재 몸체(610)의 외주면에는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빗살무늬 형상의 그립부(도면부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를 통해 사용자는 제4고리부재(600)를 손가락으로 잡아 제2부재(200)의 제2돌출부(211)와 제2구멍(611)을 체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4고리부재(600)를 제2부재(20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2고리(430) 및 제3고리(530)에는 낚시 바늘(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낚시 바늘은 목줄에 의해 제2고리(430) 및 제3고리(53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낚시 바늘에 미끼를 매달고, 낚시 채비를 수중에 위치시키면, 낚시찌는 수면위에 떠오르게 된다. 이 경우, 봉돌(700) 및 링형 추에 의해 낚시 채비(10)의 부력과 침력은 균형을 이룬다. 이 후, 어류가 미끼를 물게 되면, 상기 균형이 깨지게 되어, 낚시찌의 부력에 의해 낚시찌가 떠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낚시대를 낚아채 어류를 잡게 된다.
위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4고리부재(600) 및 제2부재(200)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제1고리부재(300)의 제1고리(330)에 낚시 바늘이 결합되는 형태를 갖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낚시 바늘은 목줄에 의해 제1고리(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고리부재(300)의 제1고리(330)가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제1연결부재(810) 또는 제2연결부재(820)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과 같은 종래의 다수개의 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낚시 채비의 경우,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의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낚시 채비를 수중에 위치시켜 낚시를 하다보면, 수중 물살 등에 의해 연결부재에 꼬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꼬임은 민감함을 요구하는 낚시 채비를 둔감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어류가 미끼를 먹더라도 낚시찌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꼬임이 더 크게 발생하면, 낚시 채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1고리부재(300)의 제1고리(330)가 제1연결부재(81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이러한 제1연결부재(810)의 꼬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고리부재(600)의 제4고리(630)가 제2연결부재(82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므로, 제2연결부재(820)의 꼬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목줄 및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제3고리(530) 및 제4고리(630) 각각이 제1와이어(230) 및 제2와이어(25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함으로써, 목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줄이 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부재(100)에 링형 추 및 봉돌(700)을 결합시킴으로써, 낚시 채비(10)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민감하게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제2부재와 봉돌의 분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2부재 몸체(210);와, 제2부재 몸체(210)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2와이어(230, 250);와, 제1와이어(230)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고리부재(400);와, 제2와이어(250)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3고리부재(500);와, 제2부재 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돌(700);과, 봉돌(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낚시찌;와, 제2고리부재(400) 및 제3고리부재(500)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는 제2부재(200)와, 제2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돌(700);과, 봉돌(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낚시찌;와, 제2부재(200)의 제2고리부재(400) 및 제2부재(200)의 제3고리부재(500)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부재(200) 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의 경우, 제2부재(200)는 제2돌출부(211)를 통해, 제2부재(200)의 상부에, 봉돌, 낚시찌 등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 채비(10)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여 봉돌(700)의 무게 및 봉돌(700)에 결합되는 추의 무게를 조절하여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손쉽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 낚시 채비
100, 100a: 제1부재 110:, 110a: 제1돌출부
130: 추 결합부 150a: 체결부
200: 제2부재 210: 제2부재 몸체
211: 제2돌출부 230: 제1와이어
231: 제1와이어 튜브 250: 제2와이어
251: 제2와이어 튜브
300, 300a, 300b: 제1고리부재
310: 제1고리부재 몸체 311: 제1연결부재측 홈
311: 바닥 영역 313: 제1고리측 홈
330, 330a, 330b: 제1고리
331a, 331b: 제1고리 튜브
400: 제2고리부재 410: 제2고리부재 몸체
411: 제1와이어측 홈 413: 제2고리측 홈
430: 제2고리
500: 제3고리부재 510: 제3고리부재 몸체
511: 제2와이어측 홈 513: 제3고리측 홈
530: 제3고리
600: 제4고리부재 610: 제4고리부재 몸체
611: 제2구멍 613: 제4고리측 홈
615: 단턱 630: 제4고리
631: 제4고리 튜브
700: 봉돌
810, 810a, 810b: 제1연결부재
811: 제1연결부재 튜브 813: 제1부분
815: 제2부분 817a, 817b: 제1연결부재 볼베어링
819b: 제1연결부재 플랜지
820: 제2연결부재

Claims (12)

  1. 제1부재;
    제1고리부재 몸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튜브; 및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삽입되는 제1연결부재측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에 삽입된 채,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되는, 낚시 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는,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갖는, 낚시 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보다 외주 방향으로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낚시 채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타측 일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측 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낚시 채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의 내주면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가 상기 제1연결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낚시 채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1연결부재측 홈의 내주면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연결부재 튜브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밀착되지 않는, 낚시 채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 및
    목줄에 의해 상기 제1고리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더 포함하는, 낚시 채비.
  8. 제2부재 몸체;
    상기 제2부재 몸체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좌측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 튜브; 및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측 홈이 우측에 구비된 제2고리부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제1와이어측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우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1와이어 튜브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우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되는, 낚시 채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 몸체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의 우측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 튜브; 및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측 홈이 좌측에 구비된 제3고리부재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제2와이어측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가 축관되어 상기 제2와이어 튜브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에 걸려 상기 제2와이어와 상기 제3고리부재 몸체가 결합되는, 낚시 채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기 제1와이어측 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우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의 외주면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갖는, 낚시 채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기 제1와이어의 좌측 단부의 외주면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보다 외주 방향으로 얇게 돌출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낚시 채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리부재 몸체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고리; 및
    목줄에 의해 상기 제2고리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더 포함하는, 낚시 채비.
KR1020230112942A 2020-06-29 2023-08-28 낚시 채비 KR20230129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942A KR20230129343A (ko) 2020-06-29 2023-08-28 낚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57A KR102577938B1 (ko) 2020-06-29 2020-06-29 낚시 채비
KR1020230112942A KR20230129343A (ko) 2020-06-29 2023-08-28 낚시 채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57A Division KR102577938B1 (ko) 2020-06-29 2020-06-29 낚시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343A true KR20230129343A (ko) 2023-09-08

Family

ID=79349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57A KR102577938B1 (ko) 2020-06-29 2020-06-29 낚시 채비
KR1020230112942A KR20230129343A (ko) 2020-06-29 2023-08-28 낚시 채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57A KR102577938B1 (ko) 2020-06-29 2020-06-29 낚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7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851A (ko) 2022-04-06 2022-04-25 이종승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KR102578495B1 (ko) * 2022-09-06 2023-09-13 최재준 낚시 줄 회수 장치
KR102580233B1 (ko) * 2023-02-17 2023-09-20 주식회사 경원에프앤비 낚시 편대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160002384U (ko) 2014-12-31 2016-07-08 조형균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91Y1 (ko) * 2000-05-17 2001-02-15 유재구 원줄 엉킴 방지용 도래가 부착된 낚시대
KR200324693Y1 (ko) * 2003-06-11 2003-08-25 정병환 일자형 우럭 낚시채비
US7513075B2 (en) * 2004-03-29 2009-04-07 Garber David P Locking swivel apparatus
KR200444601Y1 (ko) * 2007-07-26 2009-05-25 주식회사 비케이씨 회전채비의 지선연결구조
KR200453111Y1 (ko) * 2008-07-21 2011-04-13 김화규 편대 낚시채비
KR101061901B1 (ko) * 2008-11-20 2011-09-02 이정숙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20180000103U (ko) * 2016-06-29 2018-01-08 유현옥 갈치 낚시용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84U (ko) 2014-12-31 2016-07-08 조형균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07A (ko) 2022-01-05
KR102577938B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938B1 (ko) 낚시 채비
US10477845B1 (en) Snag-resistant fishing lure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US5666760A (en) Fishing line lock
WO2017145661A1 (ja) 釣り用ルアー
US3195262A (en) Quick-release bottom fishing sinker
KR101434780B1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어구
US4785572A (en) Combined sinker and fishing lure
US2097536A (en) Retriever for fish lures
US20220151211A1 (en) Fishing Device
US20060137238A1 (en) Slip-on hydrodynamic symmetrical fishing sinker
JP4819525B2 (ja) アシストフックアッセンブリー
US6082039A (en) Fishing lure having articulatable hook connector
US5603181A (en) Device for connected a fishing line to fishing accessories
KR101938473B1 (ko) 탈부착형 회전 블레이드
KR20180117541A (ko) 낚시용 천평
US20070169398A1 (en) Artificial fishing bait
KR200434854Y1 (ko) 게잡이낚시도구
KR102377924B1 (ko) 낚시 채비
KR20150053395A (ko) 낚시용 추
KR102470661B1 (ko) 두족류 낚시채비
US20230263145A1 (en) Fishing lure line attachment system
KR102642097B1 (ko)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JP6934851B2 (ja) ルアー用フッ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釣り用ルアー
KR102260502B1 (ko) 가지줄 엉킴 방지용 낚시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