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791A - 발사 완구 - Google Patents

발사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791A
KR20230126791A KR1020220024009A KR20220024009A KR20230126791A KR 20230126791 A KR20230126791 A KR 20230126791A KR 1020220024009 A KR1020220024009 A KR 1020220024009A KR 20220024009 A KR20220024009 A KR 20220024009A KR 20230126791 A KR20230126791 A KR 2023012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rotating body
unit
spring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윤
Original Assignee
선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윤 filed Critical 선우윤
Priority to KR102022002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791A/ko
Publication of KR2023012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리 형상으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구성된 몸체(100);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발사체(200); 상기 발사체(200)를 발사하는 발사부(300); 및 상기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발사부(300)를 동작시킴으로써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하는 기구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발사 완구{SHOOTING TOY}
본 발명은 발사 완구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859864호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발사체가 제1 형상의 완구에 삽입되면 완구가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전개되고, 제2 형상으로 전개된 완구에서 삽입된 발사체를 자동으로 발사하는 발사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써, .몸체의 일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부의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이 되도록 래치부가 상기 몸체의 일부 및 몸체부와 결합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래치부가 외부에서 이동된 발사체에 의해 변위하여 잠금 해제되면, 상기 몸체부의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전개(展開)되며, 상기 발사체는 몸체부에 설치된 발사부에 구속되어 상기 제2 형상으로의 전개가 완료되면 상기 발사체를 가압 또는 타격하는 가압부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발사부에 구속된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순한 변신완구로는 어린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써, 주로 일정 위치에 거치된 표적을 향해 구슬, 메달, 원반 등의 발사체를 발사하여 표적에 명중시켜 넘어뜨리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놀이의 즐거움을 부여해주는 면은 있으나,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화되는 구조와 동작 자체가 복잡하고, 결과적으로 원가가 상승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859864호
본 발명은, 동물형상을 한 완구의 상부를 푸쉬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랜덤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체가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발사놀이가 가능함은 물론, 랜덤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체가 발사되는 점을 이용하여 복수의 어린이들이 누가 완구의 상부를 푸쉬할 때 발사체가 발사되느냐를 게임의 승패기준으로 삼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발사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사완구는
개구리 형상으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구성된 몸체(100);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발사체(200);
상기 발사체(200)를 발사하는 발사부(300); 및
상기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발사부(300)를 동작시킴으로써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하는 기구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발사체(200)는
발사부(300)에 삽입되도록 발사체(200)의 소정부분에 형성되는 삽입부(210);
상기 삽입부(210)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면서 발사체(200)의 내주면 단부까지 형성되는 스프링수용부(220);
상기 스프링수용부(220)에 수용되는 스프링(230);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는 직경이 큰 부분(211)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212)으로 형성되어 록킹제어부(490)에 의해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되고,
상기 스프링(230)은 스프링수용부(220)가 삽입부(210)를 통해 발사부(300)에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부분(211)이 발사부(300)로부터 록킹 해제될 때 팽창되어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구부(400)는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회전체구동부(420)가 이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상부몸체고정부(410);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와 축(422)을 통해 연결되어 상부몸체(110)을 아래로 푸쉬하면 회전체(43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부(420);
상기 회전체(430)가 회전하다가 돌기에 의해 눌러지면 수직운동하는 수직운동체(440);
상기 수직운동체(440)의 수직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운동체(450);
상기 회전운동체(4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평운동하는 수평운동체(460);
상기 회전체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430)에 고정되는 회전체고정부(470);
상기 회전체구동부(420)가 아래로 눌러지면서 스프링(413)이 삽입되었다가 빠졌다가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공간(481)이 형성되는 스프링수용체(480); 및
상기 수평운동체(460)의 수평 운동에 의해 발사체(20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제어부(4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사완구에 따르면, 동물형상을 한 완구의 상부를 푸쉬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랜덤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체가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발사놀이가 가능함은 물론, 랜덤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체가 발사되는 점을 이용하여 복수의 어린이들이 누가 완구의 상부를 푸쉬할 때 발사체가 발사되느냐를 게임의 승패기준으로 삼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일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사체가 발사되는 원리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슬라이드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일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사체가 발사되는 원리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완구는 개구리 형상으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구성된 몸체(100)와,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둥근 원형의 발사체(200)와, 상기 발사체(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발사하는 발사부(300)와, 상기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발사부(300)에 끼워진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하는 기구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발사체(200)는 발사부(300)에 삽입되도록 발사체(200)의 소정부분에 형성되는 삽입부(210)와, 상기 삽입부(210)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면서 발사체(200)의 내주면 단부까지 형성되는 스프링수용부(220)와, 상기 스프링수용부(220)에 수용되는 스프링(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210)는 직경이 큰 부분(211)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212)으로 형성된 부분이 있어서 이 부분을 통해 발사체(200)가 록킹제어부(490)에 의해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된다.
상기 스프링(230)은 스프링수용부(220)가 삽입부(210)를 통해 발사부(300)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부분(211)이 발사부(300)로부터 록킹 해제될 때 팽창되어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 발사부(300)는 상기 발사체(200)와의 접촉면을 제공하도록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대체로 콘 형상의 발사체수용부(310)와, 상기 발사체(200)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는 돌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기구부(400)는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회전체구동부(420)가 이에 연동되도록 하는 상부몸체고정부(410)와,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와 축(422)을 통해 연결되어 상부몸체(110)을 아래로 푸쉬하면 회전체(43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부(420)와, 상기 회전체(430)가 회전하다가 돌기에 의해 눌러지면 수직운동하는 수직운동체(440)와, 상기 수직운동체(440)의 수직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운동체(450)와, 상기 회전운동체(4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평운동하는 수평운동체(460)와, 상기 회전체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430)에 고정되는 회전체고정부(470)와, 상기 회전체구동부(420)가 아래로 눌러지면서 스프링(413)이 삽입되었다가 빠졌다가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공간(481)이 형성되는 스프링수용체(480)와, 상기 수평운동체(460)의 수평 운동에 의해 발사체(20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제어부(4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는 상부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111)에 결합되는 결합부(417)와, 하부에 형성되는 홈(411)과, 일정길이의 스프링(413)이 감기도록 하단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412)와, 상기 돌기(412)의 외주면에 상하로 일정길이가 되도록 감겨지는 스프링(413)과, 하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414)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414)에는 홈(415)이 형성되어 회전체구동부(420)의 돌기(422)가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몸체고정부(410)는 개구리완구의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스프링(413)이 탄성적으로 반응하면서 위아래 반복운동을 하게 되며, 홈(415)에 회전체구동부(420)의 돌기(422)가 삽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체구동부(420)로 아래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구동부(420)는 상기 회전체(430)의 배면 전체 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431)와 함께 동작하며, 상부몸체고정부(410)가 아래로 푸쉬될 때마다 한칸씩 위로 형성된 스토퍼(431)에 맞물리는 돌기(421)와,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의 홈(415)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422)와, 상부몸체고정부(410)가 아래로 푸쉬될 때마다 한칸씩 위로 형성된 스토퍼(431)에 맞물리는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4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421)와 스톱퍼(431)는 움직임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지도록 서로 부합되는 경사각을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체구동부(420)는 상부몸체고정부(410)에 연동되고, 상부몸체고정부(410)가 아래로 눌러지면 소정 스톱퍼(431)에 걸렸다가 상부몸체고정부(410)를 누르지 않으면 상부몸체고정부(410)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스프링(432)의 탄성에 의해 회전체구동부(420)도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스톱퍼(431) 바로 위의 스톱퍼(431)에 걸리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회전체(4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430)는 상기 회전체구동부(420)의 돌기(421)에 물리면서 회전하도록 배면 전체 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431)와, 전면부에 랜덤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4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체(430)는 회전하다가 돌기(432)가 수직운동체(440)의 돌기(441)를 누르면 발사체(200)가 발사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운동체(440)는 상기 회전체(430)의 돌기(432)에 의해 눌러지는 돌기(441)와, 상기 돌기(441)로부터 연속으로 이어져서 회전운동체(450)에 결합되는 결합부(44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운동체(440)는 상부몸체(110)의 내부 소정부분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축(도시 생략)이 공간(443)내에 위치함으로써 이 축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또는 수직운동체(440)의 일단부에 스프링(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이 스프링을 상부몸체(110)의 내부 소정부분에 연결시켜 탄성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체(450)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몸체(110)의 내부 소정부분과 연결되는 축(451)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운동체(441)의 결합부(442)와 결합되는 결합부(452)와, 상기 수평운동체(460)에 결합되는 결합부(453)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42)와 결합부(452)는 회전운동체(45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운동체(460)는 콘 형상의 발사부(300) 내부 소정부분에 양단이 고정된 축(461)과, 상기 축(461)을 따라 수평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운동체(451)의 결합부(453)와 결합되는 결합부(46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62)는 회전운동체(450)의 결합부(453)가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53)와 결합부(462)는 수평운동체(460)의 수평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고정부(470)는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의 돌기(414)에 의해 하방 압력을 받도록 접촉되는 돌기(471)와, 상기 회전체(43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472)로 구성된다. 회전체(430)에 대한 결합 구조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스프링수용체(480)는 회전체구동부(420)에 의해 회전체(430)가 회전하다가 수직운동체(440)를 누르게 되면 발사체(200)가 발사되는데, 이러한 상황은 스프링(413)이 공간(481)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회전체구동부(420)가 하방으로 눌러지려면 스프링(413)이 원상태로 복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수용체(480)의 하측으로 몸체 내부에 구성되는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레버(482)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레버(482)를 잡아당김에 따라 스프링(413)이 공간(481)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체구동부(420)의 하방 동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레버(482)는 본 발명 개구리완구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500)을 통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제어부(490)는 상기 수평운동체(460)의 면(464)에 걸려 있다가 수평운동체(460)의 수평 운동에 의해 움직이도록 단부에 형성된 돌기(491)와, 상기 발사체(200)의 삽입부(210)에 끼워져 록킹되거나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부(492)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492)는 발사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부분(211)의 상부면에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발사완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스위치가 구성되고, 개구리모드로 설정하면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를 때마다 개구리 소리가 방출되고, 멜로디모드로 설정하면 상부몸체(110)를 누를 때마다 기구리 소리가 방출되고, 상부몸체(110)를 게속 누를 수록 소리 속도가 빨라진다. 이러한 동작은 프로그램화된 제어부의 제어동작과 스피커 내장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사체(200)를 발사부(300)에 끼운다. 이러한 동작은 발사체(200)의 삽입부(210)를 발사부(300)의 돌기(310)에 끼우면 발사부(300)의 돌기(310)가 발사체(200) 내부로 삽입되면서 스프링(230)이 압축되고, 부분(212)에 록킹제어부(490)의 발사체고정부(492)가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부몸체(110)를 연속해서 아래로 누르면 상부몸체고정부(410)도 스프링(413)의 탄성력을 갖고 연동되고, 따라서 회전체구동부(420)에 형성된 돌기(422)가 회전체고정부(470)의 돌기(471)을 누르는 동작이 스프링(423)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회전체구동부(420)의 돌기(421)가 회전체(430)에 형성된 스토퍼(431)에 한칸씩 걸리면서 회전체(430)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회전체(430)가 회전하다가 전면부에 형성된 돌기(432)가 수직운동체(440)의 돌기(441)를 건드리면 수직운동체(440)가 하방으로 직선운동한다.
다음에, 상기 수직운동체(440)의 결합부(442)에 맞물려 있던 회전운동체(450)가 결합부(452)를 통해 회전운동하고, 상기 수평운동체(460)의 결합부(463)에 결합부(453)를 통해 맞물려 있던 회전운동체(450)의 결합부(453)가 수평운동체(460)의 면(463)과 면(464) 사이의 공간내에서 회전 움직임으로써 수평운동체(460)가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수평운동체(460)의 면(464)에 걸려 있던 록킹제어부(490)의 록킹해제부(491)가 상부로 움직이면서 발사체고정부(492)를 발사체(200)의 부분(212)으로부터 해제시킨다.
따라서 발사체(200)의 삽입부(210)가 발사부(300)로부터 해제되고 스프링(230)이 팽창되면서 발사체(200)가 발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발사완구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 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200 : 발사체
300 : 발사부 400 : 기구부

Claims (3)

  1. 개구리 형상으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구성된 몸체(100);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발사체(200);
    상기 발사체(200)를 발사하는 발사부(300); 및
    상기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발사부(300)를 동작시킴으로써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하는 기구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200)는
    발사부(300)에 삽입되도록 발사체(200)의 소정부분에 형성되는 삽입부(210);
    상기 삽입부(210)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면서 발사체(200)의 내주면 단부까지 형성되는 스프링수용부(220);
    상기 스프링수용부(220)에 수용되는 스프링(230);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210)는 직경이 큰 부분(211)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212)으로 형성되어 록킹제어부(490)에 의해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되고,
    상기 스프링(230)은 스프링수용부(220)가 삽입부(210)를 통해 발사부(300)에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부분(211)이 발사부(300)로부터 록킹 해제될 때 팽창되어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400)는
    상부몸체(110)를 아래로 누르면 회전체구동부(420)가 이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상부몸체고정부(410);
    상기 상부몸체고정부(410)와 축(422)을 통해 연결되어 상부몸체(110)을 아래로 푸쉬하면 회전체(43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부(420);
    상기 회전체(430)가 회전하다가 돌기에 의해 눌러지면 수직운동하는 수직운동체(440);
    상기 수직운동체(440)의 수직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운동체(450);
    상기 회전운동체(4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수평운동하는 수평운동체(460);
    상기 회전체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430)에 고정되는 회전체고정부(470);
    상기 회전체구동부(420)가 아래로 눌러지면서 스프링(413)이 삽입되었다가 빠졌다가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공간(481)이 형성되는 스프링수용체(480); 및
    상기 수평운동체(460)의 수평 운동에 의해 발사체(20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제어부(4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KR1020220024009A 2022-02-24 2022-02-24 발사 완구 KR2023012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09A KR20230126791A (ko) 2022-02-24 2022-02-24 발사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09A KR20230126791A (ko) 2022-02-24 2022-02-24 발사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791A true KR20230126791A (ko) 2023-08-31

Family

ID=8784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009A KR20230126791A (ko) 2022-02-24 2022-02-24 발사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7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864B1 (ko) 2017-01-25 2018-05-18 최종일 발사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864B1 (ko) 2017-01-25 2018-05-18 최종일 발사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8900B2 (ja) 発射型玩具
US8109518B2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609715B (zh) 變形玩具
US5970970A (en) Ring airfoil launcher
CA2773225C (en) Core with finger indentation and formed to expel an object concealed therein
MX2011001695A (es) Juguete.
WO2020034767A1 (zh) 多向发射器
US6773329B2 (en) Amusement device including a thematic play set
CN208493222U (zh) 功能旋转玩具
KR20230126791A (ko) 발사 완구
KR101859864B1 (ko) 발사완구
CN210121342U (zh) 叠加陀螺
JPH08131662A (ja) 弾丸発射機構搭載車両玩具
JP2021010677A (ja) コマ玩具
CN110270102A (zh) 功能旋转玩具
CN210728657U (zh) 陀螺
JP3098449U (ja) コマ玩具発射装置
JP2003190666A (ja) 球体発射玩具
CN212347717U (zh) 声光武器玩具
CN110270105B (zh) 陀螺合体和具有其的玩具
KR102597587B1 (ko) 그물탄용 완구총
CN220276276U (zh) 一种恐龙蛋式陀螺玩具
KR200479955Y1 (ko) 팽이를 발사하는 완구
CN219579872U (zh) 发射器及具有发射器的活动玩具
CN202113616U (zh) 一种可对垒游戏的玩具公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