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658A -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658A
KR20230128658A KR1020220025764A KR20220025764A KR20230128658A KR 20230128658 A KR20230128658 A KR 20230128658A KR 1020220025764 A KR1020220025764 A KR 1020220025764A KR 20220025764 A KR20220025764 A KR 20220025764A KR 20230128658 A KR20230128658 A KR 2023012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 exchanger
refrigerant
heat
circul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희
박종순
박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글로벌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글로벌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글로벌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2002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658A/ko
Publication of KR2023012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heat exchange fluid entering and leaving the unit as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펌프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폐온수유통라인과 제1냉매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과 온수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에 제3열교환기로 구성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로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1냉매순환라인과 제2열교환기를 온수발생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3열교환기와 제2냉매순환라인을 냉수발생수단으로 구성하여 냉·온수발생수단에서 냉수를 냉각 또는 가온시키도록하고, 특히 폐온수와 미지근한 냉수를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a heat pump}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 공장, 축사, 비닐하우스 등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보일러나 에어컨 등과 같은 냉, 난방 설비를 갖추게되는 데 난방설비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보일러나 난로 등은 연료로서 기름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냉난방시설을 이용하였다.
이 때문에 냉난방시설이 필연적으로 배출하고 CO2와 불 연소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은 날로 심각해져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각광받는 히트펌프는 여름에는 냉방용으로, 봄, 가을의 환절기는 물론 겨울에는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 에어컨을 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히트펌프는, 실내기에서 냉기가 나오고 실외기에서 열기가 나오는 냉방사이클과 핵심장치의 역할을 정반대로 역전시켜 실내기에서 따뜻한 열기가, 실외기에 냉기가 나오게 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즉, 히트펌프는 전열기나 보일러처럼 직접 열을 받는 장치가 아니라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저온의 열원을 고온의 열원으로 만들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의 열원으로 만들어 온실, 축사, 주택 및 공공건물 등의 난방 또는 냉방용으로 이용되는 공조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냉각사이클에서 냉매의 흐름을 역전환시킴으로써 냉방과 난방을 겸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로,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에 따라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에 있어서는 공기조화기기로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되어 실내공기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별도로 냉수 및 온수를 생성하지는 못하여 목욕탕과 같은 많은 량의 냉수 및 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냉동장치와 난방설비를 각각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비의 설치공간을 넓게 차지하여 공간 이용효율이 떨어지고 각각의 설비를 구비함으로써 그에 따른 많은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히터펌프를 개선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온수나 미지근한 온도의 지하수를 냉난방장치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거나 냉수 및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냉난방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설비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에 사용되어지는 열전달파이프에 냉매와 냉수/온수를 동시에 통과시키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달파이프를 다수개의 유통공(空)을 형성한 알루미늄 관으로 제작하고, 알루미늄 관의 유통공에 동관을 삽입시켜 열전달파이프에 흐르는 유체간에 열교환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히터펌프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폐온수유통라인과 제1냉매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과 온수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에 제3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제1열교환기와 제1냉매순환라인과 제2열교환기를 온수발생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제3열교환기와 제2냉매순환라인을 냉수발생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기에 구성되어지는 열전달파이프는 알루미늄관의 유통공에 동관을 삽입시키되, 유통공에는 폐온수/냉수/온수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유통공의 외측으로 냉매를 통과시키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유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는 냉온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냉수와 온수를 각각 온수저장탱크와 냉수저장탱크에 저장하고 냉·온수를 필요로 하 는 곳 즉, 온탕, 냉탕, 냉난방히트 등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온수나 미지근한 온도의 지하수를 냉난방장치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거나 냉수 및 온수를 얻을 수 있고,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냉난방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냉난방설비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 열교환기에 사용되어지는 열전달파이프에 냉매와 냉수/온수를 동시에 통과시키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보인 계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에서 열교환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열교환기에서 열전달파이프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에서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열교환기에서 열전달파이프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를 보인 계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에서 열교환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열교환기에서 열전달파이프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에서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열교환기에서 열전달파이프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일반적으로 히트펌프의 구성은 압축기(Compressor), 증발기(Evaporator), 응축기(Condenser), 팽창변(Expansion Valve)으로 구성되어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목적물을 냉각 또는 냉동 및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는 본 발명에서는 제1, 제2, 제3 열교환기(1)(2)(3)에 해당되며, 응축기는 수액기(11)에 해당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의 히트펌프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는 온수발생수단과 냉수발생수단을 동시에 구비한 것이며, 냉매사이클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수에 가온하거나 냉각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온수발생수단은 폐온수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1열 교환기(1)를 구비하고, 냉매와 온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2열교환기(2)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1)에는 폐온수유통라인(4)과 제1냉매순환라인(5)에 연결되어져 폐온수유통라인(4)에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온수를 유통시키도록 하고, 제1냉매순환라인(5)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폐온수의 열에너지를 냉매에 전달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냉매는 제1냉매순환라인(5)을 따라 다음과 같이 순환하는 구성이다.
제1열교환기(1) →온도센서(S1) →액분리기(8) →압축기(9) →유분리기(10) →제2열교환기(2) →수액기(11) →제1팽창변(12) →제1열교환기(1)
상기 액분리기(8), 압축기(9), 유분리기(10), 수액기(11) 및 제1팽창변(12)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2)에는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5)과 온수순환라인(6)에 연결되어져 고온고압의 냉매와 온수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가 발생되어 온수순환라인(6)을 통해 온수저장탱크(13)에 저장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온수순환라인(6)은 제2열교환기(2)와 온수저장탱크(6) 및 모터펌프로 구성되고, 제2열교환기(2)에서 생성된 온수는 온수저장탱크(6)에 저장된 후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모터펌프에 의해 계속적으로 온수가 순환하여 온수저장탱크(6)에는 고온의 뜨거운 물이 저장되어져 있게 되며, 온수저장탱크(6)의 일측에 온수배관(미도시)을 하여 난방 또는 온수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냉수발생수단은 냉매와 냉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3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이며,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냉수발생수단은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5)에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하였으며, 냉수 및 냉방이 필요 없는 겨울철에는 연결을 끊어 가동을 중지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제3열교환기(3)에는 제2냉매순환라인(5a)과 냉수순환라인(7)이 연결되어진다.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5a)은 다음과 같이 순환하는 구성이다.
제3열교환기(3) →온도센서(S2) →액분리기(8) →압축기(9) →유분리기(10) →제2열교환기(2) →수액(11) →제2팽창변(15) →제3열교환기(3)
상기 냉수순환라인(7)은 제3열교환기(3)와 냉수저장탱크(14) 및 모터펌프(M)로 구성되어 제3열교환기(3)에서 냉각되는 냉수는 냉수저장탱크(14)에 저장되고 모터펌프(M)에 의해 냉수가 냉수순환라인(5)을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수저장탱크(14)의 냉수배관을 설치하여 냉탕 및 휀코일 냉방에 연결시켰다.
상기 제1, 제,2 제3열교환기(1)(2)(3)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1, 제,2 제3열교환기(1)(2)(3)는 열전달파이프(16)를 다중으로 절곡시키고 절곡되어진 열전달파이프(16)를 다수 개를 일 열로 배열하고 열전달파이프(16)의 일측 단부에서 온수/냉매배출관(17)과 폐온수공급관(18)에 고 정하고, 열전달파이프(16)의 타측 단부에서 냉수/냉매공급관(19)과 폐냉수배출관(20)에 고정하였다.
상기 열전달파이프(16)는 알루미늄관을 형성하되 중앙에는 폐온수/냉수/온수를 통과시키도록 유통공(16a)을 형성하고 유통공(16a)의 외측으로 냉매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유통공(16b)(16c)을 형성하며, 각각의 유통공(16a)(16b)(16c)에는 각각 동관(22a)(22b)(22c)을 삽입시켜 알루미늄관과 동관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유통공(16a)에 삽입되어진 동관(22a)의 일측은 폐온수공급관(18)에 고정하여 유통되도록 하고, 유통공(16a)에 삽입되어진 동관(22a)의 타측은 폐냉수배출관(20)에 고정하여 유통되도록 하며, 유통공(16b)(16c)에 삽입되어진 동관(22b)(22c)은 일측 단부에서 온수/냉매배출관(17)에 고정하여 유통되도록 하고, 유통공(16b)(16c)에 삽입되어진 동관(22b)(22c)의 타측에는 냉수/냉매공급관(19)에 고정하여 유통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제1, 제,2 제3열교환기(1)(2)(3)에 있어서 열전달파이프(2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열전달파이프(21)는 알루미늄관으로 형성하되, 중앙에는 폐온수/냉수/온수를 통과시키도록 유통공(21a)을 형성하고 유통공(21a)의 외측으로 냉매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유통공(21b)(21c)을 형성하며,
단면형상은 각각의 유통공(21a)(21b)(21b)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여 붙여놓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유통공(21a)(21b)(21c)에는 각각 동관(22a)(22b)(22c)을 삽입시켜 알루미늄관과 동관이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 형태>
여름철에 사용되어질 때에는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사용하게 됨으로 온수발생수단과 냉수발생수단이 동시에 발생되어진다.
온수발생수단 관련부분을 먼저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열교환기(1)에 폐온수유통라인(4)과 제1냉매순환라인(5)을 통하여 냉매와 폐온수가 유입되어, 폐온수의 열원은 냉매를 기체(증발)상태로 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는 제1열교환기(1)에서 증발되면서 폐온수에서 증발잠열을 흡수하며 증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로 배출된다.
제1열교환기(1)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는 액분리기(8)를 거처 압축기(9)에서 단열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로 되어 유분리기(10)를 거처 제2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제2열교환기(2)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는 응축잠열을 방출시키며 고온고압의 포화액체 상태의 냉매로 되어 수액기(11)를 거처 제1팽창변(12)으로 유입된다. 이때에 온수순환라인(5)을 통하여 제2열교환기(2)에 유입되는 온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는 데워지는 것이다.
고온고압의 포화액체상태의 냉매는 제1팽창변(12)에서 등엔탈피 팽창을 하고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로 제1열교환기(1)로 유입된다.
즉, 상기 작동유체인 냉매는 제1냉매순환라인(5)을 따라 증발, 압축, 응축, 팽창의 변화를 계속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제1열교환기(1)의 배출구 쪽 제1냉매순환라인(5)에 장착되어진 온도센서(S 1 )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게되는데 온도센서(S 1 )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일 때는 제1팽창변(12)을 소정 설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온도센서(S 1 )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보다 높을수록 제1팽창변(12)에서 냉매 액의 양을 증가시키고, 온도센서(S1)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보다 낮을수록 제1팽창변(12)냉매 액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2)에서 데워진 온수는 온수순환라인(6)을 따라 온수저장탱크(13)에 저장되고, 온수저장탱크(13)의 일측에 온수배관을 설치하여 온수가 필요한 곳으로 배수하게 되며, 온수저장탱크(13)의 온수는 모터펌프(M)에 의해 제2열교환기(2)로 계속 순환하여 항상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자동으로 물이 보충되며, 물을 보충하는 수단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수발생수단과 관련한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열교환기(3)에는 제2냉매순환라인(5a)과 냉수순환라인(7)이 통과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제2냉매순환라인(5a)은 온수발생수단에서의 제1냉매순환라인(5)과 연결되어져 있으며 별도의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차단/연결되어지고,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냉수발생수단이 가동되는 것이다.
제3열교환기(3)에 냉수순환인(7)과 제2냉매순환라인(5a)을 통하여 냉수와 냉매가 유입되어, 미지근한 온도의 냉수에서 열원을 얻어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증발)상태로 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는 제3열교환기(3)에서 증발되면서 폐온수에서 증발잠열을 흡수하며 증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로 배출된다.
제3열교환기(3)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는 액분리기(8)를 거처 압축기(9)에서 단열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로 되어 유분리기(10)를 거처 제2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제2열교환기(2)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는 응축잠열을 방출시키며 고온고압의 포화액체 상태의 냉매로 되어 수액기(11)를 거처 제2팽창변(15)으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온수순환라인(5)을 통하여 제2열교환기(2)에 유입되는 온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는 데워지는 것이다.
고온고압의 포화액체상태의 냉매는 제2팽창변(15)에서 등엔탈피 팽창을 하고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로 제3열교환기(3)로 유입된다.
즉, 상기 작동유체인 냉매는 제2냉매순환라인(5a)을 따라 증발, 압축, 응축, 팽창의 변화를 계속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제3열교환기(3)의 배출구 쪽 제2냉매순환라인(5a)에 장착되어진 온도센서(S 2 )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게되는데 온도센서(S 2 )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일 때는 제2팽창변(15)을 소정 설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온도센서(S 2 )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보다 높을수록 제2팽창변(15)에서 냉매 액의 양을 증가시키고, 온도센서(S 2 )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보다 낮을수록 제2팽창변(15)냉매 액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제2팽창변(15)을 통과한 저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제3열교환기(3)에서 냉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수는 차가워지고, 차가워진 냉수는 냉수저장탱크(14)에 저장되며, 모터펌프(M)에 의해 냉수는 순환하게 되어 냉수저장탱크(14)의 물은 항상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냉수저장탱크(14)의 일측에는 냉수배관을 설치하여 냉수가 필요한 곳으로 내보내지게 되는 것으로 냉탕이나 휀코일 냉방에 보내어져 냉방을 실시하거나 냉수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냉수저장탱크(14)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자동으로 물이 보충되며, 물을 보충하는 수단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 형태>
겨울철에는 온수발생수단만 가동하고 냉수발생수단은 가동을 중단하게 된다.
즉, 냉수발생수단으로 유입되는 제2냉매순환라인(5a)을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냉수발생수단이 중단되어진 상태에서 온수발생수단만을 가동하며 온수발생수단의 가동은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되어 온수만을 발생시켜 온수저장탱크(13)에 온수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장치는 냉·온수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냉수와 온수를 각각 온수저장탱크와 냉수저장탱크에 저장하고 냉·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 즉, 온탕, 냉탕, 냉·난방히터 등에 공급하여 사용하며 겨울철에는 냉수발생수단의 가동을 중지시켜 온수발생수단만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제1, 제3열교환기(1)(3)의 열전달파이프(16)(21)에서는 중앙의 유통공(16a)(21a)의 동관(22a)에 열원이 되는 폐온수나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유통시켜 유통공(16b)(16c)(21b)(21c)의 동관(22b)(22c)에 유통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냉매를 증발시키는 열 에너지원을 폐온수, 온천수 및 상온의 물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열교환기(2)에서 열전달파이프(16)(21)에는 중앙의 유통공(16a)(21a)의 동관(22a)에 데워질 온수가 유통되고, 유통공(16b)(16c)(21b)(21c)의 동관(22b)(22c)에 고온고압의 냉매를 유통시켜 냉매와 온수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열전달파이프(16)(21)를 냉난방설정 용량에 맞춰 적정 개수의 열전달파이프(16)(21)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냉동기장치의 필수 구성요소 즉, 중간밸브(stop. valve), 투시경(sight glass), 전자변(solenoid valve), 필터드라이어(filter dryer), 냉매 액-가스, 열교환기, 여과기(filter) 등이 당연히 구성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제1열교환기 2: 제2열교환기 3: 제3열교환기
4: 폐온수유통라인 5: 제1냉매순환라인 5a: 제2냉매순환라인
6:온수순환라인 7: 냉수순환라인 8: 액분리기(accumulator)
9: 압축기(compressor motor) 10: 유분리기(oil separator)
11: 수액기(liquid receiver) 12, 15: 제1, 제2팽창변(Expansion valve)
13: 온수저장탱크 14: 냉수저장탱크 16, 21: 열전달파이프
17: 온수/냉매배출관 18: 폐온수공급관 19: 냉수/냉매공급관
20: 폐냉수배출관 22, 22a, 22b: 동관 S 1 , S 2 : 온도센서
M : 모터펌프

Claims (1)

  1. 히터펌프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폐온수유통라인과 제1냉매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과 온수순환라인이 통과하는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제1냉매순환라인에 제3열교환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20220025764A 2022-02-28 2022-02-28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230128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64A KR20230128658A (ko) 2022-02-28 2022-02-28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64A KR20230128658A (ko) 2022-02-28 2022-02-28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658A true KR20230128658A (ko) 2023-09-05

Family

ID=8797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764A KR20230128658A (ko) 2022-02-28 2022-02-28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2111A (zh) 热泵式制冷/供暖装置
KR100999400B1 (ko)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CN105008823A (zh) 热泵热水器
KR100741871B1 (ko) 일체형 멀티방식 공기열원 히트펌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한시스템
KR20070088034A (ko) 히트 펌프 시스템
CN108106045B (zh) 一种集中制冷分体供冷的空调冰箱联用系统
CN106705203A (zh) 一种采用热泵和电热复合的户用热管散热装置
CN113983586A (zh) 一种同时进行制冷和制热的多联机中央空调系统
CN203824158U (zh) 一种多功能地源热泵机组
KR101157548B1 (ko) 폐열회수 냉난방장치
KR101150659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아이스링크 냉각 및 공조 시스템
KR200240231Y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230128658A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1198561B1 (ko)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104362B1 (ko) 보일러 병합형 히트펌프 시스템
KR101060512B1 (ko) 냉·온수 생성장치
KR100965114B1 (ko) 냉난방 냉온수 시스템
KR102042218B1 (ko) 히트 펌프
KR101899523B1 (ko) 복합열교환을 이용하는 고효율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KR101464520B1 (ko)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CN214249790U (zh) 一种多联机空调
CN204460546U (zh) 一种利用湖泊水库深层低温水的空调系统
CN211822792U (zh) 用于空调器的热交换器及空调器
JP2019128103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123254B1 (ko) 다원재생 복합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