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660A -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6660A KR20230126660A KR1020230023546A KR20230023546A KR20230126660A KR 20230126660 A KR20230126660 A KR 20230126660A KR 1020230023546 A KR1020230023546 A KR 1020230023546A KR 20230023546 A KR20230023546 A KR 20230023546A KR 20230126660 A KR20230126660 A KR 202301266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along
- side bar
- mounting surfac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종래 기술의 적어도 1개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공.
[해결 수단] 장착면을 갖는 기판 유닛(1)과, 제 1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 1 사이드바(3)와, 제 1 방향(X)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사이드바(4)와, 장착면의 제 1 사이드바(3)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방향(X)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는 제 1 신축 유닛(5)과, 장착면의 제 2 사이드바(4)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며, 또한, 제 1 신축 유닛(5)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축 유닛(6)을 구비한다.
[해결 수단] 장착면을 갖는 기판 유닛(1)과, 제 1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 1 사이드바(3)와, 제 1 방향(X)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사이드바(4)와, 장착면의 제 1 사이드바(3)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방향(X)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는 제 1 신축 유닛(5)과, 장착면의 제 2 사이드바(4)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며, 또한, 제 1 신축 유닛(5)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축 유닛(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의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건설 공사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가설의 거푸집은, 4매의 판재와, 체적이 이들 판재보다 작은 누름대를 가지며, 각 판재는 필름 밀봉면과, 당해 필름 밀봉면에 반대되는 조립면과, 상기 조립면의 상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연결 기둥을 가지며, 각 연결 기둥은 복수의 통공(通孔)을 가지며, 상기 누름대는 복수의 조립 구멍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거푸집을 나란하게 적재하며, 또한, 복수의 접속 부재를 각각 조립 구멍과 통공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판재와 누름대를 고정하여 거푸집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 건축물의 벽의 제작시에서는, 2개의 상기 거푸집 어셈블리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작성되는 것이며, 공사에 의해 작성하는 벽의 사이즈가 동일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므로, 거푸집 어셈블리에 이용할 수 있는 표준적 치수는 존재하지 않으며, 작성할 예정의 벽의 사이즈에 따라서, 거푸집 어셈블리를 새로 만들게 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적어도 1개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착면을 갖는 기판 유닛과,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사이드바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사이드바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사이드바와,
상기 장착면의 상기 제 1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상기 제 2 사이드바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신축 유닛과,
상기 장착면의 상기 제 2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상기 제 1 사이드바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1 신축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축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 1 신축 유닛 및 제 2 신축 유닛이 신축 가능하게 기판 유닛과, 제 1 사이드바와, 제 2 사이드바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기판 유닛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와 유사한 제 1 실시예의 변화예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와 유사한 제 1 실시예의 변화예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Ⅸ-Ⅸ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의 ⅩⅡ-Ⅹ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1에 있어서의 ⅩⅢ-Ⅹ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와 유사한 제 1 실시예의 변화예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와 유사한 제 1 실시예의 변화예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Ⅸ-Ⅸ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의 ⅩⅡ-Ⅹ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1에 있어서의 ⅩⅢ-Ⅹ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는 정면도이다.
이하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이용되는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용어는, 도면을 참조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등한 역할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혀 동일한 구성을 갖지 않아도,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는 경우인 것에도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 1 실시예는 기판 유닛(1)과, 고정 유닛(2)과, 제 1 사이드바(3)와, 제 2 사이드바(4)와, 제 1 신축 유닛(5)과, 제 2 신축 유닛(6)을 구비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닛(1)은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과, 결합판(14)을 포함한다.
제 2 기판(12)은 제 1 방향(Y)을 따라서 제 1 기판(11)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 3 기판(13)은 제 1 방향(Y)에 직교하는 제 2 방향(X)을 따라서, 제 1 기판(11)에 병렬로 연결된다. 결합판(14)은 제 2 방향(X)을 따라서, 제 2 기판(12)에 병렬로 연결되며, 또한, 제 1 방향(Y)을 따라서 제 3 기판(13)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과, 결합판(14)은 모두 장착면(15) 및 장착면(15)의 반대측에 있는 필름 밀봉면(16)을 구획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은 강재에 의해 작성되어 있으며, 결합판(14)은 목재로 작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밀봉면(16)은 평활면이며, 그리고 결합판(14)의 제 1 방향(Y) 및 제 2 방향(X)의 양쪽에 직교하는 장착 방향(Z)에 있어서의 두께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의 모든 장착 방향(Z)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 실시예의 다른 변화예에 있어서, 결합판(14)은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유닛(2)은 2개의 제 1 연결 로드(21)와, 2개의 제 2 연결 로드(22)와, 3개의 제 1 고정판(23)과, 2개의 제 2 고정판(24)과, 복수의 연결 나사(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제 1 연결 로드(21)는, 제 1 방향(Y)을 따라서 연신되며, 또한, 병렬로 배치되도록 제 2 기판(12)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결합판(14)에 접촉된다.
이들 제 1 고정판(23)은 제 1 방향(Y)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고정판(23)은 L자 형상으로 만곡되며, 또한, 당해 L자 형상의 양단(兩端)은 대응하는 제 1 연결 로드(21)와 결합판(1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 2 연결 로드(22)는 제 2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병렬로 배치되도록 제 3 기판(13)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결합판(14)에 접촉된다.
이들 제 2 고정판(24)은 제 2 방향(X)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고정판(24)은 L자 형상으로 만곡되며, 또한, 당해 L자 형상의 양단은 대응하는 제 2 연결 로드(22)와 결합판(1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나사(25)에 있어서의 몇 가지는 제 1 고정판(23)을 제 1 연결 로드(21) 및 결합판(14)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그리고, 복수의 연결 나사(25)에 있어서의 다른 몇 가지는, 제 2 고정판(24)을 제 2 연결 로드(22) 및 결합판(14)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이 실시예의 다른 변화예에 있어서, 제 1 연결 로드(21)와, 제 2 연결 로드(22)와, 제 1 고정판(23)과, 제 2 고정판(24)의 개수가 각각 1개인 것도 가능하며, 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과 도 7에 이 실시예의 변화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변화예에 있어서, 고정 유닛(2)은 제 1 연결판(21')과 제 2 연결판(22')을 추가로 갖지만, 제 1 연결 로드(21)와, 제 2 연결 로드(22)와, 제 1 고정판(23)과, 제 2 고정판(24)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 1 연결판(21')은 연속한 만곡을 갖는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Z자 형상의 양단은 제 2 기판(12)과 결합판(14)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연결판(22')은 연속한 만곡을 갖는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Z자 형상의 양단은 제 3 기판(13)과 결합판(1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나사(25)에 있어서의 몇 가지는 제 1 연결판(21')의 상기 양단을 제 2 기판(12)과 결합판(14)에 각각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복수의 연결 나사(25)에 있어서의 다른 몇 가지는 제 2 연결판(22')의 상기 양단을 제 3 기판(13)과 결합판(14)에 각각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2와, 도 3과, 도 8을 참조하여, 도시와 같이, 제 1 사이드바(3)는 제 1 방향(Y)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15)의 일 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 3 기판(13) 및 결합판(14)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사이드바(3)의 결합판(14)에 접촉되는 개소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가 제 1 사이드바(3)의 제 3 기판(13)에 접촉되는 개소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보다 작은 구성에 의해, 결합 후의 제 1 사이드바(3)와 제 3 기판(13)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를, 결합 후의 제 1 사이드바(3)와 결합판(14)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2 사이드바(4)는 제 2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15)의 일 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 2 기판(12)과, 결합판(14)과,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사이드바(4)의 결합판(14)에 접촉되는 개소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가 제 2 사이드바(4)의 제 2 기판(12)에 접촉되는 개소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보다 작은 구성에 의해, 결합 후의 제 2 사이드바(4)와 제 2 기판(12)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를, 결합 후의 제 2 사이드바(4)와 결합판(14)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신축 유닛(5)은 장착면(15)의 제 1 사이드바(3)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방향(Y)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신축 유닛(5)은 제 1 방향(Y)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15)의 제 1 사이드바(3)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측면 사이드바(51)와, 장착면(15)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사이드바(4)와 제 2 신축 유닛(6) 사이에 위치하는 판 고정 어셈블리(52)와,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며, 또한, 제 1 방향(Y)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판 고정 어셈블리(52) 내에 삽입되며, 또한, 분리 가능하게 장착면(15)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프레임 고정 어셈블리(53)와, 5개의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를 갖는다.
사이드 프레임 고정 어셈블리(53)는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는 판 고정 어셈블리(52) 내에 끼워져 있으며, 그리고, 이 복수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는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연신 접속 부재(531) 내에 끼워져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 연신 접속 부재(531)의 수는 3개이다.
판 고정 어셈블리(52)와 이들 연신 접속 부재(531)에 관해서는, 제 1 방향(Y)을 따라서 연신하는 안내 레일과 안내 홈을 서로 끼워 맞추는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양자의 위치 조정 가능한 방향을 제 1 방향(Y)으로만 제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는, 연신 접속 부재(531)를 제 2 기판(12)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5개의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에 있어서의 2개는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 고정되며, 다른 1개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 고정되며, 나머지 2개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연신 접속 부재(531)에 인접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는, L자 형상으로 만곡되며, 또한, 당해 L자 형상의 양단이 대응하는 연신 접속 부재(531)와 제 2 기판(12)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측면 연결 부재(541)와, 당해 제 1 측면 연결 부재(541)의 상기 양단을 대응하는 연신 접속 부재(531)와 제 2 기판(12)에 각각 고정하는 2개의 제 1 고정 나사(542)를 갖는다.
도 2와, 도 3과,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신축 유닛(6)은 제 2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15)에 배치되며, 또한, 제 1 사이드바(3)와 제 1 측면 사이드바(5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사이드 프레임(61)과, 제 2 방향(X)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장착면(15)에 배치되며, 또한, 제 1 방향(Y)에 있어서 제 1 사이드 프레임(6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프레임(62)과, 제 2 방향(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제 1 사이드 프레임(61)의 내측 및 제 2 사이드 프레임(62)의 내측에 끼워져 있는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면(15)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고정 어셈블리(63)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면(15)에 고정되며, 또한, 제 2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 어셈블리(63) 내에 삽입되며, 또한,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와, 2개의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를 포함한다.
연결 고정 어셈블리(63)는 장착면(15)에 배치되며, 또한, 제 2 방향(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제 1 사이드 프레임(61)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 1 연결 프레임(631)과, 장착면(15)에 배치되며, 또한, 제 2 방향(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제 2 사이드 프레임(62)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 2 연결 프레임(632)을 갖는다.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는 제 1 연결 프레임(631)의 내측과, 제 2 연결 프레임(632)의 내측 사이에, 제 2 방향(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 1 사이드 프레임(61)과, 제 2 사이드 프레임(62)과, 연결 고정 어셈블리(63)와,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에 관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서 안내 레일과 안내 홈을 서로 끼워 맞추는 구성에 의해,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 및 연결 고정 어셈블리(63)의 위치 조정 가능한 방향을 제 2 방향(X)으로만 제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는,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와 제 2 연결 프레임(632)을 각각 제 3 기판(13)에 고정한다. 각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는, 모두 L자 형상으로 만곡되는 제 2 측면 연결 부재(651)와, 2개의 제 2 고정 나사(652)를 갖는다.
1개의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가 갖는 제 2 측면 연결 부재(651)의 L자 형상의 양단은, 제 3 기판(13)과 제 2 연결 프레임(632)에 각각 접촉되며, 또한, 이 1개의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가 갖는 이들 제 2 고정 나사(652)는, 대응하는 제 2 측면 연결 부재(651)의 양단을 제 3 기판(13)과 제 2 연결 프레임(632)에 각각 고정한다.
다른 1개의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가 갖는 제 2 측면 연결 부재(651)의 L자 형상의 양단은, 제 3 기판(13)과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에 각각 접촉되며, 또한, 이 다른 1개의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가 갖는 이들 제 2 고정 나사(652)는, 대응하는 제 2 측면 연결 부재(651)의 양단을 제 3 기판(13)과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에 각각 고정한다.
사용할 때, 작성하는 벽에 따라서는, 우선 몇 가지의 기준 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작성하고 나서, 조립된 기준 거푸집과 작성하는 벽의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 차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를 작성한다.
결합판(14)은 절삭하기 쉬운 목재이므로, 이 실시예에서, 제 1 방향(Y) 및 제 2 방향(X)의 길이를 조정할 때, 목재의 잉여 재료를 재이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이하의 상이점이 있다.
이들 연신 접속 부재(531)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는 인접하는 연신 접속 부재(531) 내에 위치하며, 또한,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연신 접속 부재(531)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는 가장 긴 위치까지는 신장되어 있지 않다.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의 수는 1개이며,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54)는 이들 연신 접속 부재(531)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1개의 연신 접속 부재(531)를 제 2 기판(12)에 고정한다.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64)는 제 1 연결 프레임(631)과 제 2 연결 프레임(632) 내에 위치하며, 또한, 제 1 사이드바(3)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 1 연결 프레임(631)과 제 2 연결 프레임(632)은, 가장 긴 위치까지는 신장되어 있지 않다.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의 수는 1개이며, 또한,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65)는 제 2 연결 프레임(632)을 제 3 기판(1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각각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제 1 거푸집(7)과, 제 2 거푸집(8)과, 제 3 거푸집(9)과 조립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 직사각형의 거푸집벽(100)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거푸집(7)은 제 1 방향(Y)을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병렬로 연결되며, 제 2 거푸집(8)은 제 2 방향(X)을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병렬로 연결되며, 제 3 거푸집(9)은 제 2 방향(X)을 따라서 제 1 거푸집(7)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제 1 방향(Y)을 따라서 제 2 거푸집(8)에 병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가 제 2 거푸집(8)의 제 1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와, 제 1 거푸집(7)의 제 2 방향(X)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제 1 거푸집(7)과, 제 2 거푸집(8)과, 제 3 거푸집(9)과,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를 조립하면, 작성할 예정의 벽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성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서 모든 수식 및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는, 제 1 신축 유닛(5) 및 제 2 신축 유닛(6)이 신축 가능하게 기판 유닛(1)과, 제 1 사이드바(3)와, 제 2 사이드바(4)에 고정되는 것, 그리고, 고정 유닛(2)에 의해 결합판(14)과, 제 2 기판(12)과, 제 3 기판(13)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기판 유닛(1)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동시에 필름 밀봉면(16)의 면일(面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인력에 의해 거푸집을 새로 작성하는 인적 비용과, 잉여 재료를 재이용할 수 없는 물적 비용도 증가히는 현상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는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1: 기판 유닛
11: 제 1 기판
12: 제 2 기판
13: 제 3 기판
14: 결합판
15: 장착면
16: 필름 밀봉면
2: 고정 유닛
21: 제 1 연결 로드
22: 제 2 연결 로드
23: 제 1 고정판
24: 제 2 고정판
21': 제 1 연결판
22': 제 2 연결판
25: 연결 나사
3: 제 1 사이드바
4: 제 2 사이드바
5: 제 1 신축 유닛
51: 제 1 측면 사이드바
52: 판 고정 어셈블리
53: 사이드 프레임 고정 어셈블리
531: 연신 접속 부재
54: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
541: 제 1 측면 연결 부재
542: 제 1 고정 나사
6: 제 2 신축 유닛
61: 제 1 사이드 프레임
62: 제 2 사이드 프레임
63: 연결 고정 어셈블리
631: 제 1 연결 프레임
632: 제 2 연결 프레임
64: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
65: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
651: 제 2 측면 연결 부재
652: 제 2 고정 나사
Y: 제 1 방향
X: 제 2 방향
Z: 장착 방향
11: 제 1 기판
12: 제 2 기판
13: 제 3 기판
14: 결합판
15: 장착면
16: 필름 밀봉면
2: 고정 유닛
21: 제 1 연결 로드
22: 제 2 연결 로드
23: 제 1 고정판
24: 제 2 고정판
21': 제 1 연결판
22': 제 2 연결판
25: 연결 나사
3: 제 1 사이드바
4: 제 2 사이드바
5: 제 1 신축 유닛
51: 제 1 측면 사이드바
52: 판 고정 어셈블리
53: 사이드 프레임 고정 어셈블리
531: 연신 접속 부재
54: 제 1 측면 연결 어셈블리
541: 제 1 측면 연결 부재
542: 제 1 고정 나사
6: 제 2 신축 유닛
61: 제 1 사이드 프레임
62: 제 2 사이드 프레임
63: 연결 고정 어셈블리
631: 제 1 연결 프레임
632: 제 2 연결 프레임
64: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
65: 제 2 측면 연결 어셈블리
651: 제 2 측면 연결 부재
652: 제 2 고정 나사
Y: 제 1 방향
X: 제 2 방향
Z: 장착 방향
Claims (6)
- 장착면을 갖는 기판 유닛과,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사이드바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사이드바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사이드바와,
상기 장착면의 상기 제 1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상기 제 2 사이드바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신축 유닛과,
상기 장착면의 상기 제 2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상기 제 1 사이드바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1 신축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축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 유닛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사이드바 및 상기 제 2 신축 유닛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측면 사이드바와,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사이드바와 상기 제 2 신축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판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사이드바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기판 고정 어셈블리에 끼워지는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장착면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프레임 고정 어셈블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축 유닛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사이드바 및 상기 제 1 측면 사이드바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신하도록 상기 장착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있는 제 2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 및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는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장착면에 고정되는 연결 고정 어셈블리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장착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 고정 어셈블리 내에 삽입되며, 또한, 상기 제 1 사이드바에 고정되는 사이드바 고정 어셈블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유닛은,
상기 제 1 측면 사이드바 및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과는 반대의 일 측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측면 사이드바 및 상기 제 2 사이드바에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측면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3 기판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3 기판의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과는 반대의 일 측에 병렬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측면 사이드바와는 반대의 일 측에 병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사이드바 및 상기 제 2 사이드바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과 동시에 상기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에 반대되는 필름 밀봉면을 구획 형성하는 결합판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밀봉면은 평활면이며, 상기 결합판의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의 모든 상기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바의 상기 결합판에 접촉되는 개소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가 상기 제 1 사이드바의 상기 제 3 기판에 접촉되는 개소의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보다 작은 구성에 의해, 결합 후의 상기 제 1 사이드바와 상기 제 3 기판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를, 결합 후의 상기 제 1 사이드바와 상기 결합판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 2 사이드바의 상기 결합판에 접촉되는 개소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가 상기 제 2 사이드바의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되는 개소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보다 작은 구성에 의해, 결합 후의 상기 제 2 사이드바와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른 두께를, 결합 후의 상기 제 2 사이드바와 상기 결합판의 상기 장착 방향(Z)을 따른 두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11106586 | 2022-02-23 | ||
TW111106586A TWI789251B (zh) | 2022-02-23 | 2022-02-23 | 雙向伸縮建築模板裝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6660A true KR20230126660A (ko) | 2023-08-30 |
Family
ID=8492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3546A KR20230126660A (ko) | 2022-02-23 | 2023-02-22 |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65668A1 (ko) |
EP (1) | EP4234842A1 (ko) |
JP (1) | JP7498316B2 (ko) |
KR (1) | KR20230126660A (ko) |
TW (1) | TWI78925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27376B (zh) * | 2023-09-01 | 2024-03-08 | 成都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具有可调节快速加固组件的混凝土浇筑模板及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6319B1 (ko) | 1998-09-29 | 2007-05-11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5824A (ja) * | 1991-11-01 | 1993-05-21 | Kyodo Kumiai Kagoshima Kensetsu Gijutsu Kenkyusho | 永久型枠用伸縮フレーム |
CN106088573A (zh) * | 2016-07-13 | 2016-11-09 | 李长生 | 一种装配式伸缩模架 |
CN208686072U (zh) * | 2018-06-12 | 2019-04-02 | 重庆新久融科技有限公司 | 一种铝合金模板加固装置 |
CN210342655U (zh) * | 2019-07-05 | 2020-04-17 | 江门志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双边可调的可伸缩模板 |
CN112942827B (zh) * | 2021-01-30 | 2021-11-30 | 浙江旺潮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用钢模板边框背楞连接结构 |
-
2022
- 2022-02-23 TW TW111106586A patent/TWI789251B/zh active
-
2023
- 2023-01-06 JP JP2023001340A patent/JP7498316B2/ja active Active
- 2023-01-10 US US18/095,414 patent/US20230265668A1/en active Pending
- 2023-01-11 EP EP23151155.1A patent/EP4234842A1/en active Pending
- 2023-02-22 KR KR1020230023546A patent/KR202301266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6319B1 (ko) | 1998-09-29 | 2007-05-11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334536A (zh) | 2023-09-01 |
JP7498316B2 (ja) | 2024-06-11 |
EP4234842A1 (en) | 2023-08-30 |
JP2023122624A (ja) | 2023-09-04 |
TWI789251B (zh) | 2023-01-01 |
US20230265668A1 (en) | 2023-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26660A (ko) | 이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
KR102281943B1 (ko) |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 연결장치 | |
KR100682310B1 (ko) | 콘크리트 거푸집 | |
ES2073608T3 (es) | Placa de encofrado para el hormigonado. | |
KR20230126659A (ko) | 편방향 신축 거푸집 장치 | |
CN216713392U (zh) | 一种便于快速拼接的alc板材 | |
CN212249302U (zh) | 一种工地通道走廊平台模板加固结构 | |
KR101247837B1 (ko) |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 |
CN211499755U (zh) | 一种蜂巢塑料建筑模板 | |
CN111441600A (zh) | 工地通道走廊平台模板加固结构 | |
RU2005135038A (ru) | Расходуем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бетонной 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бетон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отформованная с помощью указанного комплекта, и боков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этом комплекте | |
CN219280899U (zh) | 钢筋混凝土框架结构 | |
CN219491693U (zh) | 建筑模板及模板组件 | |
CN220580549U (zh) | 快速拼装式混凝土免拆模板 | |
CN219471250U (zh) | 一种混凝土墙体伸缩缝线型结构 | |
KR102699474B1 (ko) | 블록 적층식 거푸집 | |
TW200526846A (en) | Energy-dissipative support device having no waste material | |
CN213773968U (zh) | 一种环保型装配式指接板木屋墙体 | |
CN216640932U (zh) |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集成房屋 | |
CN214302572U (zh) | 一种装配式多体系钢筋定位装置 | |
TWM645995U (zh) | 板面開孔之板材結構 | |
CN117248720A (zh) | 双结构柱之间小空间柱缝的模板支撑装置及其施工方法 | |
JP2023003620A (ja) | 防水板押付装置 | |
JP2016148169A (ja) | 間仕切パネルの組立方法 | |
GB2082720A (en) | Joining she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