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475A -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475A
KR20230126475A KR1020220023692A KR20220023692A KR20230126475A KR 20230126475 A KR20230126475 A KR 20230126475A KR 1020220023692 A KR1020220023692 A KR 1020220023692A KR 20220023692 A KR20220023692 A KR 20220023692A KR 20230126475 A KR20230126475 A KR 20230126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aintenance
message
remode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갑
박세웅
유용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2002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475A/en
Publication of KR2023012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47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다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건 및 상태가 검사시 미리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유지보수를 진행하도록 요청하는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하는 유지보수 알림부; 및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스위치의 '온'에 따른 제1 비상신호와 상이한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상기 제1비상신호 메시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2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작업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하는 엘리베이터 단말을 포함한다.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 maintenance message requesting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a preset event to an elevator when a preset event occurs during an inspection of a plurality of elevator doors and their states.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that delivers to the elevator terminal installed insid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tenance messag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on' of the emergency switch in the elevator, and if the maintenance message and the first emergency signal message are different, a second emergency message is generated to and an elevator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to a maintenance worker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엘리베이터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n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that performs elevator safety management.

고층화된 건물이 늘어남에 따라서 수직운반 수송설비인 엘리베이터 설비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관련해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구동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성능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As high-rise buildings increase, the importance of elevator facilities, which are vertical transport facilities, is increasing day by day. In relation to this trend, safety accidents in elevators are also increasing every year.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elevators and to operate safely and comfortabl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eck the performance of elevators.

한국엘리베이터안전관리원과 한국엘리베이터안전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정기검사인 안전검사와 엘리베이터 관리 주체가 매월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자체점검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afety inspection, which is a regular inspection conducted by the Korea Elevator Safety Management Institute and the Korea Elevator Safety Technology Institute, and the self-inspection that the elevator management body must perform every month is to ensure the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안전을 위한 점검항목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엘리베이터 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많은 부품들의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을 파악하면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원인을 사전에 찾을 수 있어서 불시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편리한 승차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re are various inspection items for safety, but among them, if you identify the cause of vibration or noise that is necessarily generated by the mechanical operation of many parts that make up the elevator equipment, you can find the cause that interferes with the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advance. Accidents that may occur unexpectedl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onvenient ride quality can be improved.

엘리베이터 유지보수업체에서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안전이나 성능을 평가하는 자체점검과 완성검사, 정기검사, 수시검사, 정밀안전검사 등은 엘리베이터 안전운행을 위한 중요 검사로써 엘리베이터의 성능 및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Self-inspection, completion inspection, regular inspection, occasional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inspection, which evaluate the safety or performance of elevator equipment performed by elevator maintenance companies, are important inspections for safe elevator operation, and are the basi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elevator. It can be used as a resource.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로 고층건물의 밀집도가 높고 신축 건물이 많아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사용이 급증하였다. 이렇게 엘리베이터 설치와 이용이 빈번해지는 만큼 엘리베이터 안전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엘리베이터 사고로 인해 매년 10명 이상이 죽고 100명 이상이 중상을 입고 있으며 노인과 아동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in Korea, the density of high-rise buildings is high and there are many new buildings, so the installation and use of elevators has increased rapidly. As the installation and use of elevators increase, the importance of elevator safety management is also increasing. In Korea, more than 10 people die every year due to elevator accidents, and more than 100 people are seriously injured, and the damage to the elderly and children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26526 (2018.11.27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6526 (published on November 27, 2018)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국내외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domestic and foreign elevators by improving the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다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건 및 상태가 검사시 미리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유지보수를 진행하도록 요청하는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하는 유지보수 알림부 및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 maintenance message requesting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a preset event to an elevator when a preset event occurs during an inspection of a plurality of elevator doors and their states. A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delivered to the elevator terminal installed inside and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스위치의 '온'에 따른 제1 비상신호와 상이한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상기 제1비상신호 메시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2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작업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하는 엘리베이터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tenance messag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emergency switch in the elevator, and if the maintenance message and the first emergency signal message are different, a second emergency message is generate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message. An elevator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to a maintenance worker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사용자 또는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자동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alarm unit generating an alarm informing an elevator user or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of danger when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levator terminal.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동작되며, 2단 병렬형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는 도어 잠금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is operated when the secon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levator termi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door lock switch unit composed of a two-level parallel on/off switch.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유지보수 작업자에 의해 현재 유지보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vator system currently maintained by a maintenance worker.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에 의해 유지보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높이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information on how high the elevator maintained by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유지보수의 진척 정도를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로 전달하는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progress of maintenance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소유한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대기 압력 센서, 위성 항법 시스템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 주파수 식별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표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 실체의 상대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제2상대높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includes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ensor, an accelerometer, a gyrosco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r other radio frequency signals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maintenance worker in the lifting aisl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relative height information of maintenance worker entities in the lifting aisle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system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gnal strength indication and the camera.

본 발명은 국내외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개선된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improved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of domestic and foreign elevators.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스위치부의 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상대높이 정보 획득부에서 제2상대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wiring diagram of a door lock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process of acquiring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in the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존의 로프브레이크 시스템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순간에 문이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력 저하와 무게 불균형으로 인한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또는 제동장치의 불량으로 상승 방향으로 정격속도를 초과하는 과속이 발생하는 경우에 하강 방향으로만 동작되는 기존의 비상 정지장치의 구조로는 카를 기계적으로 완전히 정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existing rope brake system, when the door is open at the moment passengers get on and off, the elevator slips due to a decrease in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pe and the pulley and weight imbalance, or an overspeed that exceeds the rated speed in the upward direction due to a defect in the brake system. When this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 cannot be completely stopped mechanically with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emergency stop device that operates only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상정지장치 외 보조 안전장치로서 상승 과속방지장치 기능이 포함된 개문출발 방지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문출발 방지장치 중 로프브레이크는 유압식 로프브레이크와 스프링식 로프브레이크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oor opening start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n upward speed prevention device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s an auxiliary safety devic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mergency stop device. Among these anti-opening devices, rope brakes include hydraulic rope brakes and spring-type rope brakes.

유압식 로프브레이크는 방향 제어 밸브의 절환에 의해 실린더 압력은 유압 공급 유닛의 설정 압력과 같게 되고 솔레노이드 슈가 작동되어 로프를 잡게 된다.In the hydraulic rope brake, the cylinder pressure is equal to the set pressure of the hydraulic supply unit by switching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the solenoid shoe is operated to hold the rope.

스프링식 로프브레이크는 전면커버와 후면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축과 이에 연결된 슬라이더를 통해 스프링의 힘으로 제동을 가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더 하부는 쇄기 형식으로 작동되어 로프를 구속시켜줌으로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spring-type rope brake applies braking with the force of a spring through two axes connected to the front cover and rear cover and a slider connected to them.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또한 기존의 유압 제동방식보다 제조공정이 간략하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r than the existing hydraulic braking method,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the product.

안전회로를 보면 카 도어 접점 또는 승강장 도어 접점이 어떤 원인에 의해 단락된 상태 즉 HDR, CDR 접점 입력이 들어오는 상태에서 도어 열림(DOL)이 검출되면 Error (Non off Car Door Switch 또는 Non off Hall Door Switch)를 발생시키고 엘리베이터는 정지된다.Looking at the safety circuit, if a door open (DOL) is detected while the car door contact or platform door contact is short-circuited for some reason, that is, HDR or CDR contact input is input, an error (Non off Car Door Switch or Non off Hall Door Switch) is detected. ) and the elevator stops.

이러한 제어 프로세스는 개문출발이나 과속 발생이 아니라 승객이 카 내에서 뛰는 장난 또는 조속기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조속기 스위치가 이상 tripping 되는 경우에도 로프브레이크가 연동되어 동작됨으로써 이때 카 내부 충격은 탑승한 승객들 중 특히 임산부나 노약자들에게 더 큰 충격이 되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ontrol process, even when the governor switch is tripped abnormally due to mischief by passengers running inside the car or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governor, the rope brake is interlocked and operat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s more shocking to pregnant women and the elderl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속도패턴은 일정한 가감속 속도 패턴에 따른 시간 간격과 감속 위치를 정해두고 일정한 저크(jerk)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속도 패턴 제어에 따라 움직이도록 설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pattern of the elevator is designed to move according to the speed pattern control made by using a constant jerk with a time interval and deceleration position according to a constant acceleration/deceleration speed pattern.

엘리베이터의 감속 지점에서는 저크를 최소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되고 속도는 감소되게 한다. 다시 정지 지점에 도달할 때 저크를 0으로 하여 엘리베이터를 멈추게 한다. At the deceleration point of the elevator, the jerk is minimized so that the acceleration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peed is reduced. When it reaches the stopping point again, it sets the jerk to 0 to stop the elev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유지보수 알림부(100) , 자동경보부(200),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600), 제2상대높이 정보 획득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an automatic alarm unit 200, a door lock switch unit 300, an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a first relative height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0, a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00, and a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700.

1. 유지보수 알림부(100) 1.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 알림부(100) 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건 및 상태가 검사시 미리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유지보수를 진행하도록 요청하는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한다.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o proceed with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event when a preset event occurs during the inspection of a plurality of elevator door events and states. maintenance message to the elevator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100) 는 특별히 정의한 제1이벤트 발생의 경우에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하며, 제1이벤트 이외의 결함 이벤트 발생시에는 미리 설정한 한계치를 넘는 경우에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한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transmits a maintenance message to the elevator terminal in the case of a specially defined first event, and exceeds a preset limit when a defect event other than the first event occurs. The maintenance message is delivered to the elevator terminal.

어떤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부품이 불량하지 않으며 상황을 바꾸기 위해 서비스가 실행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주의할 사건이나 상태가 자주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In some elevators, notable events or conditions occur frequently, even though no component in the elevator is defective and no service needs to be run to change the situation.

엘리베이터 유지보수에 치명적인 결함이라고 미리 판정한 제1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기반하여 평균운행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균운행률에 기반하여 결함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결함 한계치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An average operating rat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first event determined in advance to be a fatal defect for elevator maintenance. In addition, based on this average operating rate, it can be used to determine a defect threshold based on the occurrence of a defect event.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100) 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준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현재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기준 이미지에 현재 이미지를 비교하여 기준 이미지에 대한 현재 이미지 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제1 이벤트 발생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결함 한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유지보수 작업자 단말로 유지보수를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provides a reference image of the elevator system, provides a current image of the elevator system,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urrent image by comparing the current image to the reference image, Deriving the occurrence of a first event, deriving a defect threshold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and notifying maintenance to a maintenance worker terminal may be performed.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100) 에서 생성된 유지보수 메시지는 무선신호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100) 에서 발신된 무선의 유지보수 메시지는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은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스위치의 '온'에 따른 제1 비상신호와 상이한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상기 제1비상신호 메시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2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작업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The maintenance message generated by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may be a radio signal. The wireless maintenanc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terminal. Thereafter, the elevato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maintenance message and the first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on' of the emergency switch in the elevator are different, and if the maintenance message and the first emergency signal message are different, a second emergency signal A message may be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maintenance worker terminal, or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may be delivered to a manager terminal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2. 자동경보부(200)2. Automatic alarm unit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경보부(200)는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사용자 또는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from the elevator terminal, the automatic alarm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n alarm notifying an elevator user or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of danger.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게 엘리베이터 상, 하부에 각기 하나씩의 카 상,하부 점검 램프를 구비하고 피트부의 점검용 사다리 상측에는 피트 점검램프를 가진다. 다른 구성부분은 대체적으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피트부의 점검용 사다리 상측 피트 점검 램프 아래에 피트부 자동경보부(200)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상부에 부설된 출입문 제어함 내에는 카 상부 경보벨을 내장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ith the existing elevator, one car upper and lower inspection lamp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vator, and a pit inspection lamp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dder for inspection of the pit part. The other components have gener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and only the pit part automatic alarm unit 200 is installed under the pit inspection lamp on the upper side of the ladder for inspection of the pit part, and the car upper alarm bell is installed in the door control box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re embedded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경보부(200)는 출입문 제어함에 내장된 카 상부 경보벨 및 엘리베이터의 피트부에 설치된 피트부 경보벨인 엘리베이터의 보수점검 시 자동경보장치로 점검 램프는 카 상,하부 점검 램프와 피트 점검 램프로 경보 스위치가 각 승강장의 조작반에 설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utomatic alarm unit 200 is an automatic alarm device dur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elevator, which is a car upper alarm bell built into the door control box and a pit alarm bell installed in the pit part of the elevator. An alarm switch with a pit check lamp can be installed on the operating panel of each platform.

피트부의 피트 점검 램프가 위치한 곳에 자동경보부(200)을 설치하여 피트부 보수점검 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출입문 제어함 내부에도 자동경보부(200)을 내장시켜 카상부나 승강로 출입구의 보수점검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An automatic alarm unit 200 is installed where the pit inspection lamp is located so that an alarm can be generated during pit maintenance inspection, and an automatic alarm unit 200 is also built inside the door control box to perform maintenance on the top of the car or at the entrance to the hoistway. If necessary, an alarm can be sounded automatically.

상기 자동경보부(200)는 상황에 따라 카 상부 경보벨 또는 피트부 경보벨이 모두 가능하다.The automatic alarm unit 200 may be a car top alarm bell or a pit alarm bell depending on circumstances.

또한, 각 승강장 출입문에 부착된 조작반에는 방향선택을 위한 승장버튼과 더불어 자동 경보 스위치를 부가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tomatic alarm switch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long with a boarding button for direction selection on a control panel attached to each platform door.

3.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3. Door lock switch unit (300)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동작된다.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is operated when the secon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levator terminal.

상기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보수작업자가 보수점검 작업을 위해 도어키로 도어의 잠금 작업을 해제함에 따라 제1 및 제2 키스위치 접점이 동시에 작동되고 키를 빼냄에 따라 접점이 동시에 복귀되는 2단 병렬형의 키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when a maintenance worker unlocks a door with a door key for maintenance work, the first and second key switch contact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and the contacts are simultaneously restored when the key is pulled out. However, it can be configured as a parallel-type keyswitch.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승강장 출입문 상측에 도어 잠금 스위치를 설치하되 보수작업자가 도어키로 이 잠금스위치의 잠금작용을 해제하고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door lock swit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platform entrance door, but a maintenance worker releases a locking action of the lock switch with a door key and manually opens the door.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2단 병렬형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고 도어 잠금 스위치의 전방에는 경보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된다.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보수작업자가 보수점검을 위해 도어키로 출입문에 부착된 도어 잠금 스위치의 잠금작용을 해제하면 2단 병렬형의 제1 키스위치와 제2 키스위치가 동시에 온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is composed of a two-stage parallel on/off switch, and an alarm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in front of the door lock switch. 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can turn on the first key switch and the second key switch of the two-stage parallel type at the same time when the maintenance worker releases the locking action of the door lock switch attached to the door with the door key for maintenance inspection. there is.

상기 2단 병렬형 키스위치의 제2 키스위치에는 직렬로 자기유지회로용 제1 전자릴레이와 점검 램프 점등용의 제2 전자릴레이가 연속하여 연결접속될 수 있다. A first electronic relay for a self-maintaining circuit and a second electronic relay for turning on an inspection lamp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key switch of the two-stage parallel key switch.

또한, 제2 키스위치 접점의 양단에는 병렬로 자기유지회로용 제1 전자릴레이의 자기유지접점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제2 키스위치가 오프되더라도 제1 전자릴레이 코일의 여자에 의해 자기유지접점이 온되므로 제1 및 제2 전자릴레이코일에는 제어 전원이 공급된다. In addition, the magnetic holding contact of the first electromagnetic relay for the magnetic holding circuit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key switch contact in parallel.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key switch is turned off, the magnetic holding contact is turned on by the excitation of the first electromagnetic relay coil, so control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ic relay coils.

엘리베이터의 점검 시 수동으로 작동하는 카 상, 하부 점검 램프 및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함으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도어 잠금 스위치부(300) 는 보수작업자가 도어키로 동시에 작동시킬수 있도록 제1 키스위치 및 제2 키스위치로 2단 병렬 형성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composed of a door control box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elevator doors and car upper and lower inspection lamps that are manually operated during elevator inspection, the door lock switch unit 300 is a first kiss so that maintenance workers can operate it simultaneously with a door key It can be formed in parallel in two stages with the position and the second key switch.

그 결과, 제2 키스위치가 복귀하더라도 제어 전원의 공급을 유지시키고 제1 전자릴레이 코일에 연이어 제2 전자릴레이 코일을 직렬 연결하여 제2 전자릴레이의 고정접점과 직렬 연결된 점검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 second key switch returns, the supply of control power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relay coil is seri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magnetic relay coil to turn on the inspection lamp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xed contact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relay. .

카운터웨이트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을 평형화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그리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카운터웨이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동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The counterweight is configured to balance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and facilitat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simultaneously in an elevator hoistway and along a guide rail in opposite directions relative to the counterweight.

4.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4.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상기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는 유지보수 작업자에 의해 현재 유지보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는 상기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GPS 센서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vator system currently maintained by a maintenance worker. For example,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may obtain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sensor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worker.

즉,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는 관리되는 다수의 위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엘리베이터를 관리 중인가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is for specifying which elevator is being managed among elevators of a plurality of managed locations.

상기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는 이렇게 획득한 엘리베이터 위치정보를 유지보수 알림부(100) 로 전달한다.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400 transmits the acquired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

5.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5.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0

상기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는 상기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400)에 의해 유지보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높이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0 may obtain information on how high the elevator maintained by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0 is from the ground.

상기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는 지면을 기준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높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는 엘리베이터에 내장된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취득되거나,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외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상대높이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높이 감응부가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장 단말 또는 탑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높이 감응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대높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0 may obtain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or relative to the ground. The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ring unit 500 may be acquired in real time by a terminal embedded in the elevator or obtained from a mobile device of a passenger boarding the elevator. A height sensor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elevator is installed outside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built-in terminal or passenger's mobile device receive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height sensor to obtain relative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n

상기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500) 는 이렇게 획득한 엘리베이터의 상대높이를 유지보수 알림부(100) 로 전달한다. The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ring unit 500 transfers the acquired relative height of the elevator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

6.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600)6.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or (600)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600)는 유지보수의 진척 정도를 유지보수 알림부(100) 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600)는 상기 유지보수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 또는 미리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유지보수 과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과정 정보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 실체의 유지보수 작업의 진행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보수 과정 정보는 유지보수 작업자의 작업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00 may transmit the progress of maintenance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 The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00 may generate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of the maintenance worker or a pre-installed camera. The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or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aintenance work of the maintenance worker entity in the lifting passage. Preferably, the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or upda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work situation of the maintenance worker.

7. 제2상대높이 정보 획득부(700)7.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700

상기 제2상대높이 정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 실체의 상대높이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2상대높이 정보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소유한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대기 압력 센서, 위성 항법 시스템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 주파수 식별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표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refers to relative height information of a maintenance worker entity in a lifting passage corresponding to an elevator system. The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is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ensor, accelerometer, gyroscop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r other radio frequency signal strength indication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maintenance worker in the lifting aisle; and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meras.

상기 제2상대높이 정보는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100) 로 전달되어, 유지보수 과정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100 so that a maintenance process may be track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changes, and The additions should be view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다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건 및 상태가 검사시 미리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유지보수를 진행하도록 요청하는 유지보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단말로 전달하는 유지보수 알림부; 및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스위치의 '온'에 따른 제1 비상신호와 상이한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유지보수 메시지와 상기 제1비상신호 메시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2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작업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하는 엘리베이터 단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Maintenance that transmits a maintenance message requesting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event to the elevator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when a preset event occurs during the inspection of multiple elevator door events and states notification departmen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tenance messag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emergency switch in the elevator, and if the maintenance message and the first emergency signal message are different, a second emergency message is generate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message. An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to a maintenance worker terminal or to a manager terminal managing a plurality of eleva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비상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사용자 또는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자동경보부를 더 포함하는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alarm unit generating an alarm informing an elevator user or elevator maintenance worker of danger when the second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levato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단말로부터 제2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에 동작되며, 2단 병렬형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는 도어 잠금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oor lock switch unit operated when a secon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levator terminal and composed of a two-stage parallel on / off swi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유지보수 작업자에 의해 현재 유지보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n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vator system currently maintained by a maintenance work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위치정보 획득부에 의해 유지보수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높이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상대높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irst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how high the elevator being maintained by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at a height from the gr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유지보수의 진척 정도를 상기 유지보수 알림부로 전달하는 유지보수 과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intenance proc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conveying the progress of maintenance to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소유한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대기 압력 센서, 위성 항법 시스템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 주파수 식별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 신호 강도 표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응하는 리프팅 통로에 있는 유지보수 작업자 실체의 상대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제2상대높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includes atmospheric pressure sensors,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ensors, accelerometers, gyroscop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r other radio frequency signal strength installed on portable terminals owned by maintenance workers in the lifting aisle. The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lative heigh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relative height information of a maintenance worker entity in a lifting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system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play and a camera.
KR1020220023692A 2022-02-23 2022-02-23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KR20230126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92A KR20230126475A (en) 2022-02-23 2022-02-23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92A KR20230126475A (en) 2022-02-23 2022-02-23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75A true KR20230126475A (en) 2023-08-30

Family

ID=8784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692A KR20230126475A (en) 2022-02-23 2022-02-23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47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26A (en) 2016-03-18 2018-11-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How to maintain an elevator car,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26A (en) 2016-03-18 2018-11-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How to maintain an elevator car,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0594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US7461723B2 (en)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JP5526092B2 (en) Electronic elevator
CN108217360B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4106594A (en) Elevator system
CN114728758A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2289455B1 (en) System for elevator emergency communication and device for elevator safety management
CN113371569B (en) Elevator safety system
KR20230126475A (en) Elevator remodeling and maintenance system
US4011928A (en) Elevator system
US20200283270A1 (en) Elevator system landing door unlocking mechanism
KR100975758B1 (en) Rescue circuit of elevator
CN213976545U (en) Elevator fault detector
KR102434859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door
JP2020029314A (en) Elevator diagnosis system and elevator diagnosis method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CN214359595U (en) Hoistway door impact detection device, anti-collision hoistway door and anti-collision elevator
JP6669840B2 (en)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ident evacuation elevator
EP3643660A1 (en) System for providing elevator service
CN112875455A (en) Elevator fault detector and elevator fault detection method
KR100809373B1 (en) Automatic Rescue Circuit of Elevator
EP3587324A1 (en) Elevator system
JPH0624664A (en) Emergency rescue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KR100667457B1 (en)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CN110282518B (en) Method for detecting braking and stopping distance of elevator