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194A -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194A
KR20230127194A KR1020230110844A KR20230110844A KR20230127194A KR 20230127194 A KR20230127194 A KR 20230127194A KR 1020230110844 A KR1020230110844 A KR 1020230110844A KR 20230110844 A KR20230110844 A KR 20230110844A KR 20230127194 A KR20230127194 A KR 2023012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ip
contact
sealing member
fram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철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3011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194A/ko
Publication of KR2023012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194A/ko
Priority to KR1020240039370A priority patent/KR20240040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16C33/782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 F16C33/7823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of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0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 F16C33/780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for spherical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휠 베어링 조립체에 사용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외륜부와 내륜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장치가 제공된다. 실링 장치는 외륜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내륜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및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로부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lip)을 포함하는 제1 실링 부재, 제2 프레임의 축 방향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실링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립은 비접촉 립보다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SEALING DEVICE AND WHEEL BEARING ASSEMBLY}
본 개시는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회전하는 요소와 회전하지 않는 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요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체에 휠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킴으로써,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휠 베어링 조립체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베어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회전 요소는 엔진에서 발생하여 변속기를 통과한 토크에 의하여,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비회전 요소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의 사이에는 전동 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나, 회전 요소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 장치의 일 부분은 회전 효소에 결합되고, 타 부분은 비회전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 장치는 접촉 방식 또는 비접촉 방식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접촉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발열 또는 마모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접촉 방식을 사용하는 밀봉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저토크(마찰 저감) 및 실링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접촉식 립(lip)이 비접촉식 립에 대하여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사용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외륜부와 내륜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장치에 있어서, 외륜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내륜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로부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lip)을 포함하는 제1 실링 부재; 및 제2 프레임의 축 방향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실링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접촉 립은 비접촉 립보다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은 외륜부에 압입되는 제1 원통부 및 제1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은 내륜부에 압입되는 제2 원통부 및 제2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접촉 립은 제2 플랜지부와 제1 간섭량을 갖도록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립은, 제1 결합부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접촉 립 부; 및 제1 접촉 립 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선단이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제2 접촉 립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립은,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 비접촉 립 부; 및 제1 비접촉 립 부보다 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크도록 제1 비접촉 립 부로부터 연장된 제2 비접촉 립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립은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간섭량은 0.05mm 내지 0.4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링 부재는 제1 결합부로부터 제2 원통부를 향하여 연장된 래디얼 립을 더 포함하고, 래디얼 립은 제2 원통부와 제2 간섭량을 갖도록 제2 원통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간섭량은 0.1 mm 내지 0.3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부착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부에는 경 방향으로 제2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고, 제2 실링 부재는 개구에 충진되어 제2 결합부와 엔코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립은,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사출물로부터 엔코더가 사출될 때, 사출물이 개구를 통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장치는 외륜부와 내륜부가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제1 간섭량은 부압에 의하여 감소하고,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 공기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 압력이 휠 베어링 조립체의 외부 압력보다 크게 됨에 따라, 접촉 립과 제2 플랜지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코더는 제2 실링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현가 장치에 결합되는 외륜; 외륜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휠 허브; 휠 허브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외륜과 휠 허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전동체 및 외륜 및 내륜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전동체를 포함하는 구름 장치; 및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장치를 포함하고, 실링 장치는, 외륜에 압입되는 제1 원통부 및 제1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내륜에 압입되는 제2 원통부 및 제2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로부터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1 실링 부재; 및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립은 제1 결합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비접촉 립은 제2 결합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접촉 립은 비접촉 립보다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레임은 제2 플랜지부의 경 방향 외측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링 부재는,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부착되는 엔코더; 및 엔코더의 경 방향 외측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촉식 립이 비접촉식 립에 대하여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므로 마찰 토크를 감소시키면서도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륜부에 장착되는 제2 프레임으로부터 비접촉식 립이 연장되므로 래비린스(labyrinth) 경로를 형성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촉 립 및 래디얼 립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섭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링 장치의 제2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축 방향(R)"은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 축(rotational axis)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경 방향"은 회전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은 축 방향(R)을 중심으로 축 방향(R)을 감싸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축 방향은 간단히 "축 방향(R)"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화살표 "OA"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축 방향(R)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휠 허브에 대해 차륜이 배치되는 축 방향 외측(outboard)을 가리키고, 화살표 "IA"는 "OA"의 반대 방향으로서 휠 허브에 대해 너클이 배치되는 축 방향 내측(inboard)을 가리킨다. 또한, 화살표 "OR"은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경 방향 외측을 가리키고, 화살표 "IR"는 OR의 반대 방향인 경 방향 내측을 가리킨다.
본 개시에서, "간섭량"은 양 부재 사이에 겹치는 크기(또는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립과 프레임의 간섭량은 해당 립과 해당 프레임 사이에 겹치는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립은 프레임과 접촉 시 외력 및 탄성에 의하여 구부러지기 때문에, 실링 장치가 내륜과 외륜 사이에 설치된 실제의 상태에서 립과 프레임이 물리적으로 서로 겹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외력 및 탄성에 의해서 립이 구부러지지 않는 가정의 상황 하에서, 해당 립이 프레임과 겹치는 것을 가정한다면, 그 겹치는 크기, 즉 립의 선단이 프레임의 단면을 넘어서는 크기가 립과 프레임의 "간섭량"으로서 정의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휠 베어링 조립체(1)는 차량의 현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휠(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어 현가 장치에 대하여 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1)는 축 방향(R)을 중심으로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베어링 조립체(1)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휠 베어링 조립체(1)는 휠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장치(40), 실링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 장치는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축 방향 내측(IA)에 배치될 수 있고, 차륜은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축 방향 외측(O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일 측에는 차체가 위치될 수 있고,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타 측에는 지면이 위치될 수 있다.
휠 허브(10)는 축 방향(R)으로 연장하는 원통부(13)와 원통부(13)로부터 경 방향 외측(OR)로 연장하는 허브 플랜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13)의 중앙 부분에는 축 방향(R)으로 관통된 중공(13a)이 형성될 수 있다. 허브 플랜지(12)에는 축 방향(R)으로 관통되고 휠 볼트(51)가 결합될 수 있다. 원통부(13)의 축 방향 내측(IA) 단부에는 경 방향 외측(OR)으로 구부러진 오비탈 포밍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부(13)의 축 방향 외측(OA) 단부에는 휠(미도시)이 안착되는 휠 가이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내륜(20)은 원통부(13)의 외주면 상에 압입되어, 원통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륜(20)은 휠 허브(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내륜(20)은 휠 허브(10)보다 강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허브(10)의 축 방향 내측(IA)에 형성된 내륜 안착부(13b)에 내륜(20)이 압입될 수 있다.
외륜(30)은 휠 허브(10) 및 내륜(20)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륜(30)은 현가 장치(미도시)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외륜(30)은 비회전 요소로 제공될 수 있고, 현가 장치의 일 측에 결합된 후에는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륜(30)은, 예를 들어 현가 장치의 너클 암(53)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외륜(30)은 축 방향(R)으로 연장하는 제1 원통부(32), 제1 원통부(32)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연장하는 외륜 플랜지(31) 및 제1 원통부(32)로부터 축 방향 내측(IA)으로 연장하는 제2 원통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너클 볼트(52)는 외륜 플랜지(31)와 너클 암(53)을 관통하여, 외륜(30)과 너클 암(53)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원통부(33)의 내주면과 내륜(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실링 장치(100)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름 장치(40)는 외륜(30)과 휠 허브(1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전동체(41) 및 외륜(30)과 내륜(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전동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 장치(40)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동체(41, 42)를 수용하는 리테이너(retainer)(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동체(41)의 일 부분은 경 방향 외측(OR)에서 외륜(30)과 접촉하여 구를 수 있고, 제1 전동체(41)의 타 부분은 경 방향 내측(IR)에서 휠 허브(10)와 접촉하여 구를 수 있다. 또한, 제2 전동체(42)의 일 부분은 경 방향 외측(OR)에서 외륜(30)과 접촉하여 구를 수 있고, 제2 전동체(42)의 타 부분은 경 방향 내측(IR)에서 내륜(20)과 접촉하여 구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름 장치(40)는 2열의 전동체를 포함하나, 휠 베어링 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3열 이상의 전동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2열 이상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구름 장치(40)가 일체로 회전하는 휠 허브(10) 및 내륜(20)의 두 지점 이상을 지지하므로, 휠 허브(10) 및 내륜(20)은 외륜(3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링 장치(100)는 외륜(3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장치부(100A) 및 내륜(2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장치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장치부(100A)는 외륜(30)의 내주면(30a)에 압입되는 제1 프레임(110) 및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장치부(100B)는 내륜(20)의 외주면(20a)에 압입되는 제2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외륜(30)에 압입되는 제1 원통부(111) 및 제1 원통부(111)로부터 경 방향 내측(IR)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111)의 외주면은 외륜(30)의 내주면(30a)에 압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0)은 내륜(20)에 압입되는 제2 원통부(131) 및 제2 원통부(131)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부(131)의 내주면은 내륜(20)의 외주면(20a)에 압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30)은 단면 방향에서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20)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122) 및 제1 결합부(122)의 경 방향 외측(OR)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OA)으로 연장된 원통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121)는 제1 원통부(111)의 내주면 및 축 방향 내측(IA) 단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20)는 제1 결합부(122)로부터 제2 플랜지부(132)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립(123)은 제2 플랜지부(132)와 소정의 간섭량을 갖도록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 부재(120)는 제1 결합부(122)의 경 방향 내측(IR) 선단으로부터 제2 원통부(131)를 향하여 연장된 래디얼 립(radial lip)(125)을 포함할 수 있다. 래디얼 립(125)은 제2 원통부(131)와 소정의 간섭량을 갖도록 접촉할 수 있다.
접촉 립(123)은 제1 결합부(122)로부터 축 방향 내측(IA)으로 연장된 제1 접촉 립 부(123a) 및 제1 접촉 립 부(123a)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선단(123c)이 제2 플랜지부(132)와 접촉하는 제2 접촉 립 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촉 립 부(123a)와 제2 접촉 립 부(123b) 사이에 이물질이 고이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내륜(20)이 회전된 후에, 이물질이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140)는 제2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외측(OR) 단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143) 및 제2 결합부(143)로부터 제1 실링 부재(120)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144)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 립(144)은 제1 실링 부재(12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1 실링 부재(12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비접촉 립(144)은 제2 결합부(143)로부터 제1 결합부(122)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OR)으로 경사도록 연장된 제1 비접촉 립 부(144a) 및 제1 비접촉 립 부(144a)보다 축 방향(R)과 이루는 각도가 크도록 제1 비접촉 립 부(144a)로부터 연장된 제2 비접촉 립 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비접촉 립 부(144b)는 제1 비접촉 립 부(144a)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140)는 제2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내측(IA) 선단면에 결합되는 엔코더(141)를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141)는 링 형상을 가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자극이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141)에는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치되고,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지는 자극 쌍이 복수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엔코더(141)가 내륜(20)과 함께 1회전하면, 엔코더(141)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이 주기를 가지고 변한다.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외부에 위치한 휠 센서(미도시)는 이러한 주기에 따른 펄스 형태의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내륜(20)의 회전각도,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 립(123)은 비접촉 립(144)보다 경 방향 외측(OR)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유입은 접촉 립(123)에 의하여 1차로 차단될 수 있다. 만일, 접촉 립(123)에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하여 상기 이물질이 접촉 립(123)을 통과하여 접촉 립(123)과 비접촉 립(14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 되더라도, 비접촉 립(144)에 의하여 이물질의 유입이 2차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래디얼 립(125)에 의하여 이물질의 유입이 3차로 차단되므로, 실링 장치(100)의 실링 성능을 극대화될 수 있다.
실링면(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원통부(121)와 절곡 립(142) 사이의 개구)과 가까운 최외각 립이 비접촉으로 형성될 경우,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을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에서는,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링면와 가까운 위치에 접촉 립(123)을 배치하고, 저토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접촉 립(123)보다 축 방향(R)에 가까운 위치에 연결부(124)와 비접촉하는 비접촉 립(144)을 배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가짐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에서는, 접촉식 립(123)을 통해 실링성이 확보되고 비접촉 립(144)을 통해 마찰이 저감되므로, 실링성과 저토크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엔코더(141)는 엔코더(141)의 경 방향 외측(OR)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OA)으로 구부러진 절곡 립(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 립(142)과 제1 실링 부재(120) 사이에는 제1 래비린스(LB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 립(142)의 외주면과 원통부(1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미소 간극이 형성되고, 절곡 립 (142)의 선단과 제1 실링 부재(120)의 코너부(113)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미소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 립(144)과 제1 실링 부재(120) 사이에는 제2 래비린스(LB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비접촉 립 부(144b)의 선단과 제1 접촉 립 부(123a)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미소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 부재(120)의 연결부(124)와 제2 비접촉 립 부(144b)의 축 방향 외측(OA) 단면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미소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20)는 고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20)는 고무 재료로부터 제1 프레임(110)에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결합부(143) 및 비접촉 립(144)은 제1 실링 부재(120)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43) 및 비접촉 립(144)과 엔코더(141)는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제2 프레임(130)에 각각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141)와 제2 실링 부재(140)는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41)는 제1 실링 부재(120)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부(143) 및 비접촉 립(144)은 엔코더(14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결합부(122)와 접촉 립(123) 사이에는 이물질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는 제1 홈(1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43)와 비접록 립(144) 사이에는 제2 홈(1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231) 및 제2 홈(1441)은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1231) 및 제2 홈(1441)이 축 방향(R)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이물질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1231) 및 제2 홈(1441)이 축 방향(R)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실링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실링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 되더라도, 내륜(20)의 회전에 의하여 횔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촉 립(123) 및 래디얼 립(125)과 제2 프레임(130) 사이의 간섭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접촉 립(123)과 제2 플랜지부(132) 사이의 간섭량이 증가할수록 밀봉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마찰 토크의 증가 및 발열 문제로 접촉 립(123)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으로 접촉 립(123)과 제2 플랜지부(132) 사이의 간섭량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접촉 립(123)은 제2 플랜지부(132)와 제1 간섭량(IF1)을 갖도록 제2 플랜지부(132)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섭량(IF1)은 0.05mm 내지 0.4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촉 립(123)과 제2 플랜지부(132) 사이의 마찰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간섭량(IF1)을 작게 설정하더라도, 비접촉 립(144) 및 래디얼 립(125)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실링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링 성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1 간섭량(IF1)은 0.6mm 내지 0.7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a)를 참고하면, 실링 장치(100)는 외륜(30)과 내륜(20)이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제1 간섭량(IF1)은 부압에 의하여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부압에 의하여 접촉 립(123)이 경 방향 외측(OR)로 들어올려지며, 실질적으로 축 방향 외측(OA)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내부 공기는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내부 압력이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외부 압력보다 크게 됨에 따라, 접촉 립(123)과 제2 플랜지부 사이(132)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홈(1441)에 저장된 이물질 중에서 크기가 작은 입자 또는 수분은 접촉 립(123)과 제2 플랜지부 사이(132)를 통과하여 실링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래디얼 립(125)은 제2 원통부(131)와 제2 간섭량(IF2)을 갖도록 제2 원통부(131)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간섭량(IF2)은 0.1 mm 내지 0.3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래디얼 립(125)과 제2 원통부(131)사이의 마찰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 장치(200)는 외륜(3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장치부(200A) 및 내륜(2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장치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장치부(200A)는 외륜(30)의 내주면(30a)에 압입되는 제1 프레임(210) 및 제1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장치부(200B)는 내륜(20)의 외주면(20a)에 압입되는 제2 프레임(230) 및 제2 프레임(23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은 제1 원통부(211) 및 제1 원통부(211)로부터 경 방향 내측(IR)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30)은 제2 원통부(231) 및 제2 원통부(231)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20)는 제1 결합부(222)로부터 제2 플랜지부(232)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40)는 제2 플랜지부(232)의 축 방향 외측(OR) 단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243) 및 제2 결합부(243)로부터 제1 실링 부재(220)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232)에는 경 방향으로 제2 결합부(24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33)는 제2 플랜지부(2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링 부재(240)는 개구(233)에 충진되어 제2 결합부(243)와 엔코더(24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40)는 사출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엔코더(241)와 비접촉 립(244)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립(244)은 제2 플랜지부(232)의 축 방향 내측(IA) 단면에 사출물로부터 상기 엔코더(241)가 사출될 때 사출물이 상기 개구(233)를 통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링 부재(240)의 제2 결합부(243) 및 엔코더(241)는 제2 플랜지부(232)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R) 양측 단면에 형성되므로, 제2 실링 부재(240)가 제2 플랜지부(2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링 장치(200)의 제2 프레임(2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프레임(230)의 제2 원통부(231)와 제2 플랜지부(232)는 서로 수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부(232)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33)를 통해 제2 결합부(243)와 엔코더(24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233)는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40)가 제조될 때, 먼저 제2 플랜지부(232)의 축 방향 내측(IA) 단면에 사출물이 사출된다. 다음으로, 사출물은 엔코더(241) 및 절곡 립(242)을 형성하고 개구(233)를 통해 축 방향 외측(OA) 단면으로 빠져나와서 제2 결합부(243)와 비접촉 립(24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축 방향 외측(OA)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243)와 비접촉 립(244)의 부분은, 둘레 방향으로 퍼져나가면서 하나의 환상을 이루도록 합쳐지게 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 장치(300)는 외륜(3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장치부(300A) 및 내륜(2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장치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장치부(300A)는 외륜(30)의 내주면(30a)에 압입되는 제1 프레임(310) 및 제1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장치부(300B)는 내륜(20)의 외주면(20a)에 압입되는 제2 프레임(330) 및 제2 프레임(33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은 제1 원통부(311) 및 제1 원통부(311)로부터 경 방향 내측(IR)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30)은 제2 원통부(331) 및 제2 원통부(331)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320)는 제1 결합부(322)로부터 제2 플랜지부(332)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340)는 제2 플랜지부(332)의 축 방향 외측(OR) 단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343) 및 제2 결합부(343)로부터 제1 실링 부재(320)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3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30)은 제2 플랜지부(332)의 경 방향 외측(OR)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OA)으로 구부러진 절곡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334)는 축 방향(R)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거나, 축 방향(R)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340)는, 제2 플랜지부(332)의 축 방향 내측(IA) 단면에 부착되는 엔코더(341) 및 엔코더(341)의 경 방향 외측(OA)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 실링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 실링부(342)는 절곡부(334)의 외주면 및 축 방향 외측(OA) 단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 실링부(342)의 외주면과 제1 실링 부재(320)의 원통부(321)의 내주면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 실링부(342)와 원통부(321) 사이에는 래비린스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344)가 절곡 실링부(342)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고,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절곡 실링부(342)가 잘 휘게 되지 않으므로, 실링 장치(30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 장치(400)는 외륜(3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장치부(400A) 및 내륜(2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장치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장치부(400A)는 외륜(30)의 내주면(30a)에 압입되는 제1 프레임(410) 및 제1 프레임(410)에 결합되는 제1 실링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장치부(200B)는 내륜(20)의 외주면(20a)에 압입되는 제2 프레임(430) 및 제2 프레임(430)에 결합되는 제2 실링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410)은 제1 원통부(411) 및 제1 원통부(411)로부터 경 방향 내측(IR)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30)은 제2 원통부(431) 및 제2 원통부(431)로부터 경 방향 외측(OR)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420)는 제1 결합부(422)로부터 제2 플랜지부(432)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4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440)는 제2 플랜지부(432)의 축 방향 외측(OR) 단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443) 및 제2 결합부(443)로부터 제1 실링 부재(420)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444)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립 (423)은 제1 결합부(422)로부터 제2 플랜지부(432)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OR)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접촉 립(423)은 제1 길이 방향(L1)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 방향(L1)은 축 방향(R)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립(423)의 형상을 단순화 하는 경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비접촉 립(444)은 제2 결합부(443)로부터 연결부(424)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OR)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비접촉 립(444)은 제2 길이 방향(L2)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길이 방향(L2)은 축 방향(R)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43) 및 비접촉 립(444)은 엔코더(44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엔코더(441)는 고무 자석(rubber magnetic)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고무 자석 재료의 성형성은 일반적인 고무 재료의 성형성보다 다소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 립(444)을 제2 길이 방향(L2)에 따라 성형하는 경우, 고무 자석 재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다른 방식의 래비린스 시일의 구조는, 비접촉 립이 축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 및 힘을 저하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이물질의 휠 베어링 조립체 내부로의 최종 유입을 축 방향 내측에 형성된 접촉 립에 의하여 차단시킬 수 있으나, 이는 실링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퇴적에 의하여 접촉 립이 손상되거나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는, 접촉 립이 비접촉 립보다 축 방향 외측에 설치되므로 실링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립과 비접촉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므로, 접촉 립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과 비접촉 립이 형성하는 저장 공간이 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 최하단에 형성되는 래디얼 립의 간섭량을 최소로 적용하여 실링 성능과 드래그(Drag) 성능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휠 베어링 조립체
10: 휠 허브
20: 내륜
30: 외륜
40: 구름 장치
51: 휠 볼트
52: 너클 볼트
53: 너클 암
100, 200, 300, 400: 실링 장치

Claims (13)

  1. 휠 베어링 조립체에 사용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외륜부와 내륜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륜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내륜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lip)을 포함하는 제1 실링 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축 방향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실링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립은 상기 비접촉 립보다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외륜부에 압입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내륜부에 압입되는 제2 원통부 및 상기 제2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부착되는 엔코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엔코더의 경 방향 외측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 및 축 방향 외측 단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절곡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절곡 실링부와 상기 제1 실링 부재 사이 및 상기 비접촉 립과 상기 제1 실링 부재 사이에 각각 제1 래비린스 경로 및 제2 래비린스 경로가 형성되는,
    실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립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접촉 립 부; 및
    상기 제1 접촉 립 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선단이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제2 접촉 립 부를 포함하는,
    실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립은,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 비접촉 립 부; 및
    상기 제1 비접촉 립 부보다 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크도록 상기 제1 비접촉 립 부로부터 연장된 제2 비접촉 립 부를 포함하는,
    실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립은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실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립은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제1 간섭량을 갖도록 상기 제2 플랜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간섭량은 0.05mm 내지 0.4mm의 크기를 갖는,
    실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 원통부를 향하여 연장된 래디얼 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디얼 립은 상기 제2 원통부와 제2 간섭량을 갖도록 상기 제2 원통부와 접촉하는,
    실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섭량은 0.1 mm 내지 0.3mm의 크기를 갖는,
    실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개구에 충진되어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엔코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실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립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사출물로부터 상기 엔코더가 사출될 때, 상기 사출물이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실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제2 실링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와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실링 장치.
  11. 차량의 현가 장치에 결합되는 외륜;
    상기 외륜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휠 허브;
    상기 휠 허브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는 내륜;
    상기 외륜과 상기 휠 허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전동체 및 상기 외륜 및 상기 내륜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전동체를 포함하는 구름 장치;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장치는,
    상기 외륜에 압입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내륜에 압입되는 제2 원통부 및 상기 제2 원통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1 실링 부재; 및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제1 결합부를 향하여 연장된 비접촉 립을 포함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립은 상기 비접촉 립보다 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내측 단면에 부착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의 경 방향 외측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 및 축 방향 외측 단면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절곡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절곡 실링부와 상기 제1 실링 부재 사이 및 상기 비접촉 립과 상기 제1 실링 부재 사이에 각각 제1 래비린스 경로 및 제2 래비린스 경로가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립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 립은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경 방향 외측 선단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 실링부는 상기 절곡부의 외주면 및 축 방향 외측 단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230110844A 2018-11-06 2023-08-23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2023012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844A KR20230127194A (ko) 2018-11-06 2023-08-23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240039370A KR20240040714A (ko) 2018-11-06 2024-03-21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24A KR20200052168A (ko) 2018-11-06 2018-11-06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230110844A KR20230127194A (ko) 2018-11-06 2023-08-23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24A Division KR20200052168A (ko) 2018-11-06 2018-11-06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9370A Division KR20240040714A (ko) 2018-11-06 2024-03-21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194A true KR20230127194A (ko) 2023-08-31

Family

ID=707370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24A KR20200052168A (ko) 2018-11-06 2018-11-06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230110844A KR20230127194A (ko) 2018-11-06 2023-08-23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240039370A KR20240040714A (ko) 2018-11-06 2024-03-21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24A KR20200052168A (ko) 2018-11-06 2018-11-06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9370A KR20240040714A (ko) 2018-11-06 2024-03-21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000521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8093A (zh) * 2022-07-28 2022-11-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轴承的密封装置、轴承、轮毂及车辆
KR20240025883A (ko) * 2022-08-19 2024-02-27 에스티엠(주) 휠 베어링의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68A (ko) 2020-05-14
KR20240040714A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7194A (ko) 실링 장치 및 휠 베어링 조립체
CN202935090U (zh) 车轮用旋转支承装置
JP6111740B2 (ja)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WO2014185458A1 (ja) 組み合わせシールリング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CN210978234U (zh) 带密封装置的轮毂单元轴承
JP2004060751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8151174A (ja) 密封装置
KR101826200B1 (ko) 슬링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383275B1 (ko) 실링부재를 구비한 휠베어링
KR101348707B1 (ko)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JP2013092206A (ja) シール付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US2021014054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aling member and mold therefor
JP5459012B2 (ja) 密封装置、密封装置を備える転がり軸受及びハブユニット軸受
JP5708403B2 (ja) 軸受用密封装置
KR102490078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595560B1 (ko) 엔코더 씰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KR102525228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WO2021059626A1 (ja) 密封装置
KR20220136808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1280616B1 (ko) 베어링의 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JP7119992B2 (ja) ハブユニット軸受
JP2002061660A (ja)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12087901A (ja) 密封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装置
US20210115973A1 (en) Sealing device
CN112324805A (zh)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