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003A -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003A
KR20230129003A KR1020237013917A KR20237013917A KR20230129003A KR 20230129003 A KR20230129003 A KR 20230129003A KR 1020237013917 A KR1020237013917 A KR 1020237013917A KR 20237013917 A KR20237013917 A KR 20237013917A KR 20230129003 A KR20230129003 A KR 2023012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vice
lace
knob
spool
lo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추 첸
Original Assignee
친-추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144,156 external-priority patent/US11751634B2/en
Application filed by 친-추 첸 filed Critical 친-추 첸
Publication of KR2023012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릴(reel), 노브 및 디텐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체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쉘, 베이스 및 스냅-핏 부분을 구비한다. 쉘은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베이스는 쉘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스냅-핏 부분은 쉘 내에 위치된다. 릴은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어 타이 라인을 감는데 사용된다. 노브는 스냅-핏 부분에 대응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디덴트 유니트는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체결 디바이스의 구조적 구성에 의해 체결 디바이스의 조립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 디바이스 및 타이 라인(tie line)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lace)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이스를 릴리스시키거나 팽팽하게 하여 물품을 고정시키는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레이스나 실과 같은 코드(cord)는 일반적으로 물품을 팽팽하게 조이는 데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조임(tightening) 방법은 코드를 사용하여 신발의 구멍과 같은 물품 상의 구멍을 왕복 통과시킨 다음 매듭(knot)을 묶어 물품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임 방법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 매듭이 쉽게 느슨해진다. 이렇게 되면 매듭을 다시 묶어야 할 뿐만 아니라, 물품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무자들은 케이스, 구동 유니트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간단한 체결(fastening)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 케이스는 레이스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구멍들을 포함한다. 레이스는 스프링과 구동 유니트 사이의 반력을 통해 구동 유니트와 케이스 사이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스프링을 눌러 구동 유니트의 위치를 변경하면 레이스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메커니즘에서, 스프링의 복원력이 고정력으로 작용하고, 따라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레이스가 쉽게 릴리스된다. 또한, 체결 메커니즘은 레이스를 수용할 공간이 없어서 레이스가 노출되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무가들은 레이스를 팽팽하게 조이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버클(buckle)을 개발하였으며, 이 레이스는 버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버클 내부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간섭을 통해 레이스의 길이와 긴장도가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클의 구조는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버클의 조립 및 수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레이스가 끊어져서 교체가 필요한 경우, 레이스를 제거하고 조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체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는 레이스를 조이거나 릴리스시키기 위해 적용되며, 케이스, 스풀(spool), 노브(knob) 및 록킹(locking) 유니트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하우징, 베이스 및 장착부(mounted portion)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베이스는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detachably) 연결되며, 장착부는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스풀은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고 레이스가 그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브는 장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engaged portion)을 포함한다. 록킹 유니트는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노브가 케이스에 대하여 조임(tensioning)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풀은 록킹 유니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풀이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이스를 팽팽하게 조인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노브가 릴리스 방향으로 케이스에 대해 회전될 때, 록킹 유니트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switch)되고, 록킹 유니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스풀이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록킹 유니트는 스풀에 커플링되고, 록킹 유니트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스풀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록킹 유니트는 결합 디스크와 내부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디스크는 중앙 구멍을 포함하고, 내부 기어는 중앙 구멍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노브가 릴리스 방향으로 케이스에 대해 회전될 때, 내부 기어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노브는 스크류 포스트(post)를 포함할 수 있고, 스크류 포스트는 내부 기어의 스크류 구멍에 결합되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노브가 릴리스 방향으로 케이스에 대해 회전될 때, 스크류 구멍은 스크류 포스트에 의해 안내되고, 내부 기어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스풀은 제1 개구(opening), 제2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sloped surface)을 포함하고, 레이스의 제1 끝단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향하여 제1 개구를 통과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의 갯수는 하나이고, 레이스의 제1 끝단은 경사면을 향하여 제1 개구를 통과하고, 레이스의 제2 끝단은 경사면을 향하여 제2 개구를 통과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체결 디바이스는 제어 세트(controlling set)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세트는 노브에 삽입되고 록킹 유니트에 커플링되며, 제어 세트를 누르거나 가압하여 록킹 유니트와 스풀 사이의 커플링을 릴리스시키고, 스풀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제어 세트는 2개의 클램핑 아암들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클램핑 아암들은 록킹 유니트에 커플링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제어 세트는 제한(restricting) 부재, 스크류 및 부싱(bushing)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 부재는 노브에 삽입되고, 부싱은 록킹 유니트 내에 제한되며, 스크류는 부싱을 위쪽으로 통과하여 제한 부재에 스크류 결합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제어 세트는 제어 바아(bar) 및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바아는 노브 속으로 삽입되고, 스크류는 록킹 유니트 내에서 제한되고 제어 바아로 체결된다.
전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록킹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폴(pawl)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노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기둥(protruding column)을 포함하고, 노브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기둥은 적어도 하나의 폴 아암을 변위시킨다.
상술한 체결 디바이스의 예들에 따르면, 체결 디바이스는 라체트(ratchet) 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케이스는 복수의 내부(inner) 치차들을 포함하고, 라체트 링은 케이스에 배치되고 복수의 하부 경사 치차들, 복수의 상부 경사 치차들 및 복수의 라체트 치차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부 경사 치차 및 각각의 상부 경사 치차는 라체트 링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하부 경사 치차는 각각의 내부 치차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상부 경사 치차 아래에 위치되고, 각가의 라체트 치차는 라체트 링의 내면(inner surface)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조립 방법은 레이스를 체결 디바이스에 연결하는데 적용되고, 레이스 조립 방법은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 및 레이스 커플링 단계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에서, 체결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체결 디바이스는 케이스, 스풀, 노브 및 록킹 유니트을 포함하고, 케이스는 하우징, 베이스 및 장착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장착부는 하우징에 위치되고, 노브는 상응하는 장착부를 위한 결합부을 포함하고, 스풀과 록킹 유니트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레이스 커플링 단계에서, 레이스의 제1 끝단과 레이스의 제2 끝단은 하우징과 스풀을 통과한 후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끝단과 제2 끝단이 매듭을 형성하고, 레이스가 스풀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이스 조립 방법의 예들에 따르면, 케이스는 2개의 측면 구멍(side hole)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풀은 제1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끝단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향하여 측면 구멍들의 어느 하나 및 제1 개구를 통과한다.
레이스 조립 방법의 예들에 따르면, 경사면의 수는 하나일 수 있고, 제1 끝단이 경사면을 향하여 측면 구멍들의 어느 하나와 제1 개구를 통과한 후, 제2 끝단은 경사면을 향하여 측면 구멍들의 다른 하나와 제2 개구를 통과한다.
따라서, 체결 디바이스의 구성을 통해 체결 디바이스의 조립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 디바이스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체결 디바이스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가 레이스에 커플링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4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4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5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5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6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7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제7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제8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9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제9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제1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가 레이스에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제1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제16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조립 방법의 블록 흐름도이다.
실시예는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명확성을 위해, 몇 가지 실용적인 세부 내용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제적인 세부 내용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제 세부 내용은 불필요하다. 또한, 도면들의 간략화를 위하여, 종래의 일부 구조들 및 구성요소들이 간략히 도시되었고, 반복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이러한 구성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컴포넌트는 제2 요소/컴포넌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컴포넌트들/메커니즘들/모듈들의 조합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거나, 일반적이거나, 통상적인 조합이 아니며, 이들의 조합 관계가 이러한 요소들/컴포넌트들/메커니즘들/모듈들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는 예측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c)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c)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c)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c)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5-5선을 따라 취한 체결 디바이스(100c)의 단면도이고, 도 4에서 노브(500c)가 생략되어 있고, 제1 바이어스 돌기(520c)와 제2 바이어스 돌기(530c)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체결 디바이스(100c)는 레이스(도 1 내지 도 5에서 미도시)를 팽팽하게 조이거나 릴리스시키기 위해 적용되며, 체결 디바이스(100c)는 케이스(200c), 스풀(300c), 노브(500c) 및 록킹 유니트(400c)를 포함한다.
케이스(200c)는 하우징(260c), 베이스(270c) 및 장착부(250c)를 포함한다. 하우징(260c)은 수납 공간(210c)을 포함하고, 베이스(270c)는 하우징(260c)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장착부(250c)는 하우징(260c) 상에 위치된다. 스풀(300c)은 수납 공간(210c) 내에 수용되고, 레이스가 그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브(500c)는 장착부(250c)에 대응하는 결합부(540c)를 포함한다. 록킹 유니트(400c)는 수납 공간(210c)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체결 디바이스(100c)의 구성을 통해 체결 디바이스(100c)의 조립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260c)은 링 형상이고 그 안에 수납 공간(210c)이 형성되며, 하우징(260c)은 복수의 내부 치차들(230c), 2개의 측면 구멍들(220c) 및 3개의 탭들(261c,262c,26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치차(230c)는 수납 공간(210c)을 향하고, 2개의 측면 구멍들(220c)은 수납 공간(210c)과 연통되며, 장착부(250c)는 하우징(260c)의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링 형상이며, 3개의 탭들(261c,262c,263c)은 장착부(250c) 아래에 위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돌출한다. 베이스(270c)는 3개의 탭들(261c,262c,263c)에 각각 결합되는 3개의 구멍들(271c,272c,273c)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270c)와 하우징(260c)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70c)는 탭(263c)을 안내하기 위해 구멍(273c) 위에 위치된 가이드 그루브(274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브(500c)는 돌출 기둥(510c), 3개의 제1 바이어스 돌기들(520c) 및 3개의 제2 바이어스 돌기들(530c)을 포함할 수 있고, 돌출 기둥(510c), 3개의 제1 바이어스 돌기들(520c) 및 3개의 제2 바이어스 돌기들(530c)은 모두 노브(500c)의 내부 상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한다. 돌출 기둥(510c)은 중앙에 위치되고, 3개의 제1 바이어스 돌기들(520c)과 3개의 제2바이어스 돌기들(530c)은 돌출 기둥(510c)을 교대로 둘러싼다.
록킹 유니트(400c)는 결합 디스크(410c)와 내부 기어(450c)를 포함하고, 결합 디스크(410c)는 중앙 구멍(412c)과 다수의 전달(transmission) 치차들(411c)을 포함하고, 내부 기어(450c)는 중앙 구멍(412c)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삽입구멍(452c)과 다수의 외부 치차(451c)를 포함하고, 삽입 구멍(452c)은 돌출 기둥(510c)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외부 치차(451c)는 스풀(300c)의 전달 치차(411c)와 결합 치차(330c)에 상응하게 결합한다.
록킹 유니트(400c)는 결합 디스크(410c)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3개의 제1 폴 아암들(430c) 및 3개의 제2 폴 아암들(440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제1 폴 아암들(430c)과 3개의 제2 폴 아암들(440c)은 모두 내부 치차(230c)에 대응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500c)가 제1 방향(A3)으로 회전될 때, 각각의 제1 바이어스 돌기(520c)는 각각의 제1 폴 아암(430c)을 제1 방향(A3)으로 변위시켜 스풀(300c)이 레이스를 점진적으로 당기게 하고, 반대로, 노브(500c)가 제2 방향(A4)으로 회전될 때, 각각의 제2 바이어스 돌기(530c)는 각각의 제2 폴 아암(440c)을 제2 방향(A4)으로 변위시켜 스풀(300c)이 레이스를 점진적으로 릴리스시키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체결 디바이스는 노브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이스를 릴리스시킬 수 있고, 노브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이스를 팽팽하게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d)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d)는 케이스(200d), 스풀(300d), 록킹 유니트(도 6에 미도시) 및 노브(500d)를 포함한다. 정확하게, 체결 디바이스(100d)는 케이스(200d), 스풀(300d), 록킹 유니트 및 노브(500d)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d)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c)의 구조와 유사하고, 록킹 유니트 역시 걸림 디스크(410d) 및 내부 기어(450d)를 포함할 수 있지만, 결합 디스크(410d)와 노브(500d)의 세부 구조는 그것과 상이하며 상세한 내용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e)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e)의 다른 분해 사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e)가 레이스(T1)에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베이스(270e)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체결 디바이스(100e)는 케이스(200e), 스풀(300e), 록킹 유니트(400e), 노브(500e), 라체트 링(800e) 및 스프링(700e)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0e)는 베이스(270e)와 하우징(260e)을 포함한다. 하우징(260e)은 2개의 측면 구멍들(220e) 및 3개의 탭들(261e,262e,263e)을 포함하고, 베이스(270e)는 연속 벽(274e) 및 3개의 구멍들(271e,272e,273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탭들(261e,262e,263e)은 각각 3개의 구멍들(271e,272e,273e)과 결합함으로써 베이스(270e)가 하우징(260e)에 결합되게 한다.
스풀(300e)은 디스크-형 구조를 가지고 제1 개구(321e), 제2 개구(미도시), 경사면(316e) 및 바닥 개구(315e)를 포함하고, 제1 개구(321e)와 제2 개구는 바닥 개구(315e)와 연통된다. 레이스(T1)의 제1 끝단과 제2 끝단은 각각 제1 개구(321e)와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스풀(300e)에 커플링됨으로써, 레이스(T1)는 스풀(300e)의 스풀 실린더 주위에 감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스(T1)의 제1 끝단은 제1 개구(321e)로부터 경사면(316e)을 향하여 삽입되어 바닥 개구(315e)를 통과하여 하부 개구(240e)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레이스(T1)의 제2 끝단은 제2 개구로부터 경사면(316e)을 향해 삽입되어 바닥 개구(315e)을 통과하여 하부 개구(240e)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가 매듭을 묶게 할 수 있으므로, 레이스(T1)는 제1 개구(315e)와 제2 개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 후에 베이스(270e)는 하우징(260e)에 조립될 수 있다.
노브(500e)는 회전 커버(530e)와 내부 플레이트(510e)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플레이트(510e)는 회전 커버(530e)에 커플링된다. 록킹 유니트(400e)는 노브(500e)와 스풀(300e)에 커플링되고, 라체트 링(800e)은 하우징(260e) 내부에 배치되고, 스프링(700e)은 라체트 링(800e)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 플레이트(510e)를 감싼다.
구체적으로, 라체트 링(800e)은 복수의 하부 경사 치차(810e), 복수의 상부 경사 치차(820e) 및 복수의 라체트 치차(830e)를 포함하고, 하부 경사 치차(810e) 및 상부 경사 치차(820e)는 라체트 링(800e)의 외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하부 경사 치차(810e)는 각각의 내부 치차(230e)에 상응하도록 각각의 상부 경사 치차(820e) 아래에 위치되고, 각각의 라체트 치차(830e)는 라체트 링(800e)의 내면 상에 위치된다.
록킹 유니트(400e)는 라체트 링(800e) 내부에 위치되고, 결합 디스크(410e), 내부 기어(450e), 복수의 커플링 치차(460e) 및 3개의 폴 아암(470e)을 포함한다. 내부 기어(450e)는 결합 디스크(410e)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 기어(450e)는 결합 디스크(410e)에 대해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스크류 구멍(451e)을 포함한다. 커플링 치차(460e)는 내측 기어(450e) 상에 위치되고, 결합 치차(330e)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3개의 폴 아암들(470e)은 결합 디스크(410e) 상에 배치되어 라체트 치차(830e)에 대응된다.
노브(500e)는 회전 커버(530e)의 내벽 상에 위치하고 상부 경사 치차(820e)에 대응하는 가이드 블록(520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플레이트(510e)는 스크류 포스트(511e)와 커플링 아암(512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류 포스트(511e)는 스크류 구멍(451e)에 대응되게 결합되고, 커플링 아암(512e)은 결합 디스크(410e)의 커플링 돌기(411e)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커버(530e)가 조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폴 아암(470e)이 라체트 치차(830e)로부터 결합해제(disengage)되어 스풀(300e)이 레이스(T1)를 팽팽하게 조인다. 반대로, 회전 커버(530e)가 가압되지 않고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내부 기어(450e)가 결합 디스크(410e)에 대하여 스크류 포스트(511e)에 의해 상승되고, 내부 기어(450e)와 결합 치차(330e)가 분리되고, 스풀(300e)은 제한 없이 릴리스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레이스(T1)를 릴리스시킨다. 회전 커버(530e)가 가압됨과 동시에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부 경사 치차(820e)는 가이드 블록(520e)에 의해 안내되고, 라체트 링(800e)은 상승되어 하부 경사 치차(810e)를 내부 치차(230e)로부터 결합해제시켜서, 레이스(T1)를 점진적으로 릴리스시킨다.
또한, 노브(500e)는 케이스(200e)의 장착부(250e)에 상응하기 위한 결합부(540e)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상세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결합부(540c) 및 장착부(250c)와 동일하므로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f)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4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f)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4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f)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f)는 케이스(200f), 스풀(300f), 노브(500f), 라체트 링(800f) 및 스프링(700f)을 포함하고, 케이스(200f)는 하우징(260f)과 베이스(270f)를 포함한다.
노브(500f)가 케이스(200f)에 대해 조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라체트 링(800f)은 계속해서 상승되어 내부 치차(230f)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스풀(300f)은 조임 방향으로 회전되어 레이스를 팽팽하게 조일 수 있다. 노브(500f)가 가압되고 동시에 케이스(200f)에 대해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풀(300f)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되어 점진적으로 레이스를 릴리스시킨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라체트 링(800f)이 스풀(300f)을 정지 또는 릴리스시킬 수 있는 록킹 유니트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g)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5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g)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제5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g)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g)는 케이스(200g), 스풀(300g), 록킹 유니트(400g), 노브(500g) 및 라체트 링(800g)을 포함하고, 케이스(200g)는 하우징(260g)과 베이스(270g)를 포함한다.
록킹 유니트(400g)는 결합 디스크(410g)와 내부 기어(450g)를 포함하고, 내부 기어(450g)는 결합 디스크(410g)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노브(500g)는 복수의 탑(top) 치차(520g)와 스크류 포스트(510g)를 포함하고, 스크류 포스트(510g)는 내부 기어(450g)의 스크류 구멍(451g)에 결합된다. 라체트 링(800g)은 3개의 제1 아암들(810g), 3개의 제2 아암들(820g) 및 복수의 라체트 치차(830g)를 포함한다. 제1 아암은 하우징(260g) 상의 내부 치차(230g)에 대응하고, 제2 아암(820g)은 내부 치차(230g)와 탑 치차(520g) 모두에 대응한다. 록킹 유니트(400g)의 폴 아암(470g)은 라체트 치차(830g)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노브(500g)가 조임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제2 아암(820g)이 탑(top) 치차(520g)로부터 결합해제되고, 노브(500g)는 조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결합 디스크(410g)는 노브(500g)에 의해 구동되어 폴 아암(470g)이 라체트 치차(830g)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한다.
노브(500g)가 릴리스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스크류 포스트(510g)와 스크류 구멍(451g)의 구조 때문에 내부 기어(450g)가 상승되어 스풀(300g)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h)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제6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h)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h)는 케이스(200h), 스풀(300h), 록킹 유니트(400h), 제어 세트(900h), 노브(500h) 및 스프링(700h)을 포함하고, 케이스(200h)는 하우징(260h)과 베이스(270h)를 포함한다.
스풀(300h)은 노브(500h)에 커플링되고 복수의 제1 폴 치차(310h)를 포함하고, 스풀(300h)과 록킹 유니트(400h)는 모두 하우징(260h) 내부에 위치된다.
록킹 유니트(400h)는 스풀(300h) 아래에 위치되고 제1 폴 치차(310h)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폴 치차(410h)를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h)는 노브(500h) 속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스프링(700h)은 하우징(260h)의 바닥면과 록킹 유니트(400h) 사이에 맞닿는다.
제어 세트(900h)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911h)는 노브(500h)의 제한부(515h) 위에 위치되고, 스프링(700h)은 압축되지 않으며, 이때 제2 폴 치차(410h)는 릴리스 방향으로 제1 폴 치차(310h)에 결합된다. 제어 세트(900h)가 아래로 가압되어 릴리스 위치로 전환될 때, 플랜지(911h)는 제한부(515h) 아래에 위치되고, 스프링(700h)이 압축되고, 록킹 유니트(400h)가 스풀(300h)로부터 분리되며, 제2 폴 치차(410h)는 제1 폴 치차(310h)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i)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제7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i)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제7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i)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i)는 케이스(200i), 스풀(300i), 록킹 유니트(400i), 노브(500i), 제어 세트(900i) 및 스프링(700i)을 포함하고, 케이스(200i)는 하우징(260i)과 베이스(270i)를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i)는 제어 바아(910i)와 스크류(920i)를 포함하고, 제어 바아(910i)는 노브(500i) 속으로 삽입되고, 스크류(920i)는 록킹 유니트(400i)에 의해 제한되어 제어 바아(910i)와 스크류결합된다. 록킹 유니트(400i)는 복수의 제2 치아(410i)와 복수의 제1 라체트 치차(420i)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치차(410i)는 스풀(300i)의 제1 치차(310i)에 결합되고, 제1 라체트 치차(420i)는 하우징(260i) 상의 제2 폴 치차(261i)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제어 세트(900i)가 체결 위치에 위치될 때, 플랜지(911i)는 노브(500i)의 제한부 아래에 위치되고, 스프링(700i)은 압축되지 않고, 이 때, 록킹 유니트(400i)는 더 낮은 위치에 있고, 스풀(300i)은 조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반면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되지 않는다. 제어 세트(900i)가 위로 당겨져서 릴리스 위치로 전환될 때, 플랜지(911i)는 제한부 상부에 위치되고, 스프링(700i)이 압축되며, 이 때 록킹 유니트(400i)가 상승되고, 제1 라체트 치차(420i)는 제2 폴 치차(261i)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스풀(300i)은 완전히 릴리스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j)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제8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j)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j)는 케이스(200j), 스풀(300j), 록킹 유니트(400j), 제어 세트(900j) 및 노브(500j)를 포함하고, 케이스(200j)는 하우징(260j)과 베이스(270j)를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j)는 제어 바아(910j)와 스크류(920j)를 포함하고, 제어 세트(900j)가 위로 당겨질 때, 록킹 유니트(400j)는 상승되어 내부 치차(230j)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k)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제9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k)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3의 제9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k)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k)는 케이스(200k), 스풀(300k), 록킹 유니트(400k), 제어 세트(900k) 및 노브(500k)를 포함하고, 케이스(200k)는 하우징(260k)과 베이스(270k)를 포함한다.
노브(500k)는 노브(500k)의 외측 상면에 위치된 2개의 가이드 돌기들(510k)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세트(900k)는 노브(500k)에 삽입될 수 있고 2개의 가이드 돌기들(510k)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트랙킹 그루브(tracking groove)들(910k)을 포함하며, 각각의 가이드 돌기(510k)는 나선형이고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을 가지며, 트랙킹 그루브(910k)의 형상은 가이드 돌기(510k)에 대응한다.
케이스(200k)는 하우징(260k)에 위치된 하우징 폴 아암(280k)을 포함하고, 록킹 유니트(400k)는 하우징 폴 아암(280k)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면 치차들(410k)을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k)는 2개의 클램핑 아암들(920k)에 의해 록킹 유니트(400k)에 커플링된다. 제어 세트(900k)가 노브(500k)에 대해 회전되어 더 높은 위치로 전환될 때, 록킹 유니트(400k)는 레이스가 완전히 릴리스될 수 있도록 상승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l)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체결 디바이스(100l)는 케이스(200l), 스풀(300l), 록킹 유니트(400l), 제어 세트(900l) 및 노브(500l)를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l)는 제한 부재(910l), 스크류(920l) 및 배럴(barrel)(930l)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 부재(910l)는 노브(500l)에 삽입되고, 배럴(930l)은 록킹 유니트(400l)를 상방으로 통과하며 록킹 유니트(400l) 내에 제한되며, 스크류(920l)는 제한 부재(910l)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배럴(930l)에 스크류 결합된다. 제어 세트(900l)가 위로 당겨질 때, 록킹 유니트(400l)가 상승된다. 또한, 제한 부재(910l)는 도 20의 제8 실시예의 플랜지(911h)와 유사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m)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m)는 도 26의 제10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l)와 유사하고, 케이스(200m), 스풀(300m), 록킹 유니트(400m), 제어 세트(900m) 및 노브(500m)를 포함하지만, 제어 세트(900m)와 록킹 유니트(400m)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 세트(900l)와 록킹 유니트(400l)과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세트(900m)는 제한 부재(910m), 스크류(920m) 및 부싱(930m)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 부재(910m)는 노브(500m)에 삽입되고, 부싱(930m)은 록킹 유니트(400m) 내에 제한되며, 스크류(920m)는 부싱(930m)을 위쪽으로 관통하여 제한 부재(910m)에 스크류결합된다. 록킹 유니트(400m)는 결합 디스크(410m)와 내부 기어(450m)를 포함하고, 제어 세트(900m)가 위로 당겨질 때, 내부 기어(450m)가 상승된다. 또한, 제한 부재(910m)는 도 20의 제8 실시예의 플랜지(911h)와 유사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n)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체결 디바이스(100n)는 케이스(200n), 스풀(300n), 록킹 유니트(400n) 및 노브(500n)를 포함한다.
록킹 유니트(400n)는 결합 디스크(410n)와 내부 기어(450n)를 포함하고, 노브(500n)는 내부 기어(450n)에 결합되는 스크류 포스트(510n)를 포함한다. 노브(500n)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내부 기어(450n)가 상승되어 스풀(300n)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p)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30은 레이스(T1)에 커플링된 도 19의 제1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p)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31은 도 29의 제13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p)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p)는 케이스(200p), 스풀(300p), 록킹 유니트(400p), 노브(500p) 및 제어 세트(900p)를 포함하고, 케이스(200p)는 하우징(260p)과 베이스(270p)를 포함한다.
제어 세트(900p)는 록킹 유니트(400p)에 커플링된 2개의 클램핑 아암들(920p)을 포함하고, 록킹 유니트(400p)는 제어 세트(900p)를 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승될 수 있다.
하우징(260p)은 3개의 측면 구멍들(220p)을 포함할 수 있고, 스풀(300p)은 제1 개구(321p), 제2 개구(322p) 및 제3 개구(323p)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T1)를 커플링할 때, 스풀(300p)의 제1 개구(321p), 제2 개구(322p) 및 제3 개구(323p)는 각각 3개의 측면 구멍(220p)에 대응되고, 레이스(T1)가 그곳을 통과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레이스(T1)의 제1 끝단은 측면 구멍들(220p)의 제1 하나와 제1 개구(321p)를 통과하여 제3 개구(323p)와 측면 구멍들(220p)의 제3 하나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고, 레이스(T1)의 제2 끝단은 측면 구멍들(220p)의 제2 하나와 제2 개구(32 2p)를 통과하여 제3 개구(323p)와 측면 구멍들(220p)의 제3 하나로부터 빠져나와, 스풀(300p)에 커플링되도록 묶여질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q)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q)는 케이스(도 32에 미도시), 스풀(300q), 록킹 유니트(400q), 노브(500q) 및 제어 세트(900q)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100q)는 도 27의 제11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m)와 유사하지만, 록킹 유니트(400q)는 하우징(260q) 상의 내부 치차(230q)와 결합되는 폴 아암(470q)을 포함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r)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r)는 케이스(도 33에 미도시), 스풀(300r), 록킹 유니트(400r) 및 노브(500r)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100r)는 도 28의 제12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n)와 유사하지만, 록킹 유니트(400r)는 하우징(260r)의 내부 치차(230r)에 결합되는 복수의 폴 아암들(470r)을 포함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체결 디바이스(100s)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제16 실시예의 체결 디바이스(100s)의 단면도이다. 체결 디바이스(100s)는 케이스(200s), 스풀(300s), 록킹 유니트(400s) 및 노브(500s)를 포함하고, 케이스(200s)는 하우징(260s)과 베이스(270s)를 포함한다.
록킹 유니트(400s)는 결합 디스크(410s)와 내부 기어(450s)를 포함한다. 내부 기어(450s)는 결합 디스크(410s)의 중앙 구멍 내에 위치되고, 3개의 가이드부들(430s)은 내부 기어(450s)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연장한다. 노브(500s)는 가이드부들(430s)에 대응하는 나선형 트랙(530s)을 포함한다. 따라서, 노브(500s)가 회전될 때, 내부 기어(450s)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록킹 유니트(400s)가 스풀(300s)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반하여, 록킹 유니트는 일체형 요소일 수 있고 또는 결합 디스크와 내부 기어를 포함하는 2개 요소들일 수 있으며, 록킹 유니트가 2개의 요소들일 때, 2개의 요소들 중 하나가 상승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는 치차가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동안 폴 아암은 록킹 유니트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그에 상응하는 치차가 록킹 유니트 상에 위치되는 동안 폴 아암은 하우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노브와 하우징은 맞물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노브가 하우징에 결합된 후, 하우징, 록킹 유니트, 노브 및 스풀이 결합되어 제한되고, 이때, 베이스는 여전히 하우징로부터 분리될 수 있지만 다른 요소들 사이의 결합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이유는 베이스가 하우징에 의해 제한되기만 하기 때문이다.
도 36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조립 방법(100)의 블록 흐름도이다. 레이스 조립 방법(100)은 레이스(T1)를 체결 디바이스(100e)에 연결하는데 적용되고, 레이스 조립 방법(100)은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S01) 및 레이스 커플링 단계(S02)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S01)에서, 체결 디바이스(100e)가 제공되고, 체결 디바이스(100e)는 케이스(200e), 스풀(300e), 노브(500e) 및 록킹 유니트(400e)를 포함하고, 케이스(200e)는 하우징(260e), 베이스(270e) 및 장착부(250e)를 포함하고, 베이스(270e)는 하우징(260e)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장착부(250e)는 하우징(260e)에 위치되고, 노브(500e)는 장착부(250e)에 상응하는 결합부(540e)를 포함하고, 스풀(300e)과 록킹 유니트(400e)는 하우징(260e) 내부에 배치된다.
레이스 커플링 단계(S02)에서, 레이스(T1)의 제1 끝단과 제2 끝단은 하우징(260e)과 스풀(3003)을 통과한 후 하우징(260e)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끝단과 제2 끝은 매듭되고, 레이스(T1)가 스풀(300e)에 커플링될 수 있다.
케이스(200e)는 2개의 측면 구멍들(220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풀(300e)은 제1 개구(321e)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16e)을 포함하고, 레이스(T1)의 제1 끝단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61e)을 향하여 측면 구멍들(220e)의 하나 및 제1 개구(321e)를 통과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361e)은 1개일 수 있고, 레이스(T1)의 제1 끝단이 경사면(316e)을 향해 측면 구멍들(220e)의 어느 하나와 제1 개구(321e)를 통과한 후, 레이스(T1)의 제2 끝단은 경사면(316e)을 향해 측면 구멍들(220e)의 다른 하나와 제2 개구를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레이스(T1)가 스풀(300e)에 커플링된 후, 베이스(270e)가 하우징(260e)에 연결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어지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100: 레이스 조립 방법
100c,100d,100e,100f,100g,100h,100i,100j,100k,100l,100m,100n,100p,100q,100r,100s: 체결 디바이스
200c,200d,200e,200f,200g,200h,200i,200j,200k,200l,200m,200n,200p,200s: 케이스
210c: 수납 공간
220c,220e,220p: 측면 구멍
230c,230e,230f,230g,230j,230q,230r: 내부 치차
240e: 하부 개구
250c,250e: 장착부
260c,260e,260f,260g,260h,260i,260j,260k,260p,260q,260r,260s: 하우징
261c,262c,263c,261e,262e,263e: 탭
270c,270e,270f,270g,270h,270i,270j,270k,270p,270s: 베이스
271c,272c,273c,271e,272e,273e: 구멍
274c: 가이드 그루브
274e: 연속 벽
280k: 하우징 폴 아암
300c,300d,300e,300f,300g,300h,300i,300j,300k,300l,300m,300n,300p,300q,300r,300s: 스풀
310h: 제1 폴 치차
310i: 제1 치차
315e: 바닥 개구
316e : 경사면
321e,321p: 제1 개구
322p: 제2 개구
323p: 제3 개구
330c,330e: 결합 치차
400c,400e,400g,400h,400i,400j,400k,400l,400m,400n,400p,400q,400r,400s: 록킹 유니트
410c,410d,410e,410g,410m,410n,410s: 결합 디스크
410h,261i: 제2 폴 치차
410i: 제2 치차
410k: 측면 치차
411c : 전달 치차
411e : 커플링 돌기
412c: 중앙 구멍
420i: 제1 라체트 치차
430c: 제1 폴 아암
430s : 가이드부
440c: 제2 폴 아암
450c,450d,450e,450g,450m,450n,450s: 내부 기어
451c: 외부 치차
451e,451g : 스크류 구멍
452c: 삽입공
460e: 커플링 치차
470e,470g,470q,470r: 폴 아암
500c,500d,500e,500f,500g,500h,500i,500j,500k,500l,500m,500n,500p,500q,500r,500s: 노브
510c: 돌출 기둥
510e: 내부 플레이트
510g,510n,511e: 스크류 포스트
510k: 가이드 돌기
512e: 커플링 아암
515h: 제한부
520c: 제1 바이어스 돌기
520e: 가이드 블록
520g: 탑 치차
530c : 제2 바이어스 돌기
530e: 회전 커버
530s: 나선형 트랙
540c,540e: 결합부
700e,700f,700h, 700i: 스프링
800e,800f,800g: 라체트 링
810e: 하부 경사 치차
810g: 제1 아암
820e: 상부 경사 치차
820g: 제2 아암
830e,830g: 라체트 치차
900h,900i,900j,900k,900l,900m,900p,900q: 제어 세트
910i,910j: 제어 바아
910k: 트래킹 그루브
910l,910m: 제한 부재
911h,911i: 플랜지
920i,920j,920l,920m: 스크류
920k,920p: 클램핑 아암
930l: 배럴
930m: 부싱
A3: 제1 방향
A4: 제2 방향
S01: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
S02: 레이스 커플링 단계
T1: 레이스

Claims (15)

  1. 레이스(lace)를 조이거나 릴리스(release)하기 위한 체결(fastening) 디바이스로서,
    수납 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위치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레이스가 그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스풀(spool);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를 가진 노브(knob); 및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는 록킹 유니트(locking unit)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조임(tensioning)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스풀이 상기 록킹 유니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스풀은 상기 레이스를 조이기 위해 상기 조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체결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록킹 유니트가 축 방향을 따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환되고, 상기 록킹 유니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록킹 유니트는 릴리스 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풀에 커플링되고, 상기 록킹 유니트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풀은 릴리스 방향을 향해 회전될 수 있는, 체결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서,
    상기 록킹 유니트는:
    중앙 구멍을 가진 결합 디스크; 및
    상기 중앙 구멍 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된 내부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내부 기어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환되는, 체결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서,
    상기 노브는 스크류 포스트(post)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포스트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 기어의 스크류 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스크류 구멍은 상기 스크류 포스트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내부 기어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전환될 수 있는, 체결 디바이스.
  5.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풀은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스의 제1 끝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는, 체결 디바이스.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은 1개이고, 상기 레이스의 제1 끝단은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고, 상기 레이스의 제2 끝단은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체결 디바이스.
  7. 청구항 1에서,
    상기 노브에 삽입되고 상기 록킹 유니트에 커플링되어 있는 제어 세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록킹 유니트와 상기 스풀 사이의 커플링을 릴리스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세트를 누르거나 가압하면 상기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체결 디바이스.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어 세트는 2개의 클램핑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클램핑 아암들은 상기 록킹 유니트에 커플링되는, 체결 디바이스.
  9. 청구항 7에서,
    상기 제어 세트는 제한 부재, 스크류 및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노브에 삽입되고, 상기 부싱은 상기 록킹 유니트 내에 제한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부싱을 위쪽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한 부재에 스크류결합되는, 체결 디바이스.
  10. 청구항 7에서,
    상기 제어 세트는 제어 바아(bar)와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바아는 상기 노브 속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록킹 유니트 내에 제한되어 상기 제어 바아와 체결되는, 체결 디바이스.
  11. 청구항 1에서,
    상기 록킹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폴 아암(pawl arm)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기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 아암을 변위시키는, 체결 디바이스.
  12. 청구항 1에서,
    라체트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내부 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라체트 링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복수의 하부 경사 치차, 복수의 상부 경사 치차 및 복수의 라체트 치차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부 경사 치차 및 각각의 상부 경사 치차는 상기 라체트 링의 외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하부 경사 치차는 각각의 내부 치차에 상응하는 각각의 상부 경사 치차 아래에 위치되고, 각각의 라체트 치차는 상기 라체트 링의 내면에 위치되는, 체결 디바이스.
  13. 레이스를 체결 디바이스에 커플링하기 위해 적용되는 레이스 조립 방법으로서,
    체결 디바이스 제공 단계; 및
    레이스 커플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디바이스는 케이스, 스풀, 노브 및 록킹 유니트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베이스 및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장착부에 상응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과 상기 록킹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이스의 제1 끝단과 상기 레이스의 제2 끝단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풀을 통과한 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끝단과 상기 제2 끝단이 매듭을 짓고, 상기 레이스가 상기 스풀에 커플링될 수 있는, 레이스 조립 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케이스는 2개의 측면 구멍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풀은 제1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끝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측면 구멍들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는, 레이스 조립 방법.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경사면은 1개이고, 상기 제1 끝단이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측면 구멍들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한 후, 상기 제2 끝단이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상기 측면 구멍들의 다른 하나와 제2 개구를 관통하는, 레이스 조립 방법.
KR1020237013917A 2021-01-08 2021-07-20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KR20230129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44,156 2021-01-08
US17/144,156 US11751634B2 (en) 2016-11-11 2021-01-08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PCT/CN2021/107457 WO2022148002A1 (zh) 2021-01-08 2021-07-20 紧固装置与系线组装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003A true KR20230129003A (ko) 2023-09-05

Family

ID=8235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917A KR20230129003A (ko) 2021-01-08 2021-07-20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75541A1 (ko)
JP (1) JP2024501908A (ko)
KR (1) KR20230129003A (ko)
CN (1) CN115103612A (ko)
WO (1) WO20221480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101828U1 (de) * 2011-06-14 2011-08-17 Chin-Chu Chen Schuhschnurbinder
US11751634B2 (en) * 2016-11-11 2023-09-12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US11607014B2 (en) * 2016-11-11 2023-03-21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EP3551004A1 (en) * 2016-12-09 2019-10-16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CN111115388B (zh) * 2018-10-30 2021-11-19 陈金柱 紧固装置
CN111846339B (zh) * 2019-04-30 2022-04-15 陈金柱 紧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8002A1 (zh) 2022-07-14
EP4275541A1 (en) 2023-11-15
CN115103612A (zh) 2022-09-23
JP2024501908A (ja)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621B1 (ko) 체결 디바이스 및 체결 디바이스의 레이스의 조립 방법
US20230371655A1 (en) Fastening device
JP7212057B2 (ja) 締結装置
KR102576708B1 (ko) 체결 디바이스
US11607014B2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CN111846339B (zh) 紧固装置
KR102368288B1 (ko) 고정 디바이스
US5660083A (en) Gear shifting device for a multi-speed bicycle
KR20230129003A (ko)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US20210289889A1 (en) Fastening device
JP2022163729A (ja) 締結装置
CN217309320U (zh) 紧固装置
WO2022148001A1 (zh) 紧固装置与系线组装方法
EP4316303A1 (en) Fastening device
KR940001203Y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장치
EP4292971A1 (en) Fastening device, and cable tie tightening and release method
KR20240017771A (ko) 체결 디바이스
KR20230026968A (ko) 체결 디바이스
TW202406825A (zh) 緊固裝置
US5881961A (en) Reel driv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friction between a pressing plate and a rotating driving gear
JPS5836421B2 (ja) テ−プレコ−ダの操作装置
KR940001093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릴 브레이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