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844A -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844A
KR20230126844A KR1020220024139A KR20220024139A KR20230126844A KR 20230126844 A KR20230126844 A KR 20230126844A KR 1020220024139 A KR1020220024139 A KR 1020220024139A KR 20220024139 A KR20220024139 A KR 20220024139A KR 20230126844 A KR20230126844 A KR 2023012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terminal
image processing
key
updated
comm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원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2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844A/ko
Publication of KR2023012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따라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리모콘으로부터 동일한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될 지라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명령 정보인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HOW TO UPGRADE SOFTWARE ACCORDING TO FORCE INPUT}
본 발명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 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 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의 버튼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버튼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물리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화된 버튼의 개수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096호 (공개일 : 2015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물리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화된 버튼의 개수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따라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리모콘으로부터 동일한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될 지라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명령 정보인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이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동일한 force 입력에 대하여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따라 force입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에 대하여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내비 키, 기능 키 및 결정 키 중 하나에 해당하는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동작된 키와 다른 키에 해당하는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이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동일한 force 입력에 대하여 상기 동작된 키와 다른 키에 해당하는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되지 않는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서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에서의 다른 기능,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매칭시키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공되는 동일한 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들에 대하여 다른 기능,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이 리모콘의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은,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동일한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될 지라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명령 정보인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이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동일한 force 입력에 대하여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물리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화된 버튼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 이미지 처리 단말(200) 및 서버(300),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4)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이므로,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로 언급될 수 있다.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200)을 제어(하드웨어 제어와 소프트웨어 제어를 포함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상기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서 각 감지 레벨별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키의 '감지 레벨'은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키를 누르는(터치하는) 세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리모콘(100)의 키를 3차원 좌표와 매칭시킬 수 있다.
3차원 좌표를 (x, y, z)라고 하면, '감지 레벨'은 키의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 즉, z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감지 레벨'은 터치되는 면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3차원 좌표에서 (x, y) 좌표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은 z축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좌표 (x, y, z)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리모콘(100)에서 선택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을 표현하는 방법은 (x, y, z)로 표현하는 방법 외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감지 레벨의 판단'은 상기 3차원 좌표 중 z축의 값, 즉,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세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특정 감지 레벨로 키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해당 키의 좌표(x, y,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이하 'C(x, y, z)'로 표현함)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z축 값, 즉, 사용자가 해당 키를 누르는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 미만이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이를 일반적 입력인 'normal 입력'으로 판단하고, z축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이면 추가적인 세기나 면적을 가지고 키를 선택하는 'force 입력'으로 판단하여, 동일한 키에 대해서 사용자가 누르는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100)의 키는 돔 키(dome key)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현된 키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일 수도 있다.
한편, 리모콘(10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종래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물리적 키를 리모콘(100)에 추가하고, 리모콘(1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에서도 리모콘(100)에 새롭게 추가된 키의 제어 신호를 위한 소프트웨어적 변경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리모콘(100)의 설계와 금형 등 제조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인 수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비용은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만일, 리모콘(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한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고,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필요에 따라 변경한다면, 리모콘(100)의 제한된 개수의 키를 이용하여 별도의 물리적 키의 추가 없이도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의 특정 키에 해당하는 A 기능이 최근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에서 해당 키의 제어 신호를 수신 시, A 기능이 아닌 최신의 B 기능이 수행되도록 해당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변경하면 되는 것이다.
즉, 리모콘(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동일한 키의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지만,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기존의 A 기능이 아닌 B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 박스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이미지 처리와 관련되는 기기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자체일 수도 있고, 셋탑 박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TV일 수도 있다.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제어 신호 C(x, y, z)를 수신하고, 좌표 값에 기초하여 해당 키의 감지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force 입력이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태스크(task)의 종류와 키의 식별자 및 해당 키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엔티티(entity)를 변경시키거나 콘텐츠의 장면을 전환하는 등 해당 키의 동작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엔티티(entity)'는 메뉴, 버튼, 실행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엔티티의 변경'은 상기 엔티티의 종류, 사이즈, 개수 및 상기 사이즈 또는 개수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배열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의 장면 전환'은 콘텐츠의 상세 화면 표시, 현재 선택된 콘텐츠의 미리 보기 및 최근 이용한 콘텐츠의 제공 등에 의해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 전체 또는 일 부분이 전혀 다른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의 각 키에 대한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의 제어 명령을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되는 정보(이하,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라 칭함)는 각 키의 식별자와 태스크(task)의 종류(작업 내용)에 따른 각 키의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 시 수행되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으로부터 특정 키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키의 감지 레벨을 판단하며, 현재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태스크의 종류와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식별자 그리고 판단된 감지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로부터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참고로, 현재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태스크의 종류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가 제공되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 경우, 리모콘(100)은 동일한 키의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업데이트되기 전의 제어 명령과는 다른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화면을 통해 업데이트된 정보들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100)으로부터 업데이트된 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해당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실행하기 전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키의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키의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변경)된 모든 키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된 키가 선택될 때만 해당 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서버(300)는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 및 그와 호환되는 리모콘(100)의 종류별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요청에 따라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나 리모콘(100)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리모콘(100)은 예를 들어 터치 좌표만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이 때, 리모콘(100)의 특정 키에 대하여 동일한 force 입력이 입력되고 이에 대한 터치 좌표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을 다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아질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서버(300)로부터 다운받아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장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장치가 이미지 처리 단말(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업데이트 파일이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다운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업데이트는 전체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리모콘(100)의 키와 관련된 부분만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은 바디(110), 바디(110) 상에 형성되며 상하좌우 방향 키와 관련된 내비 키(navi key)(120), esc 키, 홈(home) 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 키(130) 및 ok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 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리모콘(100)에는 다양한 키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키들은 내비 키(120), 기능 키(130) 및 결정 키(140)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2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200), 예를 들어 TV의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2개 이상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100)은 손가락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키를 누르는 세기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100)은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세기에 따른 3차원 좌표 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 C(x, y, z)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normal 입력으로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내비 키(120)를 누르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1)를 가지는 제어 신호(C1)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즉, force 입력으로 동일한 내비 키(120)를 누르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2)를 가지는 제어 신호(C2)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제어 신호(C1 또는 C2)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제 1 제어 신호(C1)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제어 신호(C2)에 따라 추천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키를 누르는 세기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서, 동일한 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단말(200)이 TV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겠지만, 셋탑 박스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과 관련된 이미지 신호를 TV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normal 입력'은 기존 리모콘의 입력과 동일한 입력을 의미하며, 'force 입력'은 normal 입력에 추가적인 세기 또는 면적을 가지고 키를 선택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normal 입력'을 long press하더라도 이러한 동작은 'force 입력'으로 인지되지 않고 normal 입력으로 인지될 수 있다.
한편, 리모콘(100)은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라는 직접적인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3차원 좌표 (x, y, z)를 포함한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차원 좌표 (x, y, z)와 관련된 동작은 이미지 처리 단말(200)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이 동일한 3차원 좌표를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서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force 입력'은 'force up' 및 'force down'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키(120)로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up으로 설정하고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dow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에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이후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며, 홈 화면에서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1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up으로 설정되고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down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세기에 따라서,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으로 구분되고, force 입력은 다시 복수의 감지 레벨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force 입력에서 더 세분화되는 감지 레벨을 제 1 감지 레벨과 제 2 감지 레벨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화면에서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1 감지 레벨이 되면 추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1 감지 레벨로 만들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이후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2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후, 홈 화면에서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제 2 감지 레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 VOD 리스트가 표시되며, 이후 결정 키(140)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1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0)은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키를 누르는(터치하는) 세기 또는 면적에 기초하여 감지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200)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동일한 키에 대하여 감지 레벨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키의 좌표를 (x, y, z)로 표시하였지만, 여기에 키를 누르는 시간을 더 반영하여 (x, y, z, t)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감지 레벨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에는 키를 누르는 시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리모콘(100)을 종래 리모콘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키의 normal 입력만이 존재하였으며 하나의 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매칭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리모콘은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키의 개수 또한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0)은 감지 레벨에 따라서 하나의 키에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이 존재하고, 실시예에 따라서 force 입력은 다시 복수의 감지 레벨 세분화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키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들이 매칭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리모콘(100)의 제한된 개수의 키를 가지고도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의 제한된 개수의 키를 가지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의 수는 얼마든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의 키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리모콘(100)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UP 키와 같은 내비 키(120)의 force 입력에 따른 기능은 기능 키(130) 또는 결정 키(140)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 키(120)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force 입력은 홈 키 또는 esc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물론, 기능 키(130)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 키(120) 또는 결정 키(140)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결정 키(140)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 키(120) 또는 기능 키(130)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프로세서(210)와 연결된 메모리(220) 및 리모콘(100)과 통신하는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20)에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
*먼저,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주기적으로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한다(S301).
확인 결과 업데이트된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소에 저장한다(S302). 즉, 기 저장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S302 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리모콘(100)으로부터 특정 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303).
S303 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수신된 키가 업데이트되었는지 판단하고,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전의 기능과 업데이트 후의 기능을 화면에 표시한다(S304).
S304 후,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수신된 키에 대한 제어 신호의 감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미만인지 또는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키의 감지 레벨, 즉,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를 판단한다(S305).
S305 판단 결과 normal 입력인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태스크의 종류와 키의 식별자에 따라서 해당 키에 매칭된 normal 입력의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306).
만일, S305 판단 결과 force 입력인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태스크의 종류와 키의 식별자에 따라서 해당 키에 매칭된 force 입력의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307).
참고로, 키를 누르는 세기에 따라서 force 입력이 더 세분화된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해당 세기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force 입력에서 키를 누르는 세기 외에도 키를 누르는 시간(접촉 시간)을 더 반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단말(200)이 수행하는 동작은 단순히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인지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고, force 입력에서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세기별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 키를 누르는 시간을 더 반영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키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들이 매칭될 수 있어 리모콘(100)의 키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이 주기적으로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의 업데이트가 있음을 확인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가 존재함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업데이트 정보는 이미지 처리 단말(200)이 주기적으로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의 업데이트가 있음을 확인하거나,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가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도 5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화면에 콘텐츠나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상태일 수도 있고, 화면에 출력이 없는 대기 모드(standby) 상태에서 리모콘(100)으로부터 특정 동작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ON 상태일 수도 있다.
리모콘(100)으로부터 업데이트에 대한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 전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의 노출 기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화면이다.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리모콘(100)에서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된 키가 선택될 때, 제어 명령 정보가 업데이트된 모든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의 전과 후를 표시하거나, 해당 키에 대해서만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의 전과 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단말(2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가 표시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간이 도래하면 표시 기간을 더 연장할 것인지, 또는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항목의 선택/취소 버튼은 비활성화되어 선택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방향 키인 내비 키(120)의 force 입력 시 수행되는 제어 명령의 업데이트 전과 후에 따른 기능의 변화를 나타낸다.
내비 키(120) 중 RIGHT 키는 제어 명령의 업데이트 전 force 입력 시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빠른 속도로 재생하는 기능을 실행하였지만, 업데이트 후에는 force 입력 시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기능 키(130)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리모콘의 기능 키(130)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 키(120) 또는 결정 키(140)로서 동작하도록 제어 명령이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결정 키(140)에 대한 force 입력이 내비 키(120) 또는 기능 키(130)로 동작하도록 제어 명령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리모콘
110 : 바디
120 : 내비 키
130 : 기능 키
140 : 결정 키
200 : 이미지 처리 단말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30 : 통신부

Claims (8)

  1. 이미지 처리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따라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리모콘으로부터 동일한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될 지라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명령 정보인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되고,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과 후에 상관없이 상기 리모콘은 동일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동작 또는 화면은 상기 동일한 제어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상기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동작 또는 화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특정 키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 명령 정보는 업데이트되기 전 및 업데이트된 후의 제어 명령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특정 키에 대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키의 제어 명령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모든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수신된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가 표시되는 기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표시 기간 동안,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특정 키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업데이트된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5. 이미지 처리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따라 force입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에 대하여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내비 키, 기능 키 및 결정 키 중 하나에 해당하는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동작된 키와 다른 키에 해당하는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되고,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과 후에 상관없이 상기 리모콘은 동일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상기 내비 키, 상기 기능 키 및 상기 결정 키 중 하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시키나, 상기 동일한 제어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상기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되기 전의 키와 다른 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6. 이미지 처리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지 않는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key) 선택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따라서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에서의 다른 기능,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매칭시키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공되는 동일한 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들에 대하여 다른 기능,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되,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되고,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과 후에 상관없이 상기 리모콘은 동일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기능,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동일한 제어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상기 특정 키로의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기능,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7. 이미지 처리 단말이 리모콘의 각 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 또는 저장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및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동일한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될 지라도,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명령 정보인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명령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되고,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과 후에 상관없이 상기 리모콘은 동일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전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동작 또는 화면은 상기 동일한 제어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상기 특정 키로 입력된 force 입력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동작 또는 화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8. 제 7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24139A 2022-02-24 2022-02-24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KR20230126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39A KR20230126844A (ko) 2022-02-24 2022-02-24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39A KR20230126844A (ko) 2022-02-24 2022-02-24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44A true KR20230126844A (ko) 2023-08-31

Family

ID=8784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139A KR20230126844A (ko) 2022-02-24 2022-02-24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8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96A (ko) 2014-06-05 2015-12-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센서 리모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96A (ko) 2014-06-05 2015-12-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센서 리모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1344173B1 (ko)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US8661357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US8458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a controlled device
US20140160353A1 (en)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v interface
JP2007181068A (ja) リモコン装置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US20130314383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display apparatuses
WO2006117904A1 (en) Audio-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9783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844A (ko)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JP745783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70332032A1 (en) Medi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various modes using force input
JP4507994B2 (ja) A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含まれるディスプレイ機器側サブシステム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332129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JP6150654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制御装置、遠隔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5130288A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04879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KR201701026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포인터 표시 방법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6295544A (ja) 遠隔操作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