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794B1 -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794B1
KR100556794B1 KR1020040008159A KR20040008159A KR100556794B1 KR 100556794 B1 KR100556794 B1 KR 100556794B1 KR 1020040008159 A KR1020040008159 A KR 1020040008159A KR 20040008159 A KR20040008159 A KR 20040008159A KR 100556794 B1 KR100556794 B1 KR 10055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air duct
inlet
refrigerato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850A (ko
Inventor
김무열
채수남
오준환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9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25Finishing of the external surfaces
    • B65D2519/0083Anti-slip means
    • B65D2519/0084Separated elements, e.g. including in-moul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유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기유입로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와; 일측은 상기 냉기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장실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와; 상기 냉기유입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유입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냉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COOL AIR SUPPLY APPARATUS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실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냉장냉기덕트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부냉기덕트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댐퍼의 부분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댐퍼의 차단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댐퍼의 차단위치 및 부분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냉장고본체 13 : 격벽
15 : 냉기유입로 21 : 냉동실
24 : 순환유로 25 : 증발기
31 : 냉장실 61 : 상부냉기덕트
71 : 측부냉기덕트 81a : 댐퍼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냉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냉장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냉장냉기덕트의 정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각각 냉동실(21) 및 냉장실(31)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본체(11)와, 냉동실(21) 및 냉장실(31)의 각 전면개구를 회동 개폐하도록 냉장고본체(11)에 힌지결합되는 냉동실도어(23) 및 냉장실도어(33)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실(21)의 후방영역에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환유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순환유로(24)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증발기(25)가 설치되어 있다.
격벽(13)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31)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유입로(15)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영역에는 냉장실(31)의 공기가 순환유로(24)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31)의 내부 상부 후방영역에는 냉기유입로(15)와 상호 연통되게 일측에 냉기유입공(42)이 관통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냉기덕트(41)가 설치되어 있으며, 격벽(13)의 냉장실(31)의 개구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냉장실(31)의 좌우방향을 따라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냉기토출구(56a~56c)를 구비한 측부냉기덕트(51)가 매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냉기덕트(41)의 냉기유입공(42)영역에는 냉기유입로(15)를 통해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댐퍼(4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냉기덕트(41)에는 전면 및 저부에는 전방 및 하방으로 냉기를 각각 토출할 수 있도록 냉기토출구(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냉기덕트(41)의 저부 일측에는 냉기가 측부냉기덕트(51)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유로(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유로(45)의 말단에는 측부냉기덕트(51)의 유입측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냉동실도어(23) 및 냉장실도어(33)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저장물을 수납 지지하는 복수의 도어바스켓(27,37)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댐퍼(43)가 회동하여 냉기유입로(15)가 개방되면 냉동실로부터 냉기유입로(15)를 통해 냉기가 유입되고, 상부냉기덕트(41)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중 일부는 전면 및 저부에 형성된 냉기토출구(44)를 통해 냉장실(31)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각각 토출된다. 냉기중 일부는 유출유로(45)를 따라 유동하여 측부냉기덕트(51)로 유입되고, 측부냉기덕트(51)로 유입된 냉기는 각 냉기토출구(56a~56c)를 통해 냉장실(31)의 전방영역에 좌우방향을 따라 토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31)의 전방 개구영역은 상부냉기덕트(41)의 냉기토출구(44)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있어 냉기의 도달이 어렵고, 측부냉기덕트(51)는 상부냉기덕트(4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수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유입측이 상부냉기덕트(41)로 유입되는 냉기의 유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유출유로(45)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내부 냉기의 유동저항이 커지게 되어 냉장실(31)의 전방 개구영역은 냉장실도어(33)의 개방시 상대적으로 외기와의 접촉이 많고 측부냉기덕트(51)의 각 냉기토출구(56a~56c)를 통해 토출되는 실제 냉기량이 미흡하여 온도가 쉽게 상승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냉기덕트(41)는 저부에 측부냉기덕트(51)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유출유로(45)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냉기의 유입방향과 반대로 유출유로(45)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냉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냉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유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기유입로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와; 일측은 상기 냉기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장실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와; 상기 냉기유입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유입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냉기유입로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냉기유입로를 개방하는 전면개방위치와, 상기 냉기유입로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위치와, 상기 상부냉기덕트 및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중 어느 하나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댐퍼는 상기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부분개방위치시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는 상기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하류 측과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의 상류 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개방위치 시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는 상기 격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차단위치 시 상기 격벽에 대해 소정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냉기덕트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댐퍼의 부분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댐퍼의 차단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는, 냉기유입로(15)와 연통되게 냉장실(31)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61)와, 일측은 냉기유입로(15)와 연통되고 타측은 냉장실(31)의 전방 개구영역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격벽(13)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냉기덕트(61)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냉기유입로(15)와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유입구(62)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부냉기덕트(61)의 전면 및 저부면에는 전방 및 하방으로 냉기를 각각 토출할 수 있도록 냉기토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냉기덕트(71)는 격벽(13)의 두께방향을 따라 내부에 매입되어 냉기유입로(1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전방 영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하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영역에는 복수의 냉기토출구(75)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냉기유입로(15)의 내부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의 상류측에는 냉기유입로(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81a)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81a)는, 냉기유입로(15)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로 동시에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전면개방위치와,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가 차단되고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부분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1a)가 냉기유입로(15)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차단위치에 존재하게 되면,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는 동시에 차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1a)가 전면개방위치로 회동되면 순환유로(24)를 따라 유동되며 증발기(25)와 접촉되어 냉각된 냉기중 일부는 냉기유입로(15)를 따라 유동되고, 일부는 측부냉기덕트(71)를 따라 유동하여 측부냉기덕트(71)의 각 냉기토출구(75)를 통해 냉장실(31)의 전방영역에 좌우방향을 따라 토출된다. 냉기중 일부는 상부냉기덕트(61)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 냉기토출구(64)를 통해 상부냉기덕트(61)의 전방 및 하방으로 각각 토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1a)가 부분개방위치로 회동되면 증발기(2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기유입로(15)로 유입된 냉기는 측부냉기덕트(71)로 분산되지 아니하고 모두 유입구(62)를 통해 상부냉기덕트(61)의 내부로 유입되고, 각 냉기토출구(64)를 통해 전방 및 하방으로 토출됨으로써 냉장실(31)의 후방영역을 집중 냉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댐퍼의 차단위치 및 부분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는, 냉기유입로(15)와 연통되게 냉장실(31)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61)와, 일측은 냉기유입로(15)와 연통되고 타측은 냉장실(31)의 전방 개구영역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격벽(13)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71)와,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와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6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댐퍼(8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냉기유입로(15)의 하류영역에는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62)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냉기유입로(15)의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측 영역에는 댐퍼(81b)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한편,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와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62) 사이에는 댐퍼(81b)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댐퍼(81b)는, 냉기유입로(15)의 내벽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에 동시에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전면개방위치와, 냉기유입로(15)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로의 냉기 유입이 동시에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위치와,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와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62)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냉기덕트(61)의 유입구(62)는 차단 하고 측부냉기덕트(71)의 유입구(73)는 개방되도록 하는 부분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1b)가 차단위치에 있게 되면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에는 냉기유입이 차단되고, 댐퍼(81b)가 도 9에 도시된 전면개방위치로 회동되면 측부냉기덕트(71) 및 상부냉기덕트(61)로 동시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1b)가 부분개방위치로 회동되면 증발기(25)와 접촉되어 냉각되고 냉기유입로(15)로 유입된 냉기는 모두 측부냉기덕트(71)로 유입되어 각 냉기토출구(75)를 통해 토출되어 냉장실(31)의 전방영역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냉장실의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와, 일측은 냉기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격벽의 내부를 따라 냉장실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내부 냉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냉기유입로의 내부에 냉기유입로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측부냉기덕트 및 상부냉기덕트가 동시에 개방되는 전면개방위치와, 측부냉기덕트 및 상부냉기덕트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부분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댐퍼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의 전면 냉각 및 부분 집중 냉각이 가능한 냉장고의 냉기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유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상부영역에 상기 냉기유입로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상부냉기덕트와;
    일측은 상기 냉기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장실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에 배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측부냉기덕트와;
    상기 냉기유입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유입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냉기유입로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냉기유입로를 개방하는 전면개방위치와, 상기 냉기유입로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위치와, 상기 상부냉기덕트 및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중 어느 하나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부분개방위치시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하류 측과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의 상류 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분개방위치 시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냉기덕트의 유입구는 상기 격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냉기덕트의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차단위치 시 상기 격벽에 대해 소정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020040008159A 2004-02-07 2004-02-07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0055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59A KR100556794B1 (ko) 2004-02-07 2004-02-07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59A KR100556794B1 (ko) 2004-02-07 2004-02-07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850A KR20050079850A (ko) 2005-08-11
KR100556794B1 true KR100556794B1 (ko) 2006-03-10

Family

ID=3726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59A KR100556794B1 (ko) 2004-02-07 2004-02-07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94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94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850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2627719B1 (ko) 냉장고
KR0170697B1 (ko) 냉장고 및 냉기 토출 방향 제어에 의한 그 온도 제어 방법
KR20110098413A (ko) 냉장고
KR10044677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US10775093B2 (en) Refrigerator
KR102483212B1 (ko) 냉장고
KR100797155B1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KR20130016987A (ko) 냉각 선반이 장착된 냉장고
KR100556794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0207421Y1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KR20000016404U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KR102279053B1 (ko) 냉장고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585689B1 (ko) 덕트팬을 구비한 냉장고
KR102640347B1 (ko) 냉장고
KR101203993B1 (ko) 냉장고
KR100556793B1 (ko) 냉장고의 측부냉기덕트
KR100366528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구조
KR100517944B1 (ko) 횡방향 냉기토출형 냉장고
KR200184118Y1 (ko) 냉장고의 냉기유로 연결구조
KR20090002506U (ko) 냉장고
KR1002354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120072775A (ko)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장고
KR20230116577A (ko) 냉장고용 그릴팬 어셈블리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