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668A -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668A
KR20230126668A KR1020230024053A KR20230024053A KR20230126668A KR 20230126668 A KR20230126668 A KR 20230126668A KR 1020230024053 A KR1020230024053 A KR 1020230024053A KR 20230024053 A KR20230024053 A KR 20230024053A KR 20230126668 A KR20230126668 A KR 2023012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hain
movable
movable pa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꼴라스 카스텍스
마리 라무뤠
캐롤 채플앳
앙투완 보나데이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23012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mouldable materials, e.g. metals, cellulose derivatives,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2Bru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에 있어서 세장형의 일반적 형상을 가지며, 고정 부분 및 고정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동가능 부분은 돌출부(7)와 및 일련의 개방 루프(9)를 형성하는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8)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어플리케이터의 종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고정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링크(6)를 포함하고, 각각의 체인(8) 상의 상기 개방 루프(9) 중 적어도 2개는 고정 부분의 링크(6)에 의해 통과된다. 따라서,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8)은 고정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고정되어, 종방향에서 고정 부분에 대한 체인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제품의 도포의 품질을 개선하고, 어플리케이터가 강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터에 유연성의 느낌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터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적층 제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FOR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 MOVABLE PART HAVING AT LEAST ONE CHAIN OF OPEN LOOPS}
본 발명은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속눈썹 및 눈썹과 같은 모발에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품을 도포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는 본 문헌에서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또는 간단히 "어플리케이터"라는 표현으로 지칭된다.
그러한 어플리케이터는 일반적으로 마스카라 물품의 구성 부분이다. 마스카라 물품은 통상적으로 케이스, 마스카라 저장소 및 어플리케이터 브러시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브러시는 파지를 위한 부분과 일반적으로 브러시 형태를 취하는 적절한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브러시는 마스카라가 도포되지 않을 때 저장소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 또는 플러그를 공지된 방식으로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캡은 어플리케이터 브러시의 파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보틀 브러시" 유형의 것, 사출 성형되는 것, 및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때때로, "첨가식 제조(additive manufacture)"라고 칭함)에 의해 생산되는 것의 몇 가지 유형의 어플리케이터가 존재한다. 적층 제조는 재료의 추가 또는 응합에 의한 제조 공정을 지칭한다.
보틀 브러시 유형의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의 코어를 형성하는 꼬인 금속 와이어에 포획된 섬유에 의해 형성된 강모를 포함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사출 성형된 어플리케이터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돌출부라고 칭해지는 플라스틱 재료의 강모 또는 치형부를 포함한다. 적층 제조에 의해 획득되는 어플리케이터 또한 일반적으로 단일 조각이고, 예를 들어 예컨대 레이저에 의한 분말 용융을 구현하는 공정을 통해 열가소성 중합체의 분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공지된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의 형태 및 실시예가 무엇이든 간에, 제품을 도포하는 원리는 저장소에 수용된 화장품(마스카라)을 어플리케이터에 제공하고, 상기 저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터의 돌출부에 제품이 적재된 어플리케이터를 빼내고, 사용자의 속눈썹 또는 눈썹에 도포를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사용자는 이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여성으로서 간주되며, 물품 및/또는 어플리케이터가 남성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순화를 위해, 또한 본 문헌의 아래 부분에서는 속눈썹만을 언급하지만, 사용자의 눈썹에 제품 및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공지된 브러시는, 그것이 보틀 브러시 유형이든, 사출된 플라스틱 재료이든, 또는 첨가식 합성(additive synthesis)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든, 우수한 메이크업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 도포 결과 및 사용자의 사용 편안함에 대한 개선을 여전히 찾고 있다. 따라서, 속눈썹의 우수한 분리, 속눈썹의 우수한 연장 및/또는 만곡 효과를 가져오는 우수한 화장품 보유 용량을 갖는 어플리케이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간단한 조작으로 최고의 가능한 도포 품질, 특히 최상의 규칙성을 제공하도록 어플리케이터를 구성하고자 한다.
문헌 WO2021/058211은 돌출부를 지탱하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종방향 코어 형성 공동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를 제시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는 속눈썹에 대한 제품의 도포를 개선한다. 그러나, 이 어플리케이터는 속눈썹을 그 배치 방향뿐만 아니라 "지그재그" 이동이라고도 지칭되는 약간의 횡방향 전후 이동으로 빗질하는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에 의해 획득되는 것과 유사한 결과가 획득되게 할 수 없다. 작은 이동가능 블록의 존재는 고려되는 영역의 모든 돌출부가 함께 이동가능한 구역을 생성하므로, 이러한 구역에서 돌출부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이동가능 부분의 이동에 일관성이 없다. 이는 특히 화장품의 뭉침과 함께 불완전한 도포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 어플리케이터는 제조하기가 특히 복잡하고, 그 구성을 고려하면, 어플리케이터가 포함하는 공동이 화장품에 의해 빠르게 막힐 가능성이 있으므로, 어플리케이터는 이동가능 부분의 존재의 이점을 빠르게 상실한다. 또한, 이 문헌에서 제안된 어플리케이터는 제품을 도포할 때 어플리케이터를 단단하게 만들고 그렇게 인식되게 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양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기존 어플리케이터를 개선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특히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장형의 일반적 형상을 갖고 종방향을 정의하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어플리케이터는 파지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파지 부분과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고정 부분, 및 고정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분은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분은 일련의 개방 루프를 형성하는 스트랜드(strand)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고정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링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체인의 상기 개방 루프 중 적어도 2개는 고정 부분의 링크가 통과된다. 따라서,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은 고정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체결되어 종방향에서의 고정 부분에 대한 체인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이동가능 부분의 이동의 자유는 화장품을 더 쾌적하게 도포하게 한다. 실제로, 특히 어플리케이터가 적층 제조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같이 어플리케이터가 상대적으로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터의 일부의 이동성으로 인해 어플리케이터가 지지하고 있는 돌출부는 사용자의 속눈썹의 위치에 부분적으로 적응함으로써 속눈썹의 프린지(fringe)에 부드럽게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한 화장품, 특히 마스카라의 도포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에서 2단계로 수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먼저, 제품이 제공된 돌출부 사이의 틈은 속눈썹과 접촉 시 제품을 배출한다. 이것은 이동가능 부분을 자유롭게 하여(이동가능 부분의 이동은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에 의해 초기에는 제한됨), 돌출부를 지지하는 이동가능 부분이 없는 유사한 구성의 어플리케이터보다 더 효과적으로 속눈썹을 빗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동가능 부분의 종방향 이동은 속눈썹을 그 배치 방향뿐만 아니라 약간의 횡방향 전후 이동으로도 빗질하는 전문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유사한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마스카라에 대해, 이것은 그 만곡, 길이 연장 및 볼륨 생성 효과를 개선한다.
개방 루프의 체인 형태의 이동가능 부분의 구성은 이동가능 부분에 높은 이동성과 증가된 유연성을 제공하여 위에서 설명한 이점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동가능 부분의 존재는 돌출부의 밀도를 국부적으로 수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도포 시의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그 도포 결과를 수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어플리케이터는 잠재적으로 다른 브러시의 효과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은 개방 루프의 제1 열 및 개방 루프의 제2 열을 형성하고, 개방 루프의 제1 열은 종축에 평행한 제1 평면에 형성되고, 개방 루프의 제2 열은 상기 제1 평면과는 별개인, 종축에 평행한 제2 평면에 형성된다.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은 개수가 2개일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2개의 이동가능 체인만으로 모든 방사상 방향에서 이동가능 돌출부를 얻을 수 있다.
고정 부분은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직선일 수 있는 중앙 코어는 어플리케이터에 특정 횡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이동가능 부분에 대한 지탱 구조 및 종방향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 이것은 종축을 중심으로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도 한다.
중앙 코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지탱한다.
따라서 고정 부분과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 사이의 연결부는 코어의 2개의 단부로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은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이 종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만곡되거나 변형될 수 있게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어플리케이터의 유연성과 도포의 편안함이 증가된다.
중앙 코어는 종방향으로 중앙 코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의 각각의 루프가 2개의 링크에 의해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동가능 부분은 중앙 코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또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부 자유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이동가능 부분의 안내를 개선한다.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부분은 이동가능 부분의 개방 루프의 적어도 일부와 얽힌 개방 링크의 체인을 각각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과 고정 부분의 체인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부분적으로 개방 링크의 스트랜드에 의해 구성된 고정 부분은 특히 횡방향에서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특정 기하학적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유연성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고유의 강성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은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동가능 부분의 돌출부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 부분의 돌출부도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고정 부분의 돌출부는 이동 부분의 돌출부와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프리즘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2 mm 내지 0.5 mm, 예를 들어 0.24 mm 내지 0.4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의 각각의 부분의 돌출부는 화장품의 도포에 대해 상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돌출부와 짧은 돌출부 사이의 교번은 어플리케이터의 제품 보유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품의 도포 시 속눈썹 분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긴 돌출부는 속눈썹을 빗질하는 능력이 더 우수하다. 돌출부의 일반적인 형상은 그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고정된 단면(이들은 프리즘형 또는 원통형임) 또는 가변적인 단면의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는 종축으로부터 먼 자유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돌출부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엔벨로프 내에 내접하며, 상기 엔벨로프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6 mm 내지 10 mm, 예를 들어 7 mm 내지 9 mm, 예컨대 8 mm의 직경을 갖는다.
어플리케이터의 이러한 외부 기하학적 엔벨로프는 어플리케이터를 화장품을 도포하는 데 효과적이고 사용하기에 쾌적하게 만든다.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은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11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이동가능 부분은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11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단일 재료 또는 2개의 별개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적층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다. 사실, 어플리케이터는 첨가식 제조 방법(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이동가능 부분의 이동성과 관련된 복잡한 형태, 특히 이것이 포함하는 개방 루프 형태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의 분말 베드 융합 단계(powder bed fus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비제한적으로 다음이 주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3차원 개략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어플리케이터에 사용되는 체인을 개념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어플리케이터로 얻을 수 있는 돌출부의 분포의 예를 개념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3차원 개략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3차원 개략도로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3차원 개략도로 나타낸다.
도 1의 어플리케이터는 세장형 형태이고, 어플리케이터의 주축을 형성하는 종축(A)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도 1의 어플리케이터(1)는 어플리케이터 브러시를 형성하기 위해 파지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2)와 자유로운 제2 단부(3)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제1 단부는 파지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결합 부재(4)의 선단에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부분은 실제 어플리케이터와 단일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어플리케이터(1)는 중앙 코어(5)(또한 "중앙 본체"로 지정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중앙 코어(5)는 이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와 어플리케이터의 제2 단부(3)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선형 부재이다. 중앙 코어(5)는 유리하게는 원통형 막대의 형태를 갖는다. 링크(6)는 코어 상에 형성된다. 링크(6)는 하나 이상의 링크 열로 정렬된다. 여기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1)는 4개의 링크 열, 즉 제1 열(61), 제2 열(62), 제3 열(63) 및 제4 열(64)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링크 열은 서로 90°로 배향되고 종축(A)과 교차하는 평면에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열(61, 62, 63, 64)은 종축(A)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링크(6)는 유리하게는(하지만 필수는 아님) 돌출부(7)를 포함한다. 돌출부(7)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중앙 코어 및 이와 관련된 링크(6)는 어플리케이터(1)의 고정 부분이라 지칭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1)는 이동가능 부분을 더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분은 일련의 개방 루프(9)를 형성하는 스트랜드에 의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인(8)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1)는 2개의 체인, 즉 제1 체인(81) 및 제2 체인(8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체인 기하학적 구조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체인(8)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부(7)는 체인(8)의 일반적인 구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2에서 생략되었다.
따라서 체인(8)은 루프(9)를 형성하는 일련의 만곡부 및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스트랜드(91)를 포함한다. 루프(9)는 개방되어 있는데, 즉 각각의 루프의 주변부는 닫히지 않고 개구부(92)를 제공한다. 체인(8)은 개방 루프의 2개의 열(93, 94)로 형성되며, 제1 열(93) 및 제2 열(94)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평면(P1, P2)에 형성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열의 각각의 루프(9)는 어플리케이터의 동일한 링크 열의 2개의 연속적인 링크(6)에 의해 통과된다. 따라서 체인(8)은 특정 이동 자유도를 가지고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에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8)은 고정 부분에 대해 적어도 종방향으로(즉, 종축(A)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중앙 코어(5)를 따른 링크(6) 및 동일한 치수의 루프(9)의 규칙적인 분포에 의해, 이 종방향 이동의 최대값은 종방향의 루프(9)의 내부 치수에서 2개의 링크의 두께를 포함하는 2개의 연속적인 링크 사이의 거리를 뺀 것에 일치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루프(9)와 링크(6)를 얽음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부분 상의 각각의 체인의 "플로팅(floating)" 장착으로 인해, 다른 방향으로의 각각의 체인의 특정 이동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자유에 의해 어플리케이터의 겉보기 유연성이 더 커지는데, 즉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가 강성 재료로 구성되었다라도 유연한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갖는다.
여기서 2개의 체인(8)으로 구성되는 이동가능 부분은 돌출부(7)를 지지한다. 돌출부(7)는 유리하게는 종축(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배향, 즉 종축(A)에 대해 수직이고 그와 교차하는 방향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돌출부는 예를 들어 도포 이동을 추종하고 및/또는 화장품의 보유를 촉진하기 위해 상이한 배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7)는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8) 또는 고정 부분 및 특히 링크(6)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7)는 몇 가지 기능, 특히 화장품을 보유하는 기능, 이 제품을 속눈썹에 도포하는 기능, 속눈썹을 분리하는 기능, 및 빗질 기능을 충족한다. 돌출부의 구성은 이러한 기능을 공동으로 수행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돌출부는 동일한 구성 또는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낸 예에서, 돌출부는 직경이 작은 곧은 원통형이다. 이들은 강성 강모와 유사하다. 물론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프리즘형 돌출부를 생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원추형, 절두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임의의 다른 비균일 단면의 돌출부를 생각할 수 있다.
제1 돌출부 그룹(71)은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에 의해 지지된다. 제2 돌출부 그룹(72)은 고정 부분의 링크에 의해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제3 돌출부 그룹은 중앙 코어(5)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3개의 그룹의 돌출부는 동일한 단면을 갖지만, 길이가 상이하므로, 이들의 자유 단부는 종축(A)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있게 되어(중앙 코어(5)의 단부 부근의 돌출부는 짧을 수 있는 예외가 가능함), 어플리케이터를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외부 일반 엔벨로프에 내접시킨다. 돌출부가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는 사실은 돌출부의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긴 돌출부는 더 짧은 돌출부보다 더 유연할 것이다(이것은 그 단부에 가해지는 동일한 힘의 영향 하에서 더 많이 구부러질 것이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6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 원통 내에 내접될 수 있다. 7 mm 내지 9.5 mm의 외부 엔벨로프 내에 내접된 어플리케이터도 생각할 수 있다. 도포의 효율성과 편안함 측면에서의 최적의 값은 8 mm 또는 대략 8 mm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사용될 수 있는 돌출부의 다양한 구성에 따르면, 돌출부의 길이(주 연장 방향을 따라, 전형적으로는 종축(A)에 대해 방사상으로 측정된 치수)는 0.2 mm 내지 0.5 mm, 예를 들어 0.24 mm 내지 0.40 mm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어플리케이터의 고정된 돌출부의 분포를 개념도에 따라 나타낸다. 도 3에서, 어플리케이터가 내접되는 외부 엔벨로프는 평평하게 전개되었다. 고정된 돌출부는 (채워지지 않은) 원으로 표시되며 이동가능한 돌출부는 채워진 원으로 표시된다. 표시된 예시적인 배치에서, 어플리케이터의 스위핑(sweeping) 방향에서, 고정된 돌출부 및 이동가능 돌출부의 일련의 정렬이 생성되었다. 따라서 속눈썹은, 속눈썹을 분리하는 고정된 돌출부와, 속눈썹과 사용자의 이동에 그 자신을 적응시킴으로써 측방향 빗질 효과(어플리케이터의 종방향의)를 부여하는 이동가능한 돌출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빗질되며, 이는 화장품의 도포를 개선한다(예를 들어, 속눈썹의 연장 또는 그 볼륨을 개선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과 그 이동가능 부분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6)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어플리케이터는,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8)이 중앙 코어(5)의 위치, 즉 파지 부분,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 부재(4)와의 계면의 부근에 위치되는 코어의 근위 단부(10) 및 어플리케이터의 제2 단부(3)에 대응하는 원위 단부(11)의 위치에서만 고정 부분에 체결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어플리케이터와는 차별화된다. 따라서, 코어의 단부 각각에서, 체인(8)의 루프의 열 각각에 대해 단일 링크(6)가 제공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체인의 각각의 열의 최단부 루프만이 고정 부분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중앙 코어는 중앙 코어(5)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 4개의 링크를 각각의 단부에 포함하고, 그 종방향 배치는 고려되는 링크가 루프(9)의 열의 완성된 제1 루프(9)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속눈썹에 화장품을 도포할 때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이 변형되고 약간 만곡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특히 비교적 강성인 재료가 사용될 때 도포의 편안함을 개선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적층 제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와 부분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어플리케이터는 중앙 코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의 어플리케이터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의 고정 부분은 개방 링크(6)의 체인을 각각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이 경우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스트랜드)로 형성된다.
링크의 체인은 결합 부재(4)에 연결되고 또한 어플리케이터(1)의 제2 단부(3)에 연결된다.
여기서, 링크의 체인은 어플리케이터의 이동가능 부분의 루프(9)의 체인(8)과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링크의 체인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제공된 2개의 링크 열을 갖는다.
링크의 체인의 개방 링크는 이동가능 부분의 개방 루프와 얽혀 있다.
코어의 결여 및 고정 부분의 구성(폐쇄 링크보다 더 쉽게 변형되는 능력을 갖는 개방 링크)은 전체 어플리케이터에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특히, 고정 부분 및 이동가능 부분은 양자 모두 변형되고 만곡될 수 있다. 이동가능 부분은 또한 종방향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도 특히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이는 사용 중에 어플리케이터의 유연성 및 적응성의 느낌을 증가시킨다.
도 6은 도 1과 도 5 사이의 중간 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는 실시예의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6의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는 중앙 코어(5)를 포함한다. 링크(6)는 중앙 코어(5)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링크의 각각의 열은 어플리케이터의 제2 단부(3)까지 연장되는 링크의 체인에 의해 코어의 원위 단부(11)를 넘어 계속된다.
따라서, 2개의 종방향 부분, 즉 제1 종방향 부분(12) 및 제2 종방향 부분(13)을 갖는 어플리케이터(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종방향 부분(12)은 제2 종방향 부분(13)보다 더 큰 강성, 특히 굽힘에 대한 더 큰 저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종방향 부분(12)은 속눈썹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주요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종방향 부분(13)은 터치업 브러시를 형성하거나 또는 특정 국부적 효과(연장, 만곡 등)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전술한 어플리케이터는 적층 제조 기술에 의해 유리하게(또는, 나아가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함) 제조된다. 분말 베드 융합에 의한 적층 제조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술이다.
어플리케이터는 유리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단일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 및 이동가능 부분은 2개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고정 부분 및/또는 이동가능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11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 부분 및/또는 이동가능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고품질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특히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사용 편안함, 특히 어플리케이터의 유연성 느낌은 경질 재료, 예를 들어 적층 제조 공정과 호환되는 강성 플라스틱의 사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유지된다.

Claims (15)

  1. 세장형의 일반적 형상을 갖고 종방향을 정의하는 종축(A)을 따라 연장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어플리케이터(1)는 파지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파지 부분과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도록 구성된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터는 고정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이동가능 부분은 돌출부(7)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분은 일련의 개방 루프(9)를 형성하는 스트랜드(9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8)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종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고정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링크(6)를 포함하고,
    각각의 체인(8) 상의 상기 개방 루프(9) 중 적어도 2개는 고정 부분의 링크(6)에 의해 통과되고,
    따라서,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8)은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를 가지고 고정 부분에 체결되어, 종방향에서의 고정 부분에 대한 체인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레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8)은 개방 루프(9)의 제1 열(93) 및 개방 루프(9)의 제2 열(94)을 형성하고, 개방 루프(9)의 제1 열(93)은 종축(A)에 평행한 제1 평면(P1)에 형성되며, 개방 루프(9)의 제2 열(94)은 상기 제1 평면(P1)과는 별개인, 종축(A)에 평행한 제2 평면(P2)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8)은 개수가 2개인 어플리케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분은 종축(A)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코어(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중앙 코어(5)는 제1 단부(10) 및 제2 단부(11)를 포함하며, 제1 단부(10) 및 제2 단부(11)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6)를 각각 지탱하는 어플리케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중앙 코어(5)는, 종방향으로 중앙 코어(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링크(6)의 적어도 하나의 열(61, ... 64)을 지지하며, 이동가능 부분의 각각의 체인(8)의 각각의 루프(9)가 2개의 링크(6)에 의해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어플리케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부분은 이동가능 부분의 개방 루프(9)의 적어도 일부와 얽힌 개방 링크(6)의 체인을 각각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분의 체인과 고정 부분의 체인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부분은 돌출부(7)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7)는 종축(A)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어플리케이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고정 부분의 돌출부(7)는 이동가능 부분의 돌출부(7)와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이한 어플리케이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프리즘형이고 0.2 mm 내지 0.5 mm, 예를 들어 0.24 mm 내지 0.40 mm의 길이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7)는 종축(A)으로부터 먼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1)는 돌출부(7)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엔벨로프 내에 내접하며, 상기 엔벨로프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6 mm 내지 10 mm, 예를 들어 7 mm 내지 9 mm, 예컨대 8 mm의 직경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분 및/또는 이동가능 부분은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11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는 어플리케이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의 분말 베드 융합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0024053A 2022-02-23 2023-02-23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KR20230126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201610A FR3132828B1 (fr) 2022-02-23 2022-02-23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étique comportant une partie mobile comprenant au moins une chaîne de boucles ouvertes
FR2201610 2022-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68A true KR20230126668A (ko) 2023-08-30

Family

ID=8134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053A KR20230126668A (ko) 2022-02-23 2023-02-23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3295A1 (ko)
EP (1) EP4234243A1 (ko)
JP (1) JP2023122633A (ko)
KR (1) KR20230126668A (ko)
CN (1) CN116636689A (ko)
FR (1) FR3132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0301B1 (fr) * 2018-12-19 2021-05-14 Oreal Applicateur comportant un organe d’application à branche ouverte
FR3101232B1 (fr) 2019-09-27 2022-08-19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étique, notamment du mascara, ensemble applicateur associ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applic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4243A1 (fr) 2023-08-30
FR3132828B1 (fr) 2024-01-19
FR3132828A1 (fr) 2023-08-25
JP2023122633A (ja) 2023-09-04
US20230263295A1 (en) 2023-08-24
CN116636689A (zh)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9025B2 (ja) ケラチン繊維へ製品を適用するアプリケータと該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装置並びに該装置の使用
JP5247119B2 (ja) 化合物を睫毛または眉毛に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US7886397B2 (en) Applicator and application device including the applicator
US6655390B2 (en) Device for applying a substance to the eyelashes or the eyebrows
JP3058694B2 (ja) マスカラブラシ
JP6764598B2 (ja) 流体状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をケラチン繊維に塗布する塗布用具
JP3372225B2 (ja) 塗布装置
EP3096646B1 (en)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fluid or pasty product to keratin fibers
KR20180102079A (ko) 유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케라틴 섬유에 도포하기 위한 장치
JP2013223800A (ja) 射出成形されたプラスチック製のマスカラ・ブラシ
JP2006198422A (ja) 毛、特に睫毛又は眉に物質を塗るための装置
JP2005342534A (ja) ねじれていないコア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
JPS63143006A (ja) マスカラ塗布用ブラシ
EP2196106B9 (en) Composite applicator for decorative cosmetic products, in liquid, viscous or paste form
JP2020501730A (ja) 穴を有する化粧剤アプリケータ
CN109219366A (zh) 具有一个模制刷和一个非模制刷的化妆品涂抹器
US20050115011A1 (en) Cosmetic product applicator
JP4162614B2 (ja) アプリケータ並びに該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包装及び塗布装置
JP7358635B2 (ja) マスカラアプリケータ
KR20230126668A (ko) 개방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갖는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어플리케이터
US20170164718A1 (en) Cosmetic applicator
US20230292911A1 (en) Applicator for a cosmetic product including a movable portion comprising a longitudinal axis
US20170258216A1 (en) Cosmetic Applicator
JP6358742B2 (ja) マスカラ用アプリケータ
KR102367266B1 (ko) 지지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도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