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33A -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33A
KR20230126533A KR1020220023835A KR20220023835A KR20230126533A KR 20230126533 A KR20230126533 A KR 20230126533A KR 1020220023835 A KR1020220023835 A KR 1020220023835A KR 20220023835 A KR20220023835 A KR 20220023835A KR 20230126533 A KR20230126533 A KR 2023012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radiation frame
intensity focused
focused ultrasound
ultrasonic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주
공은경
황수민
강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2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33A/ko
Priority to PCT/KR2022/020529 priority patent/WO2023163348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프로브가 교체가능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프로브들 중에서 진단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알맞은 프로브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방사 프레임은 공용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프로브 또는 프로브 어댑터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 사이 또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로브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eatment device with interchangeable probe}
본 발명은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프로브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목적과 동적 범위에 따라 다양한 프로브들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발생 장치는,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집속하여 고강도의 초음파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환자의 환부에 조사하여 환부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외과적 수술 없이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의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중앙에 삽입된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는 탐촉자라고도 하며, 상기 프로브를 통해 병변이나 시술 부위를 정밀 감시하여 병변 위치 및 부피 등 치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진단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따라 프로브만을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병변에 관계없이 동일한 프로브를 사용할 경우 수집하는 데이터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525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프로브들과 호환이 가능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는 프로브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로브 장착부가 형성된 프로브 어댑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하고, 프로브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교체가능하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프로브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 장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프로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프로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는, 오 링, 개스킷,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의 내둘레면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의 외둘레면은 나사결합된다.
상기 관통부의 내둘레면과 상기 프로브의 외둘레면은 나사결합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은, 상기 관통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조각들로 나누어져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조각들의 각 일측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각들의 각 타측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조각들 중에서 어느 한 조각의 결합홈에 다른 조각의 결합돌기가 결합된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프로브가 교체가능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프로브들 중에서 진단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알맞은 프로브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방사 프레임은 공용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프로브 또는 프로브 어댑터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 사이 또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로브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초음파 방사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를 이용한 장치이다. 상기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수십 또는 수백개의 트랜스듀서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포함하여, 종양 등이 있는 환자의 환부를 치료할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나 우울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뇌에 자극을 줄 수도 있으며, 특정 부위에 열을 가하여 면역력을 높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의 헤드 모듈은, 초음파 방사 프레임(10), 프로브(11), 복수의 트랜스듀서들(transducer)(20), 복수의 트랜스듀서 홀더들(30), 프로브 어댑터(40) 및 실링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은, 상기 복수의 트랜스듀서들(20)에서 방사하는 초음파들을 집속시켜 한 곳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접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은, 전면(10a)의 중앙에 상기 프로브(11)가 결합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중앙측에는 관통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4)를 중심으로 복수의 결합홀들(12)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관통부(14)는 상기 프로브 어댑터(40)가 압입되는 홀이며,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관통부(14)의 형상은 상기 프로브 어댑터(40)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와 상기 관통부(14)의 단면 형상은, 반원, 부채꼴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결합홀들(12)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홀들이다. 상기 결합홀들(12)의 개수는 상기 트랜스듀서들(20)의 개수에 따라 설정된다.
상기 복수의 트랜스듀서들(20)은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20)는 전원을 인가받으면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트랜스듀서(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트랜스듀서들(20)은 수십 또는 수백개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형성한다. 상기 트랜스듀서들(20)의 개수는 방사하고자 하는 초음파 에너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 홀더(30)는, 상기 복수의 결합홀들(12)마다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트랜스듀서 홀더(30)에는 상기 트랜스듀서(2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프로브(11)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프로브(11)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초음파를 조사하여, 병변 부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탐촉자라고도 한다. 상기 프로브(11)는 사용 목적이나 동적 범위에 따라 모양, 크기 및 구조 등을 포함하는 사양이 다르게 형성되어, 진단 부위나 병변에 알맞은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프로브(11)는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를 통해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교체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에 상기 프로브(11)를 교체가능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어댑터이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14)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방에서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후방에서 분리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40a)와, 상기 플랜지부(40a)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14)에 삽입되는 삽입부(40b)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의 내측면에는 프로브 장착부가 형성되며, 이하, 상기 프로브 장착부는 프로브 장착홀(40c)이라 칭한다. 상기 프로브 장착홀(40c)은 단면 형상은 상기 프로브(1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브 장착홀(40c)와 상기 프로브(11)의 단면 형상은, 반원, 부채꼴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부(40a)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면(10a)에서 상기 관통부(14)의 주변에 형성된 안착홈(10b)에 안착된다.
상기 삽입부(40b)의 단면 형상은, 상기 관통부(14)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관통부(1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관통부(14)에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의 삽입부(40b)와 상기 관통부(14)는 나사결합부(70)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나사결합부(70)는, 상기 삽입부(40b)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부(14)의 내주면(14a)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결합부(70)는, 상기 관통부(14)와 상기 프로브(11)사이에서 실링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70)에는 테프론 테이프 등의 실링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삽입된 후,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후면에서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실링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의 상기 플랜지부(40a)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안착홈(10b)사이에 삽입된 개스킷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링부(60)는, 오 링(O-ring),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패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실링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60)는, 메탈, 실리콘 및 고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40) 사이에만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와 상기 프로브(11)사이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와 상기 프로브(11)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와 상기 프로브(11)사이도 나사결합부에 의해 실링될 수 있으며 테프론 테이프 등의 실링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에 상기 프로브(11)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알맞은 프로브를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 또는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프로브(11)와 상기 프로브 어댑터(4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장치에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 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에 프로브 어댑터(140)가 교체가능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관통부(14)에 압입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140a)와, 상기 플랜지부(140a)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14)에 삽입되는 삽입부(14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의 상기 플랜지부(140a)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안착홈(10b)사이에 삽입된 개스킷(61)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의 상기 삽입부(140b)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의 관통부(14)사이에 삽입된 오 링(6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링부(60)는,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패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실링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60)는, 메탈, 실리콘 및 고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6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0)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 사이에만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 어댑터(140)와 상기 프로브(11)사이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브 어댑터(40)와 상기 프로브(11)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실링될 수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프로브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는, 프로브(111)가 교체 가능하도록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에 직접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과 상기 프로브(111)사이에 실링부(160)가 구비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중앙측에는 관통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프로브(111)가 압입되는 홀이며,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1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111)가 압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브(111)와 상기 관통부(114)의 단면 형상은, 반원, 부채꼴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프로브(111)는, 상기 관통부(114)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프로브(111)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111a)와, 상기 플랜지부(11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114)에 결합되는 삽입부(111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플랜지부(111a)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전면(110a)에서 상기 관통부(114)의 주변에 형성된 안착홈(110b)에 안착된다.
상기 삽입부(110b)의 단면 형상은, 상기 관통부(114)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관통부(11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110b)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110b)의 단면 형상은, 반원, 부채꼴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110b)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관통부(114)에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삽입부(110b)와 상기 관통부(114)는 나사결합부(170)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나사결합부(170)는, 상기 삽입부(110b)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부(114)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결합부(170)는, 상기 관통부(114)와 상기 삽입부(110b)사이에서 실링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170)에는 테프론 테이프 등의 실링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111)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삽입된 후,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후면에서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160)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관통부(114)와 상기 프로브(111)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실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160)는, 상기 프로브(111)의 상기 플랜지부(111a)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의 안착홈(110b)사이에 삽입된 개스킷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링부(160)는, 오 링(O-ring),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패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110)과 상기 프로브(111)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실링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160)는, 메탈, 실리콘 및 고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114)와 상기 프로브(111)가 상기 나사결합부(170)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부(170)에 의해 상기 관통부(114)와 상기 프로브(111)사이에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나사결합부에는 테프론 테이프 등의 실링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초음파 방사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는, 초음파 방사 프레임(200)이 복수의 조각들로 나누어져 결합된 것이 상기 제2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200)은 2개의 제1,2프레임(201)(202)으로 분리되어 결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로브(111)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부(114)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조각의 개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1프레임(201)과 상기 제2프레임(202)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201)(202)의 각 일측면에 형성된 결함홈(200a)과, 각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전면에 맞대어지는 결합돌기(200b)와, 상기 제1프레임(201)과 상기 제2프레임(202)을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201)의 결합돌기(201b)는 상기 제2프레임(202)의 결합홈(202a)에 안착되고, 상기 제2프레임(202)의 결합돌기(202b)는 상기 제1프레임(201)의 결합홈(201a)에 안착된 후, 상기 제1,2프레임(201)(202)의 후방에서 상기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프레임(201)과 상기 제2프레임(202)은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201)과 상기 제2프레임(202)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실링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201)과 상기 제2프레임(202)을 분리시킨 후, 상기 프로브(111)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0,200: 초음파 방사 프레임 11,111: 프로브
20: 트랜스듀서 30: 트랜스듀서 홀더
40,140: 프로브 어댑터 60,160: 실링부
201: 제1프레임 202: 제2프레임

Claims (13)

  1.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는 프로브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로브 장착부가 형성된 프로브 어댑터를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2.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하고,
    프로브가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에 교체가능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과 상기 프로브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장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프로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프로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오 링, 개스킷,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둘레면과 상기 프로브 어댑터의 외둘레면은 나사결합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둘레면과 상기 프로브의 외둘레면은 나사결합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은,
    상기 관통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조각들로 나누어져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각들의 각 일측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각들의 각 타측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조각들 중에서 어느 한 조각의 결합홈에 다른 조각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어댑터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방사 프레임의 전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KR1020220023835A 2022-02-23 2022-02-23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KR2023012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35A KR20230126533A (ko) 2022-02-23 2022-02-23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PCT/KR2022/020529 WO2023163348A1 (ko) 2022-02-23 2022-12-16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35A KR20230126533A (ko) 2022-02-23 2022-02-23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33A true KR20230126533A (ko) 2023-08-30

Family

ID=8776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835A KR20230126533A (ko) 2022-02-23 2022-02-23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33A (ko)
WO (1) WO20231633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588B1 (ko) 2018-08-24 2019-02-27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피부의 여러 지점에 동시에 고강도 초음파 집속이 가능한 변환기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29A (ja) * 1994-02-03 1995-08-15 Toshiba Corp 超音波治療装置
US8466605B2 (en) * 2008-03-13 2013-06-18 Ultrashape Ltd. Patterned ultrasonic transducers
KR20110074326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알디에스코리아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스템
KR101355532B1 (ko) * 2011-11-21 2014-01-24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용 트랜스듀서
CN105530994B (zh) * 2013-09-12 2018-11-20 爱飞纽医疗机械贸易有限公司 具有改善的密封特性的高强度聚焦超声波治疗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588B1 (ko) 2018-08-24 2019-02-27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피부의 여러 지점에 동시에 고강도 초음파 집속이 가능한 변환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348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8982B1 (en) Interstitial ultrasonic disposable applicator for tissue thermal conformal volume ablation and monitoring the same
JP4989635B2 (ja) 生体の器官を対象とした画像形成・治療ヘッドと製造方法
KR20110074326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스템
Dangi et al. A modular approach to neonatal whole-brain photoacoustic imaging
Kim et al. Lesion generation through ribs using histotripsy therapy without aberration correction
CN103052426A (zh) 聚焦超声波生成装置
KR20230126533A (ko) 프로브 교체형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KR102147851B1 (ko) 음향렌즈를 구비한 초음파 의료장치
KR101772480B1 (ko) 초음파 장치용 멤브레인 및 그 초음파 장치
US9149248B2 (en) Method for generating transverse elastic wav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mages using transverse elastic waves
JP2019530511A (ja) ターゲット識別と境界検出のための多周波数高調波アコーストグラフィ
JP7283912B2 (ja) 外側の筋を有する超音波生成源
Eames et al. Low-COST THERMOCHROMIC quality assurance phantom for therapeutic ultrasound devices: A proof of concept
US20230381544A1 (en) Process for testing the accuracy and the performance of an ultrasound transducer
KR101808835B1 (ko)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헤드
KR20230051816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의 트랜스듀서 어레이의 누수 방지 결합 구조 및 트랜스듀서 어레이
KR20120012931A (ko)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Bawiec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dual mode CMUT probe for ultrasound image guided HIFU therapy
JP6486243B2 (ja) 音響波プローブ、音響波トランスデューサユニット、及び被検体情報取得装置
KR101771988B1 (ko) 초음파 집속장치
Okada et al. Influence of tough hydrophone shapes with titanium front plate and hydrothermal PZT thick film on distribution of acoustic bubbles around focal point of HIFU transducer
KR102600838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의 트랜스듀서 어레이의 트랜스듀서 홀더를 이용한 전극 구조 및 트랜스듀서 어레이
KR20240046466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의 트랜스듀서 홀더의 진동파 출력 최대화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Okada et al. Robust hydrophone with hydrothermal PZT thick-film vibrator and titanium front layer for use in high-power ultrasound fields
WO2024103159A1 (en) Ultrasound image-guided focused ultrasou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