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78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781A
KR20230127781A KR1020220025497A KR20220025497A KR20230127781A KR 20230127781 A KR20230127781 A KR 20230127781A KR 1020220025497 A KR1020220025497 A KR 1020220025497A KR 20220025497 A KR20220025497 A KR 20220025497A KR 20230127781 A KR20230127781 A KR 2023012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amper
passage
duct
supply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347B1 (ko
Inventor
김동휘
김기황
조용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47B1/ko
Priority to EP23155534.3A priority patent/EP4235065A1/en
Priority to CN202310143345.1A priority patent/CN116659156A/zh
Priority to US18/110,490 priority patent/US20230304722A1/en
Priority to AU2023201033A priority patent/AU2023201033A1/en
Publication of KR2023012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781A/ko
Priority to KR1020240024470A priority patent/KR20240027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free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냉기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양문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공기 유입에 의한 냉기 유로와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실은 보관 대상물을 냉장 보관하고, 냉동실은 보관 대상물을 냉동 보관하기 때문에,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냉기의 양도 다르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냉장실과 냉동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압축기의 순서로 순환하는 냉매가 증발기로 유입되어, 액체 냉매가 기체 냉매로 기화되면서 냉장고 안의 열을 빼앗아 생성될 수 있다.
냉장실의 내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냉동실에 배치된 하나의 증발기를 통해서 냉장실과 냉동실 모두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증발기에 의해서 생성된 냉기는 그릴팬 어셈블리에 의해서 냉동실과 냉장실로 송풍되며, 냉장실과 냉동실을 연통시키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냉장실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증발기와 그릴팬 어셈블리를 통해서 서로 다른 온도와 냉기의 양을 필요로 하는 냉장실과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로개폐 댐퍼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로개폐 댐퍼가 열리게 되어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냉기가 냉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에서 요구하는 온도가 만족되도록 충분한 냉기가 공급된 경우에는, 유로개폐 댐퍼는 닫히게 되어 냉동실에서부터 냉장실로 이어지는 냉기 유로는 차단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유로개폐 댐퍼가 차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냉장실의 냉기인 습공기는 자연 대류하여 냉기 유로의 빈 공간으로 역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공기는 유로개폐 댐퍼에 의해서 냉기의 공급이 차단된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역류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에 달라 붙으면서 결빙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에 냉장실에서 요구하는 온도가 불만족 조건이 되는 경우 유로개폐 댐퍼는 열리게 되고,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상대적으로 저온저습한 냉기가 다시 공급되게 된다.
하지만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에 결빙이 발생한 상태에서 냉기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결빙된 냉기 유로의 경우 제습 및 승화가 일어나기는 하지만, 결빙량이 제습량보다 큰 경우에는 결빙이 성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에 결빙이 생기는 경우에는 냉기 유로에서의 냉기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고, 유로개폐 댐퍼의 댐퍼 도어가 결빙되어 제대로 열리지 않아 냉장실로의 냉기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빙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히터를 이용하여 결빙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결빙 제거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냉기 유로를 갖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와 배치 형태의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와 연통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가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냉기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배치된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배치된 그릴팬 어셈블리,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에 연통되어,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와 연통되도록 함몰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경사벽과 제2 경사벽을 포함하는 하측벽, 상기 제1 경사벽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벽, 및 상기 제2 경사벽의 타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 경사벽은 상기 타측벽에 대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상부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냉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일측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 냉기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 및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섬 형상으로 배치된 제2 냉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제1 냉기 유로, 상기 제1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상측벽 및 일측벽과,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일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제2 냉기 유로, 상기 제2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냉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냉기 보조 토출구로 유동되는 제3 냉기 유로, 및 상기 제2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제4 냉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일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은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 및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상측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3 경사벽과 제4 경사벽을 포함하는 냉기 보조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경사벽은 상기 제3 경사벽보다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벽은 상기 제4 경사벽보다 더 긴 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하측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하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기 유로가 지나는 상기 하측 연장부의 일측은 곡률 중심이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 방향에 있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은 상기 그릴팬 냉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제1 하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증가시키는 제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측 경사부는 상기 제1 하측 경사부보다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상측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와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 사이에는 공급 덕트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 연결부의 상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상측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공급 덕트 연결부의 하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하측 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인입부와 상기 하측 인입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는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을 포함하는 댐퍼 케이스,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 통과공을 개폐하는 댐퍼 도어, 및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 도어가 개폐되도록 작동시키는 댐퍼 동작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댐퍼 통과공의 최상단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댐퍼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개폐 모듈은 상기 댐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 커버와 제2 댐퍼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제1 댐퍼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리며, 상기 제1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댐퍼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댐퍼 커버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 댐퍼 도어와 상기 제2 댐퍼 커버 사이를 유동하는 제5 냉기 유로와 상기 댐퍼 도어와 상기 댐퍼 커버 단차부 사이를 유동하는 제6 냉기 유로로 유동하여 상기 댐퍼 통과공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댐퍼의 하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2 댐퍼 커버의 하부 영역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가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냉기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새로운 구조의 냉기 유로를 갖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제1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제1 하측 경사부가 냉기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기능하기 때문에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새로운 구조의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댐퍼의 댐퍼 도어가 그릴팬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습공기에 노출되는 댐퍼 도어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댐퍼 통과공의 최상단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냉기 안에 습공기가 잠기도록 하여 댐퍼가 습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새로운 구조와 배치 형태의 유로개폐 모듈을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가 결합된 배면도이다.
도 3a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정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6은 그릴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각각 댐퍼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유로개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각각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의 유로개페 모듈을 냉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유로개폐 모듈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유로 개폐 모듈의 댐퍼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상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로 개폐 모듈의 댐퍼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가 노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와 유로 개폐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한다.
[냉장고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은 냉장고(1)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와 내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30)는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격된 공간 내에는 단열재가 발포되어 빈 공간은 단열재로 채울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는 복수의 오픈된 박스 형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냉장실(41)과 냉동실(42)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실(41)과 냉동실(42)이 양 옆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양문형 냉장고를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2)의 전면에는 도어가 연결되어 냉장고(1)를 개폐할 수 있다.
냉장실(41)에 대응되는 전면에는 제1 도어(20a)가 배치되고, 냉동실(42)에 대응되는 전면에는 제2 도어(20b)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20a)와 제2 도어(20b)는 캐비닛(2)의 양측에 각각 회전축을 갖고 회전하는 회전식일 수 있다.
냉장실(41)과 냉동실(42)에는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수납부(51)와, 복수의 선반부(52)들이 구비되어 보관 대상물을 용이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41)과 냉동실(42)에는 각각 별도의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일측 및 타측은 도 2와 같이 냉장고(1)의 배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대적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가까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일측면 및 타측면, 그리고 일측벽 및 타측벽도, 일측 및 타측과 동일한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동실(42)의 일측에는 냉장실(41)이 배치되어, 냉장실(41)과 냉동실(42)은 서로 양 옆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냉장실(41)의 후방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냉기 유로(1000)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는 후방이 노출되도록 함몰된 형태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를 포함하고,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되는 냉기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된 냉기 유로(1000)를 통해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하나의 측면인 타측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42)의 후방에는 그릴팬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와 그릴팬 어셈블리(300)도 서로 양 옆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340)와 증발기(340)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송풍하는 팬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340)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부 영역에 위치하고, 팬모듈(330)은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팬모듈(330)에 의해서 송풍되는 냉기는 냉동실(42)과 냉장실(41)에 공급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타측면과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일측면 사이에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와 연통되고 타측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팬모듈(330)에 의해서 송풍되는 냉기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를 통해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냉동실(42)의 후방에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유로개폐 모듈(400)의 개폐 동작을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를 거쳐 냉장실(41)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는 유로 덕트 몸체부(110),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 제1 유로 덕트 커버(140), 및 제2 유로 덕트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냉기 유로(1000)를 통해서 유동되는 냉기를 냉장실(41)의 내측으로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상부 영역에는 제1 냉기 토출구(1141)가 냉장실(41)의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상부 영역에는 제1 냉기 토출구(1141)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는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에 냉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추가적인 냉기 토출관이 연결되어 냉장실(41)의 원하는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중심 영역에는 복수의 제2 냉기 토출구(1142)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영역에는 복수의 제3 냉기 토출구(1143)가 형성되어 냉장실(41)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는 온도 센서, 항균 필터, 조명 등을 고정할 수 있고, 냉장실(41)의 전면에서 사용자가 시인할 수도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배면에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 내를 유동하는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하는 일 부품일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는 냉기 유로(1000)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해서 냉장실(41)이 영향을 받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상부 영역의 타측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가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냉기 유로(1000)와 연통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서 시작되는 냉기 유로(1000)는 상부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방향은 수직 방향에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친 경우라도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수평 방향의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부 방향은 수직 방향에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친 경우라도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수평 방향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일측에는 섬 형상의 제1 냉기 가이드부(1130)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상부 영역에서 상측(101), 하측(102), 일측(103), 및 타측(104)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된 냉기를 가이드하는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하부에는 섬 형상의 제2 냉기 가이드부(1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기 가이드부(1150)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중심 영역에서 하부 영역까지 상측(101), 하측(102), 일측(103), 및 타측(104)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에 의해서 가이드된 냉기를 가이드하는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양 측으로 냉기가 분기되어 유동되는 한 쌍의 냉기 유로(10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와 제2 냉기 가이드부(115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배면에는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가 결합되어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하고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는 제2 냉기 가이드부(1150)는 덮지 않고, 제1 냉기 가이드부(1130)를 덮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부 냉기 유로(1000)를 밀폐할 수 있다.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가 덮는 영역은 냉동실(42)로부터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인접하기 때문에, 냉장고(1)의 외부 케이스(10)가 냉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경우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와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결합을 통해서 냉기 유로(1000)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벽은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에 형성되어 냉기 유로(1000)가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상부에는 제1 유로 덕트 커버(140)가 형성되어 제1 냉기 토출구(1141) 및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로 냉기를 가이드하고 냉기 유로(100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하부에는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양 측의 냉기 유로(10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2 유로 덕트 커버(150)가 배치되어, 중심 영역과 하부 영역의 냉기 유로(100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부 영역의 타측에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가 형성되고,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대응되는 영역은 후방 방향으로 노출되는 개구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냉기 유로(1000)와 연통되기 때문에,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의 일부분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되는 냉기는 하부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못하고 상부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가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냉기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지속적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는 냉기의 흐름은,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서 냉장실(41)의 습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냉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는 냉기의 흐름이 끊어지기 때문에, 냉장실(41)의 습공기는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서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 역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가 하부 방향으로도 열려 있다면, 하부 방향으로 냉기가 빠져나가게 되는 냉기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냉기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고, 역류된 습공기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유로개폐 모듈(400)에 달라붙어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냉기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경사벽(1112a)과 제2 경사벽(1112b)을 포함하는 하측벽(1112), 제1 경사벽(1112a)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벽(1113), 및 제2 경사벽(1112b)의 타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벽(111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경사벽(1112a)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경사벽(1112b)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타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벽(1112a)은 타측벽(1114)에 대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벽(1112a)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개구 영역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하측에는 제1 경사벽(1112a)이 형성되고 제1 경사벽(1112a)은 냉기 처짐 방지 구조부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서의 냉기 처짐 현상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경사벽(1112b)은 제1 경사벽(1112a)과 달리 일측벽(1113)에 대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사벽(1112b)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개구 영역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경사벽(1112b)의 경사각으로 인하여 냉기 처짐 방지 구조부로 기능하는 제1 경사벽(1112a)까지의 냉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벽(1112b)은 제상수가 발생하는 경우 제상수가 하부 방향으로 빠지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120)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하측벽(1112)과 접촉하고, 일측벽(1113) 및 타측벽(1114)의 일부 높이까지 접촉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부(1120)의 두께는 하측벽(1112), 일측벽(1113), 및 타측벽(111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120)의 상측부는 상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되는 냉기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상부 방향의 냉기 유로(1000)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일측에는 제1 냉기 가이드부(1130)가 배치되어 냉기를 가이드하는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경계를 공유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타측벽(1134)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일측벽(1113)일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된 냉기는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타측벽(1134)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못하고, 상부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상측벽(1131), 일측벽(1133), 및 하측벽(1132)은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하도록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측(101), 일측(103), 및 하측(102)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된 냉기는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타측벽(1134), 상측벽(1131), 일측벽(1133), 및 하측벽(1132)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냉장실(41)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 냉기 토출구(1141)와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가 제1 냉기 가이드부(1130) 및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함에 따라, 이격된 공간에 냉기 유로(10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하부에는 섬 형상의 제2 냉기 가이드부(1150)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냉기 유로는 냉기가 흐르는 주된 냉기의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냉기 유로 이외에도 냉기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냉기 유로 이외에 다른 곳으로는 냉기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냉기 유로(1000)는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냉기 유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된 냉기가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타측벽(1134)을 따라 제1 냉기 토출구(1141)로 유동되는 제1 냉기 유로(10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기 유로(1001)를 지나는 냉기는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서 냉장실(41)의 상부 영역에 공급되어 냉장실(4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기 유로(1001)로부터 분기되어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상측벽(1131) 및 일측벽(1133)과,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일측벽(1153)을 따라 유동되는 제2 냉기 유로(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기 유로(1002)에는 제2 냉기 토출구(1142)과 제3 냉기 토출구(1143)가 형성되어, 냉장실(41)의 중심 영역과 하부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냉기 유로(1002)로부터 분기되어 제1 냉기 토출구(1141)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로 유동되는 제3 냉기 유로(10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냉기 유로(1003)를 지나는 냉기는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를 통해서 냉장실(41)의 상부 영역에 공급되어 냉장실(4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냉기 유로(1002)로부터 분기되어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타측벽(1154)을 따라 유동되는 제4 냉기 유로(10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냉기 유로(1004)에는 제2 냉기 토출구(1142)과 제3 냉기 토출구(1143)가 형성되어, 냉장실(41)의 중심 영역과 하부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4 냉기 유로(1004)는 제2 냉기 유로(1002)로부터 분기되는데, 제4 냉기 유로(1004)는 제2 냉기 유로(1002)보다 냉동실(4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냉기 유로(1002)를 지나는 냉기의 유동량이 냉동실(42)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4 냉기 유로(1004)를 지나는 냉기의 유동량보다 크도록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함으로써, 냉장고(1)의 전체적인 냉기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일측벽(1153)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은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타측벽(1154)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냉기 가이드부(1150)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유동되는 냉기의 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2 냉기 유로(1002)와 제4 냉기 유로(1004)가 합류되는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하부 영역에서 제4 냉기 유로(1004)의 상부 방향으로 역류하는 냉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하측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하측 연장부(1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냉기 유로(1002)가 지나는 하측 연장부(1155)의 일측은 곡률 중심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일측 방향에 있는 곡면부(1156)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제2 냉기 유로(1002)를 지나는 냉기가 제4 냉기 유로(1004) 방향이 아닌 하부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연장부(1155)는 제4 냉기 유로(1004)로의 냉기 역류를 최대한 감소시키고 제2 냉기 유로(1002)의 냉기를 하부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냉기 토출구(1141)는 상하 방향으로 제1 냉기 가이드부(1130) 및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된 냉기가 제1 냉기 토출구(1141)로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상측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3 경사벽(1135a)과 제4 경사벽(1135b)을 포함하는 냉기 보조 가이드부(1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경사벽(1135b)은 제3 경사벽(1135a)보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3 경사벽(1135a)은 제4 경사벽(1135b)보다 더 긴 변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상측에 냉기 보조 가이드부(1135)가 형성됨으로써, 제1 냉기 토출구(1141)로부터 역류되는 냉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고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41)의 습공기는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서 역류되는 경우 제4 경사벽(1135b)을 따라서 유동되는 제1 역류 냉기(1005)와 제3 경사벽을 따라서 유동되는 제2 역류 냉기(1006)로 분기될 수 있다.
제1 역류 냉기(1005)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유동되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에서 결빙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제1 역류 냉기(1005)의 양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기 보조 가이드부(1135)는 상하 방향으로 제1 냉기 토출구(1141)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3 경사벽(1135a)의 길이를 제4 경사벽(1135b)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역류되는 냉기가 제4 경사벽(1135b)보다 제3 경사벽(1135a)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냉기 토출구(1141)에서 역류되는 습공기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최대한 유동되도록 가이드되는 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의 습공기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냉기 보조 가이드부(113)는 상대적으로 제2 역류 냉기(1006)의 양을 증가시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역류되는 습공기인 제1 역류 냉기(1005)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기 보조 가이드부(1135)는 제상수가 하부 방향으로 빠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제3 경사벽(1135a)은 제4 경사벽(1135b)보다 제상수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상수는 제3 경사벽(1135a)을 타고 하부 방향으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경사벽(1135b)을 타고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빠지는 제상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에서 제상수가 결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 및 유로개폐 모듈]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팬 어셈블리(300)와 유로개폐 모듈(4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320)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고, 그릴팬(310)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추가로 참고하면, 증발기(3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기는 팬모듈(330)을 통해서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기는 그릴팬(310)에 형성된 냉동실 냉기 토출구(311)를 통해서 냉동실(4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팬모듈(330)을 통해서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냉기는 쉬라우드(320)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팬 냉기 유출구(3120)를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는 유로개폐 모듈(400)의 개폐에 의해서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410)와 댐퍼(410)를 감싸는 댐퍼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커버(420)는 댐퍼(4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 커버(421)와 제2 댐퍼 커버(4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댐퍼(410)는, 댐퍼 케이스(411), 댐퍼 도어(412), 및 댐퍼 동작모터(414)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는 냉장실(41)로 향하는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413)을 중심 영역에 포함하는 사각 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 통과공(413)은 냉장실(41)로 향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냉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도어(412)가 배치될 수 있는 바,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은 댐퍼 도어(412)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타면에는 댐퍼 통과공(413)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댐퍼 장착 가이드부(417)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장착 가이드부(417)는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냉기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차단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차단부(415)는 댐퍼 도어(412)가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댐퍼 도어(412)를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댐퍼 차단부(415)는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부 영역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차단부(415)는 댐퍼 도어(412)가 회전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댐퍼 도어(412)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를 더 참조하면,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통과공(413)의 주변부를 따라서 댐퍼 열선(416)이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열선(416)이 형성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댐퍼 열선(416)은 최대한 굴곡된 굴곡부를 많이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열선(416)이 형성되는 위치는, 댐퍼 케이스(411)와 댐퍼 도어(412)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영역일 수 있다.
댐퍼(410)의 댐퍼 도어(412)가 결빙되는 경우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댐퍼 도어(412)가 결빙되는 부분은 대부분 댐퍼 케이스(411)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결빙으로 작동이 되지 않은 경우 댐퍼 열선(416)에 열을 가하는 제상 작업을 통해서 결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도어(412)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 도어(412)는 냉기가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댐퍼 도어(412)는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과 접촉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막을 수 있고, 냉기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댐퍼 도어(41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오픈시킬 수 있다.
댐퍼 도어(412)는 테두리 부분이 댐퍼 케이스(411)와 접촉할 수 있도록 댐퍼 통과공(413)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되어, 제1 댐퍼 도어 댐퍼 도어(412)가 닫히는 경우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측에는 댐퍼 동작모터(414)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 동작모터(414)는 댐퍼 도어(412)이 회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댐퍼 동작모터(414)의 모터축은 댐퍼 도어(412)의 회전 힌지축과 축결합되어, 댐퍼 도어(4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유로개폐 모듈(400)의 댐퍼 도어(412)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즉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댐퍼 도어(412)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연통되는 방향으로는 댐퍼 도어(412)의 일 부분만이 노출되어 냉기에 취약한 사출물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댐퍼 도어(412)의 결빙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댐퍼 도어(412)는 제1 댐퍼 커버(421)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리며, 제1 댐퍼 커버(421)는 댐퍼 도어(412)가 열린 경우 댐퍼 도어(412)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댐퍼 커버 단차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커버 단차부(423)는 제1 댐퍼 커버(421)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 영역으로, 댐퍼 커버 단차부(423)를 통해서 일부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유로개폐 모듈(400)의 댐퍼 도어(412)가 열린 상태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댐퍼 도어(412)의 댐퍼 도어 회전축(412a)은 제1 댐퍼 커버(42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바, 댐퍼 도어(412)가 열리는 경우 제1 댐퍼 커버(421)에 인접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댐퍼 도어(412)와 제2 댐퍼 커버(422) 사이에 형성되는 제5 냉기 유로(435)로 유동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와 같은 제5 냉기 유로(435)뿐만 아니라 댐퍼 도어(412)와 댐퍼 커버 단차부(423) 사이에 형성되는 제6 냉기 유로(436)를 통해서도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할 수 있다.
댐퍼 커버 단차부(423)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댐퍼 커버(421)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기 때문에, 제6 냉기 유로(436)로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더욱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냉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유로개폐 모듈(400)의 댐퍼 도어(412)가 열린 상태에서 제상수(444)가 흘러내리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1은 도 16의 일부 영역 A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16도 추가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댐퍼(410)의 하측과 접촉하는 제2 댐퍼 커버(422)의 하부 영역은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4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으로 댐퍼(410)의 하측과 접촉하지 않는 제2 댐퍼 커버(422)의 하부 영역은,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4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에서 결빙이 발생한 경우 제상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제상수(444)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에 제상수(444)가 남아 있게 되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에서 다시 결빙될 수 있는 바, 최대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가 아닌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제상수(444)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경사면(441)이 형성될 수 있다.
댐퍼(410)의 일측 끝단부는 제1 경사면(441)의 시작점과 일치하거나 시작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댐퍼(410)에서 형성되는 제상수(444)는 제1 경사면(441)을 타고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 도어(412)는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댐퍼 도어(412) 부근에서 제상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발생되는 대부분의 제상수(444)는 제1 경사면(441)을 따라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경사면(441)을 따라 흘러내리는 제상수(444)는 댐퍼(41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경사면(442)을 따라서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경사면(442)의 시작점은 댐퍼(410)의 타측과 제2 댐퍼 커버(422)의 접촉 지점이 종료되는 지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경사면(442)의 시작점은 댐퍼(410)의 하부 영역과 중첩되는 지점일 수 있다.
특히 도 11과 도 16을 참조하면, 댐퍼(410)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댐퍼(410)의 하부 영역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410)의 하부와 접촉하는 제2 댐퍼 커버(422)의 하부 영역은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442)을 포함함으로써, 댐퍼(4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단차에 제상수(444)가 고이지 않고 제2 경사면(442)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42)은 제1 경사면(441)보다 상대적으로 긴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댐퍼(410)와 접촉하는 제1 경사면(441)의 반대편에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3 경사면(4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경사면(443)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경사면(441)을 통해서 배출되지 못하는 제상수(444)가 댐퍼(410)에 고이지 않고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상수(444)의 배출을 보조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는 제1 공급 덕트부(210)와 제2 공급 덕트부(220)가 결합됨에 따라, 내측으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에는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가 형성되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에는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가 형성되어,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는 유로개폐 모듈(400)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의 형상을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댐퍼 도어(412)가 습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1 발열부(231)와 제3 발열부(233)가 추가로 부착되고,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외측에는 제2 발열부(232)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발열부(231), 제2 발열부(232), 및 제3 발열부(233)는 제상 작업시 발열되는 히터일 수 있다.
제1 발열부(231), 제2 발열부(232), 및 제3 발열부(233)는 냉기의 유입구, 유로, 및 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제상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발열되어 결빙 구간을 제상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202)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204)에서 일측(203)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제1 하측 경사부(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 경사부(2121)는 앞서 설명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제1 경사벽(111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측 경사부(2121)도 냉기 처짐 방지 구조부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 및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서의 냉기 처짐 현상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의 하측(202)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204)에서 일측(203)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증가시키는 제2 하측 경사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측 경사부(2122)는 제1 하측 경사부(2121)보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20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측 경사부(2122)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에 형성되는 제상수가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구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의 상측(201)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203)에서 타측(204)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단턱부(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개폐 댐퍼(410)가 닫히게 되는 경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를 통해서 냉기가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41)의 습공기(240)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역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실(41)의 습공기(24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냉기 토출구(1141)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로 유입되는 습공기(240)는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의 상측(201)을 따라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240)가 유입되는 경로를 최대한 차단하기 위하여,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의 상측(201)에 단턱부(2123)를 형성하여 습공기(240)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지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와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 사이에는 공급 덕트 연결부(2130)가 배치되고, 공급 덕트 연결부(2130)의 상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상측 인입부(213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로 유입되는 냉기는 1차적으로 방지턱 구조의 기능을 하는 단턱부(2123)에서 유입이 방해되고, 2차적으로 방지턱 구조의 기능을 하는 상측 인입부(2131)에서 유입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덕트 연결부(2130)의 하측(202)은 내측으로 인입된 하측 인입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인입부(2132)는 제2 하측 경사부(2122)와 연결되어, 공급 덕트 연결부(2130)에 제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인입부(2131)와 하측 인입부(213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인입부(2131)와 하측 인입부(213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급 덕트 연결부(2130)를 지나는 냉기 유로의 폭이 특정 구간에서 매우 협소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인입부(2131)와 하측 인입부(213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냉기의 유동에 방해가 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204)에 형성된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는 그릴팬 냉기 유출구(3120)와 연통되며, 구체적으로 유로개폐 댐퍼(41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41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도어의 회전축(412a)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41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로 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댐퍼(410)가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상수가 경사진 단차에 고인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댐퍼(410)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세우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상수가 단차에 고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댐퍼(410)가 닫히는 경우에도 이미 유입된 냉기는 댐퍼(410)의 댐퍼 통과공(413)의 최하단에서부터 최상단까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공간을 냉기로 채우는 냉기 트랩(250)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에 냉기 트랩(250)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역류하는 습공기(240)가 냉기 트랩(250)에 갖히게 되어 습공기(240)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냉기 트랩(250)에 습공기(240)가 갖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은 상측 인입부(2131)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1차 방지턱 구조인 단턱부(2123)를 지나서 2차 방지턱 구조인 상측 인입부(2131)까지 유입된 습공기(240)가 상측 인입부(2131)를 통과하지 못하고 냉기 트랩(250) 내에 갖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인입부(2131)와 댐퍼(410) 사이의 공급 덕트 연결부(2130)의 상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측 돌출부(2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돌출부(2140)는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2차 방지턱 구조인 상측 인입부(2131)를 통과하고 냉기 트랩(250)까지도 통과한 습공기(240)를 상측 돌출부(2140)의 빈 돌출 공간으로 유동시켜, 댐퍼 통과공(413)에 의해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새로운 구조의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 새로운 구조의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및 새로운 구조와 배치 형태의 유로개폐 모듈(400)을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410)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2: 캐비닛
10: 외부 케이스
20a: 제1 도어
20b: 제2 도어
30: 내부 케이스
41: 냉장실
42: 냉동실
51: 수납부
52: 선반부
100: 유로 덕트 어셈블리
101: 상측
102: 하측
103: 일측
104: 타측
1000: 냉기 유로
1001: 제1 냉기 유로
1002: 제2 냉기 유로
1003: 제3 냉기 유로
1004: 제4 냉기 유로
1005: 제1 역류 냉기
1006: 제2 역류 냉기
110: 유로 덕트 몸체부
1110: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
1112: 하측벽
1112a: 제1 경사벽
1112b: 제2 경사벽
1113: 일측벽
1114: 타측벽
1120: 단차부
1130: 제1 냉기 가이드부
1131: 상측벽
1132: 하측벽
1133: 일측벽
1134: 타측벽
1135: 냉기 보조 가이드부
1135a: 제3 경사벽
1135b: 제4 경사벽
1141: 제1 냉기 토출구
1141a: 제1 냉기 보조 토출구
1142: 제2 냉기 토출구
1143: 제3 냉기 토출구
1150: 제2 냉기 가이드부
1151: 상측벽
1152: 하측벽
1153: 일측벽
1154: 타측벽
1155: 하측 연장부
1156: 곡면부
120: 제1 유로 덕트 단열부
130: 제2 유로 덕트 단열부
140: 제1 유로 덕트 커버
150: 제2 유로 덕트 커버
200: 공급 덕트 어셈블리
201: 상측
202: 하측
203: 일측
204: 타측
210: 제1 공급 덕트부
2110: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
2120: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
2121: 제1 하측 경사부
2122: 제2 하측 경사부
2123: 단턱부
2130: 공급 덕트 연결부
2140: 상측 돌출부
2131: 상측 인입부
2132: 하측 인입부
220: 제2 공급 덕트부
231: 제1 발열부
232: 제2 발열부
233: 제3 발열부
240: 습공기
250: 냉기 트랩
300: 그릴팬 어셈블리
310: 그릴팬
311: 냉동실 냉기 토출구
3120: 그릴팬 냉기 유출구
320: 쉬라우드
330: 팬모듈
340: 증발기
400: 유로개폐 모듈
410: 댐퍼
411: 댐퍼 케이스
412: 댐퍼 도어
412a: 댐퍼 도어 회전축
413: 댐퍼 통과공
414: 댐퍼 동작모터
415: 댐퍼 차단부
416: 댐퍼 열선
417: 댐퍼 장착 가이드부
420: 댐퍼 커버
421: 제1 댐퍼 커버
422: 제2 댐퍼 커버
423: 댐퍼 커버 단차부
435: 제5 냉기 유로
436: 제6 냉기 유로
441: 제1 경사면
442: 제2 경사면
443: 제3 경사면
444: 제상수

Claims (22)

  1. 냉동실;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배치된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배치된 그릴팬 어셈블리;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에 연통되어,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와 연통되도록 함몰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경사벽과 제2 경사벽을 포함하는 하측벽;
    상기 제1 경사벽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벽; 및
    상기 제2 경사벽의 타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벽; 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 경사벽은 상기 타측벽에 대향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상부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냉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일측벽인,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 냉기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 및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섬 형상으로 배치된 제2 냉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로 유동되는 제1 냉기 유로;
    상기 제1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상측벽 및 일측벽과,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일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제2 냉기 유로;
    상기 제2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냉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냉기 보조 토출구로 유동되는 제3 냉기 유로; 및
    상기 제2 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제4 냉기 유로; 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일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은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타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량보다 큰, 냉장고.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기 토출구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 및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냉장고.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기 가이드부의 상측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3 경사벽과 제4 경사벽을 포함하는 냉기 보조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경사벽은 상기 제3 경사벽보다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벽은 상기 제4 경사벽보다 더 긴 변의 길이를 갖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기 가이드부의 하측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하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기 유로가 지나는 상기 하측 연장부의 일측은 곡률 중심이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 방향에 있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은 상기 그릴팬 냉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제1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하측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증가시키는 제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측 경사부는 상기 제1 하측 경사부보다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타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의 상측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와 상기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 사이에는 공급 덕트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 연결부의 상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상측 인입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연결부의 하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하측 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인입부와 상기 하측 인입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는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을 포함하는 댐퍼 케이스;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 통과공을 개폐하는 댐퍼 도어; 및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 도어가 개폐되도록 작동시키는 댐퍼 동작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통과공의 최상단은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냉장고.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와 평행한, 냉장고.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개폐 모듈은 상기 댐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 커버와 제2 댐퍼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제1 댐퍼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리며,
    상기 제1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댐퍼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댐퍼 커버 단차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 댐퍼 도어와 상기 제2 댐퍼 커버 사이를 유동하는 제5 냉기 유로와 상기 댐퍼 도어와 상기 댐퍼 커버 단차부 사이를 유동하는 제6 냉기 유로로 유동하여 상기 댐퍼 통과공을 통과하는, 냉장고.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하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2 댐퍼 커버의 하부 영역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20025497A 2022-02-25 2022-02-25 냉장고 KR102640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97A KR102640347B1 (ko) 2022-02-25 2022-02-25 냉장고
EP23155534.3A EP4235065A1 (en) 2022-02-25 2023-02-08 Refrigerator
CN202310143345.1A CN116659156A (zh) 2022-02-25 2023-02-10 冰箱
US18/110,490 US20230304722A1 (en) 2022-02-25 2023-02-16 Refrigerator
AU2023201033A AU2023201033A1 (en) 2022-02-25 2023-02-22 Refrigerator
KR1020240024470A KR20240027658A (ko) 2022-02-25 2024-02-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97A KR102640347B1 (ko) 2022-02-25 2022-02-2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470A Division KR20240027658A (ko) 2022-02-25 2024-02-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781A true KR20230127781A (ko) 2023-09-01
KR102640347B1 KR102640347B1 (ko) 2024-02-23

Family

ID=852022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97A KR102640347B1 (ko) 2022-02-25 2022-02-25 냉장고
KR1020240024470A KR20240027658A (ko) 2022-02-25 2024-02-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470A KR20240027658A (ko) 2022-02-25 2024-02-2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04722A1 (ko)
EP (1) EP4235065A1 (ko)
KR (2) KR102640347B1 (ko)
CN (1) CN116659156A (ko)
AU (1) AU2023201033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58A (ko) * 1998-07-31 2000-02-15 구자홍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11510A (ko) * 2009-07-27 2011-02-0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70132631A (ko) *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덕트 어셈블리
KR20170133840A (ko) * 2016-05-26 201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132317A (ko) * 2017-06-02 201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53106A (ko) * 2018-11-08 2020-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07390A (ko) * 2019-03-07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6929A (ko) * 2019-02-01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2706B1 (pt) * 2005-07-12 2015-12-15 Multibrás S A Eletrodomésticos arranjo de insuflamento de ar em um refrigerador combinado
CN113494808B (zh) * 2020-04-01 2022-09-27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58A (ko) * 1998-07-31 2000-02-15 구자홍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11510A (ko) * 2009-07-27 2011-02-0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70132631A (ko) *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덕트 어셈블리
KR20170133840A (ko) * 2016-05-26 201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132317A (ko) * 2017-06-02 201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53106A (ko) * 2018-11-08 2020-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6929A (ko) * 2019-02-01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07390A (ko) * 2019-03-07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5065A1 (en) 2023-08-30
CN116659156A (zh) 2023-08-29
AU2023201033A1 (en) 2023-09-14
KR102640347B1 (ko) 2024-02-23
US20230304722A1 (en) 2023-09-28
KR20240027658A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325B1 (en) Refrigerator
US9157674B2 (en) Cabinet refrigerating system
KR102627719B1 (ko) 냉장고
EP2519793B1 (en) Refrigerator
TWI716636B (zh) 冰箱
WO2015029409A1 (ja) 冷蔵庫
KR20220124925A (ko) 냉장고
KR20230127781A (ko) 냉장고
AU2020346937B2 (en) Refrigerator
JP4281003B2 (ja) 冷蔵庫
EP2593734B1 (en) No-frost refrigerator
US20240035729A1 (en) Refrigerator
JP7364459B2 (ja) 冷蔵庫
WO2012007807A2 (en) Lighting system for refrigerators
KR101132554B1 (ko) 냉장고
US20230272962A1 (en) Refrigerator
CN215002489U (zh) 制冷设备的风道板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JP6975735B2 (ja) 冷蔵庫
CN219037247U (zh) 冷藏冷冻装置
US20230243573A1 (en) Refrigerator
KR100556794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7454458B2 (ja) 冷蔵庫
US20230243566A1 (en) Refrigerator
JP6955348B2 (ja) 冷蔵庫
JP6145642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